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모순론의 관점에서 종교중국화정책이 기독교에 미치는 영향

        마민호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9 복음과 선교 Vol.48 No.-

        The drastic shift of religious policy under President Xi Jinping’s administration is an aftermath of a major contradiction of socialistic development. The main contradiction under Xi Jinping’s administration is drawn between the people’s demand for higher quality of life and the nation’s unbalanced and inadequate development. With the rapid economic development, religion has become a threat against social stability and the Chinese regime, weakening the form of socialist consciousness. Religion, once perceived as a minor contradiction, has now turned into a major socialcontradiction of China. Aimed to resolve the contradiction, Sinicization of Religion is a new political strategy of Xi Jinping in response to the growing threat of religion. Therefore, Sinicization of Religion has to address the root of the contradiction between socialist ideology and religion. The primary intention of Sinicization of Religion is to identify religion within the mold of socialist ideology. Under Sinicization of Religion, Protestant Christianity, one of the fastest-growing religions in size, has particularly become the main target for control. Sinicization of Religion on Protestant Christianity will entail increased pressure on Protestant theology and doctrines for change toward socialistic ideas, stricter control over Chinese house churches and Chinese mission organization, and lastly, restraint on interaction between Chinese churches and overseas churches. This study explains the impacts of Sinicization of Religion on Protestant Christianity and the increased level of control in China. 시진핑 시기의 급격한 종교정책의 변화는 사회주의 발전단계에서 주요모순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시진핑 시기의 주요모순은인민들의 아름다운 삶에 대한 요구와 불균형하고 불충분한 발전 간의 모순으로 변화했다. 경제성장 과정에서 빠른 속도로 성장한 종교는 중국사회의 의식형태의 불균형을 가져와, 사회안정과 정권안전을 위협하는 수준의 문제로 부상하였다. 부차모순에서 주요모순의 차원으로 부상한 종교문제를 새로운 시대의 요구에 맞게 처리하려는 정책이 시진핑의 종교중국화이다. 그래서 종교중국화는 사회주의와 종교 간의 모순을 ‘근본적’으로 해결해야 하는 정책이다. 종교중국화의 핵심은 종교를 사회주의에 적극 적용시켜서 사회주의핵심가치를 실천하는 사회주의 종교로 변화시키는 것이다. 이 정책은 일교독대(一敎獨大)의 위험으로 성장한 기독교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러한 종교중국화는 기독교에 대해, 우선, 기독교의신학과 교리에 대한 정부의 통제강화와, 둘째, 건강한 중국교회의발전에 대한 어려움의 심화와, 셋째, 해외선교단체의 활동과 해외교회와의 교류에 대한 통제강화 등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종교중국화가 기독교에 미치는 영향과 종교에 대한 강화된 통제에 대하여 설명하고 있다.

      • KCI등재

        한국 선교에서 지역 연구의 역사와 발전 과제

        마민호 기독교학문연구회 2015 신앙과 학문 Vol.20 No.1

        Since the spread of Christianity in South Korea, the Korean church has achieved phenomenal missionary outcomes. However, Korean missions also have lacked strategic mission evaluations. This absence of strategic mission is caused from the insufficient information and analyses resulting from the dearth of study and research of the mission field. Study and research of the mission field is essential for strategic mission. During the development of Korean mission work, the Korean church conducted some study and research of the mission target area and people. The initial Korean mission proceeded under the principles derived by the research of mission area, but as Korean church rapidly expanded, the tendency to neglect research of mission activities developed as well. After the 1990s, as the importance of the strategic mission gained recognition, research of the mission area and people revitalized and provided significant progress. Nevertheless, Korean mission work still depends on the personal insights and strategies of the field missionary, while the mission headquarters are still unable to provide necessary mission information or strategy to the field missionary. This is because of the insufficient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nd intelligence of the mission area, and also the insufficient environment for study and research, including the lack of training and human resources to conduct research of the mission field. In order to develop Korean mission studies, it is necessary to convert the understanding of mission area studies. Instead of making this area the responsibility of professors and researchers in universities or theological schools, it must be embraced by many levels, starting from missionaries in field, mission organizations, Christian denominations, churches, mission-related workers in the church, and media organizations. This will also require the close cooperation of the full range of those who use the research information, including Christian enterprises, Christian lawyer organizations, Christian NGOs, and Christian medical institutions. Also, it is vital to develop research infrastructure, including a research society studying mission target areas and peoples as well as academic journals that can facilitate the production of research and analysis. Finally, in order to build the mission research network for the effective conduct of mission area studies in Korean mission, cooperation of not only the Korean mission network but also the mission organizations of Western countries and of the 2/3 part of the world is needed. 한국에 기독교가 전파된 이래 한국 교회는 세계가 주목할 만한 선교적 성과를 거두었으나 반면에 선교 전략의 부재라는 평가를 늘 받아왔다. 이러한 선교 전략의 부재는 선교 현장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통한 선교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기인된 현상이다. 따라서 전략적 선교를 위해서는 선교 현장에 대한 연구와 조사가 필수적이다. 한국 선교의 발전 과정에서 한국 교회는 나름대로 선교 대상 지역과 종족에 대한 연구와 조사 활동을 진행해 왔다. 한국 선교 초기에는 오히려 선교 대상지에 대한 조사를 통해 도출한 선교 원칙을 가지고 진행하였으나 이후 한국 선교가 양적으로 팽창되면서 오히려 선교 대상 지역에 대한 연구가 소홀해진 측면이 있었다. 1990년대를 넘어서면서 전략적 선교에 대한 중요성이 재고되고 다시 선교 대상 지역과 대상 종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해져 지역 연구의 상당한 진전이 진행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선교는 현장 선교사 개인의 선교적 통찰력이나 전략에 의존하고 있으며 여전히 선교 본부에서 현장 선교사를 위한 적절한 선교 정보나 선교 전략을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는 그간 한국 선교계가 선교지의 정보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부족한데다 선교 현장에 대한 조사와 연구를 담당하는 인적 자원을 제대로 양성하지 못하는 등 전반적인 조사와 연구 여건을 구비하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한국의 선교 지역 연구를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선교 지역 연구를 학술 분야에 종사하는 대학과 신학교의 교수나 연구원들만의 책임으로 생각하지 말고 선교 현장의 선교사로부터 시작하여 선교단체, 교단, 교회의 선교 관련 종사자, 그리고 이의 보급을 맡고 있는 언론기관들이 함께 협력해야 하는 종합적인 과정으로 이해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 아울러 현장의 필요에 부응하는 선교 정보의 효과적 활용을 위해 선교 정보 생산기관과 기독 기업, 기독 법률가 단체, 기독 NGO, 기독 의료기관 등 모든 영역의 자원들이 긴밀하게 협력해야 하며 정보의 생산을 활성화하기 위해 선교 대상 지역과 선교 대상 종족을 연구하는 연구회나 학회, 그리고 학술 저널들의 발전을 포함한 광범위한 인프라 구축이 절실하다. 나아가 한국 선교계가 선교 지역 연구를 원활하게 수행하고 효과적인 선교 정보 네트워크를 구축하기 위해 한국 선교계 뿐만 아니라 서구의 선교 정보 관련 기관과 2/3세계의 선교 정보 관련 기관과의 원활한 협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교회의 선교사자녀 캐어와 동원에 관한 연구 : H대학 선교사자녀 사례를 중심으로

        마민호 ( Ma Min Ho ),강병덕 ( Kang Byung Deok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21 복음과 선교 Vol.54 No.-

        초·중·고의 학령기의 필요에 대한 단순한 캐어의 대상이었던 MK에 대해 한국선교계가 새로운 관점에서 주목하고 있다. 본 연구는 H대학의 MK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MK에 대한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캐어 방안과 나아가 이들을 한국선교의 선교 자원으로 동원할 수 있을 것인지의 가능성에 대하여 탐색하고 있다. MK 캐어가 선교 현장에서의 적응과 단기적으로 한국에 귀국했을 때의 필요를 채워주는 사역에서 벗어나 성인이 되어 대학생으로 돌아온 MK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과 이들에 대한 캐어가 충분한지에 대한 조사를 통해, MK 캐어 기간을 인생의 가장 중요한 결정의 시기인 대학생 기간까지 연장하여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체계적인 캐어를 진행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특히 MK 캐어에 대한 기존의 일방적인 인식에서 벗어나, MK의 실제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와 자료 관리를 통해 다양하게 차별성을 갖는 MK들의 그룹별 특성에 맞는 맞춤형 캐어가 필요함을 제시하고 있다. 아울러 선교 현장에서의 다양한 경험을 통해 선교 사역에 필요한 상당한 자질들을 갖추고 있는 대학생 MK들이 상당수가 실제 선교사로서의 훌륭한 자질을 가지고 있으며, 또 선교사가 되고 싶어하는 의지가 있음을 확인하고 있다. 이를 위해 MK 대학생들에 대하여 체계적인 신앙교육과 선교 훈련의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이러한 캐어를 위해 한국선교계의 관련된 기관들의 총체적인 연합과 협력이 필요함을 제안하고 있다. A discussion of caring Missionary Kids (MKs) which has been mostly discussed in the context of school-age childcare is now drawing new attention from the Korean missionary societies. The principal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a comp-rehensive and long-term care plan for the MKs and furthermore the MK’s potential to be a Christian missionary resource for the Korean church. Through the empirical studies on the challenges of college-aged, repatriated MKs and the effectiveness on the current caring program, the paper suggests that the caring program for MKs should be extended to college students with a systematic and long-term approach as the choices made in their college year have life-long ramifications. This study also suggests that segmenting MKs on the basis of various attributes and tailoring the caring efforts to fit the need of each group through a continuous research and data management would be crucial. The findings of the study also indicates that missionary kids in colleges have a great potential and willingness to be a missionary, which addresses the fundamental research question on the needs of systematic missionary training and Christianity education with the close cooperation with the Korean missionary societies and the related organizations.

      • KCI등재후보

        통일전선전술의 관점에서 중국의 종교통제에 대한 고찰

        마민호(Ma, Min-ho)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4 인문사회과학연구 Vol.15 No.1

        사회주의 중국의 종교 정책은 단순히 사회주의 이념 실현을 위해서 진행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인 정치적 목적에 따라 협력과 통제를 선택적으로 실시하는 통일전선전술의 입장에서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주의 중국의 종교 정책은 정치가 종교보다 우위에 있으며 정치적 목적을 위해 종교를 통제해 왔던 전통적인 중국의 정치와 종교 관계의 연장이다. 사회주의 건설 시기의 중국의 종교 정책은 근본적으로 종교의 존재를 부정해야 하지만 사회주의 건설 초기 단계이기 때문에 종교의 존재를 잠정적으로 인정하고 사회주의 건설에 유리한 종교 세력과는 협력하고 사회주의 건설에 위협이 되는 종교 세력은 강력하게 탄압히는 통일전선전술의 입장에서 진행되었다. 이후 문화대혁명 시기는 종교의 존재 자체를 인정할 수 없는 이념적 원칙이 강조되었기 때문에 종교 집단을 사회주의 건설에 해가 되는 세력으로 간주하여 정치적으로 철저하게 탄압하는 강경정책 일변도의 통일전선 전술이 사용되었다. 중국의 개혁개방은 통일전선전술의 입장에서 볼 때 사회주의 건설에 유리한 조건을 제공하는 해외 자본주의 세력과 종교 세력과 연합하여 사회주의 현대화를 이루려는 정책이다. 이 개혁개방 시기의 종교정책은 지금까지의 주요모순이었던 계급모순이 경제모순으로 바뀌면서 이 경제모순을 극복하기 위하여 부차모순인 종교 세력과 연합하는 형태의 통일전선전술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 시기에도 법륜공(法輪功)에 대한 중국 정부의 통제에서 볼 수 있듯이 종교 세력이 정치에 불리하게 작용할 때는 강력하게 탄압하는 이중적인 통일전선전술을 사용하고 있다. 중국이 일관되게 사용하고 있는 통일전선전술에 입각한 종교정책의 관점에서 종교에 대한 정책을 전망한다면 중국은 여전히 주요모순을 극복하고자히는 정치적 펼요에 따라 강경정책과 옹건정책으로 정치적 상황에 맞게 선택되어 진행될 것이다. 이울러 종교에 대한 통제 방식은 기본적으로 동이타(動而打)방식에 의하여 정치적으로 위협을 주는 종교 활동이나 종교 세력에 대하여는 강력한 통제정책을 실시할 것이다. China is a socialist country which still conducts strong control over religion. The aim of the Chinese move is not to fulfill the traditional socialist ideology, but to tactically build "united front", which enables the government to selectively use 'alliance and control' depending on their political purposes. Religious affairs are highly politicised and are part of the continuing priority to maintain 'stability and unity' at all costs. That is, in terms of relationship between politics and religion, China's priority was traditionally politics, controlling religion for a political purpose. China's religious policy in socialistic nation building period should deny the existence of religion. However, since china was at an early stage of socialist nation buil이ng, they provisionally admit to the existence of Religion. United Front Tactics let the government form an alliance with religious group which is favorable to socialism building. On the other hand, other religious groups were roundly suppressed daring to oppose chinese communist party. During the Cultural Revolution, the ideological principle made the situation even more serious enough to threaten the existence of the Religion itself. In this period, China has become increasingly conservative, even reactionary, in its religious policies. At that time, religious groups were considered as harmful group to construct socialism, and were completely downtrodden. From the united front's point, China's reform and opening up is read as China's political strategy to form allied power with foreign powers and religious groups in order to seek to modernize socialism. However, even in this period, some religious groups such as 'Fa run gong(法輪功)' still find themselves circumscribed by a variety of regulations and prohibitions. This shows China's ambivalentㆍattitude towards religious groups. Therefore, the current socialist religious control is not a new policy raised by China's moving into socialist country, but an extension of traditional control policy of China, based on United Front Tactics. From this point, China is expected to selectively carry out both strong and mild policy as the political need arises. Also the religious control method will fundamentally be based on 'dong er da(動而打), Which tighten the control over religious groups that threaten the political system.

      • KCI등재

        현대 사회에서 바라본 마레주의 기독교비판의 역사적 함의- 마르크스ㆍ엥겔스ㆍ레닌 저작의 핵심 문구들에서 나타난 논조를 중심으로 -

        박만준,마민호 기독교학문연구회 2018 신앙과 학문 Vol.23 No.4

        Why does Marx-Leninism, starting from materialism, criticize christianity, and set up the political rules of Christians in the view of natural religious disappearance theory? Sometimes Marx-Leninist said “religion is the people's opium”, but there is not much to research of that real mechanism. Therefore, we can not describe the diachronic relationships between their criticism motivations and basic cognitive structures. in these context, we can not explain how Marx-Leninist's criticizm of christianity have a strong influence on communist land christian policy. this paper, analyses the relevant religious comments from Marx writings to lenin writings, investigates the their criticism of christianty and the basic stand-position of communist lands christian policy. 마레주의는 왜 유물론으로부터 출발해서 기독교를 비판하고 그 정책적 입장들을 정리했던 것일까? 흔히들 “종교는 인민의 아편이다”라는 말로 마레주의 종교이론을 표현하고 있지만, 정작 저들 문건들에서 나타나고 있는 기독교비판에 대한 핵심문구들이 어떻게 하나의 논리로 구성되어 왔는지 조차도 면밀히 분석하고 있지 않은 실정이다. 때문에 기독교에 대한 이들 비판이 시작된 동기와 인식적 기본구조를 통시적으로 설명하지 못하는 오류가 존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은 이들 마레주의 종교비판의 기본 내용들이 어떻게 사회주의국가들의 기독교정책으로 이어지는지 제대로 설명을 하지 못하는 근본적인 원인이 되고 있다. 본 논문은 포이에르바하에서부터 마르크스와 엥겔스 그리고 레닌에 이르기까지 저들 저작의 문구들 속에서 기독교비판과 관련된 핵심내용들을 발췌해서 그들이 종교를 비판하게 된 시대적 배경과 논리 그리고 사회주의 정당과 국가의 기본 입장을 하나로 정리해 봄으로써 오늘날 마레주의 비판이 우리에게 갖는 역사적 함의를 검토해 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고 할 것이다.

      • KCI등재

        EU의 대 남북한 관계에 나타난 대외정책의 특징과 이론적 함의: 시민적 권력과 규범적 권력에 관한 논의를 중심으로

        방청록,마민호 한국유럽학회 2014 유럽연구 Vol.32 No.1

        This study analyze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external policy of European Union based on the concepts such as “civilian power Europe,” “normative power Europe,” and “military power Europe.”In reviewing EU’s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with South Korea and its development of relationships with North Korea, “civilian power” and normative power” is perceived to act as an important factor in EU's external policy-making. This is due to EU’s military constraints to establish its identity as “military power Europe,” its lack of relative interests in Korean Peninsula, and its limited role and influence as a less interested party in the region compared to United States and China. As a result, instead of “military power,” EU has established policies utilizing “civilian power” based on economic trade and humanitarian aid towards North Korea, as well as “normative power” based on normative value such as human right protection. Diplomatic and economic relations have been consolidated as Korea-EU relation as Korea-EU relation developed into strategic partnership sharing key values, which particularly reaffirms the importance of ”normative power” for EU. 본 논문은 EU 대외정책의 특징을 “시민적 권력으로의 유럽(civilian power Europe)”, “규범적 권력으로의 유럽(normative power Europe)", “군사적 권력으로의 유럽(military power Europe)” 등의 개념을 중심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EU가 남북한과의 관계를 발전시켜온 과정을 연구한 결과, 특히 “시민적 권력” 또는 “규범적 권력”으로의 개념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며 작용하여온 것으로 고려된다. 이는 EU가 “군사적 권력으로의 유럽(military power Europe)”으로의 정체성에 부합할 수준에서 군사적 역량을 갖추지 못한 현실과 특히 한반도 지역에서의 이해관계가 상대적으로 크지 않을 뿐 아니라 이해 당사국이 아니라는 이유로 미국이나 중국 등 경쟁국과 비교하여 EU의 역할과 영향력은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이로 인해 EU는 “군사적 권력” 보다는 경제통상정책과 원조정책 등에 기초한 “시민적 권력” 그리고 인권보호 등의 규범적 가치에 기초한 “규범적 권력”을 중심으로 한국과 북한에 대한 정책을 수립, 추진해왔다고 판단된다. 특히 한-EU 관계가 핵심 가치를 공유하는 전략적 동반자 관계(strategic partnership)로 발전하면서 외교 및 경제적 관계가 강화되어온 점은 특히 규범적 권력의 개념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KCI등재

        중러 국경분계선 분쟁의 해결과정에서 나타난 역사적 동인연구 -시대별 설명변수들의 통시적 상호연계성을 중심으로-

        박만준,마민호 한양대학교 아태지역연구센터 2019 중소연구 Vol.43 No.3

        In these years, among Global border Conflicts, the solved process case of Sino-Russian border Conflicts remain us convincible. but because of the divided case studies, (for example Treaty of Nerchinsk, the unequal treaties system of Modern China, 1960s’ Sino-Soviet border Conflicts, and from the late 1990s to the early 2000s the solving process of Sino-Russian border Conflicts etc), untill now, we can not find out the diachronic motives of ultimate solution in these topics. what are the real historical motives of accommodating Sino-Russian border Conflicts in “Macro-Casual Analysis” and “Parallel Demonstration of Theory”? so this paper is aimed at solving that question. 최근 국가 간의 국경분계선 분쟁에서 종국적으로 해결된 사례들 중 우리에게 설득력 있는 동인을 궁극적으로 제시하고 있는 것이 바로 중러 국경분계선 문제 해결과정이다. 하지만 이 주제에 대한 기존 연구는 그 출발점인 봉건 시기의 네르친스크 조약이나, 훗날 아이훈-이리-북경·천진 조약으로 이어지는 근대의 불평등 조약, 혹은 당대적 맥락에서의 1960년대 중소 국경분쟁 과정과 1990년대 말에서 2000년대 초까지의 중소 국경분계선 해결과정 등 각기 시기적으로 분절된 연구들이 그 중심을 이뤄왔기 때문에 사실상 통시적 맥락에서 형성되어온 분쟁해결의 궁극적인 동인들이 어떻게 하나 된 역사적 맥락으로 작용함으로써 궁극적인 해결과 귀결되었는지를 제대로 설명하고 있지 못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통시적 접근을 통해 역사 속의 어떠한 동인들이 하나로 연결되어 옴으로써 장구한 역사에도 불구하고 국제적 환경변화에 속에서도 서로의 이견차이를 절충할 수 있는 접점을 거시인과적으로 찾을 수 있었는지를 유사증명해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 KCI등재

        명말 청초 동서 하늘관 논쟁이 가지는 역사적 함의 - 동서양 지식인들의 사상적 영향을 중심으로

        박만준,마민호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2

        In sino cultural exchange context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from the end of 16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the heaven view point argument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wake our desires for that academical knowleges. in reality, the key issue of this subject is not what we tell right from wrong between two camps, but what kind of research attitudes we can find in their cultural approach styles. In the Chinese Christian Missionary of 17th century, there were some thinker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heaven view points arguments. for example, Mateo Ricci, Niccolo Longobardi, Xuguangqi, lizhizao, and Leibnitz. then their research paper in this subject have formed an interchange of philosophical idea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but there are some limits to what their view points have formed. their research results only give us one-way analysis view point. so to speak, in only one way explaining us the research view points of chinese confucian scholars (like Xuguangqi and lizhizao) about the Mateo Ricci, Niccolo Longobardi papers of chinese lixue, or in only one way explaining us the research view points of Western Thinkers (like Saint Marie, Nicolas Malebranche and Leibnitz) about the chinese confucian analyses of heaven. on this account, in these years, we can not find the rIn sino cultural exchange context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from the end of 16th century to the beginning of 17th century, the heaven view point arguments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wake our desires for that academical knowleges. in reality, the key issue of this subject is not what we tell right from wrong between two camps, but what kind of research attitudes we can find in their cultural approach styles. In the Chinese Christian Missionary of 17th century, there were some thinker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heaven view points arguments. for example, Mateo Ricci, Niccolo Longobardi, Xuguangqi, lizhizao, and Leibnitz. then their research paper in this subject have formed an interchange of philosophical idea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but there are some limits to what their view points have formed. their research results only give us one-way analysis view point. so to speak, in only one way explaining us the research view points of chinese confucian scholars (like Xuguangqi and lizhizao) about the Mateo Ricci, Niccolo Longobardi papers of chinese lixue, or in only one way explaining us the research view points of Western Thinkers (like Saint Marie, Nicolas Malebranche and Leibnitz) about the chinese confucian analyses of heaven. on this account, in these years, we can not find the reason how these historical contexts have been resulted in the interchange of philosophical idea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thinkers at chronical dimension, and why those results have ended in the conflict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so-called Bainian Jinjiao). today, the research paper is rare in this subject.. this paper is aimed at researching the historical eason how these historical contexts have been resulted in the interchange of philosophical idea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thinkers at chronical dimension, and why those results have ended in the conflict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cultures (so-called Bainian Jinjiao). today, the research paper is rare in this subject.. this paper is aimed at researching the historical significance of arguments between Eastern and Western heaven view points about 17th century. 중국의 동서 문화 교류사에서 가장 핵심적인 사상적 쟁점이 되었던 것은 명말 청초 동서양 간에 있었던 하늘관 논쟁이다. 명말 청초 하늘관 논쟁의 핵심은 동양과 서양 중 어느 쪽의 하늘관이 옳고 그른가의 문제가 아니라 서로 다른 하늘관에 대해 어떠한 입장 과 분석적 태도를 가지고 접근할 것인가의 문제였다. 본 논문은 이 역사적 사실에서 비롯 된 논쟁들이 오늘날까지 동양과 서양에서 어떠한 역사적 함의를 가지고 있는지를 밝히 고자 했다. 이 주제의 핵심이 되고 있는 서양사상가들과 동양 지식인들의 논조를 통해 이 문제를 조명해 보고자 한 것이다. 17세기 중국 기독교전파과정에서 하늘관 논쟁의 중심인물로 거론되고 있는 마테오 리치, 롱고고바르디, 서광계, 이지조 그리고 라이프니츠의 분석적 태도와 사상연구의 결 과물들은 당시 동서문화의 사상적 교류에 가장 중요한 맥락을 형성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연구는 중국의 천명관이나 이(理)학에 대한 마테오 리치와 니콜로 롱고바르디의 분 석적 견해를 이지조나 서광계와 같은 중국 선비들이 분석한 것을 간단히 서술했거나, 중 국의 하늘관을 서양에 전한 생트마리나 말브랑슈 그리고 라이프니츠 등 서양 사상가들 의 견해를 간단히 서술한 것들이 대부분이었다. 따라서 이러한 맥락들이 어떻게 통시적인 차원에서 동서양 철학의 교류로 이어졌고, 급기야 ‘100년 금교’ 라는 동서 문화 충돌로 이어졌는지에 대한 근본적인 원인을 설명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17세기 전후 동서문화 교류사에서 핵심적인 주제로 상정되어 온 하늘관 논쟁이 동서양 사상의 교류에서 어떠한 역사적 함의를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 보는데 그 주요 목적이 있다.

      • KCI등재

        종교·국가·사회관계에서 바라본 중국의 티벳문제 : 민족주권의 귀속문제와 현 사회적 쟁점들의 역사적 함의를 중심으로

        박만준,마민호 현대중국학회 2014 現代中國硏究 Vol.15 No.2

        What exactly does tibetian issue in modern china stand for? for answering question, this paper diachronically approaches tibetian history from tradition to modern china and objectively sheds light on resent chinese tibetian issues in view of religion state and society. In the feudal times, building religious teacher and political supporter relationship under the political power of yuan and Genghis Khan mongol dynasties have made theocratic ruling structure in modern tibet. Like that, the relations between tibet and chinese central districts have been key variables in deciding directions of tibetian national sovereignty. The feudal relationship between tibet and china carried by tibetian buddism have been disappeared through chinese modern history. Moreover, since people's republic of china formed in 1949, tibetian minority autonomy by the chinese government replaced tibetian sovereignty. If so, in these days, what means tibetian minority autonomy in china? and to tibetian people what does conceptual difference between administrative autonomy and theocratic autonomy mean? Especially, after chinese reform and openning, what does tibetian social issues by the chinese government modernization mean to us? for resolving these questions, this paper is trying to approach historical context of sino-tibet issues in religion state and soceity. 오늘날 중국의 티벳과 관련된 갖가지 쟁점들은 과연 무엇을 의미하고있는 것일까? 본 글은 이 질문에 화답하기 위해 전통에서 당대까지 중국과 티벳의 관계를 통시적으로 접근하면서 최근 일고 있는 중국내 티벳 관련 쟁점들을 종교.국가.사회 라는 관점에서 객관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봉건시기 원과 몽골의 영향 하에 중원과 형성한 종교적 스승과 정치적 후원자 관계가 오늘날까지 이어오는 티벳의 신정통치구조를 형성했다. 이처럼 티벳에게 있어 중국중원과의 관계는 티벳민족주권의 향방을 결정하는핵심적인 변수가 되어왔다. 종교를 매개로 했던 봉건시기 중국과 티벳의관계가 근현대를 거치면서 종교적 스승과 정치적 후원자의 관계가 사라지고, 당대 중화인민공화국이 성립되면서 티벳의 주권은 민족자치 라는 추상적인 약속 관계로 대체되었다. 그렇다면 오늘날 티벳의 민족자치 라는말은 중국 안에서 어떠한 의미로 조작정의 되고 있는가? 신정자치와 행정자치 사이의 개념적 차이는 티벳민족에게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가? 특히개혁개방을 맞이하면서 티벳지역에 대한 현대화 과정이 야기 시킨 갖가지사회적 쟁점들은 현재 티벳문제를 바라보고 있는 우리에게 무엇을 의미하고 있는 것일까? 본 글은 이들 질문에 대한 궁금증들을 풀어보기 위해 중국과 티벳 사이에 거론되고 있는 쟁점들을 종교.국가.사회적인 맥락에서 조명해 보고 있다.

      • KCI등재

        홍콩 일국양제 변화에 관한 연구 : 일국양제에서 탈-일국양제로의 전환

        김지현 ( Kim Ji Hyun ),마민호 ( Ma Min Ho )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연구소 2021 中國硏究 Vol.87 No.-

        Focusing on NPC’s legislation of China’s Hong Kong National Security Law in May 2020, this research claims that it is beginning of Post-OCTW era in that OCTS can no longer cover China’s Hong Kong policy. Security law had been sharp conflict between Chinese central government and many of Hong Kong citizens since it is about restricting anti-Chinese activities. Since retreating legislation of the law in 2003, Chinese central government has actively practiced Hong Kong Mainlandization policy in various sectors which caused discontents on shrinking of political freedom and social-economical mainalandization especially among youth. In Extradition bill protest in 2019, accumulated anti-Chinese sentiment intensified to violent conflict and protesters demanded Hong Kong independence. This became crucial momentum for coming NPC’s legislation of Hong Kong security law bearing resistance of Hong Kong social sectors and international society claiming it is breaking the core value of OCTS about Hong Kong’s legal independence. Nevertheless since legislation Hong Kong’s anti-Chinese activities lost driving force and China’s political dominance on Hong Kong has accelerated, which is why this research argues that Post-OCTS era just began with legisl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