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를 활용한 몸짓상징 중재가 비구어 자폐범주성장애유아의 의사소통 기능에 미치는 효과

        김운이 ( Kim Un-i ),최상배 ( Choi Sangbae ) 한국특수아동학회 2020 특수아동교육연구 Vol.22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s of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on communicative function of nonverbal infants with ASD(autism spectrum disorder). Method: Three non-verbal infants with ASD were selected and evaluated by multiple baseline design across subjects for a total of 24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s for 5 months. Results: First,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demand of infants with ASD. Infant A became more demanding after the intervention, and maintained somewhat to some extent, even in the maintenance phase. Infant B increased in frequency of demanding early in the intervention but stagnated in the late and maintenance phases. Infant C had sessions with increased frequency of demand, but stagnated during the lat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hases. Second,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had a limited effect on improving the responding of infants with ASD, and the difference among the infants were large. Infants A and B showed a low frequency of responding, but in the case of Infant C, the frequency of responding was increased significantly. Conclusion: The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using enhanced milieu teaching generall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demanding but had a limited effect on the responding of the target infants, and the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effects among the target infants were large. The findings suggest that various factors, such as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differences of each infant, and responsiveness to intervention, need to be taken into account when applying simplified manual sign intervention for infants with ASD.

      • KCI등재

        국내외 광고제 수상작의 크리에이티비티 표현 요소에 관한 연구

        김운한(Woon Han Kim),심성욱(Sung Wook Shim),이현우(Hyun Woo Lee)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5 No.1

        이 연구는 사진과 일러스트레이션, 자막카피 등의 크리에이티브 요소가 해외 광고제 수상작에 어떻게 표현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여 국내 광고의 크리에이티비티 향상을 위한 인사이트를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특이성과 허구성, 모호성 특성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토대로 국제 광고제 심사위원을 대상으로 하는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인식을 조사하는 한편, 국제 광고제 중 ``클리오`` 수상작과 국내 광고상인 ``대한민국광고대상``을 대상으로 관련 속성에 관한 내용분석을 실시했다. 심층면접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 광고제 심사위원들은 ``특이성`` 차원을 광고 크리에이티브를 평가하는 기준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허구적인 표현과 사실적인 표현에 대한 선호에 있어 심사위원들은 비슷한 정도로 선호하는 의견을 보였다. 셋째, 모호성과 자막카피 등 문자 요소의 사용정도와 관련하여, 문자 요소는 최소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복수로 수집되었다. 내용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제 광고제와 국내광고제 수상작 간 비주얼 비교한 결과, 일러스트레이션 사용 정도는 국제 광고제 수상작의 경우가 국내 광고제 수상작보다 많았다. 허구적 광고 역시 국제 광고제 수상작이 국내 광고제 수상작보다 많았다. 둘째, 자막카피의 양을 비교한 결과, 국제 광고제 수상작의 경우가 국내 광고제 수상작에 비해 자막카피 수가 2개 이하인 경우가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나, 국제 광고제 수상작이 모호성이 더 클 것으로 유추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크리에이티브 실무자들을 위한 제안점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suggest insights for creativity in domestic advertising by analyzing creative factors such photographs, illustration, and subtitles.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 was exploratively conducted to current and former judges of international awards, a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of ``Clio`` awards, one of three big advertising festivals, comparing with domestic ``Korea Advertising`` awards. The results are analyzed on theoretical background concerning distinctiveness theory, fictionality, and ambiguity. The major findings of the iN-depth interview are as follow. First, the interviewees were found to think of ``distinctiveness`` as a criteria of advertising creative. Second, most interviewees showed almost the same preference for fictional versus real expressions. In respect of usage of subtitles, minimization was recommended by multiple interviewees. The results of content analysis are as follow. First, The usage degree of illustration was meaningfully more in Clio winners than in ``Korea Advertising Awards`` winners, as much as more fictional appeals in Clio than domestic ones. Second, fewer than 2 subtitles were found more in Clio winners than domestic ones, which implicates higher ambiguity degree in Clio winners. Some operational suggestion was given to creative personnels with these results.

      • KCI등재

        도시명소화 전략으로서 미디어스트리트 조성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의 적용

        김운한(Kim, Woon Han),김정규(Kim, Jung Kyu) SBS 2021 미디어경제와 문화 Vol.19 No.3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properties of Media Street as a commercial and cultural area and the role of OOH(Out-Of-Home) advertising in relation to local attractions.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with 45 college students in Busan, and the perception of ‘Media Street’ in terms of outdoor advertising was examined. Results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grounded theory to discover and categorize the main concepts related to the Media Street construct, analyze the main concepts related to entertainment and experiential objects. Through selective coding, the core category was named as "experiential space that provides sensory and emotional play", and practical items related to the creation of Media Street were extracted. The results revealed that conceptual words regarding Media Street were focused on ‘media’ and ‘digital’, and some related to advertisement were also collected. Overall, respondents tended to perceive Media Street as a cultural space or experience element attached to advertisements rather than associations related to physical advertisements. Based on the results,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shaping Media Street as urban attractions were suggested.

      • KCI등재SCOPUS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제품유형과 캐릭터 허구성이 브랜드 캐릭터의 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운한(Woon Han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10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허구적 창작물의 수용 기제로서 `불신의 자발적 유예(WSD)` 개념을 적용하여 브랜드 캐릭터의 효과 과정을 포괄적으로 설명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캐릭터 허구성(고/저)에 따른 창작 캐릭터를 제작하고 각 캐릭터를 제품유형(쾌락재/실용재)별로 배치한 광고물을 통해 총 260명의 대학생에게 실험을 실시하였다. 측정변인으로 WSD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실재감`과 `몰입`의 두 하부 구성개념으로 구체화하였으며, 두 독립변수(제품유형, 허구성)와 WSD, 태도(캐릭터 태도, 광고 태도, 브랜드 태도) 변수 간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품유형과 캐릭터 허구성은 WSD에 대해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다. 구체적으로, 쾌락재이면서 고허구 캐릭터의 경우에 WSD가 가장 컸으며, 실용재이면서 고허구 캐릭터인 경우에 WSD가 가장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태도에 대한 WSD와 두 독립변수 간의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한 결과, WSD와 허구성은 광고 태도에 대해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소비자들이 브랜드 캐릭터에 대해 실재감을 지각하고 몰입하는(WSD) 정도는 브랜드 캐릭터가 등장하는 제품의 유형과 캐릭터의 허구성 정도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이후 WSD는 태도에 대해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한편 캐릭터 허구성과 상호작용하여 광고 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aimed to present a global explanation of the process of brand character effect with an application of `willing suspension of disbelief(WSD)` construct. For this purpose experimental characters were produced according to high/low fictionality and placed in advertisements of hedonic/utilitarian product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260 college students. The WSD variable was concreted by two sub-constructs: presence and immer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sed the influence of between product types and the fictionality of character on WSD. Results of two way ANOVA showe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between two variables. Specifically, high fictionality in a hedonic product showed the greatest mean scores on WSD; high fictionality in a utilitarian product the lowest. Second,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WSD in the process of brand character effect on attitudes. Product types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AC and AAd, and WSD showed significant effect on AC, AAd, and AB respectively. As for WSD-fictionality variables,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as found on AAd. The results support the expectation of this study that fictional brand character in advertisements can be perceived non-fictional(being alive) and induce immersion, which can be influenced by product types. And results also demonstrate that the WSD variable influences attitudes alone and interactively with the fictionality variable.

      • KCI등재

        리뷰 콘텐츠의 설득효과과정에서 리뷰어 언어와 소비자 동기요인의 역할

        김운한(Woon Han Kim),양문희(Moon Hee Yang) 동국대학교 영상문화콘텐츠연구원 2020 영상문화콘텐츠연구 Vol.20 No.-

        이 연구는 리뷰어의 언어적 특성과 소비자의 내적 특성이 온라인 리뷰의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설득 커뮤니케이션 이론에서의 잉여성 개념을 적용하여 온라인 리뷰어의 반복된 언어적 특성이 설득 효과에 미치는 영향이 소비자의 내적 요인으로서 자기결정성 및 구매동기가 어떠한 역할을 하는지를 탐색하였다. 일반 소비자 255명을 대상으로 한 실험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잉여성이 낮은 집단에서는 자기결정성이 높은 집단이 낮은 집단보다 제품태도가 높았으나, 잉여성이 높은 집단에서는 자기결정성이 낮은 집단이 높은 집단보다 제품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리뷰 콘텐츠의 잉여성이 증가할 경우 자기결정성이 높은 소비자의 제품 태도 및 구매 의도는 오히려 감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구매의도에 대해서는 잉여성과 자기결정성은 제한적인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다. 둘째, 소비자의 구매동기로서 쾌락적 동기는 리뷰콘텐츠 잉여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제한적으로 조절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잉여성이 낮은 경우가 높은 경우에 비해 쾌락동기가 큰 집단의 구매의도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원 속성으로서 리뷰어 신뢰성은 리뷰 콘텐츠의 설득효과(제품태도, 구매의도)에 유의한 주효과를 나타냈다. This research explores the effects of redundancy of reviewers" language and consumers" characteristics on the persuasive effects of online reviews. Based on the prior research that described persuasive communication, it is predicted that when consumers see redundancy in an online review, their reactions differ depending on the consumers" self-determination and consumption motives. An experiment is conducted to 255 adult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self determination and redundancy show a modulation effect on attitude toward products and show a marginal modulation effect on product purchase intention. Second, hedonic motives have a marginal modulation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Third, reviewer credibility has a primary effect on attitudes toward product and purchase intention.

      • KCI등재

        키워드 광고에서의 크리에이티브인게이지먼트 요인 탐색

        김운한(Woon Han Kim) 한국광고홍보학회 2013 광고연구 Vol.0 No.97

        본 연구의 목적은 검색광고 카피에서의 인게이지먼트 속성을 탐색하는 것이다. 연구 목적을 위해 소비자의 관여가 높을 것으로 예상되는 키워드 광고상품에서 학자금 대출과 청바지 상품을 선정하고 해당 상품별 키워드 광고의 T&D에서 인게이지먼트 관련 내용을 분석하고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인게이지먼트의 하부 구성개념을 추출한 후 각 요인이 메시지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선행연구에서 언급된 경험적 요인과 관련한 키워드 광고 유형을 조사한 결과, 학자금 대출은 이성적, 생활제안형 유형이 많은 반면, 청바지는 감성적 유형이 많이 나타났다. 소비자들의 인게이지먼트 인식 내용은 학자금 대출상품은 신뢰성, 물리적 장점 등 주로 이성적 표현에서 청바지는 시의성, 개인관련성, 흥미, 상황 요인, 물리적 장점, 신뢰성 등 주로 감성적, 상황적(TPO) 내용을 담은 표현에서 많이 나타났다. 또한,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 요인이 메시지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청바지’ 상품의 T&D를 조사한 결과 사전관련성, 경험, 몰입, 감정 고양 등 4개의 요인에서 유의한 하부구성항목이 적출되었으며, 이들 요인은 각각 메시지 태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크리에이티브 인게이지먼트를 높이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explore engagement-related characteristics in search (keyword) advertising. Expressive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for this purpose, in titles and descriptions (T&D) of search advertisements. Some expressions seemed engaging were extracted, with which an open-ended survey was conducted to ask the reason of being perceived engaging. Finding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ffective types were found more in T&D of jeans, while rational and life-suggestive types were found more in those of student loan, Second, reasons of perceiving engagement were detected to be different according to product types. Engagement in jeans was reported to be perceived mainly on affective and situational expressions, specifically ones indicating timeliness, personal relatedness, interest, circumstances, physical advantages, and trust. Engagement in student loan was reported mainly on reason-related expressions such as ones indicating trust and physical advantages. Second, a survey was conducted to explore the impact of engagement factors on keyword advertising of jeans. Results revealed four factors such as pre-relevance, experience, immersion, emotional enhancement, which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act on attitudes towards advertising message. Both theoretical and practitional suggestions were given on the development of engagement factors of advertising creative works.

      • KCI등재

        인지 스타일이 온라인 광고의 맥락 효과에 미치는 영향

        김운한(Kim, Woon han) 한국광고홍보학회 2015 한국광고홍보학보 Vol.1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온라인 광고 맥락의 효과 과정에서 개인의 인지 스타일로서 장의존도가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파악하는 것이다. 실제 집행되고 있는 온라인 광고물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의존도는 맥락 요인과 상호작용하여 광고태도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장의존적 집단의 경우 고맥락 광고가 저맥락 광고에 비해 광고태도 점수가 높았으나, 장독립적 집단의 경우 고맥락 광고와 저맥락 광고 간 광고태도 점수 차이가 적었다. 둘째, 인지 스타일이 광고의 회상, 재인, 광고태도 등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관여는 광고태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웹 콘텐츠 관여도의 경우, 저관여 집단이 고관여 집단보다 광고태도 점수가 높았다. 이와 함께 콘텐츠 관여도와 제품 관여도는 광고태도에 대해 상호작용 효과를 나타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온라인 광고에서 맥락효과를 높이기 위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the influence of consumers" cognitive styles on the contextual effect of on-line advertising. An experiment was conducted with actual contextual advertising with high/low contextual conditions. Results reveal that cognitive styles have significant influence, with an interaction of contextual level, on attitudes toward advertising. Specifically, for field-dependent groups of cognitive styles, higher scores are marked on the attitude of high-contextual advertising attitude, but for field-independent groups few differences are shown in the scores between advertisements with high and low contextual conditions. Product involvement shows positive impact on advertising attitudes, while content involvement, on the contrary, shows negative impact on advertising attitudes. Finally, product involvement is revealed to have an interaction effect with content involvement on advertising attitud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