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CCR 역량 프레임워크 개발 준거를 활용한 OECD 학습 프레임워크 분석의 시사점 탐색

        김정효 ( Kim¸ Jeonghyo ),유창완 ( Yu¸ Changwa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6

        본 연구는 OECD 2030 학습 프레임워크 분석을 통해 차기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의 역량 개발 방안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제기구 및 국가별 교육과정의 역량 프레임워크의 개발 배경 및 목표, 역량 프레임워크의 구조 및 요소를 살펴보았다. 또한 CCR 프레임워크 개발 시 적용한 다섯 가지의 준거에 따라 OECD 학습 프레임워크를 중점적으로 분석하되, 타 국가의 역량 프레임워크와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OECD 학습 프레임워크에서의 역량은 국가별 역량에 비해 비교적 포괄적으로 제시하고 있고, 간결성 측면에서는 국가별 역량에 비해 미흡하다. 국가별 역량과 마찬가지로 중복성은 높은 편이고, 추상성의 수준은 적절하지만 개선이 필요하며, 전 세계적 유의미성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차기 국가 교육과정에서는 역량 프레임워크의 구조화를 위해서 CCR 개발 준거에 기초한 역량 프레임워크를 개발할 필요가 있으며, OECD Education 2030 연구의 긍정적 요소인 OECD 학습 프레임워크의 신생 역량 및 역량의 위계화 방식을 차기 교육과정에 반영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ways to develop competencies pursued in the next national-level curriculum through an analysis of the OECD 2030 Learning Framework. To this end, the backgrounds and goals of development of competency frameworks of international organizations and national curricula, and the structures and elements of competency frameworks were examined.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five criteria applied in the development of the CCR framework(Comprehensive, Compact, Uncorrelated, Appropriate Layer of Abstraction, Globally Relevant), the OECD learning framework was mainly analyzed, but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ompetency frameworks of other countrie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competencies in the OECD learning framework are presented more relatively comprehensively than the competencies of other national frameworks(Comprehensiveness). In terms of Compactness, they are insufficient compared to the competencies of other national frameworks. Redundancy is high(Uncorrelatedness). The level of abstraction is appropriate but is in need of improvement(Appropriate Layer of Abstraction). The Globally Relevance is high. The study proposed to structuralize a competency framework for developing the next national curriculum based on the CCR development criteria. Furthermore, the emerging competencies and the hierarchical methods to structuralize the competencies applied in the OECD Learning Framework need to be considered.

      • KCI등재

        과학과 예술의 융합에 기초한 STEAM 교육의 가능성과 과제

        김정효(Kim, Jeonghyo),안도 쿄우이치로(Ando, Kyoichiro) 한국미술교육학회 2013 美術敎育論叢 Vol.27 No.1

        창조적 사고력을 갖춘 인재 육성과 전인교육을 추구하는 STEAM 교육은 종래 STEM 교육에 Arts 를 포함시킴으로써 과학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한다. STEAM 교육은 이상적인 교육 이념을 실현하고자 하나, 한편으로 학교 교육과정에서 그 이념을 어떻게 구체화할 것인가는 미해결의 과제로 남아 있다. 또한, STEAM 교육은 과학 중심의 STEM 교육을 발전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으므로 예술 교육의 의의를 충분히 이해하지 않은 채, 과학 교육을 보완하고 충족시키는 역할로 한정 짓는 가능성이 있다. 본고에서는 한국에서 실험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STEAM 교육의 교육과정/프로그램 편성과 수업 구상의 장연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수업의 구상에서 어떠한 방식으로 교과 융합의 이념을 구상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검토의 결과, 첫째, 현재 구상된 STEAM 교육은 교육 이념에서 수엽 구상의 단계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커다란 불일치가 발생하고 있다. 둘째, 교과 융합이란 학습 내용의 융합이 아닌, 각 교과의 연계로서 구상되고 있다. 셋째, 미술 교육은 과학적 사고를 최종적으로 표현하는 도구로서의 위상으로 설정되어 있다. 이러한 검토 결과를 토대로, STEAM 교육에서 미술 교육이 충분히 이해되지 않은 채 수업 실천이 이루어지는 배경을 현상학의 관점에서 고찰하고, 새로운 STEAM 교육의 가능성을 탐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STEAM education alms at educating creative and well-rounded citizens. Originally it started with an effort of reforming science education by integrating arts into STEM education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cience education which has focused too much on the acquisition of knowledge and skills. STEAM education has been faced with some challenges in its initial stage. One of the challenges is about how to putting the ideals into school curriculum even though STEAM education was intended to realize the educational ideals. the other is about the fact that STEAM educational practices have been implemented without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authentic values of the arts in STEAM education: the roles of the arts can be acknowledged merely as supplementary for the limitations of science education. This study examined how STEAM educational ideals of fusing artistic ways of thinking into the other subjects of STEAM have been represented in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The finding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considerable inconsistency occurred between its educational ideals and practices: second, the integration of subjects has been misunderstood not as integration of learning contents. but as a mere combination of subjects: third. art education has been expected to play an instrumental role for sustaining the achievement of science education.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t proposed new ways to explore possibilities of STEAM education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backgrounds in which STEAM practices have been being implemented without understanding of the reason the arts need to be integrated into STEAM education from a phenomenological point of view.

      • 기상 상황에 강인한 적외선 영상 개선을 위한 학습 쌍이 필요 없는 도메인 변환

        김정효(Jeonghyo Kim),노용만(Yong Man Ro) 대한전자공학회 2019 대한전자공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11

        Infrared based camera can capture images that spatially distributed wavelength in the infrared band. So images can be obtained even when the visible ray based camera is not working. Infrared image is used in many fields such as national defense, disaster response, aviation, satellite that are closely related to human life. However, since infrared radiation is absorbed and scattered by water vapor components in the atmosphere, it is very difficult to obtain clear infrared images in inclement weather conditions such as haze and rainfall. Given the role and weakness of infrared based equipment, obtaining clear infrared images that are less affected by weather conditions is very important. Previous studies has limitations that need clear image of the same scene in training phase.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improve the single infrared image by eliminating fog to solve the above problem. Using generators that receive images from one domain and generates images of another domain, discriminators that determine the domain of the generated images, and a perceptual feature extractor that takes into account cognitive characteristics, we can convert blurry images into clearer images without using image pairs for exactly the same scene on cloudy and sunny days. In order to verify the proposed method, experiments using real infrared images taken on cloudy and sunny days have been carried out and the proposed method is confirmed to obtain clear infrared images from the infrared images taken in inclement weather conditions.

      • KCI등재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 개발: 브뤼노 라투르의 ‘대칭성’과 ‘번역’의 의미를 바탕으로

        김정효(Jeonghyo KIM),강주희(Joohee K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2 造形敎育 Vol.- No.84

        본 연구는 브루노 라투르의 대칭적 인류학의 핵심 개념인 ‘대칭성’과 ‘번역’의 의미를 바탕으로 환경 문제에 대한 생태학적 접근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미술교육에서 이를 실천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운드스케이프의 개념과 주요 작품들을 바탕으로 미술교육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를 활용한 프로그램을 제안하 였다. 사운드스케이프는 생태학적 세계관을 바탕으로 기술 융합을 통해 소리를 채집하고 분석하여 환경에 대한 새로운 인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감각적·미적 체험을 제공한다. 사운드스케이프를 활용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소리 탐색을 통한 환경과의 관계성에 대한 인식과 더불어 소리의 시각화와 재구성의 과정을 통해 행위자로 환경의 변화에 예민하게 반응하고 감정 이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주어 생태적 감수성을 형성하도록 도와준다. This study discusses the necessity of an ecological approach to environmental issues based on the essential concepts of 'symétrique' and 'translation' in Bruno Latour's symmetrical anthropology and develops soundscape program as a way to practice them in art education. To this end, the concept of soundscape is decribed and the works of soundscape are analyzed. Soundscape, based on ecological worldview, provides synesthetic and aesthetic experiences by collecting and analyzing sounds through technology convergence to enable new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The art education program using soundscape provides an opportunity to react sensitively to changes in the environment and to empathize with the environment as an actor through the process of visualizing and reconstructing sound as well as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 through sound exploration, provides an opportunity for actors to react sensitively to and empathize with changes in the environment, helping to form ecological sensitivity.

      • KCI등재

        국가 수준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 체계 재구조화 방안 : 캐나다 B.C.주 시각 예술 교육과정 설계 모델의 분석을 중심으로

        김정효(Jeonghyo KIM),강주희(Joohee K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8

        본 연구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반성적으로 고찰하고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이해 중심 교육과정 이론에 근거하여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 체계구성의 적절성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개념 중심 교육과정에 근거한 캐나다 브리티시 컬럼비아 주 (British Columbia, 이하 B.C.)의 시각 예술 교육과정을 선정· 분석하여 차기 미술과 교육과정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미술과의 독자성을 확보하고 교과의 성격을 명료 하게 보여줄 수 있는 내용 체계를 구축하고, 학년 군별 빅 아이디어를 제시하되, 학습이 반복 심화될 수 있는 나선형 교육과 정으로 전체 미술과 내용을 체계화하고 내용 요소 간 연계와 위계를 구조화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system of the 2015 revised national art curriculum and to explore ways to improve it. To this end, we critically reviewed the appropriateness of the 2015 revised art and curriculum content system based on understanding by design theory and analyzed visual arts curriculum in British Columbia, Canada which was developed based on the concept-oriented curriculum. As a result, a content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to clearly show and secure the identity of art subject by systematizing the entire art curriculum content as a spiral curriculum. It could make learning repetitively deepened and linkages and hierarchies between elements of curriculum content could be structured.

      • KCI등재

        OECD Education 2030 학습 프레임워크 내용 맵핑(CCM: Content Curriculum Mapping)을 통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 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과 진로 선택과목에 대한 비판적 검토

        김정효(Jeonghyo K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0 造形敎育 Vol.0 No.74

        OECD가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The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1차 연구에서는 학습 프레임워크(학습 나침반)가 개발되었고, 7개 교과 영역에 대한 국제 수준 교육과정의 내용 맵핑이 이루어졌다. 2022년 현재, 이 학습 프레임워크를 근거로 교수·학습 및 평가의 실질적인 방법을 도출하는 2차 연구가 수행되고 있다.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목적은 상호협력과 융합적 사고가 강조되고 있는 21세기에 필요한 역량을 갖춘 시민을 육성하기 위한 교육 체제로 전환하는 데 실질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공통의 학습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20년 고교학점제 도입을 앞두고 학생의 진로 탐색과 진로 준비를 위한 미술과 진로 선택과목인 『미술 창작』 및 『미술 감상과 비평』이 기초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을 대상으로, OECD 학습 프레임워크의 역량 반영 경향성을 파악하여 진로 선택 교육과정의 개선 방안을 탐색하고자 CCM을 실시 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두 과목 모두 학습 프레임워크 역량의 반영 범주 및 수준이 매우 낮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 창작』은 미술 분야의 실기, 『미술 감상과 비평』은 미술 분야의 이론의 학습에 편중되어 있다. 사회 및 미술 분야에서 통섭으로의 변화를 수용하고, 학생의 진로 탐색 및 준비라는 과목의 목표가 반영될 수 있도록, 이론과 실기라는 과목 구분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 셋째, 지성적 예술인으로서 미래의 삶을 성공적으로 살아가고 사회의 웰빙을 위해 참여할 수 있는 역량 육성 을 위해서, OECD 학습 프레임워크의 역량을 미술과 진로 선택과목에 녹여내는 방안의 검토가 필요하다. The OECD s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was undertaken in primary research from 2015 to 2019. In the first stage of the study, a learning framework consisting of 28 future competencies was developed, and analyses of the international level curriculum were conducted for seven subject areas. As of 2020, its’ secondary research is being conducted to derive practical methods of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based on this learning framework. The purpose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is to provide a common learning framework that provides a practical direction for the transition to an education system for nurturing competent citizens in the 21st century, where mutual cooperation and convergent thinking are emphasized.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subjects of the 2015 revised visual art curriculum, “Art Creation” and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which are provided for students career exploration and career preparation ahead of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2020. CCM(Content Curriculum Mapping)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degree of competency reflection and explore the ways to improve national curriculum for the career elective course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both course, the reflection category and level of the competencies in the learning framework appeared to be very low. Second, 『Art Creation』 focuses mainly on the practices of art, and “Art Appreciation and Criticism” focuses mainly on learning concepts and theories in art. It is necessary to review the subject division of theory and practice so as to accommodate changes in social and art fields and to reflect the goals of the subjects such as student exploration and preparation. Third, in order to foster the ability to successfully live a future life as an intelligent artist and participate in the well-being of socie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how to reflect the competencies of the OECD learning framework in art and career elective courses.

      • KCI등재

        The Art Education Philosophy Of June King McFee : Centering on Multicultural and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Community-based Environment Art Education

        Kim, Jeonghyo(김정효) 한국미술교육학회 2010 美術敎育論叢 Vol.24 No.2

        본 연구는 미국의 미술교육학자 맥피의 미술교육철학을 다문화, 시각문화와 공동체 기반 환경 디자인 미술 교육의 관점을 중심으로 고찰하고 오늘날 미술교육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미술이라는 개념에 대한 도구적 정의-미술은 문화적 커뮤니케이션 시스템이다-는 맥피의 미술교육철학의 근간이며, 미술의 형식은 그 사회의 문화, 즉 사회적 관습, 신념, 태도, 그 시대의 생각을 반영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미술의 형식에 내포되어 있는 가치체계와 신념을 이해함으로서 그 사회와 문화를 이해하게 된다. 맥피의 미술의 개념은 19 세기 서구 사회에 만연했던 엘리트주의에 의한 미술의 개념에서 탈피하여 대중문화, 민예, 그리고 대중 매체까지 수용하는 미술의 개념으로 확장시켰다. 맥피의 미술교육철학을 다문화사회에서의 공동체 기반 환경 미술 교육, 미술교육에서의 지각 발달을 위한 교육의 중요성, 그리고 시각문화미술교육에 대한 맥피의 다문화적 접근의 영향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맥피의 다문화미술교육 사상은 다양한 문화가 생성되고 유입되고 있는 한국 사회 상황과 학생들의 정체성 함양을 위하여 공동체 기반 미술 교육의 중요성을 미술교육자들이 인식하고, 미술교육과정의 주요한 주제로서 다루어야 할 것을 제안한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art education philosophy of June King McFee and explore the implications for contemporary art education. The instrumental definition of art-art is a cultural communication system- is an underpinning concept of McFee's art education philosophy. McFee noted that the art form reflects on customs, beliefs, thoughts, and attitudes of the society. One can understand the society and culture through learning the value systems and beliefs symbolized by art forms. The concept of art of McFee extended the boundary of art from limited in Western fine arts to inclusive of popular arts, folk arts, and mass media. The art education philosophy of McFee was examined, centering on multicultural, community-based environment education, the importance of perceptual readiness for art, and the influence of multicultural views of McFee 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Exploring McFee's art education philosophy provides an implication that art educators should be aware of the influx and emergence of diverse cultures in today's Korean society, and develop an art education curriculum in which diverse values and aesthetics are integrated.

      • KCI등재

        국가 수준 미술과 교육과정의 OECD 역량 반영 분석: 초・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내용 맵핑(CCM: Content Curriculum Mapping) 을 중심으로

        김정효(Jeonghyo KIM),김해경(Haikyung K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19 造形敎育 Vol.0 No.71

        OECD는 DeSeCo 프로젝트의 후속 연구로서, 2015년부터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The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있다. 현재 1차 연구의 결과로, 7개 교과 영역에 대한 국제 수준 교육과정 분석이 마무리 된 상황이다. 1차 연구에서 미술 교과에서는 ‘OECD 2030 학습 프레임워크 분석틀’에 CCM 방법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공통 교육과정인 2015 개정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OECD 학습 프레임워크의 역량 반영 정도를 파악하고, 중학교 교육과정과의 연계성을 살펴본다. 연구 결과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통 교육과정의 ‘성격’, ‘목표’, ‘교수·학습 및 평가의 방향’에서는 주로 ‘성격’의 미술 교과 역량에서 OECD 역량이 명시되고 있었다. 미술 교과 역량 중, ‘미적 감수성’을 제외한 네 개 역량은 대부분의 OECD 역량들과 관련성이 깊게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은 OECD 역량들 중 7개 역량이,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에서는 11개 역량이 주로 반영되어 있었다. 학교급이 높아질수록 역량의 수가 증가되고, 강조되는 역량의 종류와 수준이 다르게 나타났다. 셋째, 미술과에서 중요한 역량임에도 불구하고, 중학교급에서 비중이 낮아지는 역량인 ‘문식성’, ‘학습에 대한 학습’, ‘실행’, ‘반성’ 등의 반영 비중을 높이는 것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넷째, 개인의 행복과 공동체 사회의 복지를 위해 요청되는 기능, 가치, 태도의 정의적 영역의 역량들이 교육과정에 비중 있게 반영되어야 한다. 다섯째, 현대 디지털 사회에서 실제로 ICT 기술 활용 능력을 활용하여 창의적 소통을 하기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가 초등학교급에서도 비중 있게 반영되어야 한다. As a follow-up study of the DeSeCo project, OECD has implemented a study on ‘future of education and skills’ from 2015, “The OECD Education 2030.” In the study, the OECD 28 competencies were selected, and the seven common areas for visual art subject were extracted by analyzing the OECD countries’ national art curriculum.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OECD 28 competencies are reflected in the Korean 2015 Revised Art Curriculum in the primary and secondary level and how the Art Curricula are interconnected with each other. The mapping results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research were derived as follows: First, most of the OECD competencies are mainly articulated in the Introduction,‘among the aspect of ‘Introduction’, ‘Goal’, and ‘Direc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Practices and Evaluation.’ Of the art subject competencies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excluding aesthetic sensitivity , are closely related to most OECD competencies. Second, 7 competencies of OECD competencies are reflected in the elementary art curriculum and 11 competencies in middle school level. The higher the school level, the greater the number and higher the level of competencies and emphasized the different competencies. Third, it is necessary to discuss the importance of ‘Literacy’, ‘Learning to learn’, ‘Action’, ‘Reflection.’ Fourth, the competencies of the affective areas of ‘Function, value, and attitude,’ which are indispensible for individual happiness and welfare of community society should be reflected in a great deal. Fifth, Digital Literacy for interaction based on ICT technology literacy should be reflected in primary school level as well as in secondary school level.

      • KCI등재

        백남준의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예술에 담긴 인본주의에 대한 고찰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의 ‘대칭성(symétrique)’을 중심으로

        김정효(Jeonghyo KIM)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79

        프랑스의 과학사회학자이자 과학철학자 브뤼노 라투르(Bruno Latour)는 인간과 기술로, 자연과 문화로, 주체와 객체로 이분 법적으로 분리하던 근대 이전의 회귀해야 인본주의를 회복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그는 인간과 비인간을, 자연과 사회를 구분함으로써 기후변화, 환경오염, 정치와 경제의 양극화, 인간성의 소외 등 수많은 문제가 야기되었다고 보았다. 이에 비인 간의 행위성을 인정하고 인간-비인간의 연결망 으로 세상을 바라보아야 한다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며, 문제 해결의 방법론 으로서 행위자-연결망 이론(Actor-Network Theory, ANT) 을 제안하였다. ANT에서 인간과 비인간의 연결망 , 이 둘의 관계는 대칭성(symétrique) 을 지닌다. 인공지능의 시대를 살아가는 오늘날의 예술가들은 새로운 매체에 도전하고 끊임없이 실험하면서 인간과 기계의 관계에 대한 다양한 잠재 가능성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의 인공지능 기반 예술의 모태이며 프로토타입이라 할 수 있는 백남준의 사이버네틱스 예술에 담긴 미학을 라투르의 ‘대칭성(symétrique)’의 관점에서 검토하고, 이를 통해 예술과 사회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였다. Bruno Latour, French sociologist and philosopher of science, claimed that humanism can only be restored by returning to the pre-modern period, that is, before the dichotomous separation into humans and technology, nature and culture, and subject and object. He believed that by separating humans from non-humans and nature from society, numerous problems such as climate change, environmental pollution, polarization of politics and economy, and alienation of humanity have been caused. Latour proposed the Actor-Network Theory (ANT) , which should recognize the agency of non-humans and view the world through the network between human and nonhumans. And in the network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in AN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is characterized of symétrique . Even today s artists living in the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re challenging new media and constantly experimenting, showing various potentials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machines. In this study, the aesthetics of Nam June Paik s cybernetics arts, which can be said to be the birthplace and prototype of today s artificial intelligence-based arts, were reviewed from the perspective of Latour s core concept, symétrique of ANT, and through this, the implications were explored.

      • KCI등재

        미술과에서 소재 탐색 및 소재의 재료화를 위한 교수법적 접근 : 우치노 츠토무의 소재론과 실천을 중심으로

        김정효(Jeonghyo KIM),강주희(Joohee KANG) 한국조형교육학회 2021 造形敎育 Vol.- No.80

        본 연구는 현대 미술교육 연구에서 소외되어온 ‘소재’를 재조명하고 소재에 대한 교육적 접근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수행되었 다. 이를 위해 소재의 개념과 우리나라 미술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소재의 의미를 분석하고, 교육적 접근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우치노 츠토무(内野 務)의 소재론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그가 제시한 수업 설계를 위한 실질적 지침으로서, 소재 탐색 접근과 재료화로의 접근에 대해 논의하였다. 현장 적용을 위하여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소재로서의 수채물감 탐색 수업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소재 탐색은 소재의 특질을 연구하면서 자신만의 표현 언어를 발견해 가는 과정이며, 소재의 재료화는 소재의 특질을 활용하여 하나의 완성된 이미지를 구성하는 것이라 정의할 수 있었다. 이를 위해서는 소재 탐색과 재료화를 위한 충분한 시간이 주어져야 하며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한 교수자의 언어표현 및 역할이 중요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examine the raw materials that have been relatively neglected in contemporary art education research and to seek educational approaches to raw materials. To this end, the concept of raw materials and the meaning of materials in Korean art education curriculum were analyzed, and the raw materials theory of Tsutomu Uchino was examined to explore a substantial educational approach framework. In order to practically understand and apply the process of exploring raw materials and materialization process suggested by him, we conducted a class for pre-service art teachers to study watercolor as a raw material. As a result, material exploration is a process of discovering one s own language of visual expression while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a raw material, and materialization of a raw material can be defined as composing a complete image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raw material. For this, sufficient time should be given for material exploration and materialization, and the role of the instructor to induce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is importa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