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건축가 이훈우에 대한 추가 연구 및 관련 자료

        김현경,유대혁,황두진,Kim, Hyunkyung,Yu, Dylan,Hwang, Doojin 한국건축역사학회 2021 건축역사연구 Vol.30 No.3

        In 2020, Yi Hunwoo was discovered as one of the earliest modern architects in Korea. However, his personal life was yet mostly unknown, including the time of his death. The research team ('the team' hereafter) searched for the records of his personal life and professional career. First, his family genealogical chart revealed that he died in 1937. Having located and contacted Yi's direct descendents, the team was able to clarify his family background with the descendants' testimonies. They possess the photographs of him and his family members, including Yi's picture when he was a freshman at the Nagoya Higher Technical School in Japan. The team also identifies his birthplace and the location of his grave as Hadong, Gyeongsangnamdo, Korea. The team visited his project site in Jinju, Gyeonsangnamdo, Korea and obtained mor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Ilshin Girls' High School, which he designed in 1928. Gyohoan, the congregation records of Cheondogyo, one of the leading religions in Korea during Yi's times, confirmed that he was one of the congregation members. The field research also discovered the house he designed and built in his hometown of Hadong, probably the only surviving architectural project by him. This paper is to report the result of the research on Yi's life and career with the aim of providing materials for further studies in identifying and positioning him more properly in the early 20th century Korean architectural scene.

      • KCI등재

        12세기 일본 귀족사회의 계층의식 ― 후지와라노 요리나가의 범종(凡種)관 ―

        김현경 ( Kim Hyunkyung ) 한림대학교 일본학연구소 2022 翰林日本學 Vol.- No.41

        Medieval Japan is known to be the age when the distiction between high and low status was much emphasized than those of other historical periods. There was a conception of gotra(lineage), that the status of a person was fixed by descent or birth, in the medieval period.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hierarchical consciousness, by researching the word ‘bonshu(humble birth)’ which refers to a low status in contrast to kishu(noble birth), and bonshu and kishu both are related to the conception of gotra. In particular, the case of bonshu is concentrated in the diary of Fujiwara no Yorinaga(1120-1156), an upper-class aristocrat from the Sekkan family. In Yorinaga’s diary, the people called bonshu were from the Miyoshi family and Nakahara family, which are the clans of working-level officials, and Kanmu Heishi family as governors and warriors. The word ‘bonshu’ was used when someone is recognized as an unqualified person to be appointed to a specific position of official. Bonshu means the status of a group that is in a position to serve the noble class of kishu, and bonshu people were difficult to become court nobles. On the contrary, noble family of kishu could reach the posts of court nobles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In 12<sup>th</sup> century, the latter Heian period, there was a newly emerging group that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Emperor Emeritus who took power and ruled Japan, and entered high-ranking posts of court nobles to shake the status order. The word bonshu was intented to clearly reveal the class order centered on the Sekkan family, and the view of bonshu was shared among people surrounding Yorinaga.

      • KCI등재

        마우스를 이용한 비만연구에서 활용되는 물리적 표현형 분석 기술

        김현경(Hyunkyung Kim),고광웅(Gwang-woong Go) 한국식품과학회 2018 식품과학과 산업 Vol.51 No.1

        The prevalence of obesity is continually increasing in South Korea; about 1/3 of adults are diagnosed with obesity and 1/2 of adults are overweight in 2016. Abnormal body fat mass increased the risk factors of metabolic syndrome (including hypertension, type II diabetes, dyslipidemia), chronic kidney failure, osteoarthritis, and cardiovascular disease.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MFDS) in Korea established the validation and approval system for “functional food” based on 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ccording to the guideline of MFDS, the biomarkers for obesity study in vitro, in vivo, and clinical trial are well summarized. The analysis of physical phenotypes is necessary condition to study further molecular phenotypes and pathway analysis in vivo study. Thus, we will review currently available physical phenotype analysis; dual energy X-ray absorptiometry (DEXA) and Oxylet gas analysis will be examined in-depth.

      • KCI등재

        구글(Google)의 뉴스저작물 정책에 대한 고찰

        김현경(Kim, Hyunkyung) 강원대학교 비교법학연구소 2016 江原法學 Vol.49 No.-

        질 높은 우수한 뉴스콘텐츠의 생성은 언론의 자유와 민주주의의 초석이 된다. 그러나 우수한 뉴스콘텐츠를 제작하려면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 수밖에 없다. 뉴스의 가치가 경시되고 뉴스콘텐츠 제작에 기울인 노력이 존중되지 않는다면 뉴스콘텐츠 제작에 대한 인적ㆍ물적 투자가 감소하게 된다. 이러한 투자감소는 뉴스콘텐츠의 질적 저하를 초래하며 언론의 자유를 훼손하고 정보의 왜곡 또는 불균형을 가져올 수밖에 없다. 궁극적으로 민주주의의 후퇴로 이어지는 악순환 구조에 빠지게 된다. 온라인에서 뉴스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기업인 구글은 언론사의 뉴스를 활용해 제목과 기사 일부를 노출시켜 직접링크 방식으로 뉴스콘텐츠를 제공한다. 그러나 자신들의 뉴스저작물 이용방식은 ‘공정이용’에 해당되며, 저작권사용료를 내지 않아도 된다는 정책을 고수하고 있다. 구글의 검색서비스 시장에서의 막강한 영향력은 뉴스저작권자가 이러한 구글의 정책에 대하여 대등한 위치에서 공정하게 저작권사용료 협상에 임하는 것을 곤란하게 하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실제로 구글의 이러한 뉴스저작물 정책이 저작자의 권리를 보호하고 공정한 활용을 도모함으로서 문화발전에 이바지하고자 고안된 저작권제도에 부합하는지 검토해 보았다. 뉴스저작물 이용방식인 직접 링크는 현행법상 "전송"이라고 볼 수 있으며 이러한 의미에서 대법원의 ‘링크’에 대한 판단은 재고되어야 한다. 다만 이러한 직접링크에 대하여 공중송신권이라 배타적 개념에 포함시킬 경우 인터넷상의 표현의 자유 및 정보의 자유로운 유통이 위축될 우려가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그러나 개념논리적으로 볼 때 ‘링크’가 공중송신행위에 해당되지 아니한다고 함으로서 권리침해 여부를 완전히 부인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 이러한 경우 공공의 이익을 위하여 일정한 경우 공중송신권을 제한하는 방식을 취하는 것이 타당하다. 또한 구글의 뉴스저작물 이용은 공정이용에 해당된다고 보기 어렵다. 공정이용의 판단기준인 ‘이용된 부분이 저작물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과 그 중요성’과 ‘저작물의 이용이 그 저작물의 현재 시장 또는 가치나 잠재적인 시장 또는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부합되지 않는다. 따라서 창작에 대한 인센티브를 재산권으로 보호하는 저작권제도의 취지에 비추어 볼 때, 그리고 뉴스가 가지는 공익적 가치와 민주주의 영향성에 비추어 볼 때 뉴스저작물에 대하여는 뉴스창작 인센티브를 지속적으로 부여하기 위한 보상체계와 국민 누구에게나 차별 없이 활용될 수 있는 시스템이 함께 모색되어야 한다. 따라서 저작재산권의 제한의 새로운 유형으로 뉴스저작물의 이용을 규정하여 권리자의 허락 없이 뉴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되, 다만 보상은 사적이용에 준하지 않고 영업으로 사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인정함으로서 국민의 알권리 그리고 민주주의의 발전과 조화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Creation of high quality news contents is the cornerstone of press freedom and democratic participation of citizens. However, in order to produce excellent news content inevitably a lot of time and money are needed. If the value of news contents will be neglected and this effort given to the news content creation will not be respected, the investment in news content production will be reduced. The decrease in this investment leads to deterioration of the news content quality and undermines the freedom of the press as bringing distortion or imbalance of information, ultimately, it will result in a retreat of democracy. Google, representative firm that provides online news contents, provides news contents with deep–lnked manner by exposing the news headlines and 2-3 lines taking advantage of news contents created by the news media. However they insist that the use of news work in this way is a "fair use" and are sticking to policies that do not need to royalties. Google has a powerful influence on the search services market, therefore, it is difficult for a news copyright holder to have comparable position and fairly to wrestle for royalty negotiations with respect to such a Google’s copyright policy. So it was reviewed in this paper if this policy of Google news works meets the copyright system designed to contribute to cultural development by protecting the rights of authors and promoting fair use. Linking news work is seen as the "public transmission" according to the current law, so the Supreme Court judgments on the "links" should be reconsidered. However, if such deep link be include in the Right of Public Transmission as exclusive right, it is not preferable in terms of promoting the free flow of information and freedom of expression on the Internet. Meanwhile when viewed as a logical concept, it is not reasonable to completely deny whether rights violations by that no "link" does not correspond to the public transmission behavioris. In this case, it is appropriate to take an approach that limits the public transmission right as a specific case for the benefit of the public. In addition, it is difficult that the uses of news works by Google are ‘fair use of copyrighted work’. It does not meet the criterion of fair use, ‘Proportions of used parts in the entire works, etc. and their importance" and ’Influence of the use of works, etc. over the current market or value or potential market or value of such works’. Therefore, in light of the intent of the copyright system to protect property rights in creating incentives for, and that the news has public value and democracy Impact, remuneration system as creation incentives and system that anyone can be utilized without discrimination should be sought for news copyrighted work. Therefore, by defining as a new type of the limits of the author"s property rights, it guarantees to take advantage of the news works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owner, compensation is recognized only when used by operating without a private us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gulate the use of news contents as a new type of restriction of author"s property rights so that the news can be used without the permission of the right holder, but only when the compensation is not used for private use but for business use, It should be harmonized with the development of democracy.

      • KCI등재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 과학 교육과정과의 관련성 비교

        김현경(Kim Hyunkyung),임희준(Lim Heej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21

        본 연구에서는 대표적인 국제비교인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과 우리나라 2009 및 2015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사이의 연계성을 분석하였다.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틀의 평가목표가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 포함되어 있지 않은 항목이 가장 많았던 영역은 생명과학 영역이었다. TIMSS 2019의 4학년 과학 평가목표 중에서 ‘척추동물과 무척추동물의 구분’, ‘살아남는 자손의 수를 늘리기 위한 다양한 전략’, ‘환경 상태에 대한 동물의 반응’,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특징과 그렇지 않은 특징의 구별’은 우리나라 초등학교 과학과 교육과정에서 다루지 않고 있었으며, 중학교 교육과정에서도 전혀 다루고 있지 않는 내용들도 있었다. 물상 영역의 경우 TIMSS 2019 평가틀의 4학년 평가 목표 중에서 ‘힘과 운동’을 제외하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지 않는 것은 없었다. 지구과학 영역의 경우는 ‘날씨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달라짐’을 제외하고 우리나라 초등학교 및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전혀 다루지 않는 것은 없었다. 물상과학 영역의 ‘힘과 운동’, 지구과학영역의 ‘날씨가 지리적 위치에 따라 달라짐’에 대한 내용은 초등학교에서는 다루지않고 중학교에서부터 다루고 있었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통합 단원의 신설, 새로운 성취기준이 추가됨으로 인하여 이전 교육과정에서는 다루지 않았던 TIMSS 4학년 과학 평가틀의 일부 평가 목표가 우리나라 교육과정에도 포함되는 변화를 찾아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IMSS 2019 science frameworks for 4th grade and Korea 2009 and 2015 revision science curriculum. It was biological science area that inconsistency between TIMSS 2019 science frameworks and Korea science curriculum was the most. The topics were not included in Korea science curriculum not only elementary level but also middle school level were ‘distinguish groups of animals with backbones from groups of animals without backbones’, ‘identify and describe different strategies that increase the number of offspring that survive’, how different animals respond to changes in environmental conditions’. In the case of the physical science, none of the 4th grade objectives of the TIMSS 2019 assessment framework is addressed in the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except or force and exercise . In the case of the earth science, there is nothing that is not covered in the Korea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except for weather depends on geographical location . The subjects of strength and movement in the physical science field and weather depends on geographic location in the earth science field were not covered in elementary school but from middle school level. It was found that the consistency between TIMSS science objectives and 2015 revision science curriculum was increased as integrated chapters and some new objectives, which were not included in 2009 revision science curriculum, were added in recent science curriculum.

      • KCI등재

        개인정보의 개념에 대한 논의와 법적 과제

        김현경(Kim, Hyunkyung) 미국헌법학회 2014 美國憲法硏究 Vol.25 No.2

        개인정보는 프라이버시 법규의 경계와 범위를 결정하는 핵심개념이다. 그러나 ‘개인정보’라는 개념의 광범위성과 불확실성은 관련 법률의 적용 및 집행을 불편하게 만들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개인정보와 관련된 국제적 규범형성의 핵심이라 할 수 있는 미국과 EU의 개인정보에 대한 접근방식을 살펴본 후 ‘개인정보’ 라는 법적 개념이 가지는 특성을 반영한 향후 법적 과제를 도출하고자 한다. 개인정보가 법적 개념으로 등장하게 된 것은 정보처리기술의 발전으로 개인정보가 데이터베이스화되고 이렇게 수집된 개인정보의 오남용으로 인해 개인에게 피해가 발생하게 되었기 때문이다. 이렇듯 개인정보는 프라이버시 침해 이슈와 함께 법적 개념으로 자리 잡기 시작했지만, 이제는 인터넷과 관련된 비스니스를 영위하기 위해서는 없어서는 안 되는 영업재산이며 표현의 자유 보장을 위한 공개대상정보이기도 하다. 즉 개인정보는 일의적으로 정의내리기 곤란하며, 기술발달에 따라 사회변화를 수용하며 나타나게 된 법적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EU는 ‘개인정보’를 개인을 식별할 수 있는 모든 정보를 포괄하도록 개념정의 하고 있으며 이는 매우 넓고 모호할 수밖에 없다. 반면 미국의 경우 개인정보의 개념이 통일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규제혼란을 증가시키며 이는 피규제기관의 규제비용을 증가시킬 수 있다. 우리나라 개인정보 보호법 상 개인정보의 개념정의는 EU의 방식을 거의 그대로 따르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신용정보, 의료정보, 교육정보 등에 대하여는 각각의 특별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개인정보의 개념이 우선 적용되는바 미국의 세 번째 방식도 일부 복합적으로 취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외 선진입법의 차용과 국내 상황을 적절히 조합하여 입법의 방향을 설정하였으나, 당시 개인정보의 개념, 본질, 보호법익 등에 대한 철저한 검토가 부족한 부분이 있었다고 볼 수 있다. 앞으로 개인정보가 가지고 있는 이러한 개념적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 본 논문에서는 세 가지를 제안하였다. 우선 ‘개인정보 해당성’에 대한 판단을 위한 구체적 가이드라인의 마련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사인간의 개인정보의 재산적 가치의 활용은 당사자가 자율적으로 통제할 수 있도록 규율체계를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파일화 혹은 데이터베이스화되지 않은 단순 개인정보에 대하여서는 보다 낮은 규제가 도입되어야 함을 제안하였다. “Personal data” is a central concept in privacy regulation. This term defines the scope and boundaries of many privacy statutes and regulations. However, since the concept of "personal data" is too wide and uncertain, it is inconvenient to apply and enforce the laws. Therefore, in this Essay, after looking at the approach ways to the concept of personal information in the United States and EU, I try to suggest future legal challenges that reflect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gal concept of "personal information" The reason why personal data is more important as Legal concept is due to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processing technology. Because of the abuse of personal data collected, personal or property damage was caused to the data subject. In addition, personal information is currently business asset indispensable in order to conduct business associated with the Internet and somtimes should be opened to the public in order to ensure the freedom of expression. In the United States, the law provides multiple explanations of this term. so that increases the regulatory maze and associated compliance costs for regulated entities, and as a consequence of the multiple possibilities flowing from the three classifications of personal data, the same information may or may not be personal data under different statutes and in different processing contexts. In contrast, in the European Union, there is a single definition, and one that defines personal information broadly to encompass all information that is identifiable to a person, so the EU’s definition of personal information risks sweeping too broadly. The Personal Data Protection Act of Korea adopts the way of EU defining the concept of personal data but since special laws regulating personal credit information, medical information, educational information, etc. are applied to the related cases in the first, it can be said that the third method of the United States is also taken as part of a combination. Therefore it can be appeared combination of defects in the United States and EU law in Korea. To make privacy law effective for the future, with regard to legislation on personal data, factors to consider are as follows: First specific guidelines should be provided to determine whether or not a certain information is personal information. Secondly it is desirable that the use on proprietary value of personal information is regulated by self-regulation between the parties. Finally lower level of regulation should be applied to the simple personal information that is not a file or database.

      • 이차원 코드를 위한 개선된 LDPC 코드

        김현경(Hyunkyung Kim),정철호(Cheolho Cheong),한탁돈(Tack-Don Han) 한국정보과학회 2005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2 No.2

        디지털 신호 및 전송부호의 오류검출에는 예전부터 패리티 체크가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패리티 체크기법은 구현 및 알고리즘이 단순, 간결한 우수성이 있지만 특정 데이터 비트의 경우 오류 검출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이후 패리티 체크 기법은 해밍 코드 및 채널 오류 정정을 위한 LDPC 코드와 같은 다양한 오류검출 및 정정 알고리즘에 적용되어 발전되어 왔으며, 그 중 LDPC 코드의 bit-flipping 알고리즘에서는 패리티 기법을 반복적으로 적용하는 방식을 택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채널 오류 정정을 위한 LDPC의 bit-flipping 알고리즘을 이차원 코드에 적용하고, 이 때 bit-flipping 알고리즘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된 LDPC 코드를 제안한다.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