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만성 목통증에 대한 자가신장과 위등뼈 관절가동술이 머리척추각 및 자율신경계 기능에 미치는 효과

        남기원 ( Ki-won Nam ),김세훈 ( Se-hun Kim ),서동열 ( Dong-yel Seo ) 대한물리의학회 2018 대한물리의학회지 Vol.13 No.2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self-stretching (SS) and joint mobilization (JM) on pain, craniovertebral angle (CVA), autonomic system function in chronic cervical pain patient with forward head posture (FHP). METHODS: A total of 30 male college students were selected as study subjects, and were divided into Group Ⅰ (general physical therapy; GPT, n=10), Group Ⅱ (GPT+SS, n=10), Group Ⅲ (GPT+JM, n=10). All groups were evaluated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Pain was measured by visual analogue scale (VAS), CVA was measured using digital goniometer and autonomic system function (heart rate; HR, skin conductivity; SC, LF norm, HF norm, LF/HF ratio) was measured by Biofeedback ProComp Infiniti. After 4 weeks,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changes within the group and one way ANOVA was used to compare those between the groups. RESULTS: In Group I, VAS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Group II and Ⅲ was a significantly change in all items. In comparison between Group I and II was a difference in all items except HR. In comparison between Group I and Ⅲ was a difference in all items. In comparison between Group II and Ⅲ was a difference in VAS, LF norm and LF/HF ratio.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S and JM can effectively reduce pain and normalize the autonomic system function.

      • KCI등재

        과학연극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남기원(Nam, Ki-Won),정다원(Jeong, Da-Won),임정희(Im, Jung-hee)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과학연극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있다. 본 연구 대상은 S시에 위치한 B유치원 만 5세 유아 36명(실험집단 18명, 비교집단 18명)이다. 총 6주 동안 실험집단은 유아를 대상으로 한 과학연극활동을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Martin(1997)의 과학적 탐구능력 평가 척도를 기초로 하여 이경민(2000)이 제작하고 서윤희(2003)가 수정 · 보완한 ‘과학적 탐구능력 검사’를 사용하였고, 유아의 창의성을 검사하기 위해 Torrance(1990)가 개발한 창의성 검사(Torrance Tests of Creative Torrence; TTCT)를 김영채(2010)가 수정 · 제작한 창의성 검사 〈한국판 TTCT(도형)검사〉를 사용하였다. 과학연극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연극활동은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전체 및 하위개념인 ‘예측하기’, ‘관찰하기’, ‘분류하기’, ‘토의하기’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창의성 전체 및 하위개념인 ‘유창성’, ‘독창성’, ‘정교성’, ‘성급한 종결에 대한 저항’이 비교집단의 활동에 비해서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과학연극활동이 유아의 과학적 탐구능력 및 창의성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만 5세의 과학적 탐구능력과 창의성 향상을 위한 교수학습방법에 대한 새로운 시도로 유아교육현장에서 과학연극활동이 활성화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science drama activities on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creativity. The subjects were 36 five-year-old young children in B kindergarten located in S city.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an experiment group of 18 and a comparison group of 18. The experimental group was taught by the early childhood science drama activities utilizing picture books for 6 weeks. The checking tool used the “scientific inquiry ability test” produced by Lee Kyung Min (2000) based on Martin(1997)’s scientific inquiry ability evaluation scale. and Creativity inspection based on the ‘Torrance Tests of Creative Torrence(TTCT)’ developed by Torrance(1990)‘s ‘inspection of Korean version TTCT (figure)’ was used.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re- and post-test results indicated that the scientific drama activitie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improving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such as prediction, observation, classification and communication. Second, creativities including fluency, originality, sophistication and hasty termination resistance are improved in comparison with the contrast group activities. This study’s findings show that the scientific drama activities are educational values as effective activities to improve young children’s scientific inquiry abilities and creativity. This study is expected to provide basic data for the scientific drama activities education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as a new attempt to improv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f 5-year-old children.

      • KCI등재

        은유와 이미지를 통해 본 유아교사의 다문화가정과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

        남기원(Ki-won Nam),이수연(Su-youn Lee) 중앙대학교 문화콘텐츠기술연구원 2018 다문화콘텐츠연구 Vol.0 No.27

        본 연구는 서울과 경기지역의 유아교사 191명을 대상으로 유아교사의 다문화가정에 대한 인식을 점검하고 다문화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탐구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유아교사의 다문화 가정에 대한 인식 유형에 따른 다문화교육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 문제 1과 2를 위해 연구대상자들의 언어적 은유를 자료로 수집하고, 연구문제 3을 위해 은유적 이미지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는 다문화 가정에 대해 ‘다양성을 가진 가정’ ‘우리와 공존하는 가정’ ‘우리사회의 동화에 어려움을 가진 가정’ ‘내재적 문제를 가진 가정’ ‘나와 다른 낯선 가정’ ‘창조적 문화를 창출하는 가정’ ‘사회적 약자인 가정’ ‘특별한 가정’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는 다문화교육에 대해 공존의 가치를 추구하는 교육, 다양성을 인정하는 교육, 필수적인 교육, 미래를 준비하는 교육, 실행하기 어려운 교육, 편견을 없애주는 교육, 내가 경험한 교육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은유분석을 통해 범주화된 다문화가정에 대한 긍정적 인식유형과 부정적 인식유형에 기반하여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미지 분석한 결과 유아교사는 두 범주 모두에서 다문화교육에 대해 긍정적 기대와 방향성을 가지고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on the multicultural families and to explore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191 early childhood teachers in Seoul and Gyeonggi area.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families?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Third, what is the per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 to the recognition type? For the research questions 1 and 2, the linguistic metaphors of the subjects were collected and the metaphorical images were analyzed for the research question 3 as follows. First,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aware of multicultural families ‘ family with diversity’, ‘coexistent family with us’, ‘family with difficulties in assimilation of our society’, ‘family with inherent problems’, ‘unfamiliar family with me’, ‘weak family’, and ‘special family’.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cognized the multiculture education that there were the education pursuing the value of coexistence, education to recognize diversity, essential education, preparation for the future, education that is difficult to execute, education for the elimination of prejudice, and an educational method for multiculture. Third, as a result of image analysi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positive recognition type and negative recognition type for multicultural families categorized through metaphor analysis, early childhood teachers had positive expectations and direction ab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both categories.

      • KCI등재

        전정자극 훈련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

        남기원(Ki-Won Nam),오채은(Chae-Eun Oh),서동열(Dong-Yel Seo)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12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전정자극훈련 프로그램이 정적 균형 및 동적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본 연구는 2014년 7월 15일부터 9월 6일까지 진행하였으며, 대상자는 뇌졸중 진단을 받은 환자 20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고, Group Ⅰ(일반운동치료, n=10)과 Group Ⅱ(전정자극훈련, n=10)로 나누었다. 두 군 모두 주 3회, 회당 40분씩 6주간 치료적 중재를 실시하였다. 균형 능력은 Good Balance System을 이용하여 정적 균형 및 동적 균형을 측정하였으며, 중재 전과 후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전정자극 훈련군에서는 눈감고 선자세의 좌우 및 전후 균형, 눈뜨고 선자세의 좌우 및 전후 균형, 이동시간, 이동거리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일반운동 치료군에서는 눈뜨고 선자세의 좌우 균형을 제외한 모든 항목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전정자극 훈련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정적 균형 능력과 동 적균형 능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이러한 뇌졸중 환자의 균형 능력 향상을 위한 치료프로그램에 다양한 방법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on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of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This study was conducted from July 15th to September 6, 2014 and 20 subjects diagnosed with strok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subjects were divided randomly into Group Ⅰ(general therapeutic exercise, n=10) and Group Ⅱ(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n=10). Both groups were trained for 40 minutes, 3 times a week, for 6weeks. The balance ability, static balance and dynamic balance, were evaluated using a Good Balance System and compared before-and-after intervention. In the vestibular training group,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left-right and anterior-posterior balance with the eyes closed and standing posture, in the left-right and anterior-posterior balance with the eyes open and standing posture, and moving time and distance. In the general therapeutic exercise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except in the left-right balance with the eyes open and standing posture. In conclusion, vestibular stimulation training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tatic and dynamic balance of chronic stroke patients, and this training can be effective in a treatment program to improve the balance ability of stroke patients.

      • KCI등재

        유아놀이에 대한 문화기술적 사례연구 : 4D 프레임을 중심으로

        남기원(Nam, Ki-won),양효숙(Yang, Hyo-suk),이은지(Lee, Eun-j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7

        목적 본 연구에서는 2019 누리과정 개정에 따라 유아중심, 놀이중심의 교육과정이 강조되면서 유아들의 상상을 통한 자유로운 놀이의 가치가 재조명되고 있는 시점에서 유아들이 새로운 놀잇감인 4D프레임을 어떻게 탐색하고 상상하며 놀이를 창조하는지 그 과정과 의미를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하여 A유치원에 재원중인 만 3세 31명, 만 4세 43명, 만 5세 43명을 대상으로 2019년 9월 23일부터 12월 10일까지 12주 동안 주 1회씩 40분간 총 11회로 총 440분간 놀이가 이루어졌으며, 마지막 한 주는 4D프레임을 활용한 놀이경험, 유아들의 생각을 수집하고자 2일에 거쳐 1명당 약 10분 정도의 유아 면담을 진행하였다. 결과 4D프레임을 활용한 유아의 놀이를 분석한 결과 놀이의 주체되기, 놀이의 공유를 통해 서로의 확장자되기, 놀이를 통한 배움의 순간 경험하기로 범주화하였다. 결론 유아들은 4D프레임을 활용하여 놀이하는 과정에 즐거움을 느꼈으며 이러한 즐거움은 유아들의 내적 동기를 유발하여 유아들이 놀이의 주체가 되는 의미 있는 경험을 하였으며, 유아들 서로가 촉진자가 되어 놀이를 확장해주는 지원자가 되었다. 또한 유아들은 4D프레임 놀이를 통해 개정 누리과정에서 지향하고 있는 ‘놀이를 통한 통합적 경험과 배움을 경험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Objectives As the revision of the 2019 Nuri course emphasizes the curriculum centered on children and play, the value of free play through children imagination is being re-examin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the process and meaning of how children explore, imagine, and create play, a new playgroudn, the 4D frame. Methods A total of 440 minutes of play were held once a week for 40 minutes, 11times a week for 12weeks from September 23 to December 10, 2019, for 31 people aged 3, 43 people aged 4, and 43 people aged 5 who are enrolled in A kindergarten. In the last week, about 10 minutes of children interview were held per person after two days to collect play experiences using 4D Frame and thoughts from children. Results An analysis of children play using 4D Frame categorized it as being subject of play, expanding each other through sharing play, and experiencing the moment of learning through play. Conclusions Children felt pleasure in the process of playing using 4D Frame, and this pleasure caused children’s internal motivation, giving children a good opportunity to become the main players in play. Children became each other’s play facilitators and volunteers to expand each other’s play by plating together. In addition, children experienced a variety of experiences through play using 4D Frame, which showed that they experienced learning moments in the play process.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 기반 4D 프레임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 지식, 수학교수 효능감 및 창의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남기원(Nam, Ki-won),양효숙(Yang, Hyo-suk),이수연(Lee, Su-you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1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6 No.1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PBL) 교수법으로 4D 프레임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 지식, 수학교수 효능감 및 창의적 태도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대상은 3년제 대학 유아교육과 2학년 학생 46명이며, PBL기반 4D 프레임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한 실험집단(22명)과 일반 강의식 수업을 진행한 비교집단(24명)으로 구성 하였다. 연구 절차는 PBL 문제 개발 및 수업 안 개발, 사전검사, 실험처치, 사후검사 순으로 이루어졌다. 수업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3.0 통계프로그램으로 공변량 분석(ANCOVA)을 실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과교육학 지식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수학교수 효능감, 창의적 태도에서는 실험집단이 유의미하게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PBL 기반 4D 프레임을 활용한 유아수학교육 수업이 예비유아교사의 수학교수 효능감, 창의적 태도 증진에 효과적인 교수방법이 될 수 있음을 제안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find whether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classes using 4D frames as a problem-based learning (PBL) teaching method have an effect on the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f mathematics,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attitudes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6 students in the 2nd grade of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the college, and the experimental group (22 students) who conducted classes using PBL-based 4D frames and the comparative group (24 students) who conducted general lecture-style classes. The research procedure consisted of PBL problem development and lesson plan development, pre-test, experimental treatment, and post-test.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an analysis of covariate (ANCOVA) was conducted with the SPSS 23.0 statistical program, and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groups in the knowledge of mathematics and pedagogy of preschool teachers. Second, in terms of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attitude,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cores. Through this, we propose that early childhood mathematics education classes using PBL-based 4D frames can be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to enhance mathematics teaching efficacy and creative attitude of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 KCI등재

        궁둥신경 가동술이 여성노인의 뻗은다리올림 검사와 보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남기원 ( Ki-won Nam ),고재청 ( Jae-chung Go ),서동열 ( Dong-yel Seo ) 대한물리의학회 2017 대한물리의학회지 Vol.12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sciatic nerve mobilization techniques on straight leg raising (SLR) and walking ability in elderly women aged over 65. METHODS: Seventy women aged over 65 were examined using SLR test and forty women were selected as subjects. They were divided into Group Ⅰ (under 70° of SLR test of both legs, n=20) and Group Ⅱ (over 70° of SLR test of both legs, n=20). Nerve mobilization was applied to both groups (three times a week for 4 weeks). SLR angle was measured using digital goniometer and walking ability was measured by step length, stride length, velocity, double support, using GAITRite System. After 4 weeks,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the changes of SLR test and walking ability within GroupⅠ and Group Ⅱ. RESULTS: In Group I, SLR test, step length, stride length and gait velocity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double support was significantly difference. In Group II, SLR test,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but gait velocity was not significantly increased and double support was significantly decreased.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sciatic nerve mobilization techniques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LR angle and walking ability in elderly women.

      • 비단열 모세관의 형상 변경에 따른 소형 냉동 사이클 성능 해석

        남기원(Ki-Won Nam),이대용(Dae Yong Yi),박상구(Sang-Goo Park),정지환(Ji Hawn Jeong),김윤수(Lyun-Su Kim) 대한설비공학회 2009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

        The present simulation focuses on the effect of the shape of capillary tube-suction line heat exchangers(SLHX), The results in the three cases of the SLHX types show that both of the location and length of heat exchange section influence the coefficient of performance(COP) and cooling capacity. Simulation shows the COP may be improved by 4.6% and the cooling capacity may be improved by 13.6% in the Lateral type.

      • KCI등재
      • KCI등재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스토리텔링 기반 유아 발명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효과

        남기원(Nam, Ki-Won),이수연(Lee, Su-Youn)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학논집 Vol.24 No.1

        미래사회를 위한 교육의 방향으로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이 대두됨에 따라 이를 위한 실제적 교육 방안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방안으로 스토리텔링 기반 유아 발명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창의성과 과학적 문제해결 능력 측면에서 그 효과를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행연구 및 문헌 고찰을 토대로 유아들이 발명 교육에 흥미를 느낄 수 있도록 스토리텔링 기반 발명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만 5세 유아 18명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였다. 그 결과 실험집단 유아의 창의성의 하위요인 중 유창성, 상상력과 과학적 문제해결력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진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스토리텔링 기반 유아 발명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창의적 융합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으로 의미가 있음을 시사한다. With the emergence of creative convergence talent as a direction for education for the future society, the necessity of research on practical education methods for this is increasing.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storytelling-based inven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s a plan for fostering creative convergence talent and to clarify its effects in terms of creativity and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ies. To this end, a storytelling-base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to be interested in invention education was developed based on previous research and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the experimental group’s fluency and imagination among the sub-factors of creativity, and scientific problem-solving ability were significantly improv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storytelling-based early childhood invention education program is meaningful as a training program for creative convergence tal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