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후반 프랑스 문학작품에 나타난 파리의 일상 공간

        류선정(RYU, Sun-Jung) 프랑스학회 2008 프랑스학연구 Vol.46 No.-

        Cette étude a pour but d'examiner les motifs représentant l'espace moderne de Paris dans l'oeuvre littéraire de la seconde moitié du XIXe siècle afin de pouvoir construire une base de données du «storybank» : café, café-concert, cabaret, grand magasin, fabrique, usine, grande maison, maison de rapport, omnibus, diligence, jardin public, parc, etc. Il s'agit d’étudier l’aspect suivant ; l'espace moderne parisien revêtait quel aspect? Quelle en était la fonction? Qui le fréquentait essentiellement? Qu’y faisait-on? Après la vaste rénovation de la capitale par Haussmann, grandes rues, cafés, grands magasins, immeubles de rapport, hôtels particuliers, jardins et parcs s’implantent au centre de Paris, et les usines et les grandes maisons sont déplacées en banlieue. Des écrivains comme Balzac, Stendhal, Flaubert, Zola ou encore Baudelaire, et les peintures de Daumier, Manet, Degas ou Toulouse-Lautrec gardent le souvenir de cet espace moderne de Paris dans leurs propres oeuvres. Le discours microscopique sur l'espace modern parisien dans les oeuvres littéraires et les tableaux révèle que celui-ci est à l'origine de l'espace de la culture populaire contemporaine. Et surtout quelques passages dans l'oeuvre de Zola, de Baudelaire et quelques peintres comme Daumier constatent bien que l'espace de Paris en 1850-1890 reflétait à la fois la splendeur du progrès et la tristesse de la disparition de l'ancien monde. Afin d'achever de construire le «storybank» basé sur l'oeuvre littéraire de la seconde moitié du XIXe siècle, des études successives sont nécessaires ; il faudrait examiner aussi le prototype des Parisiens modernes comme le prolétariat, la bourgeoisie, la modiste, le calicot, la prostituée, le dandy, le flâneur etc., et l'évènement(sujet) comme l'amour, la décadence. Ensuite, il faudrait arranger le «méta-document» pour lier chaque motif au système digital.

      • KCI등재

        광고에 있어서 전래동화의 패러디 연구: 「빨간 모자」를 중심으로

        류선정 ( Ryu Sun-jung ) 한국프랑스문화학회 2016 프랑스문화연구 Vol.33 No.-

        Notre etude a pour but de mettre en lumiere non seulement la compatibilite de la structure narrative entre le conte de fees et la publicite, en montrant comment le premier est la source du second, mais de mettre aussi en valeur l`efficacite de la parodie en examinant les parodies diverses du conte de fees dans les publicites. Pour cette etude, nous avons choisi comme textes d`analyse Le Petit Chaperon Rouge de Charles Perrault et des freres Grimm et quatre publicites qui les parodient. Notre analyse s`appuie sur la theorie semiotique a partir des travaux de Vladimir Propp jusqu`a Algirdas Julien Greimas. Rolf Jensen a souligne l`importance du storytelling en mentionnant ≪nous achetons des emotions aujourdh`hui≫. De nos jours, le conte de fees est souvent transpose dans l`univers de la publicite, d`autant que le storytelling en publicite est plus important que l`image provocante ou l`expression directe du message publicitaire. Le conte de fees est tres utile a etre recree comme publicite du point de vue de son universalite, de sa structure narrative, de ses elements mysterieux et surnaturels, de ses caracteristiques metaphoriques et instructives et de sa liberte de violation du droit d`auteur, etc. Lors de la transformation du conte de fees en publicite, il est d`abord necessaire de choisir un conte auquel l`objectif publicitaire correspond, et ensuite de prendre en compte les facons diverses de la parodie du conte de fees selon les recepteurs publicitaires(audience, consommateur…). Ayant compare le degre de parodie du Petit Chaperon Rouge par les modeles semiotiques que nous avons degages dans quatre publicites, le conte de fees est plus deforme dans la publicite commerciale que dans la publicite visant l`interet public. Et les recepteurs publicitaires sont d`autant plus ages que le conte de fees est plus deforme pour echapper a l`histoire codifiee ; le chaperon rouge n`est plus une victime mais une maltresse douce qui soumet le loup. Le loupe est au contraire neutralise. Pour la parodie efficace, il est capital d`amener le public a voir differemment ce que lui est familier. En fait, l`hypertexte(la publicite) est oblige d`impliquer la difference dans la similitude avec l`hypotexte(le conte de fees) pour sortir du cliche. Les publicitaires doivent donc chercher a integrer la mode contemporaine dans la structure narrative du conte de fees pour s`attirer la sympathie du public et y fondre efficacement des elements pratiques, ludiques et metaphoriques qui sont importants pour le monde de la publicite.

      • KCI등재

        프랑스 영화창작소프트웨어 〈나는 영화를 쓴다 2〉 연구

        류선정(Ryu Sun-Jung) 인문콘텐츠학회 2011 인문콘텐츠 Vol.0 No.23

        본 논문에서는 프랑스에서 상용중인 〈나는 영화를 쓴다 2(J’ecris un film 2)〉가 시나리오 작성을 형식과 내용적 차원에서 어떻게 지원하고 있는지에 관해 분석함으로써, 국내 영화창작소프트웨어 개발 시 참고하면 유용할 사항들을 제시하였다. 최초로 영화를 만들고 일찍부터 광의의 서사개념을 제시한 프랑스의 영화창작소프트웨어에 관한 분석은 전무하다는 점에서 본 연구에 의의가 있다. 〈나는 영화를 쓴다 2〉는 ‘방법론’ 메뉴와 ‘나의 기획안’ 메뉴의 연동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져 있다. ‘방법론’ 메뉴는 주로 주네트의 이론에 근거하면서도 독자적인 영화스토리텔링의 기법들과 사례 발췌문들, 연습문제들을 제시하고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연습문제들에 답하면서 서사구조를 확립하고 아이디어를 보다 구체화할 수 있으며, 그것을 ‘나의 기획안’ 메뉴에 저장하여 시나리오를 완성할 수 있게 하고 있다. 〈나는 영화를 쓴다 2〉는 기존의 창작소프트웨어들과 달리 할리우드와 유럽 영화뿐만 아니라 한국 영화까지 다양하게 샘플링 한 점에서 주목을 끈다. 이점은 우리나라의 영화창작소프트웨어 개발 시 글로벌한 영화 창작을 위해 참고하면 유익할 사항이다. 이 소프트웨어의 가장 주목할 장점은 소프트웨어명을 문법상의 오류에도 불구하고 ‘나는 시나리오를 쓴다’라고 하지 않았듯이, 영화라는 매체의 특성을 강조한 창작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영화 텍스트의 의미를 형상화하는데 매우 중요한 ‘서술’ 항목은 영화 특유의 서술 방법들을 제시하고 사용자가 그것을 응용할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미국에서 작가의 활용 빈도가 가장 높은 〈드라마티카 프로〉조차도 영화의 서술에 관한 지원은 미비하다는 점을 비추어보면, 〈나는 영화를 쓴다 2〉의 서술 지원시스템은 영화창작소프트웨어 개발 시 차용하면 매우 유익할 부분이다. 특히 서술 항목에 등장하는 ‘다중적 시점’과 ‘비정형적인 서술’은 작가주의 영화에서 자주 사용되던 방법으로서, 영화창작소프트웨어 개발 시 독창적이고 예술적인 영화 창작을 원하는 사용자를 위해 고려하면 좋을 요소이다. 그러나 〈나는 영화를 쓴다 2〉의 창작시스템은 영화의 대중성과 상업성을 덜 고려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흥행에 성공한 영화들을 데이터베이스화 한 다음 인물, 소재, 주제, 배경별로 분석하고 모티프들을 분류ㆍ체계화 하여 태그형식의 연동방식을 구현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나는 영화를 쓴다 2〉는 시나리오 공정의 자동화와 상업적으로 성공한 영화의 창작을 원하는 사용자보다는, 기능적으로 편리하면서도 사고를 자유롭게 하는 창작 시스템과 창의적인 영화를 원하는 사용자에게 더 적절하다. 영화창작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촉구하는 목소리와 영화스토리텔링의 획일화가 창작에 저해가 될 수 있다는 목소리가 공존하는 요즘, 본 연구는 다각도에서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후반 프랑스 문학과 미술에 나타난 파리의 근대 군상

        류선정(Ryu Sun-Jung) 강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2009 인문과학연구 Vol.0 No.21

        본 연구는 파리의 근대 군상을 대표하는 모티프들을 부르주아, 프롤레타리아, 백화점 점원, 칼리코, 모디스트, 매춘부, 여급, 댄디 등으로 나누고, 각 세부 군상들이 19세기 후반의 문학과 회화들 속에서 어떠한 문화적 기억으로 보존되어 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 있다. 이는 예술 작품들을 스토리뱅크의 원천 소스로 하고 스토리뱅크의 핵심 키워드라고 할 수 있는 문화원형을 발굴하여 문화콘텐츠 산업의 창작 소재로 활용 가능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대 군상’이라는 항목의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염두에 둔 시도이다. 19세기 후반에 나폴레옹 Ⅲ세의 지지 아래 파리 시장이었던 오스만은 정권의 정당성을 드러내고 파리의 위상을 드높이기 위해, 근본적이고 획기적인 도시 변형 작업을 감행함으로써 파리를 ‘대도시화’ 하고 ‘근대화’하였다. 이러한 근대 파리는 대표적으로 플로베르, 모파상, 졸라, 보들레르, 랭보 등과 같은 문인들과 쿠르베, 도미에, 마네, 모네, 르누아르, 드가, 까이유보트, 베로, 로트렉, 티소, 곤잘레스 등과 같은 화가들에게 중요한 소재가 되었는데, 그들의 작품들은 각기 방식은 다르지만 당시 파리의 모습을 잘 담고 있다. 이러한 예술 작품들 속에서 귀족이 사라지고 계급의 뒤섞임이 진행되는 가운데 자본의 소유에 따라 부르주아와 프롤레타리아가 생겨났고, 소비산업 사회를 맞아 백화점 점원, 칼리코, 모디스트 등과 같은 새로운 직종들의 출현과 함께 매춘부나 여급들의 경우처럼 여성을 상품화 하는 현상이 본격화되었으며, 이렇게 급변하는 혼란기 속에 그 위기를 민감하게 반응하며 극복하려는 의미심장하면서도 개성 독특한 지식인, 즉, 댄디들이 등장했음을 고찰할 수 있다. 그리고 그러한 근대 군상들은 다양한 점에서 현대 군상의 연원임을 확인할 수 있다.

      • KCI등재

        증강현실 기반 외국어교육 콘텐츠 개발: 한·불 전래동화의 활용

        류선정(Ryu, Sun-jung) 건국대학교 GLOCAL(글로컬)캠퍼스 스토리앤이미지텔링연구소 2020 스토리&이미지텔링 Vol.20 No.-

        본 연구는 증강현실에 대해 살펴보고 증강현실 기반 콘텐츠들 중 외국어교육 콘텐츠들에 대해 자세히 분석하면서 개선점에 대해 제언하였다. 증강현실 기반의 외국어교육 콘텐츠들은 학습자에게 흥미와 몰입감을 제공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체험적이면서 능동적으로 언어를 학습하게 하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그런데 기존의 콘텐츠들은 대부분 아동학습자를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언어와 불가분의 관계에 있는 문화에 대해서는 별로 다루지 않거나 다루더라도 목표언어의 문화에만 초점을 두고 있는 편이다. 이에 본고에서는 외국어교육에 있어 ‘상호문화교육’의 필요성에 대해 강조하고,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외국어교육 콘텐츠로서 증강현실 기반 전래동화의 제작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증강현실과 전래동화의 만남이 학습자의 외국어와 상호문화 능력을 함양하는데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어떻게 콘텐츠의 내용과 시스템을 설계해야 하는지 증강현실 기반 한.불 전래동화 제작의 예시를 통해 자세히 밝혔다. AR–based foreign language educational contents have the advantage of providing interest and immersive experiences to learners and allowing to learn languages empirically and actively with the user interaction. However, most of the existing contents are targeting children learners and do not address the culture that is inseparable from the language. Even if they address the culture, they just focus on the culture of the target language only. Accordingly, this paper emphasizes the importance and needs of "Intercultural education’ in foreign language education and proposes the production of AR-based fairy tales as foreign language educational contents for adults. In addition, through an example of the production of Korean-French fairy tales using the AR, it reveals how the contents should be designed for cultivating learners" foreign language and intercultural abilities in detail.

      • KCI등재

        대구광역시 공공조형물에 대한 평가 연구

        류선정(Ryu, Sun-Jung),안동만(Ahn, Tong-Mahn) 한국도시설계학회 2013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4 No.1

        본 연구는 대구광역시 공공조형물의 예술성?조화성?공공성을 평가하고 개선방향을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공공조형물의 개념과 국내?외 현황에 관련된 문헌을 고찰하고, 일반인 설문 및 전문가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인 설문에서 2개, 전문가 설문에서 1개의 공공조형물이 기준 점수인 70점 미만이고, 공모가점이 없으면 일반인 설문에서 6개, 전문가 설문에서 5개가 기준점미만이다. 둘째, 두 집단의 평가 결과에 차이가 있었는데, 전반적으로 일반인들이 전문가들보다 설치되어 있는 공공조형물을 낮게 평가하였다. 셋째, 설치된 공간의 상황이 비슷한 경우, 일반인은 조화성과 공공성을, 전문가는 예술성을 중요시 하였다. 넷째, 두 집단 모두 예술성을 가장 중요시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새로운 공공조형물을 계획할 때 현재 설치되어 있는 공공조형물의 질이 낮다는 것을 인식해야하고, 설치 시 시민의 의견을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the study is to evaluate public sculptures in Daegu City in terms of artistry, harmony, and the publicness and then to suggest schemes for improvement. To do so, this study reviewed the concept of public sculpture and its status in a literature review, and conducted a survey to ordinary people and expert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rdinary people scored at 2 sculptures and experts scored at 1 sculptures below standard point. And if there were no contest-add points, 6 sculptures in ordinary people survey and 5 sculptures in experts survey got lower than standard point. Second, the public gave lower point than the experts in evaluating the public sculpture. Third, in similar place, the public thought that harmony and publicness are more important, while experts thought artistry is more important. Finally, both the public and experts considered artistry of public sculptures is the most important. Therefore, when planning new public sculptures, it should be noted that the artistic quality of the existing public sculptures is considered very low and needs to reflect citizen"s opinions.

      • KCI등재

        건축물 미술작품의 도시경관개선과 문화예술향유에 대한 기여도 평가 연구

        류선정(Ryu, Sun-Jung) 한국도시설계학회 2016 도시설계 : 한국도시설계학회지 Vol.17 No.4

        본 연구는 건축물 미술작품이 설치 취지인 문화예술 향유와 도시경관 개선에 부합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에서 상대적으로 건축물 미술작품이 많은 강남구, 중구와 적은 강북구, 노원구의 주민을 대상으로 설문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미술의 문화예술향유에 대한 기여도와 도시경관을 위한 공공미술 설치의 필요성은 상관관계가 있다. 둘째, 주민들은 도시경관 개선을 위한 공공미술 설치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다. 셋째, 응답자의 52.1%가 건축물 미술작품을 인지한다. 넷째, 건축물 미술작품의 도시경관 개선 기여도와 도시경관을 위한 공공미술 설치의 필요성은 상관관계가 있다. 위 결과를 참고로 하여 설치취지에 부합한 건축물 미술작품설치에 힘써야 할 것이다. 2011년 건축물 미술작품제도가 개정되어 기금에 출연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공공미술 프로젝트에 쓰이게 된다. 건축물 미술작품 부족지역과 충분지역을 분석하여 도시경관의 개선이 필요한 지역과 주민의 문화향유가 적은 곳에 우선적으로 기금을 사용해야 하며, 계획단계에 주민설문을 실시하여 부족한 지역과 충분한 지역을 도출해야 할 것이다. The goal of the study is to verity that building’s artworks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urban landscape and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by surveying residents living in Gangnam-gu, Gangbook-gu, Nowon-gu and Joong-gu in Seoul.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rong relation among the contribution of public art, the level of enjoyment of culture and art, and the improvement of urban landscape. Second, there was correlation between the satisfaction of urban landscape and the necessity of public art, showing that the majority of people perceived that the installation of public art improves the urban landscape. Third, 52.1% of people recognized building’s artworks. Fourth,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he contribution of building’s artworks and the necessity of public art. Thanks to the optional funding system, building owners can provide Art and Culture Fund to establish public art. This policy change will also enable regional authorities to alleviate regional bias in terms of public art development by assigning funds to less civilized area of their landscape. And it is necessary to sort the areas which are deficient or rich in building’s artwork through residents’s questionnaire at the being of plan perio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