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仁祖代 前半期 왕권과 정치질서 재편 (1623~1636)

        김한신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78

        In this paper, I could show the outline of the main political currents at this time like the following. Right after the enthronement of King Injo(仁祖), the political situation was going on ascribing the political convulsion to Lord Kwanghae(光海君). And it grew arranged to impose a desirable model of monarch on King Injo. This sort of insistence rendered the instrument of limiting Injo's kingship. But King Injo was able to turn that situation by punishing several political cliques that selected hard line at some moments. Nevertheless King Injo still had not influence on other important matters. It was because of the absence of loyal group's favor and the weak authority of King Injo. At the time King Injo proceeded to enshrine his parents as king and queen officially. Because King Injo was not a son of king and queen. With this plan, King Injo attempted to expand the magnitude of his loyal group. However, Kim Ryu(金瑬), One of his loyal member, having opposed to the plan was expelled from the court provisionally. King Injo needed Kim Ryu again in order to prevent a recurrence of war with Qing(淸), the second Manchurian kingdom in China. King Injo led the new loyal group which had implemented the parental enshrinement to participate in devising diplomatic steps also. In this aspect, we can notice that King Injo accomplished some grasp of political situation with reorganization of the different loyal groups. But this was somewhat incomplete. The main frame of the above description is consisted of three points. The points are ㉠ the structural fortification of the political argument in the early period of King Injo, ㉡ the conspicuous role of small cliques subsisting in huge factions, and ㉢ the emphasis on the discrimination from the politics of Lord Kwanghae period intending to justify the enthronement of King Injo. 반정 이후 정국의 추이는 폐주 광해군을 반정이 일어난 주요 원인으로 설정하고 인조에게 모범적인 군주상을 강조하는 쪽으로 나아가게 되었다. 인조에게 이러한 과제는왕권을 정치적으로 제한시키는 장치가 되었다. 반정 이후 권력을 유지하기 위해 사림의 폭넓은 지지가 필요했고, 그 때문에 공론의 영향력이 전에 없이 커진 것이었다. 인조는 박정 등의 남이공 탄핵 사건을 계기로 이러한 틀을 전환시킬 수가 있었다. 그러나, 종친들의 호의를 얻을 수 있었던 인성군 문제나 인조의 정통성을 강화할 수 있는사친 제례에서 인조는 여전히 영향력을 가질 수가 없었다. 체계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인조의 의지를 실제 정책으로 실행시켜 줄 친위 세력과, 신하들을 순응하게 할 수 있는 권위가 인조에게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인조는 사친을 위한 추숭을 진행하면서, 친위 세력의 재편도 시도하였다. 인조는 이귀, 최명길의 계책과 조력에 힘입어 사친 추숭과 종묘 입묘를 마칠 수 있었다. 이 과정에서 인조는 비공신계 인물을 친위 세력으로들일 수 있었다. 그럼에도 왕권을 지탱해 주는 다른 한 축이었던 김류 세력이 없이는불완전할 수밖에 없었다. 인조는 後金의 건원 칭제 이후 대신들에게 삼사를 견제하게하는 시기에, 김류를 대신에 복귀시킬 수 있었다. 인조는 최명길을 비롯한 추숭 지지세력이 전란을 저지하는 외교적 대책 마련에 참여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김류 세력과의통합을 시도하였다.

      • 중국(中國) 민간(民間) 불교결사(佛敎結社) 형성의 역사적(歷史的) 배경 고찰

        김한신 ( Kim Han-shin ) 고려대학교 역사연구소(구 역사학연구회) 2018 사총 Vol.95 No.-

        중국 향촌사회의 민간 불교결사는 불교가 중국에 전래 된지 얼마 지나지 않은 위진남북조 시대부터 다양한 명칭으로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민간 불교결사는 불교 고유의 행사인 齋會와 중국의 전통적인 관습질서인 春秋二社의 社를 매개로 하여 형성되었다. 대단히 이질적인 성격의 두 요소들이 결합된 형태로 등장하게 되는 민간 불교결사는 당대에 이르러 국가권력의 통제 대상으로 주목될 정도로 크게 성장하였다. 당왕조는 처음에는 민간 결사에 대해서 금지시키려고 하였으나 이후 점차 향촌지배를 위한 수단으로서 활용되기 시작하였다. 송대에 접어들어 민간의 불교결사는 더욱 크게 확산되었고, 이는 송왕조의 종교정책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교단불교에 대한 당왕조 시기의 간헐적인 탄압과는 달리 송왕조는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통제정책 즉 승려에 대한 도첩의 발행과 불교 사찰에 대한 사액을 통해서 단불교를 적극적으로 통제하였다. 송왕조의 불교 통제 정책으로 인하여 교단불교는 그 교세가 정체 내지는 축소된 반면에 국가의 통제에서 벗어나 있었던 민간의 불교결사는 당시 상업의 발전으로 인한 기층사회의 발전과 더불어 더욱 크게 활성화되었다. 주로 조상기나 몇몇 중요한 승려들에 대한 기록들을 통해서 부분적인 모습만 알 수 있었던 민간불교결사는 송대에 이르러 다양한 자료를 통해서 그 구체적인 모습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비록 송조정은 민간불교 결사에 대해서 그 탈법적인 측면을 경계하고 있었지만, 『夷堅志』와 같은 새로운 형식의 자료들은 민간불교결사가 일반대중들에게 막대한 영향을 끼치고 있었음을 전해주고 있다. 특히 송대에 이르면 이전에 비해서 규모가 크게 확대된 형태의 민간결사들이 등장하기 시작하였고, 국가권력은 이러한 대규모 민간결사의 위험성에 대해서 부정적인 이미지를 덧씌우면서 통제하려고 노력하였다. 비록 중국의 민간불교결사는 전통적인 시각에서 대체로 부정적으로 묘사되고 있지만, 이는 국가권력의 입장이 강하게 반영된 것이었다. 반면에 여러 다른 사료들을 통해서 볼 때, 그 실제적인 모습은 상당히 평화로운 종교적 모임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결국 중국 향촌 사회의 관습적인 질서 속에 강력한 기반을 갖고 있었던 민간의 불교결사는 국가의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통제 속에서도 더욱 크게 번성하였던 것이다. The lay Buddhist societies in Chinese local communities are originated both from the traditional Buddhist rituals like upavasatha(齋會) and from the traditional folk religious practices like the spring and autumn festivals(春秋二社). The lay societies of Buddhism had been formed even when the Buddhism was first introduced into the China. However, they had been clearly shown in the historical documents since the Wei-Jin-Nanbeichao(魏晉南北朝). The lay societies gathered to have religious events such as chanting Buddhist prayers or presenting offerings to Buddha. In addition, they sometimes raised funds for building the Buddhist Statues or inscribing Buddhist texts on the stone stele. In the early period of the history of the Buddhist societies, most of them were led and assembled by Buddhist monks or Buddhist monasteries. However, the societies led mostly by lay people began to be overwhelmed from the Tang period. When the Great Anti-Buddhist Persecution of Huichang(會昌廢佛)(845) occurred, the institutional Buddhism(敎團佛敎) took the brunt of sharp decrease of Buddhist clergies and temples, while the lay societies in the local communities were scarcely affected and even became more prosperous. Song dynasty aimed to fully control the Buddhism through bestowing the official plaques or issuing the identification cards of monks which is official permit to become a monk (nun) and join a monastery. As a result, the monasteries and monks of the institutional Buddhism were systematically controlled. At that time, however, since the lay people enthusiastically involved themselves in the Buddhist ritual practices, the lay Buddhist societies could attract a large amount of believers and grow up to be major religious groups. The Chinese Dynasties had conventionally taken a stand against the popular religious assemblies like the lay Buddhist societies. However, the lay Buddhist societies had actually been neither the rebellious secret societies nor the licentious assemblies. In addition, they had peacefully coexisted with the state power at all times. Although the state power had assailed the lay Buddhist societies with a negative stereotyping of the societies, we need to take a true perspective on them beyond the face value of the historical documents, which were mainly written with conventional perspectives.

      • KCI등재

        장왕(張王) 신앙(信仰)의 발전과정 -당말(唐末),량송대(兩宋代) 민간신앙 발전과정에 대한 새로운 모색-

        김한신 중국사학회 2014 中國史硏究 Vol.89 No.-

        This article examined the long-term evolution of the King Zhang cult from a local to a regional cult between the late Tang and the Southern Song periods. As the King Zhang cult spread from a rural area like Guangde to the imperial capital of Hangzhou, the images of the cult diversified. During the Southern Song period, the deity won fame as an omnipresent deity who responded quickly and effectively to the people`s various requests for spiritual aid. Therefore, the diversification of King Zhang`s image was shaped by the expansion of the cult both geographically and socially as it became entrenched throughout the whole Southern Song territory and among people of every social class. Furthermore, this article looked at a variety of factors that contributed to the cult`s rapid growth such as interregional migration, the emergence of pilgrimage sites that attracted worshipers from distant areas, and the carnivals in which the devotees of the cult could strengthen their religious identities. The extensive propagation of the King Zhang cult attracted attentions from both state authorities and the literati during this period. While the state authorities of the Five Dynasties and Northern Song periods acknowledged and endorsed the influence of the King Zhang cult within local communities through awarding titles to its temples in an effort to secure their own control over these communities, the Southern Song literati intimately participated in the religious practices of the King Zhang cult out of personal conviction as well as their active engagement in the local community. Consequently, the evolution of the King Zhang cult clearly shows not only the increasing significance of popular worship in the rise and spread of regional cults from the late Tang to the Southern Song but also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sponses of the state and local literati to this phenomenon. This article, in particular, dealt with the other agents such as the places of pilgrim and their carnivals, which also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the spread of the King Zhang cult. In a historical context, the Song society provided greatly free atmosphere for ordinary people to join the pilgrimage to the sacred places and their carnivals. These behaviors helped them to share the common identity and propagate the religion to far broader areas.

      • KCI등재

        The Transformation in State Responses to Chinese Popular Religious Cults

        김한신 성균관대학교 동아시아학술원 2014 Sungkyun Journal of East Asian Studies Vol.14 No.1

        This article explores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state authority and popular religious lives.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s the causes of the Northern Song (Bei Song , 960-1127) government's growing interest in popular religious cults, which reflected innovative approaches toward popular religion by the New Policy reformers (Xinfadang ). The reform movement was dedicated to state-centered statecraft, and thus the reformers sought to establish official control over popular cults through a state-centered administrative system. They attempted to establish a hierarchical order throughout the spiritual realm by creating a comprehensive pantheon that combined the officially-recognized deities entered in the state register of sacrifices with local popular cults. Therefore, the Northern Song reformers' new approach toward the popular cults brought about significant change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local religion in Chinese history.

      • KCI등재

        전란기 어느 무장의 투지와 항전(유승주, 2019, 『丙子胡亂前後 柳琳將軍의 將略과 金化大捷』, 도서출판 온샘)

        김한신(서평자) 고려사학회 2020 한국사학보 Vol.- No.81

        이 책은 저자 유승주가 정묘호란(1627)과 병자호란(1636)을 전후로 하여 나타난 유림의 對後金(淸) 항전활동을 집중적으로 연구한 저서이다. 저자는 2차례에 걸친 호란이 발발했을 때 후금(청)의 공격에 무력하게 무너지는 조정을 서술하면서 防灘大將, 沿江防禦大將 혹은 평안병사로서 국가를 보위하기 위해 희생한 유림을 조명했다. 단순히 이 시기 유림의 행적만을 추적한 것이 아니라 전쟁기 후금(청) 측의 입장과 요구, 이에 대한 조선 조정의 내부논의 및 결정, 전쟁의 전개과정 등을 다루면서 유림의 전공이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 검토했다. 저자는 연대기사료인 『仁祖實錄』과 인조대 『承政院日記』를 기초로 하여 다양한 사료를 교차검토했으며, 기존의 연구에서 미처 밝히지 못했던 사실과 혹은 잘못 인식된 내용을 바로잡았다. 이 책에 드러나는 또 하나의 특징은 인조대 조정의 무력함과 비굴함에 대한 통렬한 비판이다. 정묘호란, 병자호란의 대처에서 인조와 공신들이 자기희생을 통해 국가와 민을 보호하지 못한 행태에는 적절한 비판이 있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청에 항복했다고 그 역사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하거나 굴욕으로만 평가할 수는 없다. 개인이나 국가에 어려운 순간이 왔을 때 수치와 굴욕을 견딘다는 것은 괴로운 일이나, 자신을 포기하지 않고 재생의 길을 도모해야 그 다음 기회를 맞이할 수 있다. 이 시기 유림의 활동도 그러한 맥락 속에서 평가되어야 한다. This book is the study about Yu Rim’s struggle against Jin(Qing)’s invasion intensively researched by Yu Seung-Ju, the historian. The author, Yu Seung-Ju shed light on Yu Rim who sacrificed for his state, Joseon as Rapids Defense General(防灘大將), River Defense General(沿江防禦大將), or Provincial Army Commander of Pyongan(평안병사) writing the collapse of Joseon Court by Jin(Qing)’s attack during the two Manchurian invasion 1627 and 1636. Covering Jin (Qing)’s demand and situation ; the internal discussion and decision of Joseon Court ; the progress of warfare, the author contemplated the meaning of Yu Rim’s military service. The author cross-checked the Annals of the Joseon Dynasty(조선왕조실록) with the Diaries of the Royal Secretariat(승정원일기) and so on. On that basis, he rectified wrong narration and recognition in historical study, futhermore found out new historical facts. Another remarkable characteristic in this book is the virulent criticism toward the powerlessness and cowardice of Injo’s Court. There must be proper criticism to their behavior that did not protect the state and its people. Injo and his meritorious subjects avoided their sacrifice. However we should not estimate this time as worthlessness or completely humiliating. When hard times come, it is very painful for a person or a state to tollerate an insult. Nevertheless we could find another chances while not falling into dispair but pursuing revival. Yu rim’s achievements should be estimated in this context.

      • KCI우수등재
      • KCI등재

        唐末·五代시기 福建지역 禪宗의 번성과 閩정권의 후원

        김한신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 2013 역사문화연구 Vol.47 No.-

        당대까지 사회·문화적 불모지였던 중국 남부지역이 송대에 중국 전체의 사회·문화적 중심지로 급속도로 발전하게 되는 현상은 송대 이후부터 시작된 송대의 고유한 현상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상당히 먼 과거의 시기부터 그 지역에서 지속된 변화의 결과물이었을 뿐만 아니라, 그 직전의 시기에 특별한 계기로 인하여 그 변화의 속도가 급속하게 빨라지는 현상도 발견하게 된다. 따라서 우리는 송대 이전 시기부터의 비교적 장기간의 점진적인 사회·문화적 변화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남부지역을 북부지역과 대등하게 발전시키는데 절대적인 역할을 수행한 당말·오대 시기의 번진할거세력들의 역할에도 주목해야 할 것이다. 이 글에서는 그러한 변화과정의 한 가지 뚜렷한 예로서 복건지역에서 번성하였던 불의 한 종파인 선종의 발전과정을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의 불교는 당대에 접어들면서 점진적인 대중화와 토착화의 방향으로 발전 하였다. 또한 지역적으로도 전통적인 중심지였던 북부지역 뿐만 아니라 남부지역에서도 점차 그 교세가 확대되고 있었다. 특히 중국의 선불교는 당대부터 중국 남방에서 독자적인 발전방향을 갖고 높은 수준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선종의 한종파인 홍주종은 그 교리의 혁신성과 엄정한 계율의 실천으로 일반대중들의 절대적인 지지를 얻게 되어 중국 남부지역 전체에 널리 전파되었다. 그런데 이와 같이 점진적으로 발전하고 있었던 중국 남부지역의 선종은 당말·오대 시기 급변하는 정치적 환경의 변화를 계기로 급속하게 교세를 확대시킬 수 있었다. 즉 당시 중국 남부지역에는 번진할거세력이라고 하는 지역적 기반을 지닌 새로운 정치세력들이 등장하고 있었다. 특히 복건지역에는 외지에서 이주해 들어온 이주민집단인 王氏 가문이 최대 정치세력으로 성장하였다. 그들은 대략 50여 년간 복건을 통치하면서 중국내에서 경제적·사회적으로 가장 낙후되어 있던 지역을 급속히 발전시켰다. 이러한 안정된 정치적 상황은 선종이 성장하기에 이상적인 환경을 제공하였다. 더구나 閩정권은 불교를 적극적으로 후원하였다. 특히 그들은 당시 복건 지역민들의 열광적인 숭배를 받고 있었던 禪宗에 대한 후원을 통해 민간의 지지를 이끌어냄으로서 당시 그들에게 부족하였던 지역통치를 위한 정신적 지지기반을 보다 강화시킬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 그들은 저명한 禪僧를 후원하여 일반대중들에 대한 정권의 이미지 향상과 더불어 높은 식견을 지닌 선승들로부터 정신적 감화와 더불어 국정운영에 대한 유용한 자문을 얻기도 하였다. 또한 민정권은 禪寺의 중수 및 신축을 적극적으로 후원함으로써 지역민들에게 자신들의 지역이 선종의 이상이 실현된 “佛國土”라는 이미지를 각인시켜주었고, 대외적으로도 복건지역의 위상을 提高할 수 있었다. 결국 이 글에서 살펴본 당대 이후 중국 남부지역의 불교의 번성과 당말·오대 시기 복건지역의 정치세력이었던 민정권의 불교 선종에 대한 후원의 모습은 우리들에게 송대이전 중국 남부지역의 급속한 사회·문화적 발전의 원인과 과정을 이해할 수 있는 매우 실증적인 사례를 제시해 주고 있다고 하겠다. Although the phenomenon that the Southern regions of China, which had been the sociocultural backwater since the early Tang period, emerged rapidly as the sociocultural hub of the empire during the Song dynasty could be defined as the result of the widely known socioeconomic transitions of the Song, it was, in fact, not only the outcomes of the long-term sociocultural changes since the pre-Tang period but also those of the radical shifts in the sociopolitical environment during the late Tang and the Five Dynasties period. This article examines the development of the Chan Buddhism (禪宗) in the Fujian (福建) area during the late Tang and the Five Dynasty period as a evident example that articulates the significance of the pre-Song development. The Chinese Buddhism had underwent its popularization and vernacularization since the beginning of the Tang period. In addition, it could gradually expand its followers in the South as well as in the North, which had been its conventional core region since it had been first introduced in China. In particular, the Southern Sect of the Chan Buddhism (南宗禪) had attained higher level of quality over the northern sect since the early Tang. Among its various denominations, due to its innovative doctrine and its stress on the strict obedience to the religious precepts, the Hongzhou Sect (洪州宗) could find particularly large numbers of followers throughout the Southern regions. Besides these gradual and religious shifts, however, the rapid growth of the Southern Sect to a leading religious denomination across China was attributed to the active patronage of the Sect from new political authorities who had divided and ruled the Southern territories of China since the late Tang. In the Fujian area, the Wang clan (王氏) immigrated to and took control of the area then. They put great efforts in developing the backward area. This political shifts, above all, provided an ideal environment for the growth of the Southern Sect. The Min (閩) regime which was established by the Wang clan enthusiastically supported the Chan Buddhism to strengthen the spiritual bedrock of public support. By inviting the notabl figures in the Chan Buddhism to the Fujian area, first of all, the regime inteded not only to boost the regime’s public images but also to be influenced by their sophisticated Buddhist preaching and take counsel from them with their great insights. Furthermore, they paid costs of the constructions or repairs of the Chan monasteries (禪寺) to make the local public believe that they were living in the Buddha’s land and upgrade the regional images of the Fujian. In the final analysis, the prosperity of the Chan Buddhism in the Southern regions of China and the active patronage of it by the Min regime positively articulate the sociocultural development in the Southern China during the pre-Song period.

      • KCI등재

        중학교 역사 교과서 조선 시대 서술 비교 및 검토

        김한신(Kim, Hanshin) 호서사학회 2021 역사와 담론 Vol.- No.97

        6종의 중학교 역사 교과서에서는 조선 역사의 핵심적인 특징을 요약하여 결론적으로 전달하고, 어렵지 않아야 하며, 본문의 흐름을 해독할 수 있는 역량에 중점을 두었다. 그러한 취지 아래 「조선의 성립과 발전」에서는 건국과 제도의 정비, 국가의 기틀 마련, 새로운 정치세력의 발생 등을 소개했다. 「조선 사회의 변동」에서는 ‘변화’라는 대주제 아래 정치, 제도, 사회, 경제, 사상 등 영역에 나타난 새로운 움직임을 정리했다. 교과서의 집필진은 학생들이 역사에 접근하기 쉽도록 유용한 도판자료와 그에 어울리는 본문을 배치했다. 그러나 성의 있게 만들었음에도 학생들이 시기구분, 현상 간의 인과관계와 상관관계, 시기 내에서의 맥락 등에 관한 질문을 연상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었다. 역사에서는 하나의 사실을 접하고 왜일까라는 질문을 가지는 능력이 더 중요하다. 글자가 많다고 학생들이 읽기 어려워할 것을 걱정할 것이 아니라 역사를 읽고 질문하는 흥미를 느낄수 있도록 해야 한다. 그런 점에서 교과서에서 서사와 맥락의 관계를 읽는 연습이 중시되기를 바란다. There are 6 versions of middle school history textbook in Korea which were published by 6 publishing companies. As for the despcription on Joseon Korea, textbook writers focused on summing up and conclusion, not being difficult, and comprehending after reading the description. Under the writing purpose the chapter “the establishment and development of Joseon” introduced founding Joseon and system reorganization, stabilizing, and the appearance of new political group. The next chapter “the change of Joseon society”, from the transformation view, showed new movement observed on politics, institution maintenance, society, ecconomy, thoughts. The writers of the textbooks used drawing data and simple description in order to approach history text easily. Despite they made it carefully, it is inadequate for students to think over questions about period classification; causality and interrelation through phenomenons; context to understand the specific period. It is important to have questions ‘why’ after knowing a historical fact in a lesson. Maybe we worry that students would find it difficult to read on many sentences. But we should try to make students express their questions in spite of that difficulty. I wish the reading training on natrration and context in Joseon history would be put emphasis on forward.

      • KCI등재

        1593년 조선 조정의 명군지휘부 접촉과 일본군 공세 논의

        김한신 한국국학진흥원 2024 국학연구 Vol.- No.53

        In 1592, in the early stages of the Imjin war, Joseon changed its defensive position into an offensive one by launching a counterattack with Ming military support. Although the attack by Zǔ Chéngxùn (祖承訓), the Ming commander, failed to recapture Pyeongyang Fortress in July 1592, the second attack, led by Li Rusong (李如松), the Ming supreme commander, defeated the Japanese army and recaptured Pyeongyang Fortress in January 1593. After that, the main aim of the Joseon court was to reclaim Hanseong, Joseon’s capital, and push the Japanese army out of Joseon territory with help from the Ming. At the end of January 1593, Li Rusong’s army was defeated by the Japanese army in the Byeokje area. The Joseon court urged Li to go towards Hanseong. At that time, a difference in opinion between the Joseon court and the Ming military headquarters clearly emerged. The military headquarters, mainly controlled by Song Ingchang (宋應昌), the Ming military commissioner, wanted to end the war to reduce the sacrifice of Ming soldiers. Song seriously considered peace negotiations with the Japanese army. This meant that the Ming military headquarters did not intend to accept the request to fight the Japanese army at Hanseong. At this time, the Joseon court needed to maintain communication with the Ming military headquarters in order to know the exact intentions of the Ming commanding officers. This information was then used to reduce the difference in opinions between the two sides. From the Joseon court’s viewpoint, the Ming army’s help was imperative. What actually happened depended on how the Joseon court was able to persuade the Ming military headquarters to fight the Japanese army. Through understanding communications between the Joseon court and the Ming military headquarters, the developments from 1593 to 1594 during the early stages of the Imjin war can be made clea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