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인을 위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의 개발 및 타당도 연구

        김소혜(Kim, Sohye),이정숙(Lee, Jung Sug),홍경희(Hong, Kyung Hee),염혜선(Yeom, Hye Sun),남연서(Nam, Yeon Seo),김주영(Kim, Ju Young),박유경(Park, Yoo Kyung) 한국영양학회 2018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ol.51 No.1

        본 연구는 한국인의 영양상태를 파악할 수 있는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고 이 조사지의 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국민건강영양조사의 빈도가 높고 영양소별 섭취량에 대한 기여도가 높은 급원 식품을 참고하였고 비슷한 영양소별, 지방 함량, 조리 방법 등을 고려하여 88개의 식품항목으로 선정하였다. 1회 섭취 분량은 0.5인분, 1인분, 1.5인분의 3개의 구간으로 나누었고 섭취 빈도는 지난 1년 동안 평균적으로 얼마나 자주 먹었는지를 9개의 구간으로 분류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를 개발하였다. 개발한 조사지의 타당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건강검진을 목적으로 대학병원의 건강증진센터에 내원한 111명을 대상으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와 3일 식사기록지를 동시에 조사한 후 두 조사방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남녀 모두에서 식사기록법보다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에서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량이 유의적으로 높아 식품섭취빈도법이 식사기록법보다 다소 과대 추정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두 조사방법에 의한 영양소 섭취량의 spearman 상관 계수를 보면 평균 0.402이었고, 포화지방산이 0.121로 가장 낮았고, 열량이 0.583으로 가장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열량, 탄수화물, 단백질이 각각 0.583, 0.500, 0.466으로 다량영양소가 비교적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또한 알코올도 0.527로 유의적인 높은 상관성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반정량 식품섭취빈도 조사지는 지금까지 보고된 국내의 여러 연구에서 제시한 상관성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았고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다량영양소와, 열량, 섬유소, 알코올, 그리고 칼슘, 인, 칼륨, 마그네슘, 아연 등 미네랄 등과 유의적인 상관관계를 보여 이러한 영양소와 관련 있는 만성질병과의 역학연구에 유용하게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상관관계가 낮게 보인 비타민과 지방산 종류의 섭취측정에는 어려움이 있다. Purpose: This study was implemented to develop and validate th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SQ-FFQ) to assess energy, carbohydrates, fat, protein, minerals, and vitamins as well as fatty acids and alcohol in Korean adults. Methods: The SQ-FFQ consisted of 88 food items, and 12 food groups were selected based on information of frequently consumed foods from the Korean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Each portion size was categorized as one of three amounts: small (0.5 times), medium (1 time), and large (1.5 times). A total of 111 subjects finished 3-day diet records and the SQ-FFQ. The relative validity of SQ-FFQ was assessed by comparison with the 3-day diet records. Results: The mean nutrient intakes obtained from the SQ-FFQ were estimated to be greater than those of the two 3-day dietary records.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two methods was the highest for energy (r = 0.583; p < 0.001) and lowest for saturated fatty acid (r = 0.121). Correlation coefficients were energy (r = 0.583; p < 0.001), carbohydrates (r = 0.500; p < 0.001), protein (r = 0.466; p < 0.001), fat (r = 0.411; p < 0.001), dietary fiber (r = 0.467; p < 0.001), alcohol (r = 0.527; p < 0.001), calcium (r = 0.409; p < 0.001), phosphorus (r = 0.499; p < 0.001), potassium (r = 0.418; p < 0.001), magnesium (r = 0.427; p < 0.001), and zinc (r = 0.464; p < 0.001), respectively, for all subjects. Conclusion: The developed SQ-FFQ in this study seems to be useful for estimating nutritional status, particularly energy, carbohydrates, protein, fat, dietary fiber, alcohol, calcium, phosphorus, potassium, magnesium, and zinc of Korean adult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부산지역에서 산재보상을 신청한 과로사에 관한 연구

        남연,오차재,박정래,이동준,조병만,이수일 大韓産業醫學會 2002 대한직업환경의학회지 Vol.14 No.1

        목 적 : 부산지역의 근로복지공단에서 1991년부터 1999년까지 과로사 관련 보상심사가 이뤄진 총 219례를 대상으로 과로사의 발생양상과 그 인정여부에 영향을 밀치는 요인을 밝힘으로써 향후 과로사 관련 연구의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 법 : 부산지역의 3개 근로복지공단 지사에 소장된 과로사 심사기록을 대상으로 재해자의 인구통계학적 변수와 소속사업장과 근무환경에 대한 변수, 사망원인질환과 기존질병력, 업무상 과중부하의 성격과 분류, 직무수행성과 직무기인성 여부에 대해 조사하였다. 그리고 행정기관의 과로사 인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평가하였다. 결 과 : 1. 전체 219례 중 135례(61.6 %)가 과로사로 인정을 받았으며, 96년 이후 매년 50례 이상의 보상신청이 이뤄져 왔다. 전체의 30.6 %가 50인 미만의 영세사업장 소속이었고, 직업운전사와 경비 직종이 34.7 %로 높았다. 연령층은 50대 이상이 48.8 % 였고, 하루 12시간 이상의 근무자가 29.6 % 였다. 근무형태에서는 교대근무와 심야근무 등의 불규칙 근무형태가 37.5 %였으며, 새로운업무에 배치된 지 6개월 이내에 발생한 경우가 21.5 %였다. 2. 사망원인으로는 뇌출혈 등의 뇌혈관계 질환이 전체의 49.8 %로 심장질환보다 많았고, 현행법령상의 인정범위에 속하는 경우가 85.4 %였다. 또한 선행질병력이 48.9 %에서 나타났는데, 대다수가 고혈압 등의 순환기 질환으로 확인되어 이들 병력자들의 보건관리에 중점을 둘 필요를 보였다. 3. 운전과 감시·정밀작업, 위험작업, 잦은 장기 출장 등의 위험요인에 노출된 경우가 전체의 53.9 %였고, 재해에 선행된 돌발사건이 전체의 17.8 %에서 관찰되었다. 업무상 과중부하에서 업무량증가와 업무시간연장이 전체의 64.7 % 였고, 6개월 이상의 장기적인 육체적, 정신적 과중부하가 있었던 경우가 42.5 %였다. 이 결과로 볼때 현행 법령상의 장기적인 과로에 대한 인정범위가 보다 확대되어야 할 필요를 보여준다. 4. 과중부하가 발생에 기여한 것으로 평가된 예가 전체의 76.3 %로 실제 인정율보다 높았다. 이중 충분요인으로 작용한 경우가 43.6 %, 부분요인인 경우가 10.4 %, 변경·촉진요인인 경우가 22.3 %였다. 5. 과로사 인정여부와 각 변수간의 로지스틱 회귀분석에서는 해당 업무의 근무경력이 6개월미만인 경우가 교차비 6.76(p=0.016), 사망질환이 법규상의 뇌심혈관계질환에 포함되는 경우가 교차비 3.00(p=0.034)을로 유의하게 높았다. 업무상 과중부하의 증가가 있는 경우는 교차비가 2.02로 높았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다소 낮았다(p=0.081). 반면 50대 이상의 고령층과 기존 병력자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불인정되는 경향을 보여 현행 행정기관의 인정기준이 과로에 민감한 대상층을 포괄하지 못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결 론 : 부산지역에서의 과로사는 주로 50인 미만의 영세사업장 중 운전업, 경비업 등에 종사하는 40대 이상의 중·고령층 근로자에서 많았다. 재해자중 다수에서 뇌·심혈관계질환 병력이 확인되었고, 행정기관의 과로사 인정에는 법규상 인정범위의 뇌·심혈관계질환으로 사망한 경우와 재해자의 근무경력이 6개월 미만인 경우에서 인정되는 경우가 의미있게 높았다. 반면 기존 질병력이 있거나 50대 이상의 고령층의 경우 과로사로 인정되지 못하는 경우가 보다 많게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과로와 과중부하를 유발하는 고위험직업에서의 과로사 빈도가 높아 현행 법규상의 과로인정기간의 범위를 넓혀야 할 것이고 직업에 대한 고려를 포함하는 인정기준의 검토와 개선이 요구된다. 그리고 과로사를 예방하기 위하여 업무시간 및 업무량의 개선과 관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Onjectives : Karoshi is a word meaning death from work-overload. Work-related diseases due to continuous overwork are primarily cerebro- and cardio-vascular in nature. In korea, despite an increase in the incidence of Karoshi, it is not easy to recognise by workmen's compensation in Korea. This study intended to establish basic information concerning the incidence of Karoshi. Methods : 219 cases were collected based on workers' compensation records of three Busan Regional Centers of Labor Welfare Corporation from 1991 to 1999. The size of workplace, occupation, daily working time, type of working schedule, job tenures, characters of work-overload and duration of work-overload were investigated according of subgroups of general characterictics. Both univariate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es were userd to estimate the relationship between risk factors and a recognition of Karoshi. Results :1. 61.6 % of total cases were recognized as Karoshi. 30.6 % occurred in a small workplace of less than 50 workers, 34,7 % were drivers or guardss, and 48,8 % were more than 50 years old. Additionally, 29.6 % worked more than 12 hours, 37.5 % were irregular hours and shift workers and 21.5 % of the total had been on the job less than 6 months. 2. Of the causes of death, 49,8 % was cerebro-vascular diseases and it was more than cardio-vascular ones. And 80.4 % of total cases was belonged to the recognition-category of the Labour Ministry's Law. The previous desease history was found on 49.8 % of all cases. Of them, hypertension was most common as 21.9 %. 3. 53.9 % of patients were exposed to job hazards such as driving, monitoring, guarding, risky jobs and frequent long-term official trips. 64.7 % recorded a increased work-overload of job contents and working hours. Of the several types of work-overload, 42.5 % displayed long-term physical and psychotic work-overload and 22.2 % exhibited job characteristic work-overload. 4. In this study, work-overload was associated with the incidence of Karoshi in 76.3 % of cases. This rate was higher than the recognition of Workmen's compensation recorded by the Korea Labor Welfate Corporation. Of these, 43.6 % belonged to sufficient factors, 10.4 % partial factors, and 22.3 % were due to aggravating factors. 5. Logistic regression demonstrated that death due to cerebro- and cardio-vascular disease, short-tenure within 6 month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recognition of Karoshi (p=0.034, OR=3.00, CI=1.09~8.30/p=0.016, OR=6.76, CI=1.43~32.07 respectively) and that an increase of work-overload was also associated, but it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lightly lower(p=0.081, OR=2.02, CI=0.91~4.46). However, no association was found between this recognition and overtime work, hazardous job, irregular work schedule, low-income, injury-onset place, or small size of workplace. The elderly group(>50years old) and those with a previous disease history were negatively associated with recognition although the statistical associaltion was low. Conclusions : Karoshi in Busan occurred frequently in a small workplace of less than 50 workers, especially drivers or guards. Additionally, these cases worked more than 12 hours, were irregular hours and shift workers. The death due to cerebro- and cardio-vascular disease, short-tenure within 6 month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 recognition of Karoshi. However Karoshi in this study occurred frequently in overtime work and high risk groups of work-overload. Therefore, for prevention of Karoshi, work-overload and overtime work need improved and controled.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