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민연국어사전」(가칭)의 특징

        도원영(Doh Won-young) 한국사전학회 2003 한국사전학 Vol.- No.2

        This report is aimed, for 「Institute of Korea Culture Korean Dictionary」(hereinafter refer to the IKC Korean Dictionary), to describe its characteristics in the light of reality and utility. For the aspect of the comprehensive acceptance of real language, 「IKC Korean Dictionary」 is based on the linguistic data drawn by corpus for head word, grammar information, definition and example etc.. For the aspect of the utility for the dictionary user, 「IKC Korean Dictionary」 is characterized by selection of non-captured word in the existing korean dictionary, systematical presentation of morph information and reference information, and the order of head word, meaning term and the sentence pattern according to lexical frequency.

      • KCI등재

        국어사전 수정 작업에 대한 검토

        도원영(Won Young Doh) 한국어학회 2015 한국어학 Vol.67 No.-

        In the digital age, dictionaries that were traditionally printed texts for education, regulation and reference are transforming into descriptive texts in electronic forms. Characteristics of Korean dictionaries also changed along. As a result, more dynamic details need to be considered in revising existing Korean dictionaries. This work put forward the direction, condition and scope of revision process for Korean dictionaries. By looking into the revision practice of 5 Korean dictionaries, this work pointed out a future direction of Korean dictionaries revision work.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국내 출간 사전의 동향 분석 - 연도별 주제별 통계 분석을 중심으로 -

        도원영 ( Doh Won-young ),차준경 ( Cha Joon-kyung ),신상현 ( Shin Sang-hyun ),최호철 ( Choi Ho-churl ) 한민족문화학회 2020 한민족문화연구 Vol.70 No.-

        이 연구는 개화기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출간된 사전의 목록을 정리하여 출간 사전의 통계 분석을 제시하고 최근 사전의 출간 동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사전은 학문의 성장과 발전을 견인하고 과학기술의 표준 역할을 해 온 참조 텍스트이다. 그러나 국내 출간된 사전의 종수를 확인할 통계나 사전편찬사를 기술할 기초 데이터가 부족한 상태에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출간 사전의 연도별 통계와 분야별 통계를 산출할 수 있도록 국내 주요 5개 도서관의 사전 목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1,855종의 도서관 사전 목록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한국연구재단의 학술 연구 분야 분류표에 따라 분류한 다음, 연도별 통계와 분야별 통계를 산출하였다. 특히 ‘개화기~해방 전’, ‘해방 후~경제 성장기’, ‘경제 발전기’, ‘경제 안정기’로 나누어서 출간 통계 결과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로 나눠 인문학을 중심으로 통계 결과를 보였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총 152개 분야 중, 137개 분야에서 사전이 출간되었으며, 가장 많은 사전이 출간된 중분류 분야는 인문학의 한국어와 문학이고, 다음으로 영어와 문학, 일본어와 문학, 사회과학의 경제학의 순으로 간행되었다. 반면, 사전이 부재한 분야가 상당하다는 점에서 여전히 사전의 기획과 편찬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또한 온라인 사전 서비스의 도래와 종이사전 출간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1990년대부터 2010년대 중반까지 매년 300종 내외의 사전이 출간되다가 온라인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출간 사전 수가 30% 이상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사전의 도래가 사전 출판 생태계를 위축시켰다는 기존의 견해를 증명하였다. 반면, 새로운 분야의 사전이 상당수 출간되었음을 밝혔다. This paper presents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from the late 19<sup>th</sup> century to 2019 and analyze the recent publishing trends of dictionaries in Korea.Dictionary is a kind of reference text to lead the development of studies and to be a standard role of scientific technology. However, it is hard to find a statistics of dictionaries published and basic data to write the lexicographical history in Korea.To solve these problems, we made a list of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based on the catalogs of the 5 major libraries including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n we got 11,855 lists. After that, following academic research classification table made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we produce the yearly statistics and the academic research statistics. The anlaysis is divided into the 4 period late 19th century ~ before liberation, after liberation ~ period of economic growth, period of economic stabilization, digital age, and present the statistics of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Next, we show the statistics of Humanity dictionaries by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method. Dictionaries are published in 137 areas in total 152 academic research areas.The biggest area of dictionary published is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1,796 books, followed by the field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1,179 books, and the field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16 books. The dictionaries of Economic in Social science are published 437 books.The years from 2000, the World Wide Web service of dictionaries are full-blown. Every year, over 200 dictionaries are published in Korea. We clarify the existing opinion that the advent of online dictionary brings the dark ages of paper dictionary.In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make a total arrangement of major performance and present condition of dictionaries in Korea. We can reserve quantitative analysis data in every fields and areas in this statistical analysis. We can check unpublished and low-published areas and make several reasons why the dictionary publishing is needed.

      • KCI등재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구축 방안 연구

        도원영 ( Doh Won-young ),신상현 ( Shin Sang-hyun ),최경봉 ( Choi Kyeong-bo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17 民族文化硏究 Vol.75 No.-

        이 글은 개화기 이후부터 2010년까지 국내에서 간행된 사전을 목록화하고 메타사전학적 방법론에 따라 사전 정보를 분석하여 `사전 편찬 정보 통합 DB`를 구축하는 방법론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개화기 이후부터 2010년까지 국내에서 출간된 모든 사전에 대한 조사를 진행하여 사전 목록을 정비하고 사전편찬 정보에 대한 자료적 토대를 구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이어서 사전편찬학과 메타사전학의 연구 방법론을 활용하여 사전의 유형 정보와 구조 정보, 사전의 역사 정보를 분석하고 이에 해당하는 정보를 입력하여 DB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사전은 해당 학문 분야의 지식 체계를 형성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며, 학문 체계를 구축하는 토대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사전편찬사에 기반한 분과 학문별 사전사 연구에 기초 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둘째, 학문 분야별 지식체계의 형성과 전파 파악을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셋째, 국내 사전 기획 능력 및 편찬 능력의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국가 지식정보의 생산관리 운영에 관한 정책수립의 토대가 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pose a methodology to build a dictionary compilation information integrated database by cataloging the dictionaries published in the period after the flowering period to 2010 and analyzing the dictionary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meta-dictionary methodology. To do this, we conducted a survey of all the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from the beginning of the flowering period to the year of 2010, and developed a dictionary list and proposed a plan to build a database for lexicographical information. Then, using the research methodology of lexicography and meta-dictionary, we analyzed dictionary type information, structure information, dictionary history information, and suggested a method to enter the corresponding information into a database. Dictionaries are the foundation for forming knowledge systems in the field of study, creating new knowledge, and building academic systems. In this respects,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it can be provided as basic data to the research of dictionary history based on the lexicographical dictionary in the field of study. Second,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the formation of knowledge system and understanding of spread of knowledge by academic field. Third, it can contribute to strengthening domestic dictionary planning ability and compilation ability. Fourth, it is the foundation of the policy on production management and operation of national knowledge information.

      • KCI등재

        한국문학 번역을 위한 특수 사전 현황 분석

        도원영 ( Doh Won-yo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1 民族文化硏究 Vol.91 No.-

        한국과 한국문화에 대한 세계인들의 관심이 높아지면서 한국문학의 세계화가 주요한 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다수의 한국문학이 해외 시장에 진출하고 있으나 여전히 한국문학의 수준 높은 작품들이 세계의 독자들에게 충분히 공급되지 못하고 있다. 번역가를 양성하고 번역 활동을 지원하는 일만큼 번역가가 활용할 수 있는 도구와 자원을 확충하는 일도 중요하다. 하지만 그간 학계에서는 이 부분에 크게 관심을 가지지 못하였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한국문학 번역가들이 활용할 만한 사전의 현황을 살피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한국문학 번역용 참조 사전의 사전학적 성격을 제시하고 한국문학에 관한 사전의 유형을 정리하였다. 3장에서는 문학어 사전, 작품 사전, 작가 사전, 문학용어 사전, 상징 사전, 이언어/다언어 참조 사전으로 구분하고 출간 현황과 사전의 특징, 한계 등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향후 한국문학 번역을 위한 사전 기획과 편찬과정에서 지향해야 할 사항을 정리하였다. As the world's interest in Korea and Korean culture is increasing, the globalization of Korean literature is emerging as a major task. Although a number of Korean literature is entering the overseas market, the high quality works of Korean literature are still not sufficiently supplied to readers around the world. As much as training translators and supporting translation activities, it is important to expand tools and resources that translators can utilize. However, lexicography has not been very interested in this part. Therefore, this study attempted to examine the current situation of dictionary resources that Korean literature translators can use. Chapter 2 summarizes the lexic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ypes of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dictionaries. In Chapter 3, reference dictionaries for literary translation are divided into novel language dictionary, poetry dictionary, literary dictionary, symbolic dictionary, and bilingual/multilingual reference dictionary, and the current status of publication, characteristics, and limitations of the dictionary are analyzed. Finally, I summarized the matters to be directed in the pre-planning and compilation process for future Korean literature translation.

      • KCI등재
      • KCI등재

        교육 토론으로서의 “집현 토론”의 방식과 특징

        도원영 ( Won Young Doh ),지연숙 ( Yeon Sook Chi ),신지영 ( Ji Young Shin ) 한국화법학회 2013 화법연구 Vol.0 No.22

        본고는 기존 교육 토론 방식 중 찬반 토론의 한계를 지적하고 새로운 토론 모형(debate model)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 뒤 개방형 토론 (open type debate)으로서 집현 토론(Jiphyeon Debate)의 방식과 특징을 소개하였다. 집현 토론은 기존 찬반 토론의 여러 가지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제안된 새로운 토론 방식이다. 집현 토론은 세 개 조의 참여로 찬반 대립 구도를 탈피하고 의견 조율의 권리를 부여하여 소통과 협력을 보장한다. 개방성(openness)과 유연성(flexibility), 현실성(reality)과 문제 해결성이 집현 토론의 특징이다. 집현 토론은 논제에 대해 다양한 관점에서 풍부한 논의를 가능하게 하며, 상대방을 협력의 파트너로서 존중하는 태도를 배우고, 현실적인 문제해결을 훈련한다는 점에서 교육적인 가치가 높다. In this paper, we proposed a new academic debating model called ``Jiphyean Debate`` as an opening debate system. We pointed out some limitations of the previous academic debates such as pros and cons debate, and stressed the necessity of a new debate model. We proposed the ``Jiphpeon Debate`` as a new three-party debating model. We believe that the ``Jiphpeon Debate`` model overcomes several limitations of the previous two-party model. As a three-party model, Jiphyeon Debate avoids the inflexible pros and cons opposition and guarantees the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among participant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Jiphyeon Debate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openness, flexibility, practicality and problem-solving ability. As an educational debate, the Jiphyeon Debate model can help students to have opportunity to exchange diversified views with a respectful attitude and to excercise problem-solving strategi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