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論思辨錄辨」의 浩然之氣論에 대한 고찰

        김태년(Kim Tae neon) 경인교육대학교 기전문화연구소 2008 기전문화연구 Vol.34 No.-

        朴世堂(西溪, 1629~1703)의 『思辨錄」을 둘러싼 老論과 少論 간의 시비는 환국을 통한 당파간의 부침이 심했던 숙종대 대표적인 학술논전이자 斯文亂賊 논란이었다. 그리고 金昌協(農巖, 1651~1708)은 노론의 입장에서 「論思辨錄辨」을 저술함으로써 그 논란의 한 가운데 서게 된 인물이다. 본고에서는 김창협의 『사변록』 비판 중 浩然之氣 개념과 관련된 논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孟子』의 浩然章, 특히 호연지기 개념은 기호학파 내부에서 많은 논의가 있었던 주제였다. 그들이 호연지기를 대상으로 理와 氣의 관계에 주목한 이유는 단지 수양론적 관심 뿐 아니라 바로 理와 氣, 그리고 心과 性의 관계가 이단과 정학을 구분해주는 기준이기 때문이기도 했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에 대한 김창협의 논의를 살펴보면 노론측이 제기한 성인을 모독하고 경전을 훼손했다 는 의혹, 구체적으로는 朱熹의 해석을 부정하여 주자학의 종지를 무너뜨렸다는 문제 제기가 정당한 것인지 알아볼 수 있을 것이다. 『사변록』에 등장하는 호연지기 개념에 대한 김창협의 비판을 살펴보면, 그가 朱熹와 宋時烈(尤庵, 1607~1689)의 견해에 따라 박세당을 비판하였으며, 그 이면에는 노론계의 理氣論이 자리잡고 있었던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그저 자신이 존중하는 朱子 와 다른 의견을 제기했다는 이유에서만 박세당을 비판한 것은 아니었으며, 자신들이 볼 때 박세당의 학설이 正學 의 틀을 벗어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에 비판했던 것이다. 한편 박세당은 분명히 몇 가지 점에서 朱熹의 주석과는 다른 해석을 제시했지만, 이것만 가지고는 그가 주자학, 혹은 폭을 더 넓혀서 성리학(신유학)의 틀을 벗어난 어떤 새로운 사상 체계를 제시했다고 판단하기 어렵다. 호연장과 관련한 그의 논의를 볼 때 그의 주 관심은 여전히 道義(理)의 실현에 있었고 인식틀 또한 전통적인 이기심성론의 자장 안에 있었다. 이런 측면에서 보면 노론 측의 사문난적 이라는 비판은 분명 도가 지나친 것이었다. 게다가 소론계 학자들이 지적했듯이 노론계 학자들 내부에서도 朱熹의 주석이나 주장에 대해 의문을 표시했다는 사실을 상기해볼 때 박세당에 대한 이러한 비판은 정치적 공세의 일환이었다고 평가할 수밖에 없다. 朱熹의 학설에 대한 비판의 태도 가 문제였다면 몰라도 내용 만 가지고는 斯文 을 배신했다고 볼 수는 없는 것이었다. 이렇게 볼 때 김창협과 박세당의 대립을 탈성리학 대 성리학의 구도에서 볼 것인가 아니면 조선의 성리학계 내부의 노선 다툼으로 파악할 것인가에 대해 다시 검토해볼 여지가 있다고 판단된다. In King Sukjong era s heterodoxy debates between the Noron school and the Soron school, estimation of Park Sedang(l 629 ∼ 1703) s work Sabyeon-nok was key issue in the academia when the two schools showed constant fluctuation of their status to one another. This article deals with Kim Changhyeop(l651 ∼ 1708), a core debater of the Naron school, especially with his theory of Great Morale(Hoyeonjigi) expressed in A Treatise on Sabyeon-nok. As well known, the Passage in Mencius on Great Morale, especially its concept of Great Morale was a frequently discussed theme inside Giho school in relation to the doctrine of i and gi which was a touchstone to discriminate between the orthodoxy and heterodoxy. Thus, it is reasonable to expect that analyzing his stance toward the theme would help to verify the legitimacy of the Noron school’s claim that Park desecrated the holy men and damaged the classics of Confucianism. In the process of analyzing Kim’s critique on the theory of Great Morale in Sabyen-nok, it becomes clear that Kim criticized Park in accordance with Zhu Xi and Song Siyeol( 1607 ∼ 1689), being based on the Noron school’s theory of i and gi. It should be emphasized, however, that Kim’s criticizing Park was not due to the later’s suggesting different stance from Zhu Xi s but due to strong possibility of Park s deviating from Neo Confucian orthodoxy. As to Park Sedang, it is clear that his interpretation of the classics was different from Zhu Xi’s but still he hardly shows a possibility of suggesting a new paradigm beyond Zhu Xi or Neo Confucianism. His discussion on the above-mentioned chapter in Mencius remained being focused on the realization of i and his frame of thought still confined under influence of traditional theories of i-gi simseong. Thus, it can be concluded that the Noron school’s accusation of Park being heresy was not reasonable and might be suggested for political reason. All things being examined, we should ask that whether the confrontation between Kim Changhyeop and Park Sedang was the one between ex-Neo Confucianist on the one hand and orthodox Neo Confucianist on the other, or was the one inside the realm of Neo Confucianism.

      • KCI등재

        17~18세기 율곡학파의 사단칠정론

        김태년(Kim Tae-Neon) 한국동양철학회 2007 동양철학 Vol.0 No.28

        사단칠정논쟁은 조선 후기에도 여전히 중요한 철학 의제였다. 흔히 철학사에서 각각 예학의 시대, 호락논쟁(인물성동이논쟁)과 실학의 시대로 설명하는 17세기와 18세기에도 사실 사단칠정론은 학자 개개인, 혹은 학파의 정체성을 확립하는 데 중요한 논제로 활용되었던 것이다. 그 시대의 유학자들은 우선 영남 퇴계학파와 기호 율곡학파에 따라 각기 다른 사단칠정론을 주장했고, 각각의 학파 내부에서도 사단칠정론에 대해 어떤 입장을 취하는지에 따라 학맥이 분기되기도 했다. 기호 율곡학파의 사례는 바로 호학파와 낙학파이다. 널리 알려진 대로 율곡학파, 특히 노론의 당색을 가진 율곡학파들은 이른바 호락논쟁을 거치면서 서울과 충청도를 중심으로 분기하였다. 이들은 같은 율곡학파이니만큼 호락논쟁의 여러 주제에서는 입장을 달리할지라도 사단칠정론에서는 동일한 노선을 견지했을 것으로 생각하기 쉽지만, 사실 율곡학파 내부에서도 크게 보면 두 갈래의 서로 다른 사단칠정론이 존재했다. 이들은 양자 모두 이이의 “氣發理乘一途”의 원칙을 기반으로 하되, 낙학파는 사단과 칠정을 主理와 主氣로 구분하여 이이와 이황의 문제의식을 절충하려 했던 반면, 호학파는 이황의 互發論을 적극적으로 부정하면서 낙학파식의 구분에 반대하고 사단의 不中節을 강조하는 등 사단과 칠정의 구분을 무력화시킴으로써 이황과 대립각을 날카롭게 세웠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낙학파가 이이의 주장에서 理의 무력화 가능성을 발견하고 이를 보완하려는 의도에서 출발한 반면, 호학파는 이황의 주장에서 드러나는 주체의 선한 가능성에 대한 강조에서 주체의 방종과 객관 규범의 상대화의 위험을 감지하고 이를 저지하는 것을 과제로 삼았던 차이에 기인한 것이었다. This article intends investigating debate on the Four-seven inside Yulgok School in 17th and 18th century Chosun. For that aim, the author identifies the main agenda of the debate based on the discussions between Yi Hwang and Gi Daesung, and between Yi yi and Seong Hon. The article then proceeds to grasp the development of the debate in Yulgok School by reviewing theories on the Four-seven of Cho Seong-gi, Yim Young, and Kim Chang Hyeop of Rakhak sect and the opposite one of Han Wonjin of Hohak sect. It is natural to assume that the above theorists might have taken identical attitudes toward the Four-seven debate because of their belonging to the Yulgok School, even though their attitudes toward Horak debate was different to each other. Two different attitudes toward the Four-seven debate can be identified in the Yulgok School, however; the one being a strengthened version of Yi Yi’s position, and the other being eclectic version of Yi Hwang ‘s and Yi Yi’s position. In the process of discussion in this article, it becomes clear that these two attitudes coincide with Horon and with Nangnon, respectively. This conclusion suggests that to review the Four-seven debate among the above theorists will contribute to a further understanding of the transformations of major philosophical problems occurred since the 16th century, and of diversification of various sects and theorists inside the Yulgok Schoo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正典’ 만들기의 한 사례, 『栗谷別集』의 편찬과 그에 대한 비판들

        김태년(Kim, Tae-neon) 한국고전번역원 2014 民族文化 Vol.43 No.-

        이글은 李珥(栗谷, 1536∼1584)의 저작집인 『栗谷全書』, 그중에서도 특히 그의 언행록인 『栗谷別集』의 편찬과 그에 따른 논란을 살펴봄으로써 李珥의 학설을 둘러싸고 그의 후학들이 대립하여 분화하는 과정을 추적해보려는 것이다. 李珥의 학문적 업적을 정리하는 사업은 成渾이 편찬을 주도한 『栗谷集』 발간(1611), 朴世采에 의한 『外集』(1682), 『續集』(1682), 『別集』(1686) 발간, 그리고 양자의 작업을 기반으로 진행된 李縡에 의한 『栗谷全書』 편찬(1744), 洪啓禧에 의한 『栗谷全書(拾遺 포함)』(1749) 발간 등의 과정을 거쳐 이루어졌다 할 수 있다. 그 과정에서 朴汝龍 등의 海州 제자들과 金長生 등의 서울 제자들 사이의 신경전, 成渾-尹宣擧 학맥과 李珥-金長生 학맥을 기반으로 한 朴世采와 宋時烈의 대립이 불거졌으며, 이는 이미 진행되고 있던 학파의 분화가 반영된 것이자 이를 통해 분화가 촉진되었다. 특히 『栗谷別集』을 둘러싸고 벌어진 宋時烈과 朴世采의 대립은 학파뿐 아니라 老論과 少論이라는 정파의 분화가 반영된 것이었으며, 宋時烈의 再傳弟子인 韓元震의 『栗谷別集』에 대한 비판 속에는 훗날 栗谷學派의 헤게모니를 두고 맞붙게 되는 ‘湖洛論爭’의 불씨가 잠재되어 있었다. This paper will examine the process of compiling the Supplementary Work of Yi I(Yulgokbyuljip 栗谷別集), which records his words and deeds in the Complete Work of Yi I(Yulgokjeonseo 栗谷全書), and review the debates on it. By doing these, I will analyze how Yulgok School has been divided by his followers advocating different aspects of Yulgok’s theories. Yi I(李珥)’s academic achievements had been organized by his friends and disciples as follows: Song Hon(成渾) compiled the Work of Yulgok(Yulgokjip 栗谷集, 1611), Pak Se-ch’ae(朴世采) the extra work(Yoijip 外集, 1682), sequel (Sokjip 續集, 1682), and supplementary one(Byuljip 別集, 1682). Based upon these two compilations, Yi Jae(李縡) compiled the Complete Work of Yulgok (Yulgokjeonseo 栗谷全書, 1744), and Hong Kye-hi(洪啓禧) published another version of his Complete Work(Yulgokjeonseo 栗谷全書, 1749). In the process of Compilation, students of Haeju(海州) like Pak Yo-ryong(朴汝龍) and those of Seoul like Kim Jang-saeng(金長生) strike sparks off each other. And after than there was a deep conflict between Pak Se-ch’ae(朴世采) who is derived from Song Hon(成渾), Yun Son-geo(尹宣擧) line, and Song Si-yol(宋時烈) who belongs to Yi I(李珥), Kim Jang-saeng(金長生) line. These accelerate division of Yulgok School. Especially, the conflict between Pak Se-ch’ae(朴世采) and Song Si-yol(宋時烈) surrounding the compilation of the supplementary work reflects not only academic bifurcation of the School, but also political division between Noron(老論) and Soron(少論) factions. And one of the second-generation students of Song Si-yol(宋時烈), Han Won-jin(韓元震)’s criticism of the Supplementary Work has a latent source to raise Horak(湖洛) Controversy that fights for the Hegemony of Yulgok School.

      • KCI등재

        한국사상(韓國思想)(철학(哲學)) : 박세당의 『사변록』 저술동기와 「대학」 본문 재배열 문제에 대한 검토

        김태년 ( Tae Neon Kim ) 한국사상문화학회 2010 韓國思想과 文化 Vol.51 No.-

        본 연구는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 1629-1703)의 『대학사변록(大學思辨錄)』을 둘러싼 쟁점 중 저술 동기와 『대학』 본문의 재배열 문제를 검토하려는 것이다. 그동안 박세당은 조선 후기 탈주자학적 경향을 보인 대표적인 학자로 평가받았으며, 그 근거는 『사변록』이었다. 그 중에서도 주희(朱熹)의 『대학장구(大學章句)』에 대한 비판이 담긴 『대학사변록』은 주희의 학문체계를 벗어나는 박세당의 사상적 특징이 잘 드러난 텍스트로 여겨졌다. 『사변록』에 대한 해석은 크게 보아 2차례에 걸쳐 이루어졌다. 1차는 숙종대 벌어진 노론과 소론 간의 시비 과정에서 나온 `사문난적(斯文亂賊)`이라는 평가였고, 2차는 근대 이후 연구자들에 의해 이루어진 `탈주자학`이라는 해석이다. 본고에서는 당대 학자들과 근대 이후 연구자들의 견해를 함께 살펴보면서 『대학사변록』을 둘러싼 쟁점을 추출하고, 우선 저술 동기와 『대학』 본문 재배열의 문제를 검토하여 `사문난적`과 `탈주자학`이라는 해석의 타당성 여부를 따져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기존의 연구와는 달리, 『사변록』의 저술동기와 『대학』 본문의 재배열은 박세당을 `사문난적`으로 몰거나 `탈·반 주자학자`로 평가할 근거가 될 수 없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motif and the rearrangement of contents of The Great Learning in Daehak Sabyeonrok(大學思辨錄, Treatises on the Great Learnig) written by Park Sedang(朴世堂, 1629-1703). Park has been considered as the representive of post Neo-Confucianist stance in late Joseon period. Such evaluation was based on the estimation of Sabyeonrok, and especially a part of Sabyeonrok, Daehak sabyeonrok, which was a ciriticism against ZhuXi`s Exegesis on Great Learning(大學章句), has been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and exemplar work reflecting such stance. Evaluation of Sabyeonrok bore two stages in history. The first one was to evaluate his work as belonging to `Samunranjeok`, and presented in the course of the series of debate between Noron and Soron in the time of Sukjong. The second one was assessing the work as one of post Neo-Confucianism, and suggested by modern academics. In this article, the author tried to clarify and re-assess the issues concerning Joseon scholars and the contemporary academics`s evaluation of Daehak sabyeonrok, and then proceeded to analyse the motif of the work and the aspects of rearranging The Great Learning in it, mainly focusing on the validity of hitherto evaluation of the work as Samunranjeok or as the one of post Neo-Confucianist stance.In sum, the author concluded that, far from the hitherto evaluation of Sabyeonrok, the analysis of the motif and the rearrangement of The Great Learning in the book shows that Sabyeonrok cannot be an evidence of Park`s being Samunranjeok or being post Neo-Confucianist.

      • KCI등재

        일반논문 : 남당 한원진 사상의 배경과 형성 과정

        김태년 ( Tae Neon Kim ) 한민족문화학회 2007 한민족문화연구 Vol.20 No.-

        본고에서는 한원진(韓元震: 1682~1751)의 사상이 형성된 배경과 과정에 대해 텍스트 안에 드러난 그의 시선을 따라 추적해 보고자 한다. 조선 후기의 유학자 한원진이 활동했던 17~18세기의 조선은 양란 이후 흩어진 민심을 수습하고 명(明)의 멸망으로 인한 중화 질서의 붕괴에 따른 혼란을 극복해야 할 상황이었다. 이 시기에 사대부의 집안에서 태어나 정치적으로 노론(老論) 입장을 견지했으며, 학문적으로 율곡학파의 전통을 이었던 한원진은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의리(義理)를 밝혀 정치적 혼란을 청산하고 각종 개혁책을 추진하는 한편 조선이 순정한 주자학의 나라로 거듭나서 중화(中華)의 참된 계승자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그가 보기에 당시 많은 지식인들은 이단에 물들어 이러한 시대의 요구를 외면하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그는 철저한 이단 비판을 통해 ``정학(正學)``을 구축하는 것을 자신의 소명으로 여겼다. 정치가가 아닌 학자의 길을 걸었던 그는 바로 이 사상 투쟁이야말로 자신이 담당해야 할 역할이라고 판단했던 것이다. 이에 따라 그는 명을 멸망의 길로 이끈 주범이라고 판단한 양명학, 그리고 그가 몸담았던 율곡학파의 극복 대상이었던 이황(李滉)의 학설을 비판하고, 율곡학파 내부에서 양명학이나 이황의 학설과 유사한 경향을 보이는 학자들[洛學派]과 평생에 걸쳐 논변하면서 자신의 사상을 구축해 나아갔다. 그것이 바로 "공자-맹자-주희(朱熹)-이이-송시열-권상하"로 이어지는 ``도통(道統)``을 제대로 계승하고 ``정학``을 확립하는 길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The author aims at clarifying the foundation of late Joseon(朝鮮) scholar, Han Won-jin(韓元震, 1682~1751)`s thought. Han considered himself as a guardian of ``seoin noron(西人老論)`` school in Korean Neo-confucian tradition in which Yi Yi(李珥), Song Si-yeol(宋時烈), and Kwon Sang-ha(權尙夏) had been major protagonists. His activities enforcing orthodox Neo-confucianism, clearly expressed in his "Juja-eonron-dongigo (朱子言論同異攷)", and of attacking other schools and ``heresies`` affected much the academic and political atmosphere in late Joseon period. Joseon in the 17th and the 18th century faced the problem of overcoming chaotic situation caused by the decline of Ming(明) Empire and two major wars with Japan and Qing(淸). Especially, the urgent problem for Joseon intellectuals was to establish identity of their state in the circumstances which was seen as replacement of traditional Chinese civilization centered world order with barbaric one. In that period, they were accepting the learning of Yangming based on deepened 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of Chuhsi. This was not simple acceptance of the former, however, because most of them criticized the learning of Yangming as major reason of the weakening of Ming Empire. What matters to them was to absorb the questions suggested by Yangming School and furthering the learning of Chuhsi to be adapted to new era of barbaric world order. Under these circumstances, Han insisted that Joseon should become the heir to the Chinese civilization and the learning of Chuhsi`s tradition, and that, to stabilize the life of populations in Joseon, strengthening national defense and political and economic reform are necessary. Fulfilling these goals was to be done by getting rid of factional conflict in his country, and Han`s answer for removing the factional conflicts was to root out his antagonists, which were nothing but heresies to his eyes, once and for all. ``Noron``, to which sect Han belonged, should be the only gunja(君子) in Joseon for stabilizing the country; the stance being right opposite to the King Yeongjo(英祖)`s policy of ``Tangpyeong(蕩平)``. One important field of the campaign against the antagonists was developed at intellectual front, and, as Han was lifelong scholar who was not actively participated in political matters, it was natural for him to devote himself to the struggle at this front. He characterized the intellectual struggle as the one between the orthodoxy and the heresy, he himself belonging to the former, in his view. Then, what separates the heresy from the orthodoxy? Han thought the key was at understanding the relationship between ``li(理)`` and ``gi(氣)``, and between ``sim(心)`` and ``seong(性)``. He criticized the learning of Yangming and the Yi Hwang(李滉) school`s ``hobalron(互發論)`` and the Kim Chang-hyup(金昌協) school`s ``nangnon(洛論)``. He was against any intellectual trial being able to enfeeble the absolute and unchangeable characteristics of ``li``. This stance led to his criticizing of ``hobalron`` and ``simseong-ilchiron(心性一致論)``, based upon his defense of the theory of ``gibalriseung-ildo(氣發理乘一途)`` and the principle of ``seong-jeung-ni, sim-si-gi(性卽理, 心是氣)``.

      • KCI등재
      • KCI등재후보

        16世紀 朝鮮 性理學者들의 陽明學 批判 硏究

        金太年 한국사상사학회 2002 韓國思想史學 Vol.19 No.-

        I shall not only investigate some issues why Neo - Confucian in the 16th century of the Chosoˇn have criticized the learning of Yangming but also examine relevance of their arguments. At first, I will describe a process of importing the learning of Yangming from China and then look at both learning of Zhu Zi and Yangming in terms of their main issues. Moreover, I will examine how they try to solve problems that both learning of Zhu Zi and Yangming have and focus on the literati's critical response to the learning of Yangming. In a sense. the Neo- Confucian in the Chosoˇn dynasty also sympathize with the learning of Yangming because the learning of Yangming shares the same starting point with that of Zhu Zi. Criticizing moral cultivation and mind - nature theories of the learning of Yangming, Neo - Confucian in the Chosoˇn warn possibilities that scholars may deny investigations of things or devote themselves to do meditation as a result of identifying objective norms with human mind. It seems that there are some Problems because this criticism does not focus on Yangming's own intention. They make misunderstanding of the learning of Yangming by analyzing the learning of Yangming in the light of Zhu Xi's perspective. On the other hand, the Neo - Confucian try to solve a problem that are presented by Yangming, a practical unity between subject and the objective law. within the theoretical category of Zhu Xi. Consequently, the criticism raised by the Neo - Confucian in the16th century of the Chosoˇn shows us possibility that can elucidate the problem of Yangming in the context of the learning of Zhu Zi even though their criticism has still some limitations in the detailed argu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