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폐유리를 활용한 불연 무기물 발포 보드 개발 및 성능평가

        김현수(Hyen-Soo Kim),최원영(Won-Young Choi),김상헌(Sang-Heon Kim),최승환(Seung-Hwan Choi),박순돈(Soon-Don Park)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2020 한국건설순환자원학회 논문집 Vol.8 No.1

        본 연구에서는 폐유리 불연 무기물 발포 보드를 개발하고, 국내 시장에서의 사용 활성화를 위한 과정으로 물리적·역학적·환경적 특성 시험을 통해 건축 내외장재로 활용하기 위한 검증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물리·역학적 특성으로 밀도, 흡수율, 압축강도, 내동해성에 대한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환경적 특성으로 열전도율, 불연성능, 가스유해성, 중금속 함유, 곰팡이 저항성 등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또한, 실제 건축물 내외장재로 활용하기 위한 적용을 실시하여 실제 건축 자재로 활용하기 위한 검증을 진행하였다. In this study, non-flammable mineral foam board using waste glass that can be produced to standardized specifications were developed and evaluated for the performance. In addition to the physical and mechanical performance, the environmental properties such as insulation, non-combustibility, gas hazard, sound absorption, etc. were tested to verify the use as interior and exterior building materials. Through the structural review, the validity was verified for the application of the office and restaurant building.

      • Web 기반 육군의 병 인사관리시스템 구축방안 연구

        김현수 ( Hyen Soo Kim ),김진우 ( Jin Woo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05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12 No.1

        현재 육군에 복무중인 46여만 명의 병에 대한 입대부터 전역까지 개인의 변동 자력을 관리하고 있는 야전제대 인사관리 시스템은 인사명령권 부대별 단독 PC 시스템에서 D / B를 운영하는 Off-Line 방식으로 상·하 부대간 연동이 되지 않아 잦은 병적 착오와 자료의 신뢰성 및 최신 자료유지에 제한이 있다. 따라서 병적변동의 근거가 되는 인사명령과 연동이 되고 인사명령 발령과 동시에 육군의 병적DB가 변동되는 on-line방식의 병적관리시스템 구축이 절실하다.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야전제대 인사관리 시스템을 보완하는 Web 환경에서의 육군의 병 인사관리시스템 구성 및 설계방안을 제안하였다.

      • KCI등재후보

        최근 10년간 광주,전남지역에서 발생한 A형 간염 환자의 임상적 특징

        김대현 ( Dae Hyun Kim ),박강진 ( Kang Jin Park ),김상훈 ( Sang Hun Kim ),조성범 ( Sung Bum Cho ),이완식 ( Wan Sik Lee ),박창환 ( Chang Hwan Park ),주영은 ( Young Eun Joo ),김현수 ( Hyen Soo Kim ),최성규 ( Sung Kyu Choi ),유종선 ( 대한내과학회 2007 대한내과학회지 Vol.72 No.2

        목적: 급성 A형 바이러스 간염은 과거에 주로 소아에서 불현성 감염으로 나타났지만 최근 성인에서 현성 A형 간염의 급격한 증가가 보고됨에 따라 급성 A형 감염에 대한 사회적 경각심 및 예방대책의 필요성이 제고되고 있다. 이에 저자 등은 최근 10년간 광주·전남지역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했던 급성 A형 간염의 발생 빈도, 호발 연령, 연령에 따른 임상적 경과, 감염 원인 등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여 급성 A형 간염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제고하고자 하였다. 방법: 1996년 1월부터 2005년 12월까지 급성 간염의 임상증상으로 전남대학교병원에 내원하여 혈청 IgM anti-HAV 양성인 환자 73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지를 통해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최근 10년간 광주·전남지역의 A형 간염 환자수는 매년 증가하였으며, 1990년대 후반(1995~2000년)에 16명(21.9%), 2000년대 전반(2001~2005년)에 57명(78.1%)으로 최근에 급격히 증가하고 있었다(p<0.01). 봄과 여름에 각각 22명(30.1%)으로 많았으나 계절별 발생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평균 연령은 25세(1~75세)였으며 20대에 33명(45.2%)으로 가장 많았다. 15세를 기준으로 소아군은 7명, 성인군은 66명이었으며, 소아군에 비해 성인군에서 유의하게 높은 간기능 수치를 보였으며(p=0.02), 중증 간손상도 주로 성인에서 나타났다. 추정 감염 경로로는 감염원을 알 수 없는 경우가 54.8%로 가장 많았고, 식품으로 추정되는 경우가 42.5%였다. 간염 발생 4주 이내에 A형 간염 만연 지역으로 외국 여행력이 있었던 경우는 3명(4.1%)있었다. 65명(88.9%)에서 입원치료를 하였으며, 평균 입원기간은 14.5±10.5일이었다. 모든 환자가 합병증 없이 회복되었으나, 2명에서 담즙 정체성 간염이 있었다. 결론: 광주·전남지역에서 최근 급성 A형 간염 환자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20대에서 주로 발생하였다. 추정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경우가 많아 위험군 뿐 아니라 사회 전반적으로 A형 간염에 대한 관심 및 적극적인 예방 대책이 필요하리라 생각되었다. Background: The incidence of acute hepatitis A was reported to have increased recen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cases of sporadic acute hepatitis A in Gwangju-Chonnnam area over the last 10 years.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73 cases with acute hepatitis A, which were diagnosed at the Chon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96 to December 2005,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for the epidemiological and clinical manifestations. Results: Of the seventy three patients, there were forty males (54.8%).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25 years and the peak incidence being in the 3rd decade (45.2%). The annual number of hepatitis A patients has increased. There were 16 patients (21.9%) from 1996 to 2000, and 57 patients (78.1%) from 2001 to 2005.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asonal incidence (p=0.09). There were 7 cases (9.6%) in children less than 15 years of age and 66 adult cases (90.4%). Although the source of infection could not be identified in 40 patients (54.8%), it was found to be food in 31 patients (42.5%) and intimate contact in 2 patients (2.7%). Sixty five (89%) patients were hospitalized, and the average admission day was 14.5 days. All patients recovered without complications except for two patients who showed cholestatic hepatitis. Conclusions: The annual number of sporadic acute hepatitis A patients in Gwangju-Chonnam province has increased and most of patients were in their 3rd decade. Social concern for sporadic acute hepatitis A is needed in Gwangju-Chonnam area. (Korean J Med 72:131-137, 2007)

      • SCOPUSKCI등재

        광주,전남 지역의 A형 간염바이러스 유전자형 변화 및 임상 분석

        노두영 ( Du Young Noh ),조성범 ( Sung Bum Cho ),김연주 ( Yeon Joo Kim ),이완식 ( Wan Sik Lee ),박창환 ( Chang Hwan Park ),주영은 ( Young Eun Joo ),김현수 ( Hyen Soo Kim ),유종선 ( Jong Sun Rew ),최성규 ( Sung Kyu Choi ) 대한소화기학회 2011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7 No.6

        Background/Aims: Dominant genotype of hepatitis A virus (HAV) in Korea had been known to be genotype 1A in 1990s. Recently, the epidemiologic change of HAV genotype was reported with an upsurge of acute hepatitis A in Korea.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HAV genotyp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Methods: From November 2008 to October 2009, a total of 82 patients with acute hepatitis A were enrolled prospectively. HAV genotype was determined using reverse transcriptase polymerase chain reaction and sequencing of the PCR products of VP1/2A region of HAV. Results: HAV RNA was detected in 82% (67/82). The genotype IIIA (88%, 59 cases) was significantly more frequent than genotype IA (12%, 8 cases) (p≤0.01). The subtypes of genotype IIIA were AJ299467 Norway (49%), HA-JNG04-09 Japan (27%), HS-14-12-00 Spain (22%) and H-122 Sweden (2%). The subtypes of IA were FH1 Japan (50%) and HA J04-3 Japan (50%). The substitutions of amino acid were more frequent in genotype IIIA than IA (p≤0.01).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patients with genotype IIIA and IA. Conclusions: Genotype IIIA was a dominant genotype of recent HAV infection in Gwangju and Jeonnam province. This study provides valuable epidemiologic information of genetic distributions of HAV in Korea. (Korean J Gastroenterol 2011;57:346-351)

      • KCI등재

        조직검사가 직장 유암종의 내시경 절제에 미치는 영향

        조성범 ( Sung Bum Cho ),박선영 ( Sun Young Park ),윤경원 ( Kyeng Won Yoon ),이석 ( Seok Lee ),이완식 ( Wan Sik Lee ),주영은 ( Young Eun Joo ),김현수 ( Hyen Soo Kim ),최성규 ( Sung Kyu Choi ),유종선 ( Jong Sun Rew ) 대한소화기학회 2009 대한소화기학회지 Vol.53 No.1

        목적: 직장 유암종은 대장내시경 확대로 발견이 증가하고 있으며 일차로 내시경 절제를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진단 내시경 시 조직검사로 인한 병변 변형에 의해 내시경 절제에 어려움을 겪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조직검사 후 변형이 직장 유암종의 내시경 절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치료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07년까지 직장 유암종으로 내시경 절제술을 시행한 42예를 조사하여 진단 시 조직검사 유무에 따라 조직검사군 22예와 조직검사 미시행군 20예로 분류하였다. 조직검사군과 미시행군 간 유암종 크기, 위치 등 임상 차이는 없었다. 각 군 간 점막하 주입 시 융기 제한, 내시경 제거 방법 차이 및 분할 절제 유무 등을 조사하였다. 결과: 내시경 절제술 시 점막하 주입에 따른 점막 융기 제한을 보인 경우가 조직검사군에서 17예(77%)로 미시행군 9예(45%)에 비해 많았다(p=0.03). 점막 융기 제한에 영향을 미치는 내시경 소견은 조직검사로 인한 종괴의 함몰된 반흔이 관찰된 경우, 조직검사를 한 5 mm 이하의 유암종, 조직검사 후 활동 궤양이 있는 경우였다. 내시경 절제 시 올가미를 이용한 절제술, cap을 이용한 흡인절제술, 고무밴드 결찰 후 절제술에서는 두 군 간 차이가 없으나 내시경점막하박리술을 이용한 경우는 조직검사군 5예로 미시행군 1예에 비해 많았다. 분할절제된 경우는 조직검사군 5예(23%)로 미시행군 2예(10%)에 비해 많았으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결론: 직장 유암종에서 조직검사로 인한 변형은 내시경 절제 시 점막 융기를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내시경 절제 이전 조직검사는 최소한으로 해야 한다. Background/Aims: While endoscopic resection could be considered as the best choice for the treatment of small rectal carcinoid, the colonoscopic biopsies performed at the time of detection may lead to scar and ulcer formation and cause unpredicted difficulty in the endoscopic resection. This study was evaluated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ost-biopsy scar and the limitation of submucosal elevation for the endoscopic resection of rectal carcinoids. Methods: Twenty two cases of rectal carcinoid which received prior biopsies before the endoscopic resection were retrospectively compared with 20 non-biopsied cases. All two groups were treated by endoscopic resection from January 2000 to December 2007.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and endoscopic findings such as size and location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The limited submucosal elevation was experienced in 17 cases (77%) in the biopsy group, significantly more frequent than 9 cases (45%) in the non-biopsy group (p=0.03). The colonoscopic findings which contribute to difficult submucosal elevation were the depressive scar formation after biopsy, the size less than 5 mm in the biopsy group, active ulcer formation after biopsy. Regarding the resection method, endoscopic submucosal dissection was frequently adopted (23% vs. 5%) in the biopsy group. The frequency of endoscopic piecemeal resection in biopsy group was higher than non-biopsy group (23% vs 10%), and all cases were subsequently resected by other endoscopic methods. Conculsions: The post-biopsy scar can interfere with successful submucosal elevation for endoscopic resection of rectal carcinoids. The number of forcep biopsy should be minimized in the diagnostic colonoscopy when endoscopic resection is planned rectal carcinoids. (Korean J Gastroenterol 2009;53:36-42)

      • SCOPUSKCI등재

        간경변증과 동반된 간세포암종에서 Microsatellite Instability와 DNA 복제오류 교정유전자들의 메틸화

        박정호 ( Jung Ho Park ),조성범 ( Sung Bum Cho ),이완식 ( Wan Sik Lee ),박창환 ( Chang Hwan Park ),주영은 ( Young Eun Joo ),김현수 ( Hyen Soo Kim ),최성규 ( Sung Kyu Choi ),유종선 ( Jong Sun Rew ),이재혁 ( Jae Hyek Lee ),김세종 ( S 대한소화기학회 2006 대한소화기학회지 Vol.48 No.5

        목적: 최근 간세포암종 발생과정에서 DNA 복제오류 교정유전자의 관련성을 시사해 주고 있으며 그 중에서도 DNA 복구과정에서 복제오류 교정계(mismatch repair system)와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MGMT)의 중요한 연관성이 있음이 제시되었다. 대상 및 방법: 2000년부터 2003년까지 간세포암종으로 수술을 시행 받아 병리조직학적으로 진단된 환자들 중에서 간경변증이 동반된 40예를 대상으로 하여 hMLH1, MGMT, hMSH3과 같은 DNA 복제오류 교정유전자의 프로모터 부위 메틸화유무와 그 빈도를 조사하고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와 면역조직화학염색을 통한 이들 유전자 산물의 발현 여부와의 상관성 및 임상 특징과 연관성을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후 절제된 간세포암종의 평균 크기는 4.2±2.6㎝였다. 간세포암종 병기분류에서 BCLC stage A1은 12예(30%), A2는 3예(8%), A3는 8예(20%), A4는 3예(8%), B는 8예(20%), C는 6예(15%)였고, TNM stage I은 4예, II는 24예(60%), III는 7예(18%), IVa는 5예(13%)였다. 간세포암종의 조직 분화도 등급에 따라 고분화도 8예(20%), 중분화도 19예(48%), 저분화도 13예(32%) 보였다. 수술 후 간세포암종 재발은 총 25예(63%)에서 발생하였으며, 수술 후 간세포암종 재발 또는 간기능 저하로 사망한 경우는 15예(38%)였다. hMLH1, MGMT, hMSH3 유전자의 메틸화를 보이는 경우가 동반된 간경변증에서 각각 3예(8%), 27예(68%), 28예(70%)였고, 간세포암종에서 각각 2예(5%), 29예(73%), 30예(75%)로 간경변증과 간세포암종에서 높은 빈도를 보이는 DNA 복제오류 교정유전자는 hMSH3, MGMT였고 낮은 빈도를 보이는 것은 hMLH1이었다. MSI 상태는 대부분의 증례들이 안정 MSI였으며 단지 3예(8%)에서만 MSI가 관찰되었다. MGMT, hMLH1, hMSH3 단백에 대한 면역조직화학염색결과 양성반응을 보인 경우가 6예(15%), 16예(40%), 11예(28%)였다. MGMT의 경우 유전자 메틸화에 따라 MGMT 단백 소실이 있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p=0.10). 간세포암종의 조직 분화도, 수술 후 재발 및 예후 등 임상 특징과 유전자 메틸화와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간경변증과 동반된 간세포암종 환자에서 DNA 복제오류 교정유전자 중 MGMT와 hMSH3 유전자 메틸화 빈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간세포암종에서 낮은 빈도의 MSI를 보였으며 DNA 복제오류 교정유전자와 MSI는 서로 상관관계가 없었다. 수술 후 재발이나 예후와 같은 임상적인 특징과 DNA 복제오류 교정유전자들의 메틸화는 의미있는 상관관계는 보이지 않았다. Backgrounds/Aim: Epigenetic silencing of DNA repair genes, O6-methylguanine-DNA methyltransferase (MGMT), hMLH1 and hMSH3, by promoter hypermethylation have been observed in various cancers.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hypermethylation of DNA mismatch repair genes and microsatellite instability (MSI) has not been studied in hepatocellular carcinoma (HCC) associated with cirrhosis. Methods: We investigated the methylation pattern of CpG islands of 3 genes using methylation-specific PCR (MSP) and MSI in 40 patients with paired hepatocellular carcinoma and associated cirrhosis. Results: hMSH3 and MGMT were the most methylated genes in both cirrhosis (70% and 68%, respectively) and HCC (75% and 73%, respectively). The methylation of hMLH1 was rarely found in both cirrhosis (8%) and HCC (5%). Gene promoters methylated in cirrhosis were also methylated in HCC with the exception of 9 cases found to be methylated either in cirrhosis or HCC. Of 40 cases of HCC associated with cirrhosis, three had MSI-positive phenotype in which two were MSI-low and one was MSI-high. One MSI-positive phenotype was present both in cirrhosis and in HCC, while two were only in HCC.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aberrant DNA methylation of mismatch repair genes and MSI status in HCC associated with cirrhosis. Immunohistochemical expressions of hMLH1, MGMT, and hMSH3 proteins were present in 16 (40%), 6 (15%), and 11 (28%) of 40 cases of HCC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on between the aberrant DNA methylation of mismatch repair gen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histological differentiation, postoperative recurrence and mortality. Conclusions: The methylation of MGMT and hMSH3 among DNA repair genes are frequent, but those of hMLH1 and MSI is very rare in both cirrhosis and HCC. There i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methylation of DNA repair gene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HCC. (Korean J Gastroenterol 2006;48:327-336)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