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An Effective Way for Northeast Asia to Defuse the Adverse Impact of US-China Trade War : Focus on South Korean-China-Japan FTA

        류천정,문철주 한국산업경제학회 2019 산업경제연구 Vol.32 No.6

        As the world's two largest economies, there is no doubt that the trade war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ill cause a negative impact on the world economy. Concerning the economic gross amount, Northeast Asia Reg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NEAR”) is one of the top three economic circles in the world, how can NEAR defuse the adverse impact of this trade war on the regional economy?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the Europe Union (EU) and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 ment(NAFTA) shows that Free Trade Area (FTA) might be a good choice to promot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nd defuse the adverse impact of this trade war. If the FTA among South Korean, China and Japan could be established, it might be of great practical significance to maintaining the prosperity and stability of the regional and even the world economy. In fact, as the largest economies in this regio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have already had frequent commercial intercourse and strong economic complementarity. And Asia, especially NEAR countries was expected to be the most dynamic developments area all over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Which reflects as the new economic development direction in South Korea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China and the economic recovery in Japan. Th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in NEAR will push all countries in this region to get more stable economic growth, which also contribute a lot to raise the regional status in the international economy. This paper focus on the establishment of South Korea-China-Japan F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KCJ’s FTA”) among , take the exploratory development method, try to proof that FTA among this three countries is an effect way to promot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nd defuse the adverse impact of this trade war.

      • KCI등재

        An Effective Way for Northeast Asia to Defuse the Adverse Impact of US-China Trade War : Focus on South Korean-China-Japan FTA

        Liu, Quanding(류천정),Mun, Cheolju(문철주) 한국산업경제학회 2019 산업경제연구 Vol.32 No.6

        세계 양대 경제대국으로서 중국과 미국의 무역전쟁은 세계경제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 세계경제총액과 관련하여 동북아 지역경제동합(NEAR)은 세계 3대 경제 공동체 중 하나이다. 따라서 NEAR는 어떻게 미·중간의 무역 전쟁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을 완화시킬 수 있을까? 유럽통합(EU)과 북미자유무역협정(NAFTA)의 성공적인 경험은 지역경제동합을 촉진하고 이는 무역정쟁의 부작용을 해소하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다. 한·중·일등 삼자간의 FTA가 협정체결이 될 수 있다면, 그것은 지역경제성장뿐만 아니라 세계경제의 번영과 안정을 유지하는데 큰 실직적인 의미가 있을 것이다. 실제로 동북아지역의 최대경제국으로서 한·중·일 3국은 이미 빈번한 무역교역과 상호경제의 의존성과 상호보완성을 갖고 있다. 특히 미래 NEAR 국가들은 21세기에 전 세계에서 가장 발전지역이 될 것으로 기대되었다. 이것은 한국의 새로운 경재발전방향, 중국의 빠른 경제성장과 일본의 경제회복을 반영한다. NEAR의 지역 경제통합은 이 지역의 모든 나라들로 하여금 보다 안정적인 경제 성장을 이루도록 할 것이며, 이것은 또한 국제경제 지역적 위상을 높이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탐색적 연구로 한·중·일 상호 FTA 협정체결을 통한 지역경제통합이 미·중 무역정쟁의 부작용을 완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안들을 밝힐 것이다. As the world"s two largest economies, there is no doubt that the trade war between China and the United States will cause a negative impact on the world economy. Concerning the economic gross amount, Northeast Asia Region (Hereinafter referred to as “NEAR”) is one of the top three economic circles in the world, how can NEAR defuse the adverse impact of this trade war on the regional economy? The successful experience of the Europe Union (EU) and the North American Free Trade Agree- ment(NAFTA) shows that Free Trade Area (FTA) might be a good choice to promot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nd defuse the adverse impact of this trade war. If the FTA among South Korean, China and Japan could be established, it might be of great practical significance to maintaining the prosperity and stability of the regional and even the world economy. In fact, as the largest economies in this region, South Korea, China and Japan have already had frequent commercial intercourse and strong economic complementarity. And Asia, especially NEAR countries was expected to be the most dynamic developments area all over the world in the 21st century. Which reflects as the new economic development direction in South Korea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China and the economic recovery in Japan. Th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in NEAR will push all countries in this region to get more stable economic growth, which also contribute a lot to raise the regional status in the international economy. This paper focus on the establishment of South Korea-China-Japan FTA (Hereinafter referred to as “KCJ’s FTA”) among , take the exploratory development method, try to proof that FTA among this three countries is an effect way to promote regional economic integration and defuse the adverse impact of this trade war.

      • KCI등재

        광릉 낙엽활엽수 노령림의 CO<sub>2</sub> 수지 역학: 15년 관측으로부터의 교훈

        양현영 ( Hyunyoung Yang ),강민석 ( Minseok Kang ),김준 ( Joon Kim ),다운 ( Daun Ryu ),김수진 ( Su-jin Kim ),천정화 ( Jung-hwa Chun ),임종환 ( Jong-hwan Lim ),박찬우 ( Chan Woo Park ),윤순진 ( Soon Jin Yun ) 한국농림기상학회 2021 한국농림기상학회지 Vol.23 No.4

        1960-70년대 대규모 산림녹화 이후에 한국의 산림은 점차 노령화되고 있다. 노령림의 순 CO<sub>2</sub> 교환은 이론적으로 중립에 가깝지만, 교란이나 관리에 의해 CO<sub>2</sub> 흡원 또는 발원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국의 광릉 낙엽활엽수 노령림(GDK)의 CO<sub>2</sub> 수지 역학을 이해함으로써, 다음 두 가지 질문에 답하고자 하였다: (1) 보전되고 있는 GDK는 과연 이론적으로 알려져 있는 CO<sub>2</sub> 중립인가? (2) 관측된 CO<sub>2</sub> 수지의 경년 변동이 문헌에 보고된 조절 인자들과의 선형적인 인과관계로 설명이 가능한가? 이에 답하기 위해, 본 연구는 KoFlux GDK 관측지에서 에디 공분산 기술로 2006년부터 2020년까지 15년 동안 관측된 CO<sub>2</sub> 플럭스 자료와 생기상학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 GDK는 15년 자료를 평균해서 보면 약한 CO<sub>2</sub> 발원이며, 관측기간 동안 흡원과 발원 사이를 오갔으나 최근 5년 동안 CO<sub>2</sub> 발원으로서의 강도가 증가하고 있다. (2) 전천일사, 생장기간, 엽면적지수의 경년 변동은 총일차생산량(Gross Primary Production, GPP)의 경년 변동과 양의 상관관계(R<sup>2</sup>=0.32~0.45)가 있는 반면, 기온과 지표면 온도의 경년 변동은 생태계 호흡(Ecosystem Respiration, RE)의 경년 변동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또한, 관측기간 초반(첫 10년)의 CO<sub>2</sub> 플럭스와 기상요인 및 생물학적 요인으로 학습시킨 기계학습은 관측기간 후반(최근 5년)의 GPP와 RE의 경년 변동을 제대로 모사해내지 못했다. 단, 고사목에서 배출된 탄소 추정량이 CO<sub>2</sub> 발원으로의 전환에 일부 기여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GDK의 장기 CO<sub>2</sub> 수지 역학에 대해 올바로 이해하고 해석하기 위해서는, 분석과 모델링을 위한 복잡계과학 기반의 새로운 프레임워크가 필요하다. 더불어, 플럭스 모니터링 및 자료 품질 유지와 함께 고사목과 교란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것이 중요함을 다시 한 번 확인하였다. After large-scale reforestation in the 1960s and 1970s, forests in Korea have gradually been aging. Net ecosystem CO<sub>2</sub> exchange of old-growth forests is theoretically near zero; however, it can be a CO<sub>2</sub> sink or source depending on the intervention of disturbance or management. In this study, we report the CO<sub>2</sub> budget dynamics of the Gwangneung deciduous old-growth forest (GDK) in Korea and examined the following two questions: (1) is the preserved GDK indeed CO<sub>2</sub> neutral as theoretically known? and (2) can we explain the dynamics of CO<sub>2</sub> budget by the common mechanisms reported in the literature? To answer, we analyzed the 15-year long CO<sub>2</sub> flux data measured by eddy covariance technique along with other biometeorological data at the KoFlux GDK site from 2006 to 2020. The results showed that (1) GDK switched back-and-forth between sink and source of CO<sub>2</sub> but averaged to be a week CO<sub>2</sub> source (and turning to a moderate CO<sub>2</sub> source for the recent five years) and (2)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solar radiation, growing season length, and leaf area index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at of gross primary production (GPP) ( R<sup>2</sup>=0.32~0.45); whereas the interannual variability of both air and surface temperature was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at of ecosystem respiration (RE). Furthermore, the machine learning-based model trained using the dataset of early monitoring period (first 10 years) failed to reproduce the observed interannual variations of GPP and RE for the recent five years. Biomass data analysis suggests that carbon emissions from coarse woody debris may have contributed partly to the conversion to a moderate CO<sub>2</sub> source. To properly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long-term CO<sub>2</sub> budget dynamics of GDK, new framework of analysis and modeling based on complex systems science is needed. Also, it is important to maintain the flux monitoring and data quality along with the monitoring of coarse woody debris and disturbanc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