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IoT 및 스마트 기술을 통한 의약품 디자인 방향 연구

        김나영 ( Kim Na Yo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3 No.-

        본 연구는 미디어 진화에 따라 스마트 기술과 융합하여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하고 상호작용 할 수 있는 매체에 관한 연구를 하고자, 시각적인 표현에만 연구되고 있는 패키지디자인을 경험창출을 위한 미디어로써 사용자와의 커뮤니케이션 수단으로써 확장을 연구하고자 한다. Freedonia(2014)의 보고서에 따르면, 스마트 패키지디자인에 대한 수요는 2017년 연평균 8.0% 증가한 35억 달러로 전체 패키지의 수요증가를 훨씬 이상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확장된 IoT 및 RFID, NFC 등의 기술력 보급에 따른 스마트 기능이 접목된 의약품에서의 기능성 포장과 지능형 포장을 키워드로 하여 이를 적용한 의약품에 적합한 스마트패키지 및 디자인 사례를 분석하고 이에 따른 적용 가능한 방향과 전망을 고찰하고자 한다. 또한, 미디어 및 새로운 매체로서의 효율성과 의미, 전망을 고찰하였다. 그 분석 결과 지능형 패키지는 의약품의 사용법과 복용 순응도를 유지하기 위한 정보성과 제품을 이동 과정 중 의약품의 품질을 관리 및 유지하기 위한 스마트 기술을 통해 패키지디자인을 통한 다양한 기능을 점차 확장되고 있는 패러다임을 통해 의약품 스마트패키지의 방향과 전망을 연구하고자 한다. 의약품시장에서도 스마트 환경에서 패키지디자인 및 인터렉티브 디자인을 위한 지속적인 기술 개발과 투자를 통해 정확하고 효율적인 정보 전달, 패키지와 상호작용을 통해 의약품의 경쟁 시장에서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추어야 한다. 앞으로 사용자의 사용 환경을 고려한 의약품과 유용한 상호작용을 기반으로 능동적이고 지능적인 패키지디자인 및 패키지 시스템을 위해 새롭고 혁신적인 재질이나 기술이 발전하여 의약품 분야에도 패키지가 미디어로의 활용과 발전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Research on this study is to aim the media that can communicate and interact with consumers by convergence with smart technology according to the evolution of media. Package design which is studied only for visual expression, is used as a means of communication with users as a media for creating user experiences. According to a report by Freedonia (2014), the demand for smart package design will increase by 8.0% annually in 2017 to $3.5 billion, far exceeding the increase in demand for the entire package. This study analyzes smart packages and design cases in pharmaceuticals that apply them as keyword for functional packaging and intelligent packaging in medicines with smart functions grafted according to the spread of technologies such as IoT, RFID, and NFC. This study will be considered the direction and prospect. In addition, the efficiency, meaning, and prospects as media and new media were considered. As a result of the research, the intelligent package is based on a paradigm that is gradually expanding various functions through package design through informational information to maintain the usage and compliance of medicines, and smart technology to manage and maintain the quality of medicines during product movement. It is suggest the direction and prospects of smart pharmaceutical package. Even in the pharmaceutical market, it is necessary to have a differentiated competitiveness in the market of pharmaceuticals through accurate and efficient information delivery through continuous technology development and investment for package design and interactive design in a smart environment, and package and interaction. In the future, new and innovative materials and technologies are developed for active and intelligent package design and package system based on useful interactions with medicines that consider the user's use environment, and it is expected that the package will be utilized and developed as a media in the pharmaceutical field.

      • KCI등재

        착시가 적용된 패키지디자인의 분석

        박선영 ( Park Sun Yo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9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9 No.-

        바쁜 현대 사회의 패키지디자인은 다른 어느 때보다 단시간 내에 경쟁 업체들과의 사이에서 소비자에게 눈에 띄기 쉬움과 동시에 차별적인 가치로 소비자에게 기억되어야 한다. 시·지각적 오류로 발생하는 착시가 적용된 패키지디자인은 눈으로 보는 것과 실재의 차이를 인식하는 과정에서 흥미로움과 유쾌함 등의 감성적 반응을 보이게 하고 이를 통해 다른 제품들과의 차별성을 느끼게 하며 이러한 극적인 감각의 대립은 소비자가 제품을 기억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연구는 시·지각적 특이성인 착시가 패키지디자인의 차별적 가치를 높이는 요소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현존하는 착시 패키지디자인을 문헌적, 실증적으로 연구하여 이론적 토대를 만드는 것이 목적이다. 연구는 문헌적 연구과 분석적 연구로 진행되며 문헌적 연구에서는 착시의 정의 및 발생 원인 및 착시에 영향을 미치는 색채의 작용 원리에 대해 정리했다. 분석적 연구에서는 첫째, 수집한 착시 패키지 자료를 착시의 현상학적 분류 기준, 제품 카테고리, 패키지디자인 구조와 가공방식, 착시의 발생 원인을 기준으로 분류하였다. 둘째, 착시 패키지디자인의 색채 사용의 경향성을 착시 패키지의 색값 분포, Hue&Tone의 분류, 색채 이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착시 패키지디자인의 색상(Hue)은 모든 색상영역에 걸쳐 분포하였으나 색조(Tone)는 vv, S, dp, dk, bk의 사용 빈도가 높으며 명도는 N9.5~N8.5 사이와 N1~N3 사이에 대체로 분포된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배색은 다이나믹한, 모던한, 경쾌한, 화려한, 강인한 등의 색채 이미지를 보였고, 근접보색배색이나 보색배색, 반대색조배색을 사용한 분리배색, 강조배색을 사용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Packaging design in a busy modern society should be remembered by consumers in a way that is easier to stand out to consumers than ever before and at the same time discriminatory value among competitors. Packaging design with optical and visual error applied to the illusion can create emotional reactions such as interest and pleasure in the process of recognizing the difference between visual and actuality thereby creating differentiation from other products and such dramatic sensory conflicts can help consumers remember the produ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tudy existing optical illusion packaging design in literature and empirically so that it can be used effectively as an element of enhancing the discriminatory value of packaging design which is a poetic and perceptual peculiarity. This study is carried out by literary and analytical studies and the literature study outlines the definition of illusions and the causes of their occurrence and the working principles of colors that influence illusions. In the analytical study, the collected optical illusion packaging design data were first classified based on the phenomenological classification criteria of illusions, the product category, the packaging design structure and processing method and the cause of illusions. Second, the tendency of using colors in optical package design was analyzed through the distribution of color values in the optical illusion packaging design, classification of Hue&Tone, and color image. As a result of analysis, this found that the colors of optical illusion package design were distributed across all hue areas, but the tone was high in the use of vv, S, dp, dk, bk, and the value was generally distributed between N8.5 to N9.5 and N1 to N3. Color showed dynamic, modern, light, colorful images tough colors and had the tendency to use complementary colors, separated color combinations using opposite tints, and accent color combinations.

      • KCI등재

        파우치 음료의 디자인 변화가 소비자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연구 - 델라페 음료를 중심으로 -

        신상윤 ( Shin Sangyun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5 No.-

        본 연구의 목적은 파우치 음료 브랜드의 패키지디자인 변화에 대해 살펴보고, 그 변화가 소비자의 구매 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범위는 편의점 CU의 대표 음료 상품인 델라페 파우치 음료로 2014년 브랜드 개발 후 2020년까지 디자인을 변경하여 출시한 총 6가지의 디자인으로 연구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파우치 음료와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해 문헌 조사를 실시하였고 출시된 6가지 디자인을 분석하고 구매 경험이 있는 소비자를 대상으로 설문, 통계조사를 진행하였다. 2014년 브랜드를 강조하는 디자인, 2016년~2017년 라인프렌즈, 자사 캐릭터와의 콜라보레이션, 2018년 맛의 속성을 강조한 디자인, 2019년 인스타그램의 이미지를 적용한 디자인, 2020년 신진 청년작가와의 콜라보레이션에 대해 디자인 분석 후 소비자 구매행동에 대해 조사하였다. 결과로는 통계 부분에서 다른 패키지디자인 선호도 보다 2020년 신진 청년작가 작품 활용 패키지디자인의 선호도가 증가할수록 구매 행동은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을 보아 음료 구매 시 소비자들은 디자인의 선호도 외에도 디자인의 의도에도 관심을 두고 있으며 감성적 디자인에 구매 행동이 올라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보여준 파우치 음료 상품의 브랜드 개발 후 다양한 디자인 컨셉 전개 사례는 추후 브랜드 패키지디자인 진행 시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또한, 패키지디자인을 개발 시 기존의 상품 속성과 정보를 주는 디자인에서 벗어나 소비자의 호감도를 높이고 감성을 자극할 수 있는 디자인을 전개한다면 소비자들의 구매에도 영향력을 줄 수 있으므로 음료 패키지디자인 진행 시 다양한 방법으로 연구 개발하면 좋을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changes in pouch beverage package design and to find out how the design changes affect consumer's purchasing behavior. The scope of this study is CU's pouch beverage product, “Delaffe“ developed with a total of 6 designs from 2014 to 2020. The research method conducted a literature survey on pouch drinks and consumer purchasing behavior, analyzed six designs released, and conducted surveys and statistical surveys on consumers with purchasing experience. Emphasizing the brand in 2014, collaborating with Line Friends & CU characters in 2016-2017, highlighting the attributes of taste in 2018, applying Instagram images in 2019, and collaboration with young rising artists in 2020 were researched. As a result, the more the preference for package designs using new young artists' works increases in 2020 than other package design preferences in the statistics sector, the greater the purchasing behavior. We hope that various design concept development cases after the brand development of pouch beverage products shown in this study will help us proceed with the brand package design in the future. In addition, if package design is developed to enhance consumers' favorability and stimulate emotions, it will be great to research and develop various ways to proceed with beverage package design.

      • KCI등재

        어린이 인지감각 활용의 어덜키즈 화장품패키지디자인 연구

        표연희 ( Pyo Yeon Hee ),정연자 ( Jung Yeon Ja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오늘날의 어덜키즈 문화는 계속해서 확산되어 어린이를 위한 어린이 전용 화장품 브랜드, 어린이들만을 위한 문화 행사 등 어린이들만의 고유문화를 형성해 나아가고 있다. 이에 따라 어린이 감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어린이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어덜키즈를 위한 시각적 디자인이 필요하다. 이는 뷰티상품 문화 형성에 있어서 패키지디자인을 통한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으로의 표현이며 어른의 화장문화에 대한 무조건적 수용에서 벗어나 어린이만을 위한 상품문화 형성의 기반을 형성을 가능하게 한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이 인지감각을 반영한 어덜키즈 화장품 패키지디자인 도출을 위한 개발제안을 목적으로 하며 어린이 공간 및 사물 디자인에 활용된 디자인을 분석하여 디자인 특성을 도출하였다. 어린이 공간으로는 어린이놀이터, 어린이 감각발달센터, 어린이 치유 및 상담공간을 중심으로 형태 및 색채를 도출하였으며 어린이 장난감 패키지디자인 및 어린이 선호 캐릭터 디자인의 형태와 색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이를 형용사이미지스케일에 적용하여 어린이 인지감각을 반영한 디자인 이미지를 고찰하였다. 오늘날 상품시장에서 패키지디자인은 브랜드이미지와 더불어 소비자의 소비심리를 자극하여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어린이라는 소비자 특성에 따라 캐릭터 중심의 패키지디자인에서 나아가 어린이의 흥미와 감각을 자극할 수 있는 새로운 패키지디자인의 개발이 이뤄져야 하며 본 연구를 바탕으로 화장품뿐만 아니라 다양한 어덜키즈 상품 패키지디자인 개발에 있어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고 사료된다. Today's kids' culture continues to spread, creating children's unique culture such as children's cosmetics brand for children and cultural events for children only.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have a visual design for childhood children who can stimulate children's sense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of children's emotions. This is the expression of visual communication through the package design in the formation of the beauty product culture and it is possible to form the foundation of the product culture for the children only from the unconditional acceptance of the adult makeup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velopment of a children's cosmetic package design reflecting children's sense of cognition. Children's playground, children's sensory development center, children's healing and counseling space were extracted from the form and color, and the shapes and colors of children's toy package design and children's preferred character design were analyzed. Also, we applied this to adjective image scale and examined the design image reflecting children's sense. Today, package design in the commodity market is getting more important because it stimulates consumers' consumer sentiment along with brand image. Based on this research,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new package design that can stimulate the interest and sense of the child in addition to the character-based package design according to the consumer characteristics of children. Based on this research, basic materials It is thought that it can be utilized as.

      • KCI등재

        사용자 인식에 따른 바이오 의약품 패키지 디자인 개선 연구

        김나영 ( Kim Na Yo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전체 의약품 시장에서 차지하는 바이오 의약품의 비중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바이오의약품은 기존 오리지널 의약품과 같은 효능을 보이면서, 가격은 상대적으로 낮아 시장잠재력이 크다. 바이오시밀러 의약품은 점차 개발됨에 따라, 기존의 제품과는 차별화되며, 환자나 간호사가 사용하기 편리하고, 구조가 단순하며, 제품 오남용을 막을 수 있는 바이오의약품 패키지 디자인이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바이오의약품 류마티스관절염 치료제를 중심으로 전문의약품의 중요한 기재사항을 분석을 통해, 패키지 디자인의 기재 해야 하는 허가사항 중 가장 중요한 요소를 추출한다. 그 결과를 토대로, 사용자에게 오남용을 막기 위한 브랜드명, 성분명, 함량, 제형, 주사 투약방법, 포장 단위를 중심으로 국내 출시된 바이오의약품의 패키지 디자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최근 허가받은 바이오의약품 패키지를 분석한 결과, 시각·정보 전달, 구조 및 형태 면에서 국외사례보다 패키지 디자인에서 미흡한 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바이오의약품의 개발이 활발해짐에 따라 바이오시밀러의 디자인 적합성에 문제점을 느끼고, 현재의 의약품 디자인과 국내외 바이오의약품의 분석과 유럽과 미국에 허가된 패키지 디자인의 분석을 통해 보완 방향에 관해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한 국내외 바이오의약품 패키지 디자인의 시각적 요소의 표현 방향은 추후 패키지 디자인 개발 시 방향성 수립에 기초적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Research on biopharmaceutical in the overall drug market is increasing. Biosimilar show the same efficacy as existing original biopharmaceutical, so they are inexpensive in terms of price, and thus have great market potential. Biosimilar drugs as a variety of products have been developed, it is necessary to design direction of biopharmaceutical package that is different from existing products and is easy to use by patients and nurses, and is simple in structure, and can prevent abuse of produ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important items of specialty drugs centering on the biologics and rheumatoid arthritis drugs, we extract the most important factors to be designed on the package design. Based on the results, we try to analyze the package design of biopharmaceutical & Biosimilar are launched in Korea, focusing on brand name, ingredient name, content, dosage, injection method and package unit to prevent abuse. Analysis on biopharmaceutical packages in Korea reveal that package design is insufficient in terms of visual and information, structure and form compared with the case of product which is approved from EMA & FDA. As the development of bio product becomes more active, this study is needed the sense of concern about the design direction of biosimilar. In order to solve the insufficient design factor, we focused on case studies of package design in domestic biopharmaceutical and approved package designs in Europe and the U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visual aspect of the biopharmaceutical package design of domestic and global biopharmaceutical derived from this study that will be used as a basis for establishing the direction of future package design development.

      • KCI등재

        에코 패키지의 현황 및 최근 기술 동향

        김미자 ( Mi Ja Kim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27 No.-

        최근 국내외 가장 큰 이슈가 되는 중요한 관심분야 가운데 하나가 환경 문제이다. 본고에서는 에코패키지의 국내외 현황과 이에 대한 기술 동향을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에코패키지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연구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최근 기업이미지를 확보하기 위하여 에코 제품이나 포장재의 개발을 기업의 마케팅 전략의 하나로 활용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환경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과 참여를 유도하는 전략을 사용하기도 한다. 기술적, 산업적 측면뿐만 아니라 시각적, 디자인적 측면에서의 에코패키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도 크다. 이와 같은 배경에서 본고에서는 에코디자인의 개념을 고찰하고, 영역과 범주를 3R(4R)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감량화(reduce), 재활용(recycle), 재사용(reuse), 대체(replacement)를 중심으로 사례를 통해 에코패키지의 적용 범위를 살펴보았다. 선행연구 현황을 조사하고, 국내외 에코패키지의 최근 기술 동향을 고찰하였으며, 국내외 실용화 현황과 에코패키지의 전망과 앞으로의 과제를 살펴보았다. Recently one of the most important issues and interests internationally is the environmental issu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struction of eco-packaging, and recent technology trends in that field. This study will have the meaning as basic research for the activation of eco-packaging. Companies are recognizing the need of the development of eco-products and packaging for strategies to take advantage to ensure the corporate image. And they use the strategy to attract consumer`s interest and participation. The necessity of a study on eco-packaging is for the technical, industrial aspect, as well as in terms of the visual and design aspect. For the reasons this paper examined the concept of eco-design, and the categories are separated and reviewed by 3R(4R), which are reduce, recycle, reuse and replacement. In this study, I checked the status of the other previous studies and analysed the latest technology trends and status of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eco-packaging.

      • KCI등재후보

        우리나라 근대 관광문화상품에 나타난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 (1920-30년대 관광문화상품을 중심으로)

        박암종 ( Park Arm Jo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7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1 No.-

        본 연구는 우리나라 근대 관광문화상품에 나타난 특징을 통해 현재 우리나라의 획일적이며 창의성이 부족한 관광문화상품의 질적 향상을 도모하기 위한 필요성에서 시작되었다. 관광산업은 한 가지만 갖춰진다고 활성화 되는 것이 아니라 분야별로 짜임새 있게 일정 수준에 도달해야 가능하다. 관광을 활성화 시키는 주요한 관광인프라 요소는 교통, 숙박, 먹거리, 볼거리, 즐길거리에 추가로 관광문화상품 같은 살거리가 빠질 수 없다. 이런 이유로 관광산업 활성화 측면에서 지난 일제강점기에 제작된 관광문화상품 속에 담긴 디자인적 특징을 도출해 관광문화상품 발전에 기여코자 한다. 연구방법은 디자인적 특징을 도출 할 수 있는 객관적 분석틀 모형을 만들고 이에 대입하여 특징을 찾아내고자 하였다. 연구범위는 우리나라의 근대디자인 자료를 가장 많이 소장하고 있는 근현대디자인박물관의 소장품 중 1920-30년대에 생산된 관광문화상품 중에서 그룹을 지울수 있는 문화상품군(文化商品群)을 연구 대상으로 삼았다. 이에 연구내용 및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인쇄 및 후 가공의 마무리 수준이 매우 높다. 둘째, 한국적 전통소재와 지역적 특징을 잘 살려 타 지역과 차별화 하였다. 셋째, 신선한 아이디어를 돋보이는 자연친화적인 상품이 많다. 넷째, 장정이나 패키지디자인에 신경을 많이 썼으며 사용설명문이 첨부돼 있다. 이상과 같은 연구 결과로 우리나라 관광문화상품디자인에 자극제가 되어 참신한 관광문화상품들이 생산되길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view the design features shown on our modern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explore the ways to enhance the quality of our uniform and less creative contemporary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he tourism industry can hardly be invigorated with a single solution; a well-organized promotion policy is required. The major essential infra elements for invigoration of tourism are transport, hotels, must-eat, must-see, must-enjoy, and tourism cultural commodities. All in all, in order to invigorate the tourism industry, it is deemed necessary to identify the design feature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produced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and thereby, help develop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o this end, this study produced an objective analysis model conducive to the identification of the design feature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determin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The scope of this study was, however, limited to the modern design works produced during 1920's ~ 1930' and collected by the Korean Modern and Contemporary Design Museum reputed for its largest design collections in Korea; among them, the tourism culture commodity group belonging to the same category was sampled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nished quality after printing is very high; Secondly, the Korean traditional materials and local characteristics are well highlighted to be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Thirdly, many tourism culture commodities feature fresh ideas, being environmental-friendly; Fourthly, much efforts were made for marks or package designs, with the background and brochure attached. Lastly,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to stimulate the tourism culture commodities and thereby, that fresh tourism culture commodities would be produced actively.

      • KCI등재

        고바야시 이미지 스케일을 통한 일본 수출용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의 컬러 전략 연구

        이경수 ( Lee Kyung So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0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3 No.-

        본 연구는 일본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의 컬러를 중심으로, 일본 소비자의 컬러 선호도를 분석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컬러 분석 도구는 일본 컬러 전문가가 개발한 ‘고바야시’의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과 ‘컬러 이미지 스케일’을 사용하였다. 소비자 선호도 조사는 8개의 일본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의 컬러 견본을 제작하여 일본 도쿄에 살고 있는 20~50대의 시민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선호도 조사의 문항은 총 3가지로 첫 번째 ‘가장 사고 싶은 견본 컬러’, 두 번째 ‘가장 일본 화장품 다운 견본 컬러’, 세 번째 ‘가장 일본적인 느낌의 견본 컬러’ 등이다. 분석도구는 SPSS(Sta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를 사용했으며, 교차분석(Cross Tabulation Analysis)을 통하여 선호도를 입증하였다. 조사 결과 일본인이 선호하는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의 컬러는 남자는 ‘Cool Casual’, ‘Dynamic’, ‘Dandy’ 등의 고바야시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을 선호 하였으며, 여자는 ‘Casual’, ‘Gorgeous’ 등의 고바야시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을 선호하였다. 남녀 모두는 ‘Casual’, ‘Cool Casual’ 등의 고바야시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국내 기업의 일본 수출을 위한 패키지 디자인의 컬러 전략을 수립하기 위한 ‘일본인이 가장 선호하는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 컬러’를 제시하였다. 이 후 ‘일본 화장품 패키지 디자인 컬러’ 연구가 활성화되어 국내 기업의 일본 수출에 많은 도움이 되기를 희망한다. This study is aimed at analyzing the color preference of Japanese consumers, focusing on the color of Japanese cosmetics package design. Color analysis tools used the adjective image scale and color image scale of Kobayashi, developed by a Japanese color expert. The consumer preference survey was conducted on citizens in their 20s and 50s living in Tokyo, Japan, by producing color samples of eight Japanese cosmetics package designs. There are three questions in the preference survey: the first 'the sample color you want to buy,' the second 'the most Japanese cosmetics down sample color' and the third 'the most Japanese-feeling sample color'. The analysis tools used the phys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and demonstrated preference through Cross Tabulat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survey, men preferred Kobayashi adjectives such as "Cool Casual," "Dynamic" and "Dandy," while women preferred Kobayashi adjectives such as "Casual" and "Gorgeous." Both men and women were found to prefer the image scale of Kobayashi adjectives such as 'Casual' and 'Cool Casual.' This study presented 'Japanese's most preferred cosmetic package design color' to establish a color strategy for package design for export of domestic companies to Japan. It is hoped that the study of "Japanese Cosmetics Package Design Color" will then be activated to help domestic companies export their products to Japan.

      • KCI등재

        일본의 문화적 정체성을 반영한 가구디자인 사례연구

        정광호 ( Jung Kwang Ho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21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65 No.-

        라이프 스타일에 기반 한 독특함과 고유의 정체성을 반영한 디자인은 차별화 된 매력과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 일본은 현재 자신의 문화적 정체성을 경쟁력의 요소로 반영한 디자인으로 세계로 진출하고 있다. 본 연구는 일본 디자인의 특성에 대한 연구와 가구 디자인 사례 연구를 통해 한국 가구 디자인의 현재와 미래를 생각하고자 하였다. 또한 전통계승, 일상생활, 라이프 스타일 등 일본 디자인의 특징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별도로 무지에 대해서는 개념과 철학을 기반으로 리서치 하였다. 그 결과 무지는 일본 문화와 라이프 스타일을 기반으로 디자인을 구현 하였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를 위해 기준을 정하고 8개의 가구 디자인을 선정하여 각각의 특징과 공통점을 연구하였다. 그 결과 서로 다른 디자인에도 불구하고 일본 문화와 라이프 스타일을 공통적으로 적용 한 디자인을 구현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심지어 작은 가구 회사조차도 일부는 전통을 바탕으로 현대적인 디자인을 구현 하였다. 이번 연구의 주제인 일본 가구 디자인 사례연구 결과가 한국 가구 산업과 디자인 관계자들에게 참고 자료로 활용되기를 바란다. 또한 이번 연구를 통하여 한국 문화를 바탕으로 한국적인 독창성을 반영한 디자인 개발을 추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Design reflecting uniqueness and identity based on lifestyle has differentiated charm and competitiveness. Japan is currently advancing into the world with designs that reflect its own cultural identity as a factor of competitiveness. This study attempted to think about the present and future of Korean furniture design through a study of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design and case studies of furniture design. This study focuses on the characteristics of Japanese design, such as inheritance of tradition, everyday life, and lifestyle. Separately, Muji was studied focusing on concept and philosophy. As a result, Muji implemented a design based on the basic Japanese culture and lifestyle. For the study, the standard was set and eight furniture designs were selected, and the characteristics and common points of each were studi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despite the different designs, they implemented a design that applied Japanese culture and lifestyle in common. Even small furniture companies often implemented modern designs based on tradition. I hope that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on Japanese furniture design, which is the subject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a reference for the Korean furniture industry and design officials. In addition, I expect that this research can pursue the development of design reflecting the Koran originality, based on the culture of Kor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