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문화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외모만족도와 한국어능력의 종단적 영향 및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노보람 ( Boram No ),정정화 ( Junghwa Jung ),최나야 ( Naya Choi ),이강이 ( Kangyi Lee ) 대한가정학회 2019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57 No.3

        This study examined the longitudinal effect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Korean language skills on the self-esteem and school adjustmen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The study used data from 1,151 multicultural adolescents from the 3<sup>rd</sup>, 4<sup>th</sup>, and 5<sup>th</sup> waves of th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Study (MAPS). Data were analyzed by means of descriptive statistics, Cronbach’s alpha, correlation,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ppearance satisfaction and Korean language skills at grade 6 significantly predicted higher self-esteem at grade 7.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influence of high levels of self-esteem at grade 7 on positive school adjustment of grade 8. Last, the self-esteem at grade 7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Korean language skills at grade 6 and school adjustment at grade 8. The results of this study highlighted the importance of self-esteem as a mediating factor in the connection between appearance satisfaction and Korean language skills as well as the level of school adjustment. This provides supporting evidence to many educators and parents for the implementation of effective support practices for multicultural adolescents to enhance their school adjustment. Other related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 놀이 활동 참여의 영향 및 아동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

        노보람 ( No Boram ) 열린부모교육학회 2021 열린부모교육연구 Vol.13 No.4

        이 연구는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행복감에 대한 어머니와 아버지의 놀이 활동 참여 및 아동 자아존중감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에서 구축한 한국아동패널연구의 8차 연도 1,423가구의 자료를 선택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척도 신뢰도, 기술통계,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정, 대응표본 t검정을 하였으며, 최종적으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놀이 활동 참여 양상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자녀와의 놀이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하고 있었고, 자녀의 성별에 따라 부모의 놀이 활동 참여 정도가 달랐다. 둘째, 아동 성별의 영향을 통제한 후, 어머니의 놀이 활동 참여가 아동의 행복감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은 유의하였지만, 아버지의 경우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놀이 활동 참여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아동의 행복감에 유의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와 같은 결과는 아동의 행복감 향상을 위해 부모가 자녀와의 놀이 활동에 더 많이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정책 및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지지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shared play activities of mothers and fathers on self-esteem and happiness of children. The study used data from 1,423 households from 8th wave of the Panel Study of Korean Children (PSKC). Data were analyzed by Cronbach’s alpha,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t-test, paired t-test,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others showed a higher level of shared play activities with children than fathers. The level of shared play activities of mothers and fathers were also varied by children’s gender. Secondly, the shared play activities of parents significantly related higher self-esteem of children when the effect of children’s gender was controlled. Thirdly, children’s self-esteem had a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shared play activities of mothers and fathers and happiness of children. These results provided supporting evidences to parents and policy makers for the implementation of effective support practices to enhance children’s happiness.

      • KCI등재

        취학 직전 유아의 종이와 태블릿 스크린 쓰기 발달 비교

        노보람(Boram No),최나야(Naya Choi) 인지발달중재학회 2020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1 No.3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쓰기 매체가 태블릿 스크린인지 종이인지에 따라 유아의 쓰기흥미, 쓰기 운동조절, 그리고 쓰기 표현을 포함한 쓰기 발달이 다른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방법: 이를 위해 경기지역 유아교육기관에 재원 중인 취학 직전 유아 107명과 유아의 어머니를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유아는 자모 따라 쓰기 과제, 그림카드 쓰기 과제를 수행 한 후 쓰기흥미 인터뷰에 참여하였다. 유아의 어머니는 유아 및 가족의 특성에 관한 질문지에 응답하였다. 연구결과: 쓰기 흥미 측면에서, 유아는 종이보다 태블릿 스크린 쓰기에 더 큰 흥미를 보였다. 쓰기 운동조절 측면에서, 유아가 태블릿 스크린에 쓸 때 종이에 비하여 글자 크기가 크고, 쓰기 속도는 빠르며, 쓰기 압력이 낮고, 쓰기 시간이 짧았다. 쓰기 표현 측면에서, 유아가 태블릿 스크린에 쓸 때 종이에 비하여 쓰기 유창성 수준이 낮고, 띄어쓰기와 방향성 규칙을 덜 지켰다. 결론: 이 연구는 쓰기 매체로서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태블릿 스크린을 기존의 매체인 종이와 비교하여 쓰기 매체로서 태블릿 스크린이 가지는 강점과 약점을 밝혔다. 즉, 종이에 비해 태블릿 스크린은 쓰기 흥미에서 유리하지만, 유아가 또박또박 글자를 쓰거나 유창하고 관습적인 글을 쓰는 데 약점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difference in friction between two distinct writing surfaces—tablet screen and paper—on writing interest, graphomotor control, and written expression. Method: A total of 107 children, who were enrolled in kindergartens and child-care centers in Gyeonggi Province, and their mothers were the study participants. Alphabet copying and writing picture card tasks were conducted. An interview was conducted to inquire about each child’s writing interests. The mothers were asked to complete a questionnaire ab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family and children. Results: First, young children indicated greater interest in writing on a tablet screen, as compared to writing on paper. Second, the comparison of the writing samples created using the tablet screen and the paper indicated larger letter size, faster writing velocity, lower writing pressure, and shorter writing duration on the tablet screen. Finally, the comparison between the tablet screen and paper also indicated lower writing fluency, spacing, and directionality on the tablet screen. Conclusion: The study shows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writing on a tablet screen, as compared to writing on paper. Although the tablet screen provides advantages in terms of promoting writing interest among young children, it also presents significant disadvantages in terms of writing clearly or writing fluently and conventionally. Moreover, smoother tablet surfaces require additional control of handwriting movements, which may present further challenges for beginning writers.

      • KCI등재

        초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 및 불안 프로파일: 영어성취도, 영어효능감, 자기주도학습전략과의 관계

        노보람 ( No Boram ),최나야 ( Choi Naya ) 한국아동교육학회 2023 아동교육 Vol.32 No.2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 및 불안이 어떠한 하위집단으로 구분되며, 집단에 따라 영어 성취도가 다른지 집단 구분에 영어효능감과 자기주도학습전략이 관련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Dornyei가 제안한 동기적 L2자아 시스템에 기초하여 영어학습 동기를 구성하고,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통해 영어학습 동기 및 불안에서 유사한 양상을 보이는 집단을 구분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3~6학년을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558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잠재프로파일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 및 불안은 4개의 집단으로 구분되었다. 영어동기가 높고 불안이 낮은 high-low 집단(32.8%), 동기와 불안 모두 낮은 low-low 집단(17.6%), 동기는 낮고 불안이 가장 높은 low-high 집단(12.2%), 그리고 동기와 불안 수준이 평균 수준인 moderate 집단(37.5%)이 발견되었다. 일원변량분석 결과, 영어성취도에서 high-low 집단이 가장 우수하였고, low-high 집단이 가장 취약하였다. 다항로지스틱 회귀분석 결과, 영어효능감, 자기주도학습전략 중 인지조절과 동기조절전략이 집단의 소속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영어학습 동기 및 불안이 이질적 패턴의 서로 다른 집단으로 구분되며, 유형 구분과 관련된 요인을 살펴봄으로써 초등학생이 영어학습에 긍정적 태도를 유지하는 방안에 관한 함의를 제공하였다. The current study aimed to identify combinations of Korean elementary school students’ motivation and anxiety for learning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using Dörnyei’s L2 Motivational Self System. The authors used a person-centered approach to identify and evaluate combinations of English motivation and anxiety among 558 third- through sixth-grade students. Latent profile analysis revealed four groups, characterized by high level of motivation and low anxiety (high-low, 38.2%): low motivation and low anxiety (low-low, 17.6%); low level of motivation but high anxiety (low-high, 12.2%) and moderate level of motivation and anxiety (moderate, 37.5%). Post-hoc tests showed that students in high-low group outperformed their peers in the other three groups and low-high group was the most vulnerable in English achievement. We also verified their associations with two predictors (Enlgish self-efficacy,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The results showed that students’ level of English self-efficacy, cognitive control strategy, and motivation control strategy led to higher English learning motivation or lower English anxiety. Implications for both practice and national policy are discussed.

      • KCI등재

        청소년의 또래애착 발달 궤적과 예측요인

        노보람(No, Boram),박새롬(Park, Saerom),이순형(Yi, Soon-Hyung),박혜준(Park, Hye Jun)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한국청소년연구 Vol.27 No.1

        이 연구는 잠재성장모형을 사용하여 청소년의 또래애착 발달 궤적을 추적하고, 개인차의 예측요인으로 자아존중감,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 부모의 또래인식, 형제자매유무의 영향을 성별에 따라 비교하여 청소년의 또래애착 발달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중1 패널의 종단 자료 중 1차, 3차, 5차년도 자료를 사용하였으며, 연구대상은 중학교 1학년 학생 총 2,351명이었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또래애착은 중학교 1학년에서 고등학교 2학년까지 점차 증가하였으며, 발달 궤적에서 개인차가 있었다. 둘째, 중학교 1학년 때 자아존중감이 높고, 부모의 양육방식이 긍정적이고, 부모의 또래관계 인식 정도가 높고, 형제자매가 있을 경우 청소년의 또래애착 초기값이 높았으며, 또래애착 수준이 천천히 증가하였다. 셋째, 또래애착 초기값과 변화율 모두 남학생보다 여학생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예측요인이 또래애착 발달 궤적에 미치는 영향력이 남학생과 여학생에게서 다르게 나타났다. 남학생의 경우 자아존중감,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 부모의 또래관계 인식, 형제자매유무 순으로, 여학생의 경우 자아존중감, 부모의 또래관계 인식,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 형제자매유무 순으로 초기값을 높이는 효과가 컸다. 또한 남학생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긍정적 양육방식, 여학생의 경우 자아존중감과 부모의 또래관계 인식이 또래애착의 변화율에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본 연구의 의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rajectories of adolescents’ peer attachment using latent growth modeling(LGM) and to compare the effects of the first wave predictors(self-esteem, parenting styles, parental knowledge of peer networks, existence of siblings) on the trajectories, according to gender. In order to accomplish these aims,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the first, third, and the fifth wave of longitudinal panel data set of 2,351 first-year students of middle school from the KCYPS (Korean Children & Youth Panel Survey) beginning in 2010 by NYPI(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linear increase in adolescents’ peer attachment over the course of 5 years(from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to second grade of high school) and significant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trajectories(intercept and slope) were found. Second, the predictors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trajectory of peer attachment. The trajectory of adolescents with higher self-esteem, more positive parenting styles, higher parental knowledge of peer networks, and more than one sibling showed higher degrees of intercept and increased slowly. Third, the results of multiple group analysis indicated that the rate of both intercept and increase of the trajectory of the peer attachment of girl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boys. Fourth, the effects of predictors on the intercept and slope depended on gender. While self-esteem was the most influential predictor for both trajectories of boys and girls, the second most influential factor was positive parenting styles for boys and parental knowledge of peer networks for girls.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were also discussed.

      • KCI우수등재

        학령초기 자녀를 둔 학부모의 교육지원 유형: 예측요인 및 교육지원 유형에 따른 자녀의 학교 적응

        노보람(Boram No),박새롬(Saerom Park),박혜준(Hye Jun Park),최나야(Naya Choi) 한국아동학회 2020 아동학회지 Vol.41 No.1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types of educational support for mothers of early school-aged children, identify the influence of education belief and parenting capability on the different types, and compare the level of children’s school adjustment by the type of educational support. Methods: A latent profile analysis,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d one-way ANOVA were conducted using data on 380 children from the Panel Study on Korean Parent Educational Involvement (PSKPEI) in 2017 (1<SUP>st</SUP> grade) and 2018 (2<SUP>nd</SUP> grade). Results: First, the latent profiles of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guidance/experience, guidance/control, and achievement/control. Second, the probability of being classified into each type differed depending on the predictive factors. In particular, the latent profiles of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were significantly explained by the following predictors: a) identifying with the child among the sub-factors of education belief, and b) understanding development, career development of child, and supportive environment among the sub-factors of parenting capability. Third, children of guidance/experience type parents were more likely to adapt to school life than those of the other types in the second grade. Conclusion: This study empirically confirmed the influence of parental education support by showing that the level of children’s early adjustment to elementary school depends on the types of parental educational support.

      • KCI우수등재

        의인화된 캐릭터에 대한 유아의 생명현상 인지 및 추론

        노보람(Boram No),이순형(Soonhyung Yi) 한국아동학회 2018 아동학회지 Vol.39 No.1

        Objective: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ognition of life phenomenon regarding anthropo-morphic characters according to the characters’ properties amongst children aged 3, 4, and 5. Methods: 95 children aged 3 to 5 years from two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participated in this study. Each child was interviewed individually and completed cognition and inference of life phenomenon tasks. Results: First, preschoolers considered anthropomorphic animal characters as animals. Children aged 3, 4, and 5 were likely to refer to the animation characters as alive and considered animation characters to have many biological and psychological trai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inferences of life phenomena according to the properties of the anthropomorphic characters. Preschoolers considered low anthropomorphic animation characters to have more biological traits and reality. For low actuality characters, preschoolers considered them to have more reality.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inferences of reality according to their age: 5-year-olds were more likely to infer the animation character as an imaginary entity, compared to 3- year-olds. Conclusion: As the literature related to children’s cognition about anthropomorphic characters is limited, this study investigated what children think about animation characters and offers useful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media or applications for young children.

      • KCI등재

        가정환경 자극과 부모의 온정적 양육이 5세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미치는 영향

        노보람(No Boram),최나야(Choi Nay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8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8 No.20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d effects of the home environment stimuli and affective parenting of mother and father on linguistic and cognitive development of 5year olds both from low income and normal family. We analyzed the data from the 6th year Korean Children Panel Study (KCPS), including 1,188 families (85 low income families) with 5-year-old children. We conducted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hysical domain of HOME, mother s affective parenting behavior, and linguistic development were higher in normal family than in low income family. The degree of behavioral domain of HOME, father’s affective parenting behavior, and cognitive development were not different between two groups. Second, linguistic development of 5 year olds was affected by physical domain of HOME in low income family and father’s affective parenting behavior in normal family when the effects of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levels and children’s gender were controlled. Third, Cognitive development of 5 year olds was also affected by physical domain of HOME in low income family when the effects of parents’ educational attainment levels and children’s gender were controlled. Therefore the quality of home environment stimuli such as physical environment and academic stimulation are crucial factors on linguistic and cognitive development in low income family. Father’s affective parenting turns out to be the great influence on the linguistic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 in normal family 본 연구는 만 5세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가정환경 자극과 부모의 온정적 양육행동이 미치는 영향을 가정의 소득수준에 따라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육아정책연구소(KICCE)에서 2013년도에 수집한 한국아동패널 6차 연도 자료 1,188 가구(저소득 85가구)의 데이터를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t-검정, 상관분석, 그리고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저소득가정보다 일반가정에서 물리영역의 가정환경 자극, 어머니의 온정적 양육행동, 그리고 유아의 언어발달 수준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유아의 언어발달에는 일반가정의 경우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 저소득가정의 경우 가정환경 자극 물리영역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아의 인지발달의 경우 일반가정에서는 유의한 변인이 없었으나 저소득가정은 가정환경 자극 물리영역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유아의 언어 및 인지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이 가정의 소득에 따라 다름을 확인하였으며, 일반가정에서는 아버지의 온정적 양육행동을 향상시키고 저소득가정에서는 가정의 학습자료와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것이 필요함을 밝혔다.

      • KCI등재

        가정의 독서환경 군집에 따른 유아 어휘력과 읽기 흥미의 차이

        최나야(Choi, Naya),노보람(No, Boram),최지수(Choi, Jisu),오태성(Oh, Taes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22

        목적 본 연구는 물리적 독서환경, 양적 독서상호작용과 질적 독서상호작용으로 구성한 유아 가정의 독서환경에서 가정 간 차이가있을 것으로 보고 유형화를 시도하였다. 또한 가정독서환경 유형에 따라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자하였다. 방법 연구 대상은 만 4세 유아와 어머니 47쌍이다. 유아는 어휘력을 측정하는 면대면 검사에 참여하였고, 어머니는 가정의 독서환경과 유아의 읽기 흥미를 측정하는 질문지 조사에 참여하였다. 가정의 독서환경 유형을 구분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시행하였고, 군집에따른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의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군집분석 결과, 가정의 독서환경은 전반적 우수, 물리적 환경 취약, 질적 상호작용 취약의 세 집단으로 유형화되었다.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한 결과, 군집 간에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 수준에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 우수 집단과 물리적 환경 취약 집단의 경우, 질적 상호작용 취약 집단에 비해 유아의 수용 및 표현 어휘력 수준이 높았다. 또한 전반적 우수 집단이 질적 상호작용 취약 집단에비해 유아의 읽기 흥미가 높았다. 결론 유아를 둔 가정의 독서환경은 세 가지 군집으로 유형화될 수 있으며, 유아의 어휘력과 읽기 흥미는 가정의 독서환경 유형에따라 차이가 있다. 특히 질적 독서상호작용이 물리적 환경에 비해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differences in the vocabulary and reading interests of children depending on the clusters of home reading environment, which is consisted of the physical reading environment, quantitative reading interactions, and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s. Methods 47 pairs of 4-year-old children and mothers were selected for the research. Mothers participated in the survey to measure home reading environment and children’s reading interests. The cluster analysis was conducted to distinguish the clusters of home reading environment, and one-way ANOVA to find differences in children’s vocabulary and reading interests depending on the cluster. Results According to the cluster analysis, home reading environment was classified into three groups: overall superiority, physical environmental vulnerability, and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 vulnerability. As a result of the one-way ANOVA,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of the overall superior and physical environmental vulnerable group was higher than the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 vulnerable group. Also, the overall superior group had a higher reading interest than the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 vulnerable group. Conclusions Children’s vocabulary and reading interests vary according to the home reading environment, especially qualitative reading interactions affect a greater impact than the physical environment.

      • KCI등재

        유아의 지적 호기심에 대한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지적 호기심, 유아-어머니 탐구적 상호작용의 영향

        안혜령(Hyeryung An),노보람(Boram No),최나야(Naya Choi) 인지발달중재학회 2019 인지발달중재학회지 Vol.10 No.4

        본 연구는 유아의 호기심 중 새로운 것에 대한 흥미 추구와 불확실한 것에 대해 정확히 알고자 하는 갈망과 관련한 지적 호기심의 개념 및 발달에 관심을 두었다. 이에 따라 유아의 지적 호기심을 흥미추구형과 정보갈망형 두 유형으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유아의 기질, 어머니의 특성으로서 지적 호기심, 유아-어머니의 탐구적 상호작용이 유아의 지적 호기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및 경기지역 어린이집에서 4세와 5세 유아의 어머니 16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t검정,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어머니는 유아의 지적 호기심 중 흥미추구 지적 호기심을 정보갈망 지적 호기심에 비해 약간 높은 수준으로 인식하였으며, 두 가지 지적 호기심 수준은 각각 연령과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흥미추구 지적 호기심에는 유아의 적응성 기질, 어머니의 흥미추구 지적 호기심, 유아-어머니의 탐구적 상호작용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고, 유아의 정보갈망 지적 호기심에는 유아-어머니의 탐구적 상호작용만이 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유아의 지적 호기심 발달에 관한 논의가 지적 호기심의 세부 유형에 따라 축적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며, 가정 및 교육현장에서 유아의 지적 호기심 발달을 효과적으로 장려하기 위해 유아 개인 특성, 인적 환경 및 경험과의 관련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함의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wo distinct aspects and individual difference factors of children’s Epistemic Curiosity (EC), the desire to obtain knowledge capable of either having pleasant experiences with regard to interest in novelty (I-type) or of solving uncomfortable conditions of informational deprivation (D-type). The data from 160 mothers of children aged between four and five year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s were analyzed using t-test,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mothers reported the children’s I-type EC was slightly higher than their D-type EC, and the level of I- and D- type EC of children did not differ much for age or gender. Second, I-type EC of children was affected positively by their adaptability temperament, mother’s I-type EC, and child-mother exploratory interaction, whereas only the child-mother exploratory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ir D-type EC.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that the theoretical and practical discussions of children’s EC should hereafter consider the detailed types of EC, and include experiential factors such as exploratory interaction as well as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mot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