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투석을 시행하는 만성 신부전 환자의 인공 고관절 치환술 시 합병증에 대한 분석

        노재휘(Jae-Hwi Nho),최형석(Hyung-Suk Choi),박강희(Kang-Hee Park),박종석(Jong-Seok Park),서유성(You-Sung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11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6 No.3

        목적: 투석을 시행받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 대한 수술적 치료는 결과 및 예후가 일반 환자군에 비해 불량하여,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받은 만성 신부전 환자의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에 대한 결과적 차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투석 중인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양극성 반치환술이나 고관절 전치환술을 시행한 38명의 환자, 총 40예를 대상으로 합병증의 종류와 빈도 및 연령, 성별, 투석 기간, 당뇨 합병 여부에 따라 환자군을 분류하여, 술 후 1년 내 수술과 관련된 합병증에 대해 분석하였다. 결과: 술 후 1년 내 총 15예에서 정형외과적 혹은 내과적 합병증이 발생하였고(37.5%), 사망은 전체 8예(20%)였다. 성별 및 투석 기간에 따른 분류에서는 합병증 발생 및 사망률에 있어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점은 발견할 수 없었으나, 연령(p=0.014) 및 당뇨(p=0.026) 합병 여부에 따른 분류에서는 합병증 발생에 있어서 유의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결론: 투석을 시행하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시행한 인공 고관절 전치환술은 다양한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고령 환자 및 당뇨가 동반된 경우 보다 세심하고 철저한 수술 전 치료 계획 및 술 후 관리를 통해 합병증을 줄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Purpose: In general, the results and prognosis of surgical treatment in dialysis patients are poor compared to patients with normal kidney function. This study analyzes the complications in chronic renal failure patients who underwent primary hip arthroplasty for hip fractures and arthropathy. Orthopaedic complications and medical complications were analyzed for a consequential difference. Materials and Methods: Between 2003 and 2008, 38 dialysis patients (40 cases) with chronic renal failure were enrolled with 24 cases of bipolar hemiarthroplasty and 16 cases of total hip arthroplasty. Types and rates of orthopaedic and medical complications were investigated. Patient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age, gender, duration of dialysis and diabetes mellitus status. Complications were analyzed for each group. Results: Complications occurred in 15 patients (overall complication rate: 37.5%). Eight patients were died within 1 year (mortality: 20%). Gender and duration of dialysis were not correlated to number of complications.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age (p=0.014) and having diabetes (p=0.026). With regard to mortalit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ccording to the above classification. Conclusion: Patients on hemodialysis have a high risk of complications after primary hip arthroplasty, especially in elderly patients and diabetic patients. Therefore, we require a full disclosure before recommending hip arthroplasty surgery in dialysis patients, and close postoperative care in patients undergoing dialysis.

      • KCI등재

        외상성 삼각섬유연골 복합체 손상과 원위부 요척 관절의 불안정성

        김병성(Byungsung Kim),노재휘(Jae-Hwi Nho),정기진(Ki Jin Jung),윤건희(Keonhee Yun),김영환(Young Hwan Kim),윤홍기(Hong-Kee Yo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7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2 No.2

        삼각섬유연골 복합체(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TFCC) 외상성 병변은 원위부 요척 관절(distal radioulnar joint, DRUJ)의 불안정을 유발할 수 있어 파열의 위치와 정도에 따라 적절한 치료방법을 설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TFCC의 손상은 DRUJ 불안정성을 유발할 수 있는 불안정형 병변과 DRUJ 불안정을 유발하지 않는 안정형 병변으로 구분된다. 병변의 위치와 손상 정도에 따라 관절경적 변연절제술, 관절경적 봉합술 등이 고려될 수 있다. DRUJ 불안정을 유발할 수 있는 척측부 견열 손상의 경우는 관절경적인 변연절제술 후 손상이 있는 부위를 정확히 확인한 다음 suture anchor를 이용한 고정이나 끌어내기 봉합이 유용하다. 척측 견열 손상에 대한 TFCC의 봉합술은 다양한 방법과 술기가 보고되어 손상 위치 및 정도에 따라 적절한 선택이 필수적이다. 척골 양성변이와 동반된 TFCC 파열 역시 파열의 위치와 DRUJ의 불안정성 여부에 따라 수술 방법을 결정하게 되고, DRUJ 불안정성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TFCC의 봉합이 중요하며, 경우에 따라 척골단축술을 고려할 수 있다. 단 TFCC 변연부 심부 파열인 경우 척골충돌증후군과 DRUJ 불안정성이 동반되어 있을 때에는 척골단축술만으로는 DRUJ 불안정성을 해결할 수 없기 때문에 척골단축술과 TFCC 봉합을 동시에 시행을 할 수 있다. Traumatic triangular fibrocartilage complex (TFCC) injuries require multidisciplinary approach and plan. Trauma to TFCC can lead to instability of the distal radioulnar joint (DRUJ). Injury to TFCC is classified as a stable type that does not cause unstable lesions for DRUJ or unstable type that can cause instability of DRUJ. According to the location and severity of the injury, arthroscopic debridement or arthroscopic repair may be considered. In the ulnar side avulsion of TFCC, which could cause DRUJ instability, arthroscopic examination should be performed to identify an accurate location of the damaged structures, followed by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repair. In the event of TFCC and DRUJ injuries with ulnar positive variance, arthroscopic TFCC repair or ulnar shortening osteotomy after arthroscopic debridement could be considered to solve the instability and ulnar side pain. However, if peripheral TFCC tear with ulnar impaction syndrome and DRUJ instability, it combined operation of ulnar shortening osteotomy and TFCC foveal fixation could be considered. An accurate classification of TFCC and DRUJ injuries is necessary. It is important to resolve and prevent recurrence of ulnar wrist pain caused by instability.

      • KCI등재

        당뇨병성 족부 궤양 환자의 진단 1년 내의 절단율 및 위험 인자의 분석

        천동일,전민철,최성우,김용범,노재휘,원성훈,Chun, Dong-Il,Jeon, Min Chul,Choi, Sung-Woo,Kim, Yong-Beom,Nho, Jae-Hwi,Won, Sung Hun 대한족부족관절학회 2016 대한족부족관절학회지 Vol.20 No.3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the amputation rate within 1 year after the diagnosis of diabetic foot ulcer and its associated risk factors.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enrolled 60 patients with diabetic foot ulcer.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ge was $64.4{\pm}12.8years$ (range, 32~89 year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prevalence period for diabetes mellitus was $21.0{\pm}7.5years$ (range, 0.5~36 years). The amputation rate was evaluated by dividing the subjects into two groups - the major and minor amputation groups - within 1 year following the initial diagnosis of diabetic foot ulcer. Multivariate Cox proportional hazards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to identify the risk factors for amputation. Results: The total amputation rate of 38.3% (n=23) was comprised of the amputation rate for the major amputation group (10.0%) and rate for the minor amputation group (23.8%). There was a high correlation between peripheral artery disease (toe brachial pressure index <0.7) and amputation (hazard ratio [HR] 5.81, confidence interval [CI] 2.09~16.1, p<0.01). Nephropathy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amputation rate (HR 3.53, CI 1.29~9.64, p=0.01). Conclusion: Clinicians who treat patients with diabetic foot complications must understand the fact that the amputation rate within 1 year is significant, and that the amputation rate of patients with peripheral artery disease or nephropathy is especially high.

      • KCI등재

        정맥혈전 색전증 고위험군에서 시행한 혈전색전 예방요법(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지침 및 American College of Orthopedic Surgeons 지침)의 준수율 비교 연구

        서유성(You-Sung Suh),노재휘(Jae-Hwi Nho),장병웅(Byung-Woong Jang),강덕원(Deokwon Kang),원성훈(Sung-Hun Won) 대한정형외과학회 2019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4 No.4

        목적: 인공관절 치환술 및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시행한 2가지 정맥혈전 색전증 예방요법의 준수율을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수술후 발생하는 정맥혈전 색전증은 인공 슬관절 치환술이나 인공 고관절 치환술 및 고관절 골절 수술 후 발생하는 가장 심각한 합병증이다. 이에 대한 적절한 예방이 무엇보다 중요하기 때문에 항응고제 사용의 필요성 또한 증가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2009년 3월부터 2011년 2월, 2012년 3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순천향대학교 부속 서울병원에서 인공 슬관절 치환술, 고관절 전치환술 및 고관절 골절로 고관절 반치환술 및 내고정술을 시행받은 환자들을 의무 기록과 영상 검사를 검토하여 각각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ACCP) 가이드라인과 American College of Orthopedic Surgeons (AAOS) 가이드라인에 따라 시행한 정맥혈전 색전증 예방요법의 준수율을 후향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인공관절 치환술 및 고관절 골절 환자에서 정맥혈전 색전증 예방을 위한 가이드라인이 적용되고 있으며 실제로 ACCP 가이드라인에 따라 준수하고 있는 경우가 화학적 요법에서는 수술 전에 56.0%, 수술 후에는 67.0%, 물리적 요법에서는 80.5%의 준수율을 보였다. 또한 AAOS 가이드라인에 따라 준수하고 있는 경우가 화학적 요법에서는 74.1%, 물리적 요법에서는 88.3%의 준수율을 보이며 ACCP 가이드라인에 비해 높은 준수율을 보였다. ACCP 가이드라인의 수술 전 후 화학적 예방요법과 물리적 예방요법의 준수율과 AAOS 가이드라인의 화학적 예방요법과 물리적 예방요법의 준수율을 비교 분석하였으며, 인공 슬관절 치환술의 수술 전과 후, 고관절 골절 수술의 수술 전과 후, 전체 고위험군 수술에서 수술 전과 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5). 결론: 정맥혈전 색전증 고위험군 수술에서 정맥혈전 색전증 예방요법의 가이드라인에 따른 준수율을 전반적으로 높여서 적절한 예방이 이루어지도록 해야 하며, 일선 정형외과의를 위한 통일된 방향의 가이드라인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o compare and analyze the rate of prevention of two venous thromboembolism prophylaxis guidelines in patients with artificial joint arthroplasty and hip joint fracture. Proper prophylaxis for preventing thromboembolism in orthopedic surgery is significant because of this fetal complication. Materials and Methods: This study compared and retrospective analyzed the rate of prevention using the medical records and radiographs of patients who underwent orthopedic surgery from March 2009 to February 2011 according to the American College of Chest Physicians (ACCP) guidelines and from March 2012 to February 2014 according to the American Academy of Orthopedic Surgeons (AAOS) guidelines. Results: The guidelines for venous thromboembolism prophylaxis have been applied to patients with artificial joint replacement and hip joint fracture, the compliance rate of the ACCP guidelines was 56.0% before surgery, 67.0% after surgery with chemical prophylaxis, and 80.5% with mechanical prophylaxis. In addition, the compliance rate of the AAOS guidelines was 74.1% with chemical prophylaxis, and 88.3% with mechanical prophylaxis, which was higher than the ACCP guidelines. The compliance rates of mechanical and chemical prophylaxis before and after surgery of the ACCP guidelines, and the compliance rate of mechanical and chemical prophylaxis of the AAOS guideline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results revealed statistical significance (p<0.05) before and after total knee replacement arthroplasty and hip joint fracture internal fixation and total high risk orthopedic surgery. Conclusion: Raising the compliance rate of prophylaxis of venous thromboembolism in high risk orthopedic surgery is necessary and people should follow the guidelines for a unified direction depending on which situation they are in.

      • KCI등재

        인공관절 치환술 후 CRP 수치를 이용한 급성 감염의 예측

        서유성(You-Sung Suh),최형석(Hyung-Suk Choi),노재휘(Jae-Hwi Nho),원성훈(Sung-Hun Won),최종원(Jong-Won Choi),이재철(Jae-Chul Lee),박종석(Jong-Seok Park) 대한정형외과학회 2012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7 No.2

        목적: 인공관절 치환술 후 4주 이내의 급성 감염에서 측정된 C-반응성 단백(C-reactive protein, CRP)의 변화 양상을, 감염이 없었던 인공관절 환자군과 비교하여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하지 인공관절 치환술 후 4주 이내에 발생한 급성 술 후 감염 환자 33예(고관절: 26예, 슬관절: 7예)를 대상으로 하여, CRP를 측정하여 같은 기간 감염이 없었던 환자군 50예(고관절 25예, 슬관절 25예)의 CRP 변화 양상과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결과: 비감염군에서는 술 후 2-3일째 CRP의 급격한 상승 후 수술 3주째까지 지속적인 감소 추세를 나타내지만, 심부 감염군에서는 술 후 13일경, 천부 감염군에서는 술 후 10일경에 CRP의 상승이 나타나는 bimodal curve를 나타내었다. 결론: 인공관절 치환술 후 CRP가 재상승하는 양상(bimodal pattern)인 경우 급성 술 후 감염을 의심하여 적극적인 조기 검사 및 치료를 통해 효과적인 치료를 할 수 있었다. Purpose: C-reactive protein (CRP) has been shown to be useful in the diagnosis of periprosthetic infe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serial CRP measurements in patients with acute postoperative infection by comparing with the serial CRP measurements in patients without postoperative infection. Materials and Methods: From 2004 to 2009, 33 patients with acute postoperative infection developed within 4 weeks of surgery were enrolled including 26 cases of hip arthroplasty and 7 cases of total knee arthroplasty. We measured the serial CRP levels in the groups with both deep infection and superficial infection. The CRP measurements in the group without postoperative infection were also analyzed based on the changing pattern of CRP. Results: In the non-infected group, CRP level sharply increased in 2-3 days postoperatively and it showed a continuing downward pattern till the third postoperative week. However, a bimodal curve pattern was obtained in the groups with both deep and superficial infection. The group with deep infection showed a second increase in CRP level around the 13th postoperative day and the group with superficial infection showed a second increase in CRP level around the 10th postoperative day. Conclusion: If there are bimodal patterns of CRP after arthroplasty, acute postoperative infections can be suspected. We can treat them effectively without delay by detection of bimodal increase in CRP.

      • KCI등재

        Granular Cell Tumor in the Sartorius Muscle

        Jun-Bum Kim(김준범),Kwang-Min Choi(최광민),Sai-Won Kwon(권세원),Jae-Hwi Nho(노재휘),You-Sung Suh(서유성),Jong-Seok Park(박종석) 대한정형외과학회 201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9 No.1

        과립 세포종은 신경계통에서 기원하는 연부 조직 종양이며 매우 드문 질환으로, 통증이 없는 단독 종괴로 나타난다. 과립 세포종은 인체 내 어떤 곳에서도 발생할 수 있지만 대부분은 피부, 구강 내, 호흡기, 소화기관에 발생하며 근육 내의 발생이 보고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 저자들은 대퇴 전방부의 종물을 주소로 내원한 71세 남자 환자에서 발생한 봉공근 내부의 과립 세포종 1예를 경험하여 문헌 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Granular cell tumor, a soft tissue neoplasm that originates in the nervous system, is a very unusual tumor. Granular cell tumor appears as a solitary painless lesion, which can arise at virtually any body site, but is mainly found on the skin, oral cavity, respiratory tract or digestive tract. However, an intramuscular granular cell tumor is very rare. We report on a case of a granular cell tumor in the sartorius muscle in a 71-year-old male patient along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

      • KCI등재

        견관절에서의 내적충돌증후군과 동반된 상완골 두의 골연골 병변 -3예 보고-

        김준범 ( Jun Bum Kim ),박종석 ( Jong Suk Park ),홍창화 ( Chang Hwa Hong ),권세원 ( Sai Won Kwon ),소재완 ( Jae Wan Soh ),노재휘 ( Jae Hwi Nho ),이창주 ( Chang Ju Lee ) 대한스포츠의학회 2014 대한스포츠의학회지 Vol.32 No.1

        Internal impingement syndrome is characterized by the posterior shoulder pain when the arm is abducted and external rotated, and articular partial rotator cuff tear with posterosuperior labral fraying in throwing athletes. Osteochondral lesion of humeral head as an associated lesion is reported in some cases but, not considered to be a main origin of the symptoms. We found the similar features of osteochondral lesion on humeral head in three cases of internal impingement syndrome irrespective of conservative treatment for over three months and report good results obtained from arthroscopic debridement and microfracturing for these lesions with a review of the literatures.

      • KCI등재

        무수혈 환자에서 시행한 인공관절 치환술의 혈역학적 분석

        서유성(You-Sung Suh),최형석(Hyung-Suk Choi),원성훈(Sung-Hun Won),김명회(Myoung-Hoe Kim),천동일(Dong-Il Chun),노재휘(Jae-Hwi Nho) 대한정형외과학회 2010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45 No.6

        목적: 무수혈 환자군을 대상으로 인공관절 치환술 시행함에 있어 수혈 대체 요법을 적용하고 혈역학적 변화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인공슬관절 치환술 및 인공고관절 치환술을 시행 받은 48명의 환자 5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70.9세 였다. 총 57예 중 인공 슬관절 치환술 15예, 인공 고관절 치환술은 42예에서 시행하였다. 술 전 혈색소 수치가 10g/dL 이상인 경우 재조합 에리스로포에틴 2,000 단위를 일주일, 경구철분제 일주일을 투여하였고 혈색소 수치가 10g/dL 이하인 경우 재조합 에리스로포에틴 4000단위를 일주일, 경구철분제나 베노페롬을 일주일 투여하였다. 술 중에는 술 전 혈색소치에 상관없이 자가수혈, 혈장증량제, 국소지혈제를 사용하였으며, 술 후에는 재조합 에리스로포에틴 4,000 단위, 베노페롬을 일주일 투여하였다. 결과: 내원 시 평균 혈색소 수치가 10g/dl 이상인 환자군은 수술 후 7일째 평균 혈색소 수치가 10.7g/dl로 평균 1.85g/dl의 감소율을 보였고, 내원 시 평균 혈색소 수치가 10g/dl 이하인 환자군은 수술 후 7일째 평균 혈색소 수치가 9.18g/dl이었다. 인공 슬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군은 내원 시 혈색소 수치가 12.8g/dl에서 수술 후 7일째 혈색소 수치가 10.96g/dl, 인공 고관절 치환술을 시행한 환자군은 내원시 혈색소 수치가 13.4g/dl에서 수술 후 7일째 혈색소 수치가 11.8g/dl, 재치환술을 시행한 환자군은 내원 시 혈색소 수치가 13.8g/dl에서 수술 후 7일째 혈색소 수치가 12.75g/dl였다. 결론: 무수혈 환자에서 정형외과적 인공관절 치환술시 적절한 수혈대체 요법의 정립이 필요하며 저자들은 적극적인 수혈 대체 요법의 적용을 통해 혈역학적 관점에서 좋은 결과를 얻었다. Purpose: To analyze the hemodynamic changes in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joint arthroplasty and received alternative treatment to blood transfusion. Materials and Methods: Fifty-seven cases in 48 patients who received total knee and hip arthroplasty between 1998 September and 2008 February were enrolled. The mean age at the point of surgery was 709 years. The types of joint arthroplasty included 15 cases of total knee arthroplsty and 42 cases of total hip arthroplasy. Alternatives to blood transfusion entailed administration of 2,000 units of recombinant EPO and oral iron supplement for 1 week in patients with preoperative hemoglobin level higher than 10 g/dl, and 4,000 units of recombinant EPO with oral iron supplement or venoferrum for 1 week in patients with preoperative hemoglobin level lower than 10 g/dl. Intra-operatively, autotransfusion, plasma expander, topical hemostatic agents were used irrespective of the preoperative hemoglobin level. Postoperatively, 4,000 unit of recombinant EPO and venoferrum were administered for one week. Results: Patients with mean hemoglobin level higher than 10 g/dl exhibited mean hemoglobin level of 10.7 g/dl (a mean 1.85 g/dl decrease) 7 days after the operation. Patients with mean hemoglobin level lower than 10 g/dl exhibited increased mean hemoglobin level of 9.18 g/dl (a mean 0.38 g/dl decrease) 7 days after the operation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knee arthroplasty exhibited reduction of hemoglobin from 12.8 g/dl to 10.96 g/dl (a mean decrease of 14 g/dl) 7 days after the operation Patients who underwent total hip arthroplasty exhibited a change of hemoglobin from 13.4 g/dl to 11.8 g/dl (a mean decrease of 1.84 g/dl) 7 days after the operation. Patients who underwent revision arhtroplasty exhibited a change of hemoglobin from 13.8 g/dl to 12.75 g/dl (a mean decrease of 1.05 g/dl) 7days after the operation. Conclusion: In patients who refuse blood transfusion,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n adequate alternative blood management plan for surgery, such as total joint arthroplasty. We obtained good results with the hemodynamic protocol adapted for the perioperative period.

      • KCI등재

        Relationship of Trochlear Medial Facet Osteophyte to Elbow Flexion in Elbow Joint without Trauma History

        Byung Sung Kim(김병성),SungYong Park(박성용),Kang Hee Park(박강희),Hyun Seok Song(송현석),Hyung Tae Kim(김형태),Hong Kee Yoon(윤홍기),Jae Hwi Nho(노재휘) 대한견주관절의학회 2013 대한견주관절의학회지 Vol.16 No.2

        목적: 외상력이 없는 주관절에서 척골 근위부 활차 내측 관절면 골극의 크기가 주관절 굴곡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주관절부 컴퓨터 단층촬영을 시행한 외상력이 없는 환자 25예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컴퓨터 단층촬영상 구상돌기 및 구상와, 주두 돌기 및 주두와 골극의 유무와 크기를 측정하였고, 그리고 활차 내측 관절면의 골극의 높이와 길이를 측정하였다. 결과: 주관절 굴곡 구축은 평균 18.6°, 후속 굴곡은 평균 112.1° 였다. 활차 내측 관절면 골극의 높이는 평균 2.2 mm, 길이는 평균 4.7 mm이었다. 후속 굴곡 각도는 구상 돌기나 구상와에 골극 또는 유리체가 있었던 경우(n=14)가 105.1° , 없었던 경우(n=11)가 119.1° (p=0.01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후속 굴곡 각도와 활차 내측 관절면 골극의 평균 길이와의 편상관계수는 0.687 (p<0.000)이었다. 결론: 활차 내측 관절면 골극의 길이가 긴 주관절에서 후속 굴곡 각도가 줄어들었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rochlear medial facet osteophyte (TMFO) and elbow flexion in the elbow joints without trauma history. Materials and Methods: Twenty five patients, who underwent computed tomography without elbow trauma history, were reviewed. Patients were checked for osteophyte or loose bodies in the coronoid and olecranon sides. The height and length of TMFO were measured. Results: The average elbow flexion contracture was 18.6°, and further flexion was 112.1°. The TMFO height and length was 2.2 mm and 4.7 mm, respectively. The average elbow further flexion was 105.1。in the coronoid block group (n=14) and 119.1° (p=0.011) in the coronoid free group (n=11). The relationship between further elbow flexion and TMFO was significant with a partial correlation coefficient of 0.687(p<0.000) in the TMFO length. Conclusion: Elbow joints with longer TMFO length decrease further flex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