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On the Mechanism of Generating Contrastive Implicature of CT in Korean

        Kim Ilkyu(김일규) 한국어학회 2019 한국어학 Vol.85 No.-

        한국어 보조사 ‘-은/는’은 화제와 대조(화제) 표지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글은 대조화제 표지로 쓰이는 ‘-은/는’의 용법에 집중하여, 대조화제 표지 ‘-은/는’이 일으키는 대조함축의 생성기제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대조화제 표지로서의 ‘-은/는’이 일으키는 불확실성(uncertainty) 함축, 척도(scalarity) 함축, 양보(concessivity) 함축은 고정함축(conventional implicature)이라는 입장이 지배적이다. 하지만 이 글에서는 위의 세 함축이 고정함축이 아닌 대화함축(conversational implicature)이라는 Kim(2018)의 주장을 받아들이고, 각각의 함축이 Horn(1984)에서 제시한 화용적 추론 원리로 충분히 생성될 수 있음을 보임으로써 ‘-은/는’이 일으키는 대조함축은 대화함축이라는 입장을 지지하고자 한다. 더 나아가, 위의 세 가지 함축뿐만 아니라 ‘-은/는’이 일으키는 다른 종류의 (대조)함축도 대화함축의 원리로 충분히 설명할 수 있음을 보일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는 Kim(2015)의 분석을 바탕으로 ‘-은/는’의 사용으로 유발되는 대조함축 뿐만 아니라 그것의 기반이 되는 대조화제 자체의 의미 역시 대조화제 표지 ‘-은/는’의 내재적인(inherent)/고정적인(conventional) 의미가 아니라 두드러짐성 부과(imposing salience)라는 ‘-은/는’의 기본적인 기능과 다양한 통사/의미/화용적 요인의 상호작용으로 유발되는 해석적 효과(interpretive effect)임을 주장할 것이다. Korean -(n)un has been widely known to mark topic and contrastive topic (CT). Focusing on its function of expressing CT meaning,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exact mechanism of generating contrastive implicature induced by CT in Korean. Building on Kim’s (2018) claim that uncertainty, scalarity, and concessivity, which are induced by the use of contrastive -(n)un, are not conventional but conversational in nature, this paper tries to propose explicit processes of deriving various types of contrastive implicature, including uncertainty, scalarity, and concessivity. In addition, the meaning of CT itself, which is the source of the contrastive implicature, is claimed to be not conventionally or inherently conveyed by contrastive -(n)un, but an interpretive effect of the interaction of the meaning of -(n)un, which covers both its contrastive and non-contrastive usages, and various syntactic, semantic, and pragmatic factors.

      • KCI등재

        금관가야고분 출토 외래유물의 성격과 의의

        김일규 ( Kim Ilkyu ) 호남고고학회 2018 湖南考古學報 Vol.60 No.-

        3세기 말엽으로 편년 되는 김해 대성동 29호분을 시작으로 금관가야의 4세기 수장급 무덤에서는 다양한 중국(계) 문물이 출토되었다. 이 문물들은 중국제 및 중국으로부터 기술이 유입되어 금관가야에서 직접 제작한 것으로 나눠진다. 전자에는 순장 습속, 보요부 금동관, 동복, 마구와 같은 부여와 선비에서 기원한 북방계 및 한경, 진식대 금구와 같은 중원계로 구분된다. 후자는 기술적 기원을 북방의 기마민족에서 구하는 마구 및 장강하구 유역의 남방 에서 구하는 등요와 도질토기가 있다. 따라서 금관가야의 출현과 관련한 외래문물의 요소는 북방적 요소와 남방적 요소가 동시에 유입된 이원적 양상임을 알 수 있다. 마구 및 중장기병의 한 속성인 馬冑를 검토한 결과 금관가야는 5세기 초엽까지 중국 동북지방과 강한 네트워크를 유지하고 있었으며, 그 주체는 모용선비의 전연, 후연, 북연의 삼연이었다. 금관가야는 북연의 멸망 시점까지 삼연과 교류를 통해 중국 선진문물을 받아들인 후 이를 한반도 남부와 일본열도에 재차 전파하는 허브 기능을 담당 하면서 번영을 누렸다. 김해 대성동고분군에서 대형 목곽묘 조영 중단으로 유추되는 금관가야 와해의 원인은 庚子年(400년) 광개토대왕의 남정에 따른 대성동-복천동 동맹체제의 중단이 아니라, 436년 北燕의 멸망으로 인한 대중국 교류의 거점 상실이 직접 작용하였다. 지산동고분군의 대형분 축조 시점과 일본의 스에키 생산개시 시점이 북연의 멸망과 대성동 고분군에서의 대형 목곽묘의 조영 중단 시점에 바로 연동하는 것은 이를 방증한다 From the No.29 tomb of Dasungdong Tombs, various Chinese artifacts were found in the leader’s tombs of the Geumwan Gaya in the foutrh century. These artifacts are separated into two groups: that was made in China and that was made in Geumgwan Gaya as they accepted Chinese technology. The former is separated into the artifacts from the northern area such as Buyeo and Xianbei and the artifacts from the middle area of the China. The latter is represented as the harness from the northern nomad and the inclined kiln and the Dojil pottery from the downstream area of Yangtze river. As a result, the foreign artifacts connected with the appearance of the Geumgwan Gaya show dualistic aspect that the northern elements and the southern elements appear at the same time. Considering a horse helmet that is one part of the harness and the heavy cavalry, Geumgwan Gaya maintained strong network with the north-eastern area of China, especially Sanyan - Qianyan, Houyan and Beiyan. Geumgwan Gaya was prospering as the hub by accepting advanced culture from Sanyan until the collapse of Beiyan and spreading this culture to the south part of Korean Peninsula and Japan. The collapse of Geumgwan Gaya was not caused by the end of the allience between Desungdong and Boekcheondong group resulted from the invasion of the King Guanggeto in A.D 400 but was caused by loss of exchange point with China resulted from the fall of Beiyan in A.D 436. It is verified as the begging of construction of Jisandong Tombs and production of Sueki in Japan is connected with the fall of Beiyan and the end of construction of Daesungdong tombs.

      • KCI등재

        삼국시대 표준연대유물의 정합성 검토

        김일규 ( Ilkyu Kim ) 공주대학교 백제문화연구소 2015 백제문화 Vol.1 No.52

        삼국시대 고고학 연대는 중국자료와 교차편년을 통해 설정된 것임에도 그 편차가 심하다. 본고에서는 中國 六朝瓷器를 편년하여 기준연대자료를 제시하고, 前燕 및 삼국시대 유적출토 육조자기와 비교를 행하였다. 馬具를 동반한 前燕墓 출토 육조자기는 東晋의 육조자기 연대와 일치하였다. 고구려 출토 육조자기는 제작지의 연대와 시간차이가 크지 않은 것에 반해 백제와 신라 출토 육조자기는 시간적 격차가 극심하다. 백제 출토 육조자기는 4세기 중엽이후 東晋·南朝 遣使 때 수입된 위세적 성격의 유물이다. 따라서 부장목적으로 제작된 일반 부장품과는 달리 제작-입수-사용-부장까지의 시간을 감안하지 않을 수 없으므로 교차편년 자료로 이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가야 고분출토 晋式帶金具와 漢鏡같은 위세품도 중국내의 제작연대와 시간격차가 크다. 따라서 백제, 신라, 가야에서 출토된 중국제의 육조자기와 진식대금구, 漢鏡과 같은 위세적성격의 외래유물은 제작원향의 시간속성을 그대로 적용하기에는 많은 문제점이 야기되므로 표준연대유물로는 부적당하다. 이에 반해 가야 고분출토 騎乘用 馬具는 三燕馬具 연대와 일치하였다. 그러므로 중국과의 교차편년을 통한 삼국시대 연대설정의 최적의 자료는 기승용 마구임을 알 수 있다. 고구려 적석총 출토 干支紀年 와당은 낙랑토성 출토 와당과 비교하여 형식편년하고 동반된 육조자기와 마구로서 그 연대를 검토한 결과 기존의 설보다 一週甲 하향되는 연대가 산정되었다. The archaeological eras in the period of the three states have many variations even though they were established through Chinese data and cross dating. This manuscript presented standard era data by recording the porcelains of the Six Dynasties in China chronologically, and compared them with those excavated in the eras of the Former Yeon and the Three States. The eras of those excavated at the graves in the Former Yeon along with horse trappings corresponded with the eras of those in the Dongjin Dynasty in China. The porcelains of the Six Dynasties which were excavated in the Goguryeo Dynasty in Korea did not show a big difference from the eras of the place of production, while those excavated in the Baekje and Shilla Dynasties in Korea showed a very intensive chronological gap. Those excavated in the Baekje Dynasty were the relics showing the nature of power which were introduced in the eras of Dongjin and Southern Dynasties in China after the middle of the fourth century. Therefore, they are not unsuitable enough to be used as cross dating data because they should be considered in terms of the time taken in the courses of production - acquisition - use - grave goods position, unlike the general grave goods produced for the purpose of burial. The prestige goods such as Jin Style belt pendants and Han style mirrors in China excavated at the graves in the Gaya Dynasty in Korea show a big chronological gap, compared with the production eras of those in China. therefore, the Chinese porcelains of the Six Dynasties excavated in the Baekje, Shilla and Gaya Dynasties and foreign relics with the nature of power such as the Jin Style belt pendants and Han style mirrors in China are unsuitable as the standard era relics because they have many problems in applying their archaeological relic of standard chronology of the production place as they are. On the other hand, the eras of the horse trappings for its original purpose excavated in the Gaya graves corresponded with the eras of the horseback trappings in the Samyeon Dynasty. Therefore, we can find that the best materials for establishing the eras in the Three States through cross chronologies together with China are horse trappings for its original purpose. A review of the consistency of standard chronologe relics in the sexagenary cycle ginyeon roofend tiles excavated in the Stone Mound Tomb in the Goguryeo Dynasty and were the porcelains of the Six Dynasties and horse trappings which were recorded chronologically, and their eras were calculated one sexagenary cycle less than those described in the existing theory, compared of those excavated in the Langnang earthen fortress.

      • KCI등재

        한국어 주격중출구문 연구에 대한 고찰 및 급진구문문법에 기댄 제안

        김일규(Kim, Ilkyu) 한국어학회 2022 한국어학 Vol.97 No.-

        한국어의 소위 주격중출구문의 통사 구조를 이해하기 위한 수많은 기존 연구가 있지만, 특히 주격 명사구의 정확한 통사적 지위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는 이견이 분분할 뿐 모두가 동의하는 하나의 답을 찾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논문의 목표는 주격중출구문의 통사 구조에 대한 이해에 진전이 없는 근본적인 이유를 밝히고 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새로운 분석을 제시하는 것이다. 주격중출구문의 주격 명사구가 갖는 통사적 지위에 대해 의견의 일치가 이루어지지 않는 근본적인 이유는 대부분의 기존 연구가 주어와 목적어와 같은 문법기능이 본질적으로 언어보편적이거나 구문보편적 이라는 잘못된 가정을 하고 있기 때문이며, 그러한 가정으로부터 자유로운 급진 구문문법으로 주격중출구문을 분석하면 주격 명사구의 문법기능에 대해 더 이상 무의미한 논쟁을 하지 않아도 될 뿐만 아니라 체계적인 범언어적 비교 분석도 가능하게 됨을 밝힐 것이다. Although tremendous efforts have been put into understanding the syntactic structure of the so-called multiple nominative construction in Korean, little progress has been made, particularly with regard to the exact syntactic status of the nominative NPs in the construction. This paper aims to shed light on the issue by discussing the fundamental problem shared by most, if not all, previous works, which is an assumption that the nature of grammatical functions like subject and object is language-universal or construction-universal (within a language) and proposing a Radical Construction Grammar analysis of the construction, which posits that grammatical functions are language- and construction-specific. It will be shown that the proposed analysis is superior to the previous ones in that it can account for the phenomena that really need explanation, while avoiding meaningless and unproductive discussions on the exact grammatical function of nominative NPs.

      • KCI등재

        지향성 에너지 무기체계와 고출력 마이크로파 무기 효과도 분석

        김일규(Ilkyu Kim),김문섭(Moonsup Kim) 한국전자파학회 2016 한국전자파학회논문지 Vol.27 No.10

        지향성 에너지 무기는 순간적으로 집중된 에너지를 특정한 방향으로 방사하여 적 전자장비를 교란하거나 과부하를 초래하는 무기체계이다. 이러한 지향성 에너지 무기체계의 성능을 결정하고, 설계를 수행함에 있어 표적에 대한 효과분석은 중요한 고려 요소 중 하나이다. 본 논문에서는 대표적인 지향성 에너지 무기체계인 공중방어체계에 대한 효과도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고출력 원형편파 피드혼을 적용한 반사판 안테나를 설계하고, 거리 별 유효면적에 인가되는 출력밀도를 시뮬레이션 툴과 프리스 공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통하여 안테나 시스템 설계에 대한 유효성을 검증하고, 표적에 대한 지향성 에너지 무기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Directed energy weapon enables to radiate the concentrated energy so as to result in distraction and overload of the target electronics. Analysis on effectiveness of weapon system can be important consideration in order to determine performance and design weapon system. In this paper, air defense weapon system, which is one of directed energy weapon system is studied. In order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the reflector antenna with high power circularly polarized horn antenna is designed, and power density in axial effective area is simluated and calculated using Friis formula. Through the study, the validity of antenna system is verified, and the effectiveness of directed energy weapon system on the target is evaluated.

      • KCI등재

        안악 3호분 벽화의 중원 색채와 그 의의

        김일규(Ilkyu Kim) 한국고고학회 2024 한국고고학보 Vol.- No.130

        고구려 벽화무덤의 출현 단계인 안악 3호분 벽화의 주요 내용은 무덤 주인이 살아생전에 영위한 생활상이다. 이는 중국에서 東漢 이래 무덤 벽화의 주요 특징과 같다. 안악 3호분은 무덤의 구조는 물론 벽화의 구도와 내용이 중국 中原과 遼陽의 벽화무덤과 상당히 유사하다. 안악 3호분 벽화에 묘사한 묘주의 위계를 나타내는 通幰車, 帷帳, 有屛榻, 節, 麈尾扇 등의 위세품은 墨書에 명기된 職官의 품계와 동급 수준의 위진남북조시대 중원의 무덤 벽화와 비교한 결과 거의 일치하였다. 안악 3호분과 덕흥리 벽화무덤에서 확인되는 중원 색채는 평양 일대의 대동강하구 유역이 427년 집안에서 평양으로 천도하기 전까지 도성인 집안 지역과는 차별된 사회문화상을 견지하였음을 시사한다. 동수는 묘주가 아니라 서쪽 측실의 입구 벽면에는 “帳下督”으로 표기한 門吏라는 견해가 있다. 장하독은 위진대 1~3품 관직에 예속된 屬官이다. 벽화의 묵서에 명기된 冬壽의 관직명은 魏晉代의 품계를 따르면 2~3품에 해당한다. 그러므로 동수는 1~3품 관직의 속관에 불과한 장하독으로 볼 수 없다. 그리고 벽화의 節은 묵서의 “使持節”의 직관을 그대로 반영한 것이다. 아울러 묘주가 탄 우차 또한 2~3품 관직이 사용하는 통헌거이다. 따라서 안악 3호분의 주인은 묵서에 명기된 冬壽로 보는 것이 가장 합당하다. The main content of the mural painting of Anak Tomb No. 3, a tomb which belongs to the emergent stage of Goguryeo mural tombs, is the life of the tomb owner in his life. It is the same with the mural tombs of China from the Eastern-Han Dynasty. Anak Tomb No. 3 is quite similar to the mural tombs of central China and Liaoyang in terms of the structure of the tomb, as well as the composition and content of the mural painting. Various prestige goods such as a type of cart (通幰車), drapes and a tent (帷帳), a folding screen and flat bench (屛榻), a type of pole (節), a type of folding fan (麈尾扇) depicted on the mural painting of Anak Tomb No.3 represent the official rank, written in black ink on the mural painting of this tomb’s owner, and these conten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mural tombs of central China which are of the same level. This presence of objects originating from central China found on the mural painting of Anak Tomb No.3 and Deokheungri tomb indicates that the Daedong River Estuary basin (which includes the Pyongyang area) maintained a different social and cultural aspect from the Jian area, until the Goguryeo capital was relocated from Jian to Pyongyang in 427. There is a view that Dong Su was not the owner of the tomb, but a gate guard (門吏) written as “Jang Ha Dok” (帳下督) on the wall of the entrance of the western chamber. “Jang Ha Dok” is a subordinate official belonging to the first to third rank of the Wei-Jin Period. According to an ink handwriting record, Dong Su’s rank corresponds to the second to third official rank of the Wei-Jin Period. Therefore, Dong Su cannot be regarded as “Jang Ha Dok”. A type of pole called “jul” (節) on the mural painting reflects the office of “Sa Ji Jul” (使持節) written in black ink. In addition, the oxcart with the tomb owner is a type of cart called Tong Hun Gu (通幰車), which the second to third official rank rode. Therefore, it is most reasonable to regard the owner of Anak Tomb No. 3 as Dong Su, as is written in black ink.

      • KCI등재

        한국어에 서술절이 존재하는가?

        김일규 ( Ilkyu Kim ) 한국언어정보학회 2016 언어와 정보 Vol.20 No.3

        Whether Korean has a clausal predicate or not has been a much debated issue in Korean syntax.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clausal predicates do exist in Korean. This claim is based on discussion of three sub-issues: 1) whether recent previous studies arguing against the existence of clausal predicates are persuasive enough, 2) whether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the notion of grammatical function/relation is valid, and 3) what idioms and multi-word expressions in Korean tell us about the (non-)existence of clausal predicates. It will be argued that consideration of all these issues leads to the conclusion that clausal predicates are a useful and reasonable tool for analyzing the structures of Korean sentences.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KCI우수등재

        Is contrastive implicature induced by Korean CT-marking -(n)un conventional or conversational?

        Ilkyu Kim(김일규) 한국언어학회 2018 언어 Vol.43 No.2

        Although previous works have put much effort on figuring out the exact meaning of contrastive topic (CT), it has rarely been seriously investigated whether the contrastive implicature generated by CT is conventional or conversational. Particularly, the contrastive implicature induced by Korean CT-marking -(n)un is widely known to be conventional mainly due to the special prosody attached to the particle and alleged noncancellability of the implicatur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show that the contrastive implicature induced by -(n)un, contra the standard view, is not conventional but conversational. This will be done by showing that 1) what is known as contrastive implicature of Korean CT arises only in certain contexts, and 2) the traditional criteria for distinguishing between conventional and conversational implicatures all lead to the conclusion that the contrastive implicature is conversation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