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학생, 교사, 학부모의 교육정보화 수준 측정 지표 개발 및 준거 설정

        김자미,김홍래,김현철,김정훈,Kim, Ja-Mee,Kim, Hong-Rae,Kim, Hyeon-Cheol,Kim, Jung-Hoon 한국정보교육학회 2009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3 No.2

        This study has developed indicators and criteria for measuring educational informatization level of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with regard to the national educational policy. The criteria for indicator of each group are also set up. A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first, 4 areas, 10 elements, 24 sub-indicators are generated as the result of development of indicator for level measure of educational informatization. And different weights are established for each area, element and sub-indicato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ategory. Second, generated criteria are evaluated by specialists based on the indicator of education informatization and on a scale of 100. The criteria for students are evaluated to be 80.64, the criteria for teachers to be 80.90 and the criteria for parents to be 76.52 which was found to be the lowest. Therefore, this research was completed to determine which aspect should be supported more intensively when setting the directions of future educational informatization.

      • KCI등재

        교과교육의 측면에서 본 정보교과의 정체성에 대한 고찰

        김자미,이원규,Kim, Ja-Mee,Lee, Won-Gyu 한국정보교육학회 2010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14 No.2

        교과의 정체성은 해당 교과에 내포된 교육적 가치에 대한 다양한 정당화를 통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정보교과는 기초학문으로서 필요의 극대화에도 불구하고 교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지 못하고 있는 면이 적지 않다. 특히 개정교육과정에서는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정작 학교 교육에서는 외면당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정보교과의 교과교육으로서 가치를 컴퓨터과학교육의 측면에서 논의하였다. 그리고 컴퓨터과학교육의 특성을 토대로 교과로써 가치와 목적에 대한 교육적 성찰을 제공하였다. The identity of a subject could be established by justifying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subject from various angles. Despite the huge necessity of information subject as one of basic disciplines, it cannot be said that the subject is considered valuable as a school subject. Even though that is selected as part of the revised curriculum and has textbooks of its own, it's actually disregarded in school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iscuss the value of information literary subject as part of academic education in conjunction with computer science education, and to shed light on the value and objects of it as a school subject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puter science education.

      • KCI등재

        해외 이러닝 품질관리 동향 조사 분석

        김자미(Ja-Mee Kim),김창수(Chang-Soo Kim),이원규(Won-Gyu Lee) 한국콘텐츠학회 2010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0 No.7

        이러닝 품질관리는 정보화 시대의 교육에 대한 책무성의 하나로 양적 팽창 보다는 질적 강화를 위한 기본 방침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해외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이러닝 품질관리 동향 조사를 통해 우리나라의 이러닝 품질관리가 어떤 형태로 진행되어야 하는지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5개 국가 9개 기관의 이러닝 품질관리 현황, 영역 및 대상, 지표의 쓰임 등에 대해 알아보고, 5개국의 이러닝 품질관리 특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이러닝을 위한 다양한 자원 확보, 국가 수준의 이러닝 품질관리 통합, 전문가 양성 그리고 품질관리 시스템에 대한 집중과 선택이라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었다. 즉, 이러닝 품질관리는 업무의 측면이 아닌 교육의 질적 향상이라는 범 국가적 차원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e-Learning quality assurance is a part of responsibility for education in latest information age, and should be understood as a basic direction for qualitative enhancement rather than quantifiable expansion. In such a context, this study sought to survey latest trends of e-Learning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deployed around overseas countries, so that it could give possible implications on how to plan and perform e-Learning quality assurance in Korea. So, this study focused on surveying actual conditions, coverage, target and useful indices of e-Learning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deployed by 9 institutions across 5 countries, and characterizing those activities across 5 countries.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find out its implications such as acquisition of various resources available for e-Learning, nationwide consolidation of e-Learning quality assurance activities, development of specialists in e-Learning quality assurance, and choice and focus for e-Learning quality assurance system.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e-Learning quality assurance should be approached from nationwide standpoint in the interest of better educational quality, rather than from viewpoint of task.

      • KCI등재

        정보교과 교수내용지식(PCK) 수준 측정 문항 개발 및 타당화

        김자미 ( Ja Mee Kim ),윤일규 ( Il Kyu Yoon ),이원규 ( Won 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0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3 No.6

        정보사회에서 필수과목으로 고려되는 정보교과에 대한 교사들의 교수내용지식은 향후 학교에서 학생들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 것인가와 관련 있는 것으로 교과의 측면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그러나 정보사회에서 정보교과의 중요성에 대한 논의는 있었으나, 실제적으로 교사들의 정보교과에 대한 PCK 수준을 측정하기 위한 문항 개발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정보교과의 PCK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최종적으로 교육과정에 관한 지식, 표현에 관한 지식, 내용에 관한 지식, 평가에 관한 지식, 그리고 교수법에 관한 지식의 5개 요인에서 39개의 문항을 확정하였다. The PCK of teachers about informatics subject, which is viewed as one of required subjects in today`s information society, is linked to what and how to teach, and that is very significant in terms of academic education. However, there are currently no efforts to develop items geared toward evaluating the PCK of teachers about informatics subject or to make a factor analysis of those items, though the importance of that subject in information society has been discuss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n instrument to size up the PCK of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about informatics subject. The finalized instrument consisted of 39 items regarding five factors that involved knowledge of curriculum, knowledge of expression, knowledge of content, knowledge of evaluation and knowledge of teaching methods.

      • KCI등재

        정보 교육과정 내용요소와 교과서의 일치성 분석

        김자미 ( Ja Mee Kim ),윤일균 ( Il Kyu Yoon ),이원규 ( Won Gyu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1 중등교육연구 Vol.59 No.2

        본 연구는 ``2007 개정교육과정``에 의해 개발된 교과서가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내용요소를 정확히 반영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학교 현장에서 보급율이 높은 4종의 교과서를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비교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설명이 교과서 집필에 있어서 가이드 역할을 충실히 하고 있는지 검토하였다. 검토 방법은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구체화된 설명과 교육과정 해설서를 근간으로 정보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표현의 명확성, 표현의 오류, 그리고 불필요한 진술의 여부에 대한 분석이다. 분석결과 교육과정 내용요소의 많은 부분이 교과서에 반영되지 못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교과서에 반영되지 못한 이유로 교육과정 내용요소에 대한 설명과 교육과정 해설서가 모호하게 표현되었음을 물론, 불필요한 진술과 무관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In the present study, textbooks based on the ``Revised curriculum 2007`` are analyzed to determine successful alignment of these concepts with the essential elements of the curriculum, or curriculum content topics. For this, we analyze the contents of four informatics textbooks that are the most widely adapted for use in middle schools. In addition, we examined the descriptions of content topics in the curriculum to ensure that they were used as guidelines for the writing of the textbooks. Using descriptions in the curriculum content topics and curriculum manual, we examined the descriptions of the informatics curriculum content topics based on clarity, errors in description, and unnecessary descriptions. The misalignment of the content topics in the curriculum to the textbooks may be caused by unclear or unnecessary descriptions of content topics and curriculum manuals.

      • KCI등재

        영국의 교육과정 개정으로 본 정보교과의 지식과 문제해결력에 대한 쟁점

        김자미(Ja Mee Kim),이원규(Won Gyu Lee)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7 No.3

        정보교과에 대한 논의에서 중요하게 고려되는 것은 문제해결력이다. 정보교과가 갖는 범 교과적 성향과 더불어 정보교과의 지식이 내포한 전이가(轉移價)를 강조하기 위한 특성이 문제해결력이기 때문이다. 교과에서 중요하게 고려되어야 하는 것은 지식임에도 불구하고, 정보교과는 문제해결력이 지식에 앞서 있는가? 본 연구는 정보과학에 대한 지식을 근간으로 교과기반, 지식기반 교육과정으로 개정한 2014년 영국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를 논의하였다. 핵심지식에 대한 영국 교육과정에 근거하여, 정보교과에서 지식과 문제해결력은 어떤 관점에서 논의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제공하였다. An important element to consider in information subjects is problem solving skills. It is problem solving skills that emphasize “practical usage of learning” in which knowledge of information subjects is integrated along with the cross curricular characteristics of the information subjects. What is usually considered paramount in a subject is knowledge, so the question is, should problem solving be considered more important in information subjects? This study discusses the foundation of subjects based on knowledge in information science, and the specifics of the 2014 amendment to the U.K. curriculum. And based on the core subjects of the U.K. curriculum, this study also offers educational implications as to how knowledge and problem solving skills should be discussed.

      • KCI등재

        브루너의 이론에 근거한 인도의 정보교육과정 고찰

        김자미 ( Ja Mee Kim ),이원규 ( Won 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7 No.6

        인도는 2007년 고등학교의 정보교과 교육과정을 발표한 이후, 고등학교와 연계된 교육을 위해 2013년 6월 초등학교 수준의 교육과정을 발표하였다. 인도 교육과정 중 특징적인 것은 교육과정의 구조는 나선형을 지향하지만, 교육 방법은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을 강조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패러다임을 바꾼브루너의 ‘지식의 구조’에 근간하여 교육과정을 개정하였다. 본 연구는 나선형 교육과정을 지향하면서, 교육의 현장에서는 ‘내러티브적’ 사고를 강조한 인도의 교육과정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하나의 교육과정에서 ‘지식구조론’과 ‘내러티브’ 이론을 동시에 표현한 인도 교육과정 분석을 통해 우리나라 정보교과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제시하고자 하였다. Following the announcement made in 2007of the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for high schools, India followed through with a similar announcement in June 2013 for an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to be linked with that of the high schools. As a characteristic feature of India`s educational curriculum, the structure is “helical” in nature, whil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is emphasized as a key method for education. During the past few years India has revised its educational curriculum based on Bruner`s ‘Structure of Knowledge,’ which has changed the paradigm of the nation`s educational curriculum. This study analyzed India`s educational curriculum that aims at a helical structure and, at the same time, emphasizes ‘narrative’ thinking in schools.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discover possible suggestions or implications for Korea`s information education curriculum by analyzing India`s education that concurrently seeks to employ ‘Structure of Knowledge’ and ‘Narrative’ theories in a single educational curriculum.

      • KCI등재

        통합에서 독립으로, 이스라엘 컴퓨터과학 교과의 진화

        김자미 ( Ja Mee Kim ),이원규 ( Won Gyu Lee ) 한국컴퓨터교육학회 2014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Vol.17 No.4

        국가 차원에서 교육과정을 이해하는 것은 해당 교과가 어느 정도의 위상을 갖고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창의 인재 양성의 선두주자인 이스라엘의 교육과정과, 컴퓨터과학 교육의 현황을 분석하고, 우리나라 컴퓨터과학 교육의 방향에 대한 성찰을 제시하기 위한 목적이 있다. 이스라엘의 컴퓨터과학 교육은 중학교에서는 자연과학/기술 교과에 통합된 형태로, 고등학교에서는 독립교과로서 위상을 유지하고 있다. 2011년에는 중학교 컴퓨터과학 교육과정이 개발되면서 통합에서 독립교과로 변화하고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의 컴퓨터과학 교육 또한 통합과 독립의 관점에서 교과의 위상이 논의 되어야 함을 제시하였다. To understand an educational curriculum at the national level is to check the status of the respective subjects involved. This study aimed at analyzing computer science education and educational curricula in Israel, a leader in fostering creative human resources, so as to suggest directions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Korea. Israel`s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middle schools is provided through integration with natural science and technology subjects, but in high school it is offered as an independent subject. In 2011, as the computer science educational curriculum for middle schools was developed, computer science evolved from an integrated to an independent subject. Accordingly, this study proposes the necessity to discuss the status of this subject from the viewpoint of integration and independence for computer science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원격교육의 효과성 향상을 위한 콘텐츠 품질수준 분석

        김자미(Kim, Ja-Mee),김용(Kim, Yong),이원규(Lee, Won-Kyu) 한국산학기술학회 2010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1 No.5

        원격교육에서 콘텐츠는 교육내용을 학습자에게 전달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콘텐츠 품질관리는 궁극 적으로 원격교육의 품질을 높이기 위한 시작이라 하겠다. 콘텐츠 품질관리와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은 대부분 평가도 구 개발에 집중되었다. 실제 콘텐츠 품질을 분석한 연구가 진행되지 못한 것은, 콘텐츠 품질분석을 위한 평가위원이 나 콘텐츠 선정 등의 어려움 때문이었다. 본 연구는 원격교육에서 직무나 자격연수용으로 사용되는 콘텐츠 58개의 품질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학습내용 부문의 품질이 가장 높았다. 각 부문의 요소별 품질에서는 학습내용 부문 의 학습수준과 학습내용 구성 요소의 품질을 개선할 필요가 있었다. 교수설계 부문에서는 상호작용 요소의 품질을 개선해서 콘텐츠의 품질을 높여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 결과는 콘텐츠를 개발하는 개발자나 제공자의 입 장에서 콘텐츠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어떤 부분의 품질이 개선되어야 하는지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In distance education, contents are to convey what to learn to learners, and the efficient quality assurance of contents is the very first step to the enhancement of distance education. Most studies of the quality assurance of contents have mostly centered around the development of evaluation tools, and few studies have ever focused on analysis of the quality of contents itself, since it's not easy to do that due to difficulties in the selection of evaluatees or of contents to be analyze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quality of 58 distance education contents of on-the-job training and another training for the acquisition of qualifications. As a result,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contents segment ranked first. Among the components of each segment, there was room for improvement in the level of learning and learning elements in the learning contents segment. In terms of instructional design, the quality of interaction components should be taken to another level to boost the quality of contents in this segment. The findings of the study are expected to give some suggestions about which parts of contents should be improved in quality from a perspective of contents developers or suppliers to enhance the overall quality of contents.

      • KCI등재

        영국의 FutureLearn과 프랑스 FUN이K-MOOC에 주는 시사점과 전망

        김자미(Kim, Ja-Mee),구양미(Gu, Yang-Mi),이원규(Lee, Won-Gyu) 한국비교교육학회 2015 比較敎育硏究 Vol.25 No.4

        본 연구는 2012년을 기점으로 고등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는 MOOC에 대한 관심으로 수행되었다. OER, OCW의 발전적 방향으로 시작된 MOOC은 고등교육의 경계를 허물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유럽의 대표적인 MOOC 서비스라 할 수 있는 영국의 FutureLearn과 프랑스의 FUN을 분석하고, K-MOOC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분석 결과, 두 나라는 MOOC의 구성형태, 자금 지원, 학습자에 대한 인증제, 강의 제공방식, 사회공헌 등의 측면에서 다른 가치를 나타내었다. 이에 본 연구는 K-MOOC의 런칭을 고려할 때, 어떤 철학과 가치를 구상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육적 함의를 얻을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because of our interest in the emergence of massive open online courses (MOOC) that seem to be creating a new paradigm in higher education in 2012. MOOCs, which started as an extension of open educational resources (OER) and open courseware (OCW), are breaking down the boundaries of higher education.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compare and contrast the FutureLearn (UK) and FUN (France) MOOC programs, which are considered typical of Europe. Our analysis shows that the two countries espoused different values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their MOOC programs, their funding, learner authentication, methods of providing lectures and social contributions. In consideration of the launching of K-MOOC, this study can draw educational implications about what philosophies and values need to be envision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