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음악 교육에서의 SPAT 중심의 Flipped Learning 사례 연구

        나일주,조성민,이가영,금선영,김명선,성가현 한국교육공학회 2016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2

        기악실기 수업에서 학습자는 특히나 심화적인 부분을 배우는 것이 필요하다. 기악실기 수업에서 심화적인 부분을 배우는 것은 혼자 연습 하는 것을 넘어 다른 사람과 합주하는 것에 첫걸음이라 할 수 있으며 심화적인 부분을 제대로 훈련했는지의 여부가 음악 학습자의 최종 성취를 좌우한다고 말할 수 있다. 하지만 실제 음악 실기 수업 현장에서 학습자가 심화적인 부분을 배우기가 어렵다. 가장 근본적인 원인으로는 제한된 수업 시간으로 인해 교사와 학생간의 일대일 대면시간을 많이 가질 수 있는 기회 부족하기 때문이다. 또한 학습자의 개인적인 능력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진도 등의 문제로 심화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기본적인 부분도 제대로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고자 음악교육에 플립러닝이 적용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 플립러닝은 기본적으로 강의실 밖에서 온라인 및 디지털 콘텐츠를 활용하여 개별적으로 학습을 하고, 강의실에서는 과제를 포함한 다양한 학습활동을 수행하는 수업 방법(Bergmann & Sams, 2012)이다. 플립러닝을 통해 기본적으로 개별화 수업이 가능하기 때문에 온-오프라인의 자신의 학습속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이해되지 않는 부분을 보다 쉽게 복습할 수 있다. 이러한 플립러닝의 특징은 심화적인 부분의 필요성에도 불구하고 시간의 부족, 진도 상의 문제로 심화 학습이 잘 이루어지지 않는 음악실기 수업의 문제를 해결해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플립러닝을 적용한 사례 연구는 다양한 연령대와 교과를 대상으로 적용되어 탐색되고 있지만, 음악교과에서 플립러닝을 적용한 연구는 다소 부족한 실정이다(강혜리, 2016; 서동욱, 2014; 이윤정, 2016; 형성아, 2016). 특히 대학에서의 실기수업을 중심으로 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온-오프라인 블렌디드 기반의 플립드러닝 수업을 기악실기 수업에 적용한 사례와 그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플립드러닝 수업안을 개발, 적용한 후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플립드러닝 기반 음악 수업의 단계별 활동내용은 어떠한가? 둘째, 플립드러닝 수업 참여 학생들의 수업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 KCI등재

        모바일 학습 전달매체로서 스팻 포맷의 잠재력과 가능성

        나일주,유미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오늘날 학습자료들은 과거와는 달리 많은 부분에서 변화되었다. 특히 아날로그 형태의 자료들이 디지털화로 인해조합과 변형이 가능해 지면서 모바일 러닝 자료로 활용되고 있다. 모바일 러닝에서는 비디오 자료가 소리와 이미지를동시에 보여주며 역동적 형태로 학습내용을 제공해 줄 수 있다는 장점으로 인해 널리 활용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모바일 러닝에서 동영상 포맷을 대체할 수 있는 콘텐츠 전달 포맷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함으로써 새로운 콘텐츠전달 포맷인 스팻 포맷(SPAT)의 교수매체로서의 가능성을 탐색하였다. 교수-학습 콘텐츠에 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기위해 아날로그 환경과 디지털 환경에서의 교수-학습 콘텐츠 전달 방법에 관한 선행문헌을 분석하였고, 이를 기반으로새로운 포맷인 스팻 포맷의 개념과 특징에 대해 탐색하였다. 선행문헌 분석 결과 스팻 포맷은 1) 디지털 전달 매체로서, 2) 모바일 콘텐츠 전달매체로서 잠재력과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디지털 전달 매체로서 스팻포맷은 링크를 통해 열린 자료를 구성가능하고, 요소별 변형을 통해 자료를 다양화할 수 있는 가능성, 그리고 요소별재조합에 의한 자료구성의 용이성 등의 잠재력을 가진다. 모바일 콘텐츠 전달매체로서 스팻 포맷은 적정기술로서의활용가능성, 모바일 콘텐츠 제작 및 활용의 용이성, 콘텐츠 런닝타임의 자유성, 콘텐츠 내부에서의 이동 용이성, 인지적 측면의 정보 제공 효율성과 같은 여러 가능성을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모바일 기반의 스팻 포맷 자료는일종의 메타 데이터로서 유용한 축적 가능한 학습 자원으로 활용될 수 있는 확장 가능성과 적정기술 관점에서 교육의기회를 확대해 줄 수 있는 잠재력을 가진다. 따라서 이 포맷이 지속적으로 교수학습을 위한 콘텐츠 전달매체로서의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게 될 것이라 기대한다.

      • KCI등재

        기업 업무 환경에서의 IT 활용 일반능력에 대한 조사연구

        나일주,김세리 한국기업교육학회 2002 기업교육과인재연구 Vol.4 No.1

        디지털 사회의 기업 업무환경에서 수행능력을 향상시키고 성과를 제고시키기 위해서는, 업무와 관련된 전문지식 습득과 더불어 적절한 IT 활용 능력을 계발하는 것이 필수적이라 할 수 있다. 특히, 업무에 공통적으로 요구되는 가장 보편적이고 일반적인 IT 활용 기본능력은 개인의 직업상의 책무가 무엇이냐를 불문하고 지식기반사회에서 매우 중요한 기본 역량이 되었으며 또한 이러한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기업 내외에서 IT관련 교육훈련 프로그램들이 비중있게 실시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러나 대개의 경우 이러한 교육훈련은 단기간에 특정한 기술적 지식을 전수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서 기업의 생산성을 전제로 한 수행의 증진과는 괴리가 있어왔다. 교육프로그램의 궁극적인 목표가 지식 습득 자체라기보다는 수행 향상 및 성과 제고임을 감안한다면 수행 자체에 중점을 둔 IT 핵심 기본 능력의 개념규정과 영역 파악이 우선되어야 할 것이다. 이 연구는 수행중심의 일반 IT 기본능력이 어떻게 규정되고 구성될 수 있을 것인지, 또 이러한 IT 능력에 포함되어야 하는 지식과 기술의 구체적인 영역은 무엇인지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문헌 및 이론연구를 통하여 기업의 생산성 향상을 전제로 한 IT 역량의 계발과정을 모형화하고 현장조사를 통하여 지식과 기술의 구체적인 영역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현장의 필요와 요구는 24개 기업의 인력개발담당자, 인사담당자, 교육·훈련 시스템 운영자 30명에 대한 설문을 통해 조사되었다. 연구 결과, 모든 기업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IT 기본 지식으로 워드프로세서, 스프레드시트, 파워포인트로 대변되는 '오피스 스킬'이 지목되었다. 웹 지식이나 웹 디자인 관련지식들은 일반적 IT능력이라기 보다는 특수영역의 지식으로 인식되고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IT 활용 기본능력으로서 IT 네트웍을 통한 협동, 관리, 지도, 문제해결, 의사소통 등을 핵심으로 하는 소위 '디지털 리더십' 능력이 매우 중요한 IT 관련 일반능력으로 인식되고 있음이 나타났으며 그 중에서도 협동 및 공조 능력과 의사소통 능력이 최상위의 필수 기본 능력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기반하여 IT 기본능력의 영역과 교육 프로그램 개발의 방향이 제안되었다.

      • KCI등재

        학습자, 교수자, 운영자의 e-learning 인식 분석

        나일주,한안 한국교육정보방송학회 200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8 No.2

        이러닝은 기존의 다양한 교수매체 특히, 인터넷과 웹을 활용한 교수-학습형태를 통합하는 개념으로 사회적으로 확산되고 있다. 학교, 기업 및 각종 기관에서 그 활용이 본격화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와 관심이 집중되고 있으나, 이러닝의 관련 주체들이 실행과정에서 인식하고 있는 다양한 시각과 접근의 차이에 대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이 연구는 이러닝 관련 당사자인 학습자, 교수자, 운영자의 인식을 통합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 36명, 교수자 22명, 운영자 17명을 대상으로 이러닝의 개념, 각 분야별 중요 요소, 각자가 느끼는 장애요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이러닝의 개념에 대한 인식에서 교수자, 학습자, 운영자는 공통적으로 “시간·공간을 초월한 학습”과 “교수자-학습자-학습내용간의 상호작용”을 가장 중요한 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닝 관련 중요요소에 대해 기대하는 정도와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정도를 묻는 문항에 대해서는 이들 세 집단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육과정 측면에서는 학습자가 운영자에 비해, 학습내용 및 학습자 활동의 측면에서는 학습자가 교수자에 비해 더 많은 것을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현재 실행되고 있는 정도를 묻는 문항에 대해서는 세 집단 모두 비슷한 정도로 “미흡하다”는 응답을 하였다. 이러닝 활용시 장애요소에 대해서 학습자는 업무와 학습 병행시 학습시간 확보의 어려움 및 수강생 상호간의 협동학습의 어려움을, 교수자는 교수자료개발에 드는 시간과 노력의 과대함을, 운영자는 시스템 구축 및 유지의 어려움을 가장 큰 장애요소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터하여 이러닝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제언과 후속연구의 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term e-learning seems to mean different things to different people, even though it has been used extensively in a variety of educational and training settings. In the literature, it has been argued that the "e" in e-learning signifies such meaning as electronic, experience, edutainment, encouraging, and easy. When we talk about e-learning, do we mean the same thing? 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e concept, e-learning, perceived by different stakeholder groups involved in the e-learning, that is, students, instructors and managers, to identify most important elements of e-learning perceived by each of these groups, and to identify most significant difficulties faced to each of these groups when engaged in e-learning. Three sets of questionnaires tailored to students, instructors, and managers of e-learning were developed and administrated. Thirty six students, twenty two instructors and seventeen managers from a cyber university responded to the questionnaires. The data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important conceptual elements of e-learning were free from time and place and interaction across instructors, students and resources." Vital interaction between instructor and students was also indicat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e-learning. The three group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degree of expectations on improving various elements of e-learning: on the curriculum, students expect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managers, on the contents of e-learning, students expected more over instructors, and on the student activities, instructors expected more over students. As the most difficult part of e-learning, students indicated "the difficulty of combining work and study" and "cooperation with classmates" , whereas instructors indicated "too much time and energy spent on the development of e-learning materials" and "lack of programming and graphic design skills." Managers indicated "maintaining stable hardware and software system" and "financial difficulty for developing quality e-learning courses." The study concludes with the discussion and provides a set of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 모바일 학습 전달매체로서의 스팻(SPAT)포맷의 잠재력과 가능성

        나일주 한국교육공학회 2016 한국교육공학회 학술대회발표자료집 Vol.2016 No.2

        텍스트와 오디오 비쥬얼은 교육의 내용을 전달하는 주요 수단으로서의 확고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인쇄술의 발전과 전기의 발명 이래로 이들은 책과 각종 문서의 형태로, 영화, 필름스트립, 슬라이드쇼, 비디오 등의 AV 자료의 형태로 교육컨텐츠를 담아내고 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해 왔다. 컴퓨터와 디지털 기술의 발전은 이들에게 새로운 역할을 부여하였으며 이들은 각각 이북이나 웹페이지, 스트리밍 비디오나 웹이미지 등으로 다양한 형태를 띠며 분화하고 다양화 되고 있다. 여기에 더하여 유무선 통신기술의 발전은 디지털 자료에 대한 접근 가능성을 확대하고 모바일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있으며 현재의 교육적 관심은 모바일 스마트 교육에 집중되고 있다. 대개의 모바일 학습은 무선 온라인의 스트리밍 방식의 기술적 의사소통을 전제로 하며 또한 스트리밍 비디오라는 정형화된 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방식은 항시적인 네트웍 접속을 전제로 한다는 약점을 가지게 되며 설령 자료를 다운로드할 수 있도록 허락한다 하여도 그 용량이 거대하여 학습자에게 부담이 된다. 여기에서 학습자에게 부담이 되지 않고, 항시적인 온라인을 가정하지 않으면서도 학습컨텐츠를 효과적으로 전달 할 수 있는 매체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된다. 이 발표는 스팻포맷 이라는 컨텐츠 구성을 위한 기술적 포맷의 교육컨텐츠 전달매체로서의 잠재력과 가능성을 살펴보는 것이다. 스팻포맷이란 한개의 정지이미지(Still Picture)와 여기에 대응하는 하나의 오디오(Audio)와 하나의 텍스트(Text)를 병렬적으로 통합하여 하나의 장면을 구성하고 이들 장면들을 복수로 연결함으로써 한 단위의 컨텐츠를 구성하는 디지털 환경에서의 컨텐츠제작과 공유를 위한 기술적 포맷을 말한다. 이 포맷에서는 하나의 장면에서 시청각의 각 요소를 구성하는 텍스트, 오디오, 이미지가 각각 독립적으로 취급될 수 있게 됨으로써 각 요소의 양과 질을 자유롭게 조절하거나 대치하거나 업데이트하는 것이 용이하게 된다거나 컨텐츠를 담아내는데 소요되는 자원이 적게드는 등의 잇점이 있게 된다. 과연 이러한 포맷이 교육적 컨텐츠를 전달하는 데에 어떠한 잠재력과 가능성을 가질 수 있을 것인가? 또 학습자들은 이러한 포맷에 대해 어떠한 반응을 보일 것인가? 이 발표는 두 부분으로 이루어진다. 하나는 스팻포맷이 가질 수 있는 가능성과 잠재력에 대해 선행문헌을 통한 이론적 검토와 논리적 탐색이다. 또 하나는 지난 한 해동안 대학의 강의실에서 이를 활용해 본 경험에 대한 것이다.

      • KCI등재

        베타 스윙: 새 패러다임의 골프스윙

        나일주 한국골프학회 2013 골프연구 Vol.7 No.1

        골퍼의 머리를 어드레스 때의 공간상에 고정하는 제한적 바디턴은 궁극적으로 골프 스윙에 사용될 수 있는 잠재력을 제한하는 결과를 가져온다. 머리가 바디턴을 방해하기 때문이다. 만약 머리를 고정하는 것을 포기하고 오히려 머리를 적극적으로 바디턴에 활용한다면 어떠한 결과를 가져올 것인가?이 연구의 목적은 이제까지의 전통적인 제한적 바디턴에 의한 골프스윙을 알파스윙, 이에 대비하여 머리까지도 적극적으로 바디턴에 활용하는 최대한의 바디턴에 의한 스윙을 베타스윙이라 명명하고 베타스윙이 새로운 골프스윙의 방법들을 생성해 낼 수 있는 패러다임적 위치를 가질 수 있는지를 탐구하는 것이었다. 베타스윙의 패러다임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해 한 개의 예시적 이론인 '교차축 이론'이 구안되고 그 이론에 바탕을 둔 스윙의 방법으로 '이중회전 바디턴'이 개발되었으며 이렇게 새로 개발된 턴의 방법에 의한 골프스윙의 효과가 검토되었다. 검토결과, 개발된 스윙은 임팩트 시점에서 알파스윙보다 약 40%가 더 큰 지면반력을 생성하였으며, 방향성도 양호하여 새로운 골프스윙으로서의 가능성을 입증한 것으로 볼 수 있었다. 이러한 예시적 이론과 방법의 개발 및 효과검토의 결과는 베타스윙이 또 다른 새로운 이론과 방법들을 생성해 낼 수 있는 충분한 잠재성을 지닌 것으로 보여 하나의 새로운 골프스윙의 패러다임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되었다. The research tried to introduce a whole new paradigm of swinging the golf club by enabling the utilization of the fuller and bigger body turn method, the beta swing, which have never been tried in the history of golf so far. The current golf swing methods, namely alpha swing, are mostly based on the single axis body turn method where the swing axis lies in the middle of the golfer’s body and thus the swing requires the golfer's head stay still during the back swing period. Technically the beta swing was defined as a golf swing where the golfer sees his golf ball in between the two arms during the back swing period. By seeing the golf ball in between the two arms, the golfer can free the head movement and thus take the position of making the biggest body turn possible. In this paper, the possibilities of the beta swing as a new paradigm golf swing (especially when it is compared to its counterpart, the alpha swing) were examined by testing its potential to offer chances of developing 1) new body turn theories and 2) new swing methods. A new swing theory, namely cross-axis swing theory, and a new body turn method, namely dual coiling method, were developed by adopting the new paradigm. The developed method of golf swing was then tested to verify the effectiveness as a new swing method. The result showed that the new method was about 40% more powerful, and the accuracy of the shots was also acceptable. The possibilities of the new paradigm golf swing method, the beta swing, were discussed and topics of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