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상 명사의 의미,화용 특성 연구

        차준경 ( Joon Kyung Cha ) 서강대학교 언어정보연구소 2015 언어와 정보 사회 Vol.25 No.-

        Language & Information Society 25.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semantic and pragmatic features of abstract nouns in the Korean language. Based upon the third entities of Lyons’ ontology (1977): complement nouns that refer to propositions. This paper focuses on the nouns that accompany complement clauses’ abstract nouns and investigates their semantic features. By nature, an abstract noun without a complement clause often fails to convey its explicit meaning in a sentence. Its contextual meaning is by looking at the surrounding sentences because of the gap in the semantic structures of those nouns. Abstract nouns can have lexical meanings that can be found in the dictionary and variable meanings that are realized through the context. Abstract nouns can also be used for anaphoric reference. From a pragmatic perspective, abstract nouns can refer to a certain part of a text when they are combined with demonstratives. In other words, they can serve to strengthen textual cohesion.

      • KCI등재

        체계적 다의 명사의 문맥 의미 추출

        차준경 ( Cha Joon-kyung ) 우리어문학회 2023 우리어문연구 Vol.76 No.-

        이 논문은 한국어의 명사를 대상으로 하여 체계적 다의성을 문맥에서 추출하는 방안을 연구한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코퍼스를 활용하여 한국어 명사의 체계적 다의를 추출하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체계적 다의는 공동 서술 구조에서 동시에 실현될 수 있는 의미로 간주한다. 먼저, 실체 명사를 중점적으로 다루어 ‘책, 편지’ 등 텍스트 담지물, 장소 기관명인 ‘학교’, 사건과 대상의 복합 유형인 ‘점심’ 등을 대상으로 한다. 첫째, 기존에 여러 문헌에서 연구되고 있는 체계적 다의와 내재적 다의, 다면어 등의 의미를 고찰하고 체계적 다의의 하위에 내재적 다의, 다면어 등이 있음을 밝혔다. 둘째, 체계적 다의가 실현되는 공동 서술 구조가 유의미한 기제인가에 대해 논의하였다. 셋째, 형태 의미 분석 말뭉치를 이용하여 다의어의 문맥 의미를 추출하고 제시하였다. 이론적으로 유의미한 기제인 공동 서술 구조에 대해서 실제로 코퍼스에서의 출현 빈도가 낮았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코퍼스에서 특정 명사와 결합하는 동사의 목록을 추출하고 이를 통해서 명사의 의미를 구분하였다. 연어 관계를 이용하여 체계적 다의의 의미를 추출하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deals with extracting the meaning of systematic polysemy in Korean nouns. In this study, we figure out the distribution of Korean systematic polysemous nouns using a morpho semantic annotated corpus. We consider the meaning of systematic polysemy; especially inherent polysemy will be related to co-predication structure. We focus on the entity type nouns, especially, text nouns such as book(책), letter(편지), place and institution nouns such as school(학교), and event and object complex types such as lunch(점심), and will find these meanings occurred in co-predication context. And theoretically we discuss the relation of the systematic polysemy, inherent polysemy and multi-faceted words. Second, we consider the copredication structure which has the contextual meaning of systematic polysemy is meaningful or not. Third, we try to find the method to extract the contextual meaning of polysemous words using a corpus. As a result, co-predication context such as coordinate structure was not frequently occurred in our corpus. Frequency of appearance was low. Theoretically, co-predication structure will be a method to distinguish a systematic polysemy but practically is sparse. To solve this problem, we extracted the lists of verbs to combine the specific nouns and decided the meaning of systematic polysemous nouns. Using Collocation lists, we can find the methods to extract the systematic polysemy.

      • KCI등재

        추상 명사의 의미 분류

        차준경(Cha Joon-Kyung) 담화·인지언어학회 2009 담화와 인지 Vol.16 No.2

        This paper deals with the semantic classification system of Korean abstract nouns in lexical semantics frame. Previous studies have been classified the meaning of nouns as a lexical item, they did not concern about multiple meanings of a word. So, they do not agree with classification status of abstract nouns. For example. text denoting nouns such as '책(book)' can be referred to abstract content and physical object, and speech act nouns such as '보고(report)' can be referred to activity and its content. Following Lyons (1977)' ontology, text denoting nouns can belong to first-order entities and speech act nouns can belong to second-order entities. Especially abstract nouns correspond to third-order entities. They can be used to refer to propositions and also syntactically co-occurred to complement clause. We argue that abstract nouns do not have complete semantic structure, so they should be modified by complement clause. Abstract nouns cannot be classified by extensional reference meaning. So, they should be classified by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syntactic relation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일반논문 : 파생명사의 의미 형성원리 -구문 형태론적 접근-

        차준경 ( Joon Kyung Cha ) 한민족문화학회 2013 한민족문화연구 Vol.42 No.-

        이 논문은 국어의 용언 파생명사의 의미 형성에 대하여 인지언어학의 구문 형태론(Booij 2010)의 관점을 적용하여 논의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특히 국어의 파생 명사 중 ``-이``, ``-음``, ``-기``에 의해 파생된 명사를 대상으로 한다. 이들은 동사나 형용사에서 명사로 품사 범주의 전환이 이루어졌으며, 파생어의 의미 또한 다양하게 실현된다. 그동안 국어 파생어 연구에서는 접사 중심의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이 연구에서는 접사 중심의 연구 대신에 어기 단어와 파생어의 의미 관계를 통해 파생어의 의미 형성 원리를 밝히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는 파생어의 의미 연구를 위해 인지 언어학의 구문 문법을 채용한다. 구문 문법의 관점에서 파생어도 일종의 구문을 형성하여 형태와 의미의 쌍을 형성한다. 또한 파생어 단어 형성 패턴에서 추상적 스키마을 상정할 수 있으며 이 스키마에 의해서 단어의 의미가 결정되고 새로운 단어 의미도 생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용언 파생명사의 의미는 용언의 사건 구조의 참여자가 바로 파생 명사의 의미로 실현되는 것을 밝혔다. This study looked into the semantic formation of Korean derivational nouns using cognitive morphology(Boij 2010) from the field of cognitive linguistics. In particular, derivational nouns ending with suffixes -yi, -eum, and -ki were analyzed through principles of semantic formation. Derived from verbs or adjectives, these derivational nouns changed word class and had multiple meanings. Studies on Korean derivational words have so far focused on distinguishing the meaning of affixes from their functions, leaving the semantics of derivational words insufficiently examined. Instead of focusing on affixes, this study trid to determine the semantic formation principle of derivational words by looking in to the semantic relationship between base words and derivational words. This was done by adopting cognitive grammar to explain the semantic formation of derivational words. Analyzed form a perspective of construction grammar, derivational words formed a construction pair of form and meaning. Within patterns of derivational word formation, abstract schema could be introduced which controlled the meaning of a word and creating new meanings. It was also noted that one of entities in the verb`s event structure became the meaning of the Korean deverbal nouns.

      • KCI등재

        국내 출간 사전의 동향 분석 - 연도별 주제별 통계 분석을 중심으로 -

        도원영 ( Doh Won-young ),차준경 ( Cha Joon-kyung ),신상현 ( Shin Sang-hyun ),최호철 ( Choi Ho-churl ) 한민족문화학회 2020 한민족문화연구 Vol.70 No.-

        이 연구는 개화기부터 2019년까지 국내에서 출간된 사전의 목록을 정리하여 출간 사전의 통계 분석을 제시하고 최근 사전의 출간 동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사전은 학문의 성장과 발전을 견인하고 과학기술의 표준 역할을 해 온 참조 텍스트이다. 그러나 국내 출간된 사전의 종수를 확인할 통계나 사전편찬사를 기술할 기초 데이터가 부족한 상태에 있다. 이에 이 연구에서는 출간 사전의 연도별 통계와 분야별 통계를 산출할 수 있도록 국내 주요 5개 도서관의 사전 목록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11,855종의 도서관 사전 목록을 얻을 수 있었다. 이를 한국연구재단의 학술 연구 분야 분류표에 따라 분류한 다음, 연도별 통계와 분야별 통계를 산출하였다. 특히 ‘개화기~해방 전’, ‘해방 후~경제 성장기’, ‘경제 발전기’, ‘경제 안정기’로 나누어서 출간 통계 결과를 제시하였다. 다음으로는 대분류, 중분류, 소분류, 세분류로 나눠 인문학을 중심으로 통계 결과를 보였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총 152개 분야 중, 137개 분야에서 사전이 출간되었으며, 가장 많은 사전이 출간된 중분류 분야는 인문학의 한국어와 문학이고, 다음으로 영어와 문학, 일본어와 문학, 사회과학의 경제학의 순으로 간행되었다. 반면, 사전이 부재한 분야가 상당하다는 점에서 여전히 사전의 기획과 편찬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또한 온라인 사전 서비스의 도래와 종이사전 출간 간의 상관성을 확인하였다. 1990년대부터 2010년대 중반까지 매년 300종 내외의 사전이 출간되다가 온라인 서비스가 확대되면서 출간 사전 수가 30% 이상 줄어들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사전의 도래가 사전 출판 생태계를 위축시켰다는 기존의 견해를 증명하였다. 반면, 새로운 분야의 사전이 상당수 출간되었음을 밝혔다. This paper presents a statistical analysis of the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from the late 19<sup>th</sup> century to 2019 and analyze the recent publishing trends of dictionaries in Korea.Dictionary is a kind of reference text to lead the development of studies and to be a standard role of scientific technology. However, it is hard to find a statistics of dictionaries published and basic data to write the lexicographical history in Korea.To solve these problems, we made a list of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based on the catalogs of the 5 major libraries including National Library of Korea, and then we got 11,855 lists. After that, following academic research classification table made by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RF), we produce the yearly statistics and the academic research statistics. The anlaysis is divided into the 4 period late 19th century ~ before liberation, after liberation ~ period of economic growth, period of economic stabilization, digital age, and present the statistics of dictionaries published in Korea. Next, we show the statistics of Humanity dictionaries by the hierarchical classification method. Dictionaries are published in 137 areas in total 152 academic research areas.The biggest area of dictionary published is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1,796 books, followed by the field of English language and literature 1,179 books, and the field of Japanese language and literature 516 books. The dictionaries of Economic in Social science are published 437 books.The years from 2000, the World Wide Web service of dictionaries are full-blown. Every year, over 200 dictionaries are published in Korea. We clarify the existing opinion that the advent of online dictionary brings the dark ages of paper dictionary.In this research, it is possible to make a total arrangement of major performance and present condition of dictionaries in Korea. We can reserve quantitative analysis data in every fields and areas in this statistical analysis. We can check unpublished and low-published areas and make several reasons why the dictionary publishing is needed.

      • KCI등재

        대도시 상점가 간판 언어의 양상과 특성

        노석은 ( Seok Eun Noh ),차준경 ( Joon-kyung Cha ),도원영 ( Won-young Doh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4 No.-

        이 논문은 서울을 비롯한 전국 대도시 상점가의 간판을 대상으로 그언어 사용 실태를 조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2014년 7월부터 8월까지의 전국 13곳의 중심 상점가의 간판 언어를 조사하였으며, 각 지역별3,000건의 간판을 수집하여 총 39,566건의 간판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먼저, 간판을 주표제와 부표제로 나누어 주표제를 대상으로 하여 간판에 사용된 언어의 어종, 어원, 구조, 문자에 대해 조사하였다. 첫째, 간판의 어종은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외국어), 혼종어, 기타로 구분할수 있다. 전체 39,564건의 간판 중 고유어 간판은 2,089개, 한자어 간판은 8,948개, 외래어 간판은 553개, 외국어 간판은 11,715개, 두 개 이상의 언어가 섞인 혼종어 간판은 16,215개, 기타 간판이 44개로 나타났다. 둘째, 간판에 쓰인 언어는 모두 33개다. 총 12,268개의 외래어.외국어중 영어는 10,527개로 85.81%이다. 혼종어에 쓰인 어휘를 제외하고 살펴본 결과 프랑스어 572개, 일본어 508개, 이탈리아어 266개, 독일어91개, 스페인어 86개, 베트남어 41개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간판 언어의 구조를 단어, 구, 절, 문장, 담화로 구분하였다. 그중 단어(94.9%),구(4.6%), 절(0.3%), 담화(0.037%) 순서로 나타났으며, 단어가 가장 많이 출현하였다. 넷째, 간판 언어의 표기문자를 분석하면 어원과 상관없이 모두 한글로 적은 것은 66%이고 로마자가 25%, 여러 문자가 섞여 있는 것이 6.73%였다. 한자는 0.02%, 일본의 가나문자는 0.0033%이다. 간판 언어의 분석을 통해 알 수 있는 것은, 첫째, 간판 언어에 비규범적 표기나 표현을 사용한 간판이 증가하고 있다는 점이다. 둘째, 중의적인 간판, 상호명을 사용하는 것이다. 상점주들이 상호명을 지을 때 두가지 이상의 의미를 담아 여러 표현 방식으로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 셋째, 간판에 쓰인 언어는 매우 다양하다. 복잡한 문자구조를 가지거나 어원이 다양하며, 표현적으로 다양한 간판이 많다. 넷째, 간판은 시대상을 반영한다. 새로 만들어지는 간판은 신어나 유행어들이 적극적으로 반영된다. 또한 상점이 문을 열 당시의 언어상황을 반영한다. 이러한 간판언어에는 시대상, 언어상 등이 반영되므로 사회언어학적으로 연구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In this paper, We need to study the language of signboard. We have surveyed 39,566 cases, each 3,000 stores of 13 cities of Korea in 2014. The language of signboards are also mixed and confused by native Korean words 2,089(5.2%), sino-Chinese words 8,948(22.6%), borrowing words 553(1.3%) and non-Korean words 11,715(29.6%). The 88% of borrowing w ords are the English, French, Unidentified words, German, Konglish, Italian, and etc. The Linguistic units of signboard name are word, phrase, clause, sentence, and text. The ratio of word type is 94.9%, phrase type is 4.6%, sentence type is 0.3% and text type is 0.037%. The letter types of signboard are Hangeul, Chinese letter, Roman alphabet, Japanese letter, and etc.. The ratio of Hangeul type is 67%, Roman alphabet type 28%, Chinese letter type 0.02%, Japanese letter type 0.003%. In this analysis of signboard languages, first, there are many ungrammatical expressions in signboard languages. Second, signboard languages and business names are ambiguous. Third, the structure of signboard languages are various, there are so many complicated structure and etymology. Fourth, Signboard languages reflect the phase of times. Especially newly-coined words and popular words are reflec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