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8세기 후반 연암(燕巖) 일파(一派)의 연행(燕行)과 청조(淸朝) 정세 인식

        노대환 ( Dae Hwan Noh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4 大東文化硏究 Vol.85 No.-

        18세기 후반 燕巖 一派에 속하는 여러 인물들이 연행에 참여하였다. 연암 일파가 연행에 나섰던 18세기 후반은 청조의 전성기이자 동시에 쇠락의 징후가 나타나던 시기였다. 그로 인해 이 시기에 연행하였던 이들 가운데에는 청의 전성기적 면모에만 주목하거나 쇠락의 징후에만 관심을 집중하는 등 편향된 태도를 보이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반면 연암 일파는 청의 전성기적 면모에 주목하면서도 청조에 나타나고 있던 여러 문제들을 예리하게 관찰하였다. 지금까지 연암 일파의 연행은 주로 북학과 관련하여 분석되어 왔지만 청조의 실상의 주의 깊게 관찰했다는 점이야말로 그들의 특징적인 면모라고 할 수 있다. 연암일파는 사행원들이 일반적으로 역관에 의존해 정보를 수집했던 것과는 달리 직접 청인들과 접촉하면서 청의 상황을 파악하였다. 그들은 청 황제와 관료들의 면모는 물론 滿·漢 차별, 관료들의 부패상, 백성들의 생활상 등 다양한 문제에 대해 폭넓게 관찰하고 기록을 남겼다. 연암 일파가 파악한 정보는 비교적 당시의 실상을 정확히 반영하는 것들이었다. 연암 일파가 청조의 정세를 어떻게 이해하였는가의 문제는 연암 일파의 인식을 이해하는 데는 물론 18세기 후반 청조의 상황을 파악하는 데도 도움을 준다. The Yeonam Faction (Park Yeonam Ji Won and the adherents of his philosophy) visited the late Imperial China several times in the late 18th century as an envoy from Joseon Korea. Hong Dae Yong and Park Ji Won participated in those diplomatic missions along with Park Je Ga, Lee Deok Mu, Yu Deuk Gong, Lee Hee Gyeong and many more. When the faction visited China, the Qing Dynasty was enjoying his golden age, but at the same time, beginning to face the twilight of his life. Therefore, those who visited China at this time around were easily distracted by the flourishing aspects of the Dynasty or the evidences of his decline. However, the Yeonam Faction members successfully maintained their balanced perspective on the Qing Dynasty. They took notice of rising prosperity of Qing but did not miss the appearing problems of the society as well. The existing studies on the faction are mainly concerning with their academic pursuit, the Northern Learning. But what really needs to be given attention here to is their careful observation on the Qing Dynasty. Unlike other diplomats who generally acquired information via interpreters, they built personal relations with Qing people and learnt about the Dynasty directly from them. Thus they could thoroughly make observation at the looks of Emperors and his vessels, discrimination between the Chinese and Jurchens, corruption of officials, and lifestyle of the Qing people and could also produce detailed records. The information gathered through those trips quite accurately reflects the contemporary surroundings of the Qing society. Accordingly, understanding the Yeonam Faction`s perspective on the Qing Dynasty will not only help us to learn more about their philosophy, but also lead us to have a better grasp on the circumstances the Qing China was facing in the late 18th century.

      • KCI등재

        1870년대 전반의 중국 사행(使行)과 대외 정세 인식

        노대환 ( Noh Dae-hwan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8 大東文化硏究 Vol.104 No.-

        1870년대는 일본의 등장으로 동아시아 사회의 정세가 복잡하게 전개되던 시기였다. 1866년 병인양요를 당했던 조선은 서양 세력과 일본의 동향을 동시에 파악해야 하는 어려운 상황에 빠졌다. 서양화된 일본이 서양 세력의 지원을 받아 조선을 공격할 것이라는 위기감이 높아져갔다. 조선은 이전과 마찬가지로 거의 전적으로 사행사를 통해 대외 정세를 확인하였다. 따라서 1870년대 사행의 역할은 매우 중요했는데 실제 이 시기의 사행사는 전에 비해 적극적인 탐문 활동을 전개하여 여러 정보를 입수하였다. 특히 1873년과 1874년의 사행사는 청측 인사들과 빈번하게 접촉하고, 『중서문견록』과 같은 자료를 활용하여 보다 정확하게 당시의 정세를 확인할 수 있었다. 사행 활동을 통해 일본은 청도 쉽게 다루지 못할 정도로 세력이 강하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그에 따라 일본과의 교섭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추진하게 되었다. 강화도조약의 체결은 이러한 흐름의 연장선상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청세력이 점차 약화되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청이 일본의 무력 침략을 억제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러한 기대를 갖게 된 것은 청·일수호조규에 ‘소속방토’를 침범하지 않는다는 조항이 삽입되어 있기 때문이었다. 청·일수호조규에 대한 믿음의 바탕에는 근대적 조약체계 내지 서양 세계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자리 잡고 있었다. 대만사건 때 영국이 분쟁을 중재한 사실을 확인하면서 국제 사회에 대한 인식에 변화가 나타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조약체계에 대한 믿음은 서양과의 관계를 설정하는 데도 변화를 끼칠 수 있는 것이었다. 물론 새로운 인식을 지니고 있던 부류는 소수였기 때문에 대외 정책의 변화과정은 순탄할 수 없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at information the Joseon envoys had in China in the early 1870's and how the information they collected affected the Joseon government's foreign policy. Joseon envoys dispatched in the early 1870's conducted more active exploration activities than before to obtain various information. In particular, the envoys of 1873 and 1874 frequently contacted Chinese officials and obtained important information by researching magazine such as the Peking Magazine. Through diplomatic activities, the government of Joseon learned that the Japanese were so powerful that even Qing could not easily handle, that it made a policy toward strengthening negotiations with Japan. The envoys also confirmed that Qing's power is gradually weakening. Nevertheless, Qing was expected to play a role in curbing Japan's military invasion. Such expectation was attributed to the insertion of a clause in the "Sino-Japanese Amity Regulations" that would not violate 'each other's territory(所屬邦土)'. A positive perception of the modern treaty system and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as laid on the basis of faith in the "Sino-Japanese Amity Regulations". It is assumed that the change in perception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has occurred after confirming that the British arbitrated the dispute in the Taiwan incident. One can guess that there will also be changes in relations with the Western countries. Of course, the process of foreign policy change could not be smooth, as there were only a few who had new perceptions.

      • KCI등재

        18세기 후반~19세기 전반 명물학(名物學)의 전개와 성격

        노대환 ( Noh Dae-hw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3 한국학연구 Vol.0 No.31

        명물학의 유행은 조선 후기 문화계의 특기할 만한 현상의 하나이다. 명물학은 명물도수학 혹은 명물고증학 등으로 불리며 18세기 후반에 본격적으로 연구되기 시작하였다. 그간 별다른 관심이 없었던 외부 사물의 정보를 수집하려는 움직임이 일어나고 취합한 정보를 정리한 저술이 나타났다. 명물학 자체가 反성리학적인 것은 아니었지만 명물학은 성리학적인 토대를 흔들 가능성을 내포하고 있었다. 명물학의 그러한 위험성을 간파하였던 정조는 학술 정책을 통해 명물학의 성격을 변화시키고자 하였다. 19세기에 들어서는 세도가들이 경세와는 거리가 먼 명물고증학에 심취한 가운데 일부 지식인들은 정조의 정책을 계승하여 명물고증학의 확산에 대응하였다. 명물학에 관심을 갖고 본격적으로 연구하려는 움직임과 그것을 견제하려는 시도가 교차하면서 명물학은 전개되었다. 명물학의 유행은 중요한 의미가 있는 현상임에도 불구하고 그간 이와 관련한 연구는 별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명물학은 조선 후기의 사상사 내지 문화사를 이해하기 위해서 반드시 검토해보아야 할 중요한 문제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18~19세기에 명물학이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이 조선 후기 사상사 내지 문화사를 이해하는 데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기를 기대한다. The appearance of Myeongmulhak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phenomenons in the cultural community of the late Joseon Korea. Myeongmulhak, also known as Myeongmuldosuhak or Myeongmulgojeunghak, became a significant object of an academic interest in the late 18th century. At that time, scholars started to give more attention on the external affairs which had always been neglected by then, and tried to collect relevant information. Knowledge gathered in this way was arranged in various publications. The nature of Myeongmulhak is not anti-Neo Confucianism, but the new trend of science was recognized as a fundamental threat to the dominant philosophy of the time. King Jeongjo of Joseon Korea looked at the possible danger and, therefore he tried to change the nature of Myeongmulhak by an academic policy. In 19th century, while a group of renowned scholars were fascinated by Myeongmulgojeunghak which was not relevant to governing philosophy at all, some others supported and inherited the King’s policy and tried to stop the wide spread of the new scholarship. Thus it can be said that there were two different trends in the surroundings of the development of Myeongmulhak; the one actively studying on Myeongmulhak, and the other restraining it. This new academic trend of Myeongmulhak has an important significant, but it has not been profoundly discussed. To properly understand the history of the late Joseon Korea and culture and ideas of the modern Korea, it is essential to gain a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Myeongmulhak.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he historical surroundings of the development of Myeongmulhak in the late 18th and early 19th centuries. Profoundly defining the concept of Myeongmulhak itself is an important task to conduct, but this study does not deal with that matter too deeply. It will just use the term Myeongmulhak as an academic trend concerning the external affairs of the world. This study will hopefully help to shed a brighter light on the accounts of cultural or ideological histories of the late Joseon Korea.

      • KCI등재

        유인석(柳麟錫)의 국권 회복 운동과 화이(華夷)의식의 변용

        盧大煥 ( Noh Dae-hwan ) 한국유교학회 2015 유교사상문화연구 Vol.62 No.-

        유인석은 근대 중화론을 거론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인물이다. 유인석에게 주목되는 것은 확고한 중화론자이면서도 시세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유연하게 대처했다는 점이다. 스승 이항로를 비롯한 선배 유림들이 시세보다 의리에 집착했던 데 반해 유인석은 의리와 시세를 참작하여 국권 회복 운동을 전개하였다. 그런 점에서 유인석은 근대 시기 중화론의 변용 과정을 살피는 데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이에 본고에서는 유인석의 중화론의 변화과정을 그의 국권회복 운동을 중심으로 1910년 전후의 시기로 나누어 고찰해보고자 한다. 유인석은 을미의병운동을 주도하였다가 실패하자 청에 청원을 시도하였다. 그의 사우들은 청원에 비판적이었지만 유인석은 청이 다른 이적과는 다른 국가이기 때문에 청원이 크게 문제가 되지 않는다고 보았다. 을사조약 체결 이후 유인석은 더욱 청원에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였다. 이때 주목되는 것은 청 뿐 아니라 러시아로부터 지원을 받는 방안도 모색하였다는 사실이다. 국망의 현실 앞에 유인석은 청보다 못한 이적 국가로 간주되던 러시아로부터도 도움도 끌어내고자 했던 것이다. 현실적인 필요에 의해 유인석은 화이관을 변용시켰다고 할 수 있다. 1910년 일제에 강제로 병합된 후 중국에서 새로운 상황이 발생하였다. 중화민국의 건국이 그것인데 유인석은 주의 깊게 중화민국의 변화상을 살폈다. 그는 중화민국이 기대와는 달리 서양화의 길을 걷고 있다고 판단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국권 회복의 방안으로 제시한 것이 동양삼국연대였다. 동양삼국이 중국을 중심으로 연대하여 서양을 제압하고 궁극적으로 세계를 유교화하고 평화를 정착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그의 동양삼국연대론에서 주목되는 것은 인종론이 핵심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었다는 사실이다. 그는 당시의 시세를 동서양의 대결로 보아 서양화의 길을 걷고 있던 중화민국, 조선을 강제 합병한 일본과의 연대를 제기하였다. 화이관의 관점에서 보면 중화민국이나 일본 모두 배척해야 할 대상이었지만 동서의 대결로 당시의 시세를 판단했던 탓에 그들과 연계해야 한다고 보았던 것이다. 이처럼 국권회복 운동을 벌이는 과정에서 드러나 유인석의 의식은 전통적인 화이관과 상충되는 부분이 적지 않았다. 현실적인 필요에 따라 그 상충을 기꺼이 용인하였던 점 그것이 바로 유인석의 인식에 나타나는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Even though Yu In Seok(1842~1915) was one of the most strong believers of Sino-centrism of the late pre-modern Korea, he was also flexible in responding to the times. While Confucian scholars of older generation such as his teacher Lee Hang Ro stuck to traditional values, Yu In Seok was open to newly introduced ideas as well in his movement for resumption of the national sovereignty. Such flexible attitude of him has a great significant in elucidating the shift of Sino-centrism in modern times.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lose analysis on his changing view of Sino-barbarian dichotomy during his movement around 1910. When the righteous army of Eulmi that Yu In Soek led turned out to be a failure, he tried to petition Qing China for an aid. Though his colleagues were critical of the petition, since he regarded Qing as a distinctive country among other barbaric enemies, he thought making a petition to Qing was acceptable. After the Japan-Korea Treaty of 1905 was concluded, he was more active in making a petition. The fact that he even sought for help from Russia has an important significant. In response to national crisis, he changed his attitude toward the 'barbaric' Russia and tried to derive an aid from it. An actual necessity changed his Sino-barbarian Dichotomy. After Korea was absorbed to the Imperial Japan in 1910, the Republic of China was established. Yu In Soek carefully studied changes of the Republic and made a conclusion that, against his expectations, China was being westernized. Amid this circumstance, he suggested the solidarity of Korea, China and Japan as a solution for recovering the national sovereignty. According to Yu In Soek,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should band together with China as a center and defeat the West to eventually ‘Confucianize’ the world and to regain peace. The core factor of his suggestion was the ethnic theory. He thought there was an ongoing war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that was the reason for his suggestion. Even though the Republic of China and Japan were enemies to exclude according to the Sino-barbarian perspective, he thought Korea should band together to fight against the West. His ideas that he maintained in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national sovereignty often were contradictory to the traditional Sino-barbarian dichotomy. But he accepted the contradictions according to an actual necessity and that is the unique feature of his thoughts.

      • KCI등재

        신촌(愼村) 황필수(黃泌秀)(1842~1914)의 사상적 행보

        노대환 ( Noh Dae-hw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 한국학연구 Vol.0 No.37

        황필수는 19세기 후반에 주로 활동했던 학자이다. 그는 혼란스러운 시대를 살면서 자신의 방식으로 지식인으로서의 책무를 수행하고자 하였다. 20대 시절 황필수의 관심은 斥邪에 있었다. 그는 천주교의 확산을 막기 위해 『斥邪說』을 저술하여 천주교를 비판하였는데 『척사설』은 19세기 중반의 대표적인 척사서 가운데 하나로 손꼽힌다. 젊은 시절 황필수는 전통적인 유학자의 길을 걸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점차 동도서기적인 사고를 지니게 되었다. 50대 이후에는 다양한 유학서의 출판 작업에 관여하는 한편 학회 활동에 적극 참여하면서 新舊學折衷을 주창하였다. 구학을 중심으로 하면서 신학을 수용해야 한다는 것이 그의 입장이었다. 19세기 후반 당시에 황필수처럼 정통 유학에서 출발하여 동도서기론을 거쳐 신구학절충론으로 인식을 전환해갔던 지식인들이 당시에 적지 않았다. 만년에 교유하였던 陸用鼎, 그와 교분이 있었을 것으로 생각되는 金允植, 안면은 없었지만 그를 높이 평가했던 申箕善이 모두 그러한 경우였다. 황필수를 비롯한 이들 지식들의 모습을 통해 19세기 후반 사상계의 한 흐름을 상정해 볼 수 있다. 황필수의 생애를 자세하게 살필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여 정치하게 구성할 수 없는 것이 아쉽지만 황필수는 19세기 후반 사상계의 동향을 살피는 데 도움을 준다. 앞으로 좀 더 다양한 인물들에 대한 검토가 이루어져 19세기 후반 사상사의 이해 기반이 확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Hwang Pil Su is a scholar from the late 19<sup>th</sup> century Joseon Korea. He lived a time of great tumult and he tried to carry out his responsibility as an intellectual of the society in his own way. In his 20s, Hwang concerned mainly about the expulsion of Catholicism. He wrote Cheoksaseol (斥邪說, An Account of the Expulsion of Wickedness) to criticize Catholicism and prevent its popularization. His writing is considered to be one of the representative books with relevant themes at the time. He lived his early years as a conventional Confucian scholar, but in the later part of his life, he adopted Western ideas on the basis of Eastern thought. Since his 50s, he published various Confucian books while actively advocated the needs of compromising the old and new studies. He argued that the Western learning could be transplanted into soil of Eastern study. There were numbers of intellectuals who shared Hwang’s idea at the time. His friend in his latter years Yuk Yong Jeong, Kim Yun Sik who is assumed to be his acquaintance, and Sin Gi Seon who thought highly of Hwang are such scholars. By examining these intellects, one could elucidate the trend of the late 19<sup>th</sup> century realm of ideas. Even though the insufficient materials about Hwang prevent ones from gaining profound understandings of his life, it is still possible to say that he is a figure with an important historical significance. Future studies of various intellects from his time would widen our perspective of the intellectual history of the late 19<sup>th</sup> century.

      • KCI등재

        「병인양난녹」 속 1866년 양요(洋擾)의 기억

        노대환 ( Noh Dae Hwan ) 인하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0 No.57

        「병인양난녹」은 강화부에 살던 양반가의 여성 羅州 林氏가 1866년 당시 경험한 양요 사실을 기록한 것으로, 병인년 양요 때 가장 피해가 컸던 강화도 주민이 쓴 것으로 확인되는 유일한 자료다. 본고에서는 「병인양난녹」에 이양선 출현이 어떻게 기록되어 있고 그것은 역사적 사실과 어떤 차이가 있는지, 또 프랑스군 점령 당시의 상황에 대해 어떻게 묘사하였는지 살펴보았다. 「병인양난녹」은 병인양요 당시 강화도의 상황을 잘 보여준다. 임씨는 프랑스군이 강화도에서 벌였던 약탈과 여성에 대한 성폭행 행위를 고발하였다. 동시에 프랑스군 점령 하에서 벌여졌던 조선인들의 부역 행위도 지적하였다. 이를 통해 강화도 주민이 이중의 고통에 시달리고 있었음을 드러냈다. 임씨는 평온했던 강화도가 왜 이런 상황에 빠지게 되었는가 하는 문제에도 관심을 가졌다. 그녀는 시종일관 무기력했던 조선군과 무책임한 지방관의 모습을 포착하였다. 거의 한달 간 프랑스군이 강화도를 점령하였던 것도 조선군에 문제가 있기 때문으로 보았다. 임씨의 시각이 폭이 넓거나 예리했다고 보기는 어렵지만 「병인양난녹」은 병인양요 당시 강화도의 상황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여성의 몸으로 병인년의 양요를 돌아보고 여러 문제를 고민했던 것은 여성사의 측면에서도 주목된다. 본고가 양요의 실상을 확인하고, 「병인양난녹」라는 텍스트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Byeonginyanglanrok」 is an essay written by Naju Imssi, a noblewoman who lived in Ganghwa Island, that she saw and heard in 1866. This is the only data that is confirmed to have been written by residents of Ganghwa Island, which was severely damaged by the invasion of Western powers in 1866. In this paper, we looked at how the emergence of Western forces was recorded in 「Byeonginyanglanrock」 and how it differed from historical facts and and how the situation on Ganghwado Island during the French occupation was described. 「Byeonginyanglanrok」 illustrates the situation on Ganghwado Island at the time of Byenginyangyo(丙寅洋擾). Naju Imssi accused the French military of looting and sexual assault on women on Ganghwa Island. At the same time, he pointed out the Koreans’ indecency under the French occupation. This showed that Ganghwa Island residents were suffering from double pain. NajuImssi wanted to find out why Ganghwado, which was peaceful, fell into this situation. She attributed the reason to the lethargic military and irresponsible local government. The French army occupied Ganghwa Island for almost a month because of problems with the Korean military. Although NajuImssi’s perspective is not wide or sharp, the 「Byeonginyanglanrock」 helps him understand the situation on Ganghwado Island at the time of the illness. The essay is both a historical material and a literary work. Lim’s record was made to heal the trauma of an invasion by Western powers Of course, the biggest remedy is to avoid being invaded by Western powers again. The fact that the body of a woman looked back on the yangyo of a sick man and thought about various problems is also drawing attention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s history. We hope that this will help us to confirm the reality of the yangyo and to improve our understanding of the text 「Byeongyanlokl」.

      • KCI등재
      • KCI등재

        19세기 중반 김직연(金直淵)의 연행(燕行)과 청 정세 인식

        노대환 ( Dae Hwan Noh ) 성균관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2012 大東文化硏究 Vol.79 No.-

        金直淵(1811∼1884)은 1858년(철종 9) 10월부터 1859년 3월까지 서장관으로 연행하여 중국을 돌아보고 왔다. 김직연이 연행했던 때는 청이 태평천국군을 비롯한 각종 賊匪의 준동과 서양 세력의 침략으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던 시기였다. 때문에 사행사의 역할은 어느 때보다 중요하였는데 김직연은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하였다. 김직연은 여러 경로를 통해 청의 정세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적비의 동향이나 서양 세력의 움직임 모두 심상치 않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적비와 관련해서는 민인에 대한 과도한 수취와 滿漢 차별정책 등으로 인해 적비가 양산되는 상황에 주목하였다. 적비에 대한 소식은 사행편에 계속 전달되고 있었지만 김직연처럼 적비 문제를 종합적으로 고찰한 인물은 드물었다. 한편 서양 세력의 움직임에 대해서는 청이 서양 세력의 무력에 굴복하여 개시를 허락한 사실과 러시아가 영토 문제로 분란을 일으키고 있는 상황 등을 파악하였다. 1850년대에는 적비 문제에 가려 조선내에서 서양 세력에 대한 관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는데 김직연은 최신의 정보를 소개하여 서양 세력의 위험성을 경고하였다. 중국을 돌아본 김직연이 가장 절실하게 느낀 것은 청의 허약성이었다. 그는 재정 부족과 관리들의 탐학 등으로 인해 청이 앞날을 점칠 수 없을 정도로 위태로운 상황에 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또 청이 위기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혁신을 주도할 인물이 있어야 하는데 그러한 인물이 없어 혁신도 기대하기 어렵다고 보았다. 조선 정부는 제1차 중·영전쟁에서 청이 패한 이후에도 청조의 힘을 신뢰하여 청에 의존하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었다. 김직연이 견문한 내용은 청의 실체를 정확히 파악한 것이라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였다. 정부에서 김직연이 보고한 사실을 진지하게 검토하고 이를 참고하여 이후 청의 상황을 면밀히 관찰하였다면 대외 정책의 변화를 기대할 수도 있었다. 하지만 김직연의 연행 경험은 아쉽게도 전혀 정책에 활용되지 못하고 말았다. Kim Jik-yeon traveled China as seojanggwan (a document officer) from October, 1858 to March, 1859, during which the Qing Dynasty was having considerable difficulty due to the activities of all kinds of rebels including Taiping Rebellion Army and the invasion of Western force. It was a time when the roles of sahaengsa (an ambassador) were more significant than any other time. Kim Jik-yeon performed his duties sincerely. Kim tried to figure out the situations of the Qing Dynasty through various channels and found out that the movements of rebels and Western force were unusual. He focused on the circumstances around rebels emerging in large numbers due to the excessive exploitation of general populace and the discriminating policies against certain ethnic groups. News about rebels were continuously reported to the Joseon Government by several ambassadors, but no one examined the issues of rebels in a comprehensive manner like him. He also observed that the Qing Dynasty gave in to the military power of Western force and opened its market to them and that Russia caused conflict over territory issues. In the 1850s, Joseon politicians paid not enough attention to Western force, being overwhelmed by the issues of rebels. Kim warned them against the danger of Western force by introducing the latest situations. He felt the most serious about the vulnerability of the Qing Dynasty after traveling China and judged that Qing was in such a perilous situation due to lack of finance and tyranny of officials that it could not predict its future at all. He thought that those situations made it difficult for Qing to suppress the rebels properly. And, due to the same problems, Qing could only take a defensive attitude toward Western force, which thus continued to invade it. It was his opinion that Qing needed a figure that would lead reform to overcome the crises but had no such leader so that it was difficult to expect reform from Qing. The Joseon government stuck to its policy of trusting Qing`s power and depending on it even after Qing lost in the First Chinese-British War. What Kim Jik-yeon saw and heard was very important in that it accurately observed the actual situations of Qing. If the Joseon government had carefully reviewed and consulted his reports and closely observed the situations of Qing, it would have changed its foreign policies earlier. It was unfortunate, however, that his experiences of traveling China were not used in policies at all.

      • KCI등재

        연구논문 : 19세기 후반 신기선(申箕善)의 현실 인식과 사상적 변화

        노대환 ( Dae Hwan Noh ) 동국사학회 2012 동국사학 Vol.53 No.-

        동도서기론은 개방론과 척사론이 첨예하게 대립되던 1880년대 초반에 등장한 사상적 조류였다. 동도서기론을 처음으로 주장한 인물은 申箕善이다. 본고에서는 1890년대 이후 신기선의 행적을 보충하여 신기선의 생애 전반을 재검토하면서 그의 사고가 시기별로 어떻게 변화되었는가를 살펴 보았다. 신기선은 산림 문하에서 수업을 받다가 1880년대 초반 동도서기론자로 전신하였다. 1880년대 초반 신기선의 동도서기론은 보수적 유자들을 설득하기 위한 논리로 제기된 것이엇다. 신기선은 개화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 참여하여 활동했지만 갑신정변에 연루되면서 삶에 큰 변화를 맞았다. 정변파에 친분이 깊었던 탓에 그는 유배에 처해졌으며 이를 계기를 점차 보수적인 면모를 띠게 되엇다. 1880년대 후반 그의 사상적 면모는 『儒學經緯』를 통해 확인되는데 1800년대 초반과는 달리 儒道의 가치를 확인하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갑오개혁과 을미개혁을 목도하면서 그의 보수적 색채는 더욱 짙어졌다. 그는 개혁이 자주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개혁 내용이 급진적이라는 점 때문에 당시의 개혁에 비판적이었다. 이제 그의 관심은 급진적인 문명 개화론자들로부터 유도를 보위하는 데 있었다. 그로 인해 신기선은 독립협회로 대표되는 문명개화론 계열로부터 신랄한 비판을 받았다. 신기선은 1900년대 후반에는 新·舊學折衷論을 제시하였다. 그의 신·구학절충론은 신학으로부터 구학을 보호하는 데 기본적인 목적이 있었다. 하지만 신기선의 주장은 별다른 반향을 불러일으키지 못하였고 그 보수적셩격 때문에 신학 계열의 비판을 받았다. 대동학회 활동시 일본의 지원을 받은 탓에 만년에는 일본의 三忠奴 가운데 한 사람으로 지목을 받기까지하엿다. 신기선은 한때 진보 계열에 속해 전통 유자들에게 비판을 받았지만 1890년대 중반 이후 문명개화 계열로부터 수구로 지목되었다.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초에 이르기까지 신기선이 보여준 행보는 동도서기론의 시대적 추이를 보여주는 것이기도 하였다. The theory of Dongdoseogi (東道西器, Eastern Ways and Western Machines, shortened as Dongdoseogiron hereafter) was a new current of thought introduced in the early 1880s when a severe argument of the open-door theory and the doctrine of rejecting heterodoxy in defense of orthodoxy was is at its peak. Sin Gi-seon was the very person who suggested Dongdoseoginom for the first time. This study aims to elucidate traces of his life 1890s and review his entire career. It is anticipated that the periodical shifts of his thoughts would be revealed during saidprocess He used to study under the guidance of rustic literati(山林, sallim), however, in the early 1880s, he was fascinated to the idea of Dongdoseoginm. Ar that time, he suggested the new theory to convince conservative Confucian scholars. He also participated in the open-door movement, but, snce he got involved in Coup d`Etat of 1884, he had to experience a huge transition of life. Because he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revolutionaries, he was sent into exile and, ever since this point, he gradually became conservative. His new thoughts in the late 1880s can be found from Yubakgyeongui (儒學經緯, Warp and Woof [circumstances] of Confucianism) and it aimed, unlike his old ideas from the early 1880s, to re-secure the significance of Confucian teachings. Witnessing the Reforms of Gdoo (1894) and Eulmi(1895), made him even more conservative. He was critical abot the reform movements since he regarded the reform as dependent and radical. At this point his only interest was to protect Confucian ways from the radical reformists. Therefore, he had to face a severe criticism from the enlightenment parties represented by the Independence Club. In the late 1900s he suggested the compromising theory of the old and new studies. This suggestion was rnainly for the protection of old studies from newer academic trends. But his argument failed to evoke a significant response and, instead, he received a severe denumciation from groups of new academia. Sin Gi-seon once belonged to a progressive groip and , thus, was criticized by orthodox Confucian scholars. But after the middle of 1890s he was marked as a conservative by the reformist groups. Shifts of his thoughts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also show the periodical transition of Dongdoseogiron.

      • KCI등재

        1890년대 후반 '문명' 개념의 확산과 문명 인식

        노대환(Noh Dae Hwan) 한국사연구회 2010 한국사연구 Vol.149 No.-

        The civilization concept began to spread in full scale after the Kabo Reform. Kabo Reform is generally referred to as enlightenment, whose impacts were so powerful that they even said enlightenment became an excuse to destroy the traditional order. The wind of enlightenment gained more momentum as Tongnip sinmun and Maeil shinmun were founded. Even those who studied abroad and returned to Korea joined the trend, launched Hwangseongshinmun, and took on enlightening people. There were two groups that led the theory of civilization in the latter half of the 1890s; one was those who advocated the theory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represented by Dokripshinmun and Maeilshinmun, and the other was Protestant Confucian scholars represented by Hwangs?ng sinmun. Even though they fell into the same category of civilization, their terms and concepts inherent in their terms varied widely. What the former group advocated was civilization. They sought after thorough Westernization throughout food, shelter, and clothing and regarded such Westernization as civilization. On the other hand, the latter group set a goal of enlightenment, which was to increase people's intellectual abilities by accepting Western study. Civilization was accompanied by its opposite concept, savagery. Those who were behind the theory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pursued Western civilization and thus condemned everything not Western as savagery. Although the Protestant Confucian scholars did not use the concept of savagery much, they defined not observing the international laws as savagery. Both the groups were similar in that they were obsessed with civilization in spite of different directions toward it. The Protestant Confucian scholars maintained a critical eye of Western civilization and pointed out its problems in the early stage. As time passed, however, they weakened in their critical consciousness, being obsessed with the goal of making the nation rich and powerful. Entering the 1900s, interest in civilization would expectedly increase further. The new topic was what should be the core of the civi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