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Hpall- Mspl Methylation Microarray를 이용한 비소세포폐암의 DNA Methylation Marker 발굴

        권미혜 ( Mi Hye Kwon ),이고은 ( Go Eun Lee ),권선중 ( Sun Jung Kwon ),최유진 ( Eu Gene Choi ),나문준 ( Moon Jun Na ),조현민 ( Hyun Min Cho ),김영진 ( Young Jin Kim ),설혜정 ( Hye Jung Sul ),조영준 ( Young Jun Cho ),손지웅 ( Ji Woo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8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5 No.6

        연구배경: 유전자의 후생적인 변화(epigenetic alteration)는 악성종양의 병인론에 있어서 유전자 변이와 동등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특히 종양억제 유전자의 전사 촉진(promoter) 부위에 발생하는 비정상적인 메칠화(methylation)는 유전자의 발현을 침묵화(silencing)하고, 결과적으로 유전자의 기능 소실을 일으키게 된다. 저자들은 CpG island와 HpaII site를 가지고 있으며 암화 과정에 관여할 것으로 생각되는 유전자에 대하여 HpaII-MspI methylation microarray를 이용하여 새로운 종양억제 유전자를 발굴하고자 하였다. 방법: 2005년 건양대학교 병원에서 수술한 비 소세포성 폐암 환자 10명에서 폐암조직과 상응하는 암 주변의 정상조직을 얻었으며, HpaII-MspI methylation microarray (Methyl-Scan DNA chip(R), Genomic tree, Inc, South Korea)를 이용하여 21개의 유전자에 대하여 DNA methylation profile을 분석하였다. 각각의 유전자에서 메칠화된 정도를 두 그룹에서 비교하였고, 정상 대조군으로 두 명의 젊고 건강한 기흉 환자에서 수술한 폐 조직에 대하여 methylation profile을 분석하였다. 결과: 21개의 대상 유전자 중 10개의 유전자에서 폐암조직, 폐암 주변 정상 조직, 대조군에서 모두 공통적으로 과메칠화 되었고, 나머지 11개의 유전자 중 APC, AR, RAR-b, HTR1B, EPHA3, CFTR의 6개의 유전자에서 대조군에서 메칠화가 없으며, 폐암조직에서 폐암 주변 정상 조직에 비하여 더 빈번하게 과메칠화 되었다. 결론: HTR1B, EPHA3, CFTR은 비소세포 폐암에서 후생적 변화로 발생하는 새로운 종양억제 유전자의 후보유전자로서의 가능성이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Tuberc Respir Dis 2008;65:495-503) Background: Epigenetic alterations in certain genes are now known as at least important as genetic mutation in pathogenesis of cancer. Especially abnormal hypermethylation in or near promoter region of tumor suppressor genes (TSGs) are known to result in gene silencing and loss of gene function eventually. The authors tried to search for new lung cancer-specific TSGs which have CpG islands and HpaII sites, and are thought to be involved in carcinogenesis by epigenetic mechanism. Methods: Tumor tissue and corresponding adjacent normal tissue were obtained from 10 patients who diagnosed with non small cell lung cancer (NSCLC) and underwent surgery in Konyang university hospital in 2005. Methylation profiles of promoter region of 21 genes in tumor tissue & non-tumor tissue were examined with HpaII-MspI methylation microarray (Methyl-Scan DNA chip(R), Genomic tree, Inc, South Korea). The rates of hypermethylation were compared in tumor and non-tumor group, and as a normal control, we obtained lung tissue from two young patients with pneumothorax during bullectomies, methylation profiles were examined in the same way. Results: Among the 21 genes, 10 genes were commonly methylated in tumor, non-tumor, and control group. The 6 genes of APC, AR, RAR-b, HTR1B, EPHA3, and CFTR, among the rest of 11 genes were not methyl-lated in control, and more frequently hypermethylated in tumor tissue than non-tumor tissue. Conclusion: In the present study, HTR1B, EPHA3, and CFTR are suggested as possible novel TSGs of NSCLC by epigenetic mechanism.

      • KCI등재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 찜질방 치료와 적외선 치료의 효과 비교

        김영진(Young-Gene Kim),김재덕(Jae-Deok Kim),김태곤(Tai-Kon Kim),이규훈(Kyu-Hoon Lee),한승훈(Seung-Hoon Han),최정화(Jeong-Wha Choi),김미정(Mi Jung Kim)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6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7 No.4

        연구배경: 최근 우리나라에 널리 보급되고 있는 찜질방 시설의 온도는 거의 대부분 체온보다 매우 높은 고온으로 설정되어 있으나, 적정 온도 및 그에 따른 이용 시간에 대한 과학적인 연구가 없이 경험적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형편으로 그동안 적지 않은 부작용의 발생 예가 있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찜질방이 활력 징후 및 혈액 검사 소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대표적인 만성 근골격계질환 중 하나라고 할 수 있는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들을 대상으로 찜질방과 기존의 국소 온열 치료 중 하나인 적외선 치료를 시행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진단 받은 여자 환자 14명을 무작위로 7명씩 가, 나군으로 나누어 가군은 찜질방 치료를 5일간 시행한 후 2주간의 휴식기를 갖고 역시 5일간 적외선 치료를 하였고, 나군은 순서를 바꾸어 먼저 적외선 치료를 시행한 후 2주간의 휴식기를 갖고 찜질방 치료를 하였다. 찜질방 치료는 온도가 72±2℃로, 습도가 45±2%로 유지되는 찜질방에 10분간 입실 후, 상온(25±1℃)에서 10분간 휴식하는 것을 연속으로 3회 반복 시행하였다. 치료 전후의 슬관절 표면 온도를 매일 측정하였고, 5일간의 치료가 끝난 후에는 통증시각상사척도와 WOMAC (Western Ontario and Ma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점수 및 Lequesne 점수를 측정, 비교하였다. 또한 5일간의 찜질방 치료기간동안 매일 찜질방 출입 전후의 활력 징후, 혈당, 말초혈액 산소 포화도를 측정하였고, 5일간의 찜질방 치료가 끝난 후에는 전혈 및 전해질 검사를 시행하여 비교하였다. 결과: 슬관절 표면 온도는 찜질방과 적외선 치료 후 모두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VAS, WOMAC 점수 및 Lequesne 점수는 찜질방과 적외선에 5일간 노출된 후 모두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며 두 가지 치료방법에 따른 VAS, WOMAC 점수 및 Lequesne 점수 감소의 차이는 없었다. 찜질방 치료 기간 중에 매일 측정한 활력 징후, 산소포화도 및 혈당은 모두 정상 범위로 유지되었으며, 5일후 측정한 전혈 및 전해질 검사 역시 치료 전과 비교하여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결론: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를 대상으로 찜질방 치료와 적외선 치료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두 치료방법 모두에서 유의한 통증 감소와 기능 개선이 있었다. 따라서 찜질방 치료는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통증 완화에 유용한 부가적인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To compare the short-term effects of Jjimjilbang (dry sauna) therapy and infrared therapy on pain scale of patients with knee osteoarthritis. Methods: 14 women older than 40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ll had knee osteoarthritis, and none had contraindications to Jjimjilbang therapy. They were all℃ated into two groups of 7 patients each. The first group underwent a Jjimjilbang therapy for 5 days, and after 2 weeks' wash-out period, they received infrared therapy for 5 days. The second group first underwent infrared therapy, and after wash-out period, received Jjimjilbang therapy. The results were evaluated with visual analogue scale, WOMAC (Western Ontario and MacMaster Universities Osteoarthritis) index and Lequesne's index. Results: Visual analogue scale, WOMAC and Lequesne's index showed that pai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Jjimjilbang therapy and infrared therapy (P<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therapies. Conclusion: Jjimjilbang therapy can reduce the pain of patients suffering from knee osteoarthritis.

      • KCI등재

        슬관절 골관절염 환자와 정상인의 보행 시 슬관절 가속도

        신준호(Joon-Ho Shin),김영진(Young-Gene Kim),홍대종(Dae-Jong Hong),나웅칠(oong-Chil Na),김영호(Young-Ho Kim),황선홍(Sun-Hong Hwang),김미정(Mi-Jung Kim),이규훈(Kyu-Hoon Lee),윤재남(Jae-Nam Yoon),박시복(Si-Bog Park)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6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7 No.2

        목적: 보행 시 슬관절에는 내측으로 지면반발력이 작용하게 되어 외측으로 회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퇴행성 슬관절염은 이 회전력에 의해 슬관절 내측으로 가해지는 힘이 커져서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와 정상인의 슬관절 가속도를 측정하여 보행 시 슬관절에서 나타나는 가속도의 양상을 비교해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정상 여성 22명과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진단 받은 성인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같은 종류의 양말과 신발을 착용하여 편안한 걸음을 걷는 상태에서 무선가속도 측정시스템을 이용하여 슬관절의 가속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측정범위가±2 g (중력가속도)인 삼축 가속도 센서 CXL03LF3 (Crossbow, USA)를 비골두에 부착하여 가속도를 측정하였고 Mann-Whitney 검정법과 Spearman의 상관분석법을 이용하였다. 결과: 1)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는 정상인에 비해 부하 반응기 직후에 나타나는 슬관절 가속도의 첫 번째 최고치가 외측 방향과 앞쪽방향으로 크게 나타났다(p<0.01). 2)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는 정상인에 비해 편안한 걸음을 걷는 상태의 분속수가 유의하게 적었으나(p<0.01) 분속수와 슬관절 가속도의 상관관계는 없었다. 3)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와 정상인 모두에서 부하 반응기 직후에 나타나는 슬관절 가속도의 첫 번째 최고치가 외측 방향과 앞쪽 방향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으며(p<0.01) 전후측, 내외측, 상하측간에도 상관관계가 있었다(p<0.01). 결론: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에서는 보행시 정상인보다 부하 반응기 직후에 나타나는 슬관절 가속도의 최고치가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슬관절의 동적 가속도 형태를 관찰하는 것이 슬관절 질환 진단의 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Background: To investigate and describe the acceleration of the knee during walking in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knee and healthy adults. Methods: 22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knee and 22 heathy adul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accelerometer fixed at left fibular head was used to record anterior-posterior, medio-lateral and superior-inferior accelerations of the knee during walking. Results: There was significant increase in lateral and anterior 1st peak of acceleration at loading response in the patients with osteoarthrits of knee compared to healthy adults (P<0.01). There was significant decrease in cadence in the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knee compared to heathy adults (P<0.01),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cadence and 1st peak of acceleration at loading response. There was correlated with anterior and lateral acceleration in all subjects (P<0.01). Also there was relationship between anterior-posterior, medio-lateral and superior-inferior acceleration in all subjects (P<0.01). Conclusion: The accelerometer can be an easy and useful way to evaluate patients with osteoarthritis of knee.

      • KCI등재

        만성 요통 환자에서 찜질방 치료와 적외선 치료의 효과 비교

        임승윤(Seung-Yoon Rhim),김영진(Young-Gene Kim),김태곤(Tai-Kon Kim),김재덕(Jae-Deok Kim),최정화(Jeong-Wha Choi),김미정(Mi Jung Kim) 대한임상노인의학회 2007 대한임상노인의학회지 Vol.8 No.4

        연구배경: 흔한 근골격계 질환인 요통에 대한 물리치료로는 온습포, 초음파, 적외선 등이 있다. 최근 국내에는 전신열의 한 형태라고 할 수 있는 찜질방이 유행하고 있으나, 이에 대한 과학적 연구 없이 경험적으로만 사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만성 요통 환자를 대상으로 찜질방과 기존의 국소 온열 치료 중 하나인 적외선 치료를 시행하여 그 효과를 비교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원 재활의학과에 3개월 이상 지속되는 요통을 주소로 내원한 환자 36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을 무작위로 18명(적외선), 18명(찜질방)씩 두 군으로 나누었다. 찜질방 치료군은 온도가 72±2, 습도가 45±2%로 유지되는 찜질방에 10분간 입실 후, 상온(25±1oC)에서 10분간 휴식하는 것을 연속으로 3회 반복 시행하였고, 적외선 치료군은 250W의 적외선 치료기(원효 메디칼, 한국)를 통증 부위로부터 30cm 떨어진 거리에서 30분 동안 조사하였다. 이를 3주간 지속한 후에 치료 전후의 통증시각상사척도(VAS), Oswestry low back pain scale, Pain Disability Index (PDI), Pain Rating Score (PRS),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를 측정, 비교하여 두 치료법의 효과를 비교하였다. 결과: 3주간의 치료가 끝난 후 VAS, Oswestry scale, PDI, PRS, BDI는 찜질방 치료군과 적외선 치료군에서 모두 의미 있게 감소하였다. BDI는 찜질방 치료군에서 적외선 치료군에 비해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결론: 찜질방이 만성 요통 환자의 통증과 기능향상에 유용한 전신열 치료의 하나가 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향후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전신적인 신체 반응, 노출 방법 및 부작용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진다면 대중적인 온열 치료의 한 가지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Background: To compare the short-term effects of Jjimjilbang (Korean-type dry sauna) therapy and infrared therapy on pain scale and depression scale of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Methods: 36 women older than 40 years were included in the study. All have suffered from continuous low back pain during more than 3 months, none had contraindications to Jjimjilbang therapy. They were allocated into two groups of 18 patients each. The first group underwent a Jjimjilbang therapy for 15 days. The second group underwent infrared therapy on low back. The results were evaluated with Visual Analogue Scale (VAS), Oswestry low back pain scale, Pain Disability Index (PDI), Pain Rating Score (PRS)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Results: Visual analogue scale, Oswestry low back pain scale, Pain Disability Index (PDI), Pain Rating Score (PRS) showed that pain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both Jjimjilbang therapy and infrared therapy (P<0.05).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therapies except for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Beck Depression Inventory (BDI) was significantly reduced by Jjimjilbang therapy group. Conclusion: Jjimjilbang therapy can reduce the pain of patients and improve depressive mood of patients suffering from chronic low back pain.

      • SCOPUSKCI등재

        내과적 흉강경 검사의 진단적 유용성과 안전성

        양정경 ( Jung Kyung Yang ),이정호 ( Jung Ho Lee ),권미혜 ( Mi Hye Kwon ),정지현 ( Ji Hyun Jeong ),이고은 ( Go Eun Lee ),조현민 ( Hyun Min Cho ),김영진 ( Young Jin Kim ),정성미 ( Sung Mee Jung ),최유진 ( Eu Gene Choi ),손지웅 ( Ji 대한결핵 및 호흡기학회 2007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63 No.3

        배경: 삼출성 흉수 환자의 적지 않은 빈도에서 원인이 불명확하다. 삼출성 흉수를 진단하기 위한 다양한 방법 중에서 내과적 흉강경은 국소마취 하에서 시행할 수 있으며 악성 종양이나 결핵에서 진단율이 높으며, 진정제와 국소마취상태에서 시행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내과적 흉강경의 진단적 정확성과 안전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2005년 10월부터 2006년 9월까지 25명의 원인을 알 수 없는 삼출성 흉수 환자를 대상으로 내과적 흉강경을 시행하였다. 성별, 연령 시술 전 폐기능, 흉부 측와위 사진에서 흉수의 두께(LDR) 등의 정보를 얻었다. 내과적 흉강경 시행도중 활력징후를 기록하였고 동맥혈 가스 분석을 5차례 시행하여 혈역학적 상태와 산-염기 균형 상태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결과: 환자의 평균 연령은 56.8(22-79)세였고, 흉부 측와위 사진에서 흉수의 두께는 27.49 mm이었다. 내과적 흉강경을 이용한 흉막 조직 생검으로 24명(96%)이 진단되었으며, 결핵성 흉막염이 9명(36%), 악성 흉수가 8명(32%), 부폐렴성 흉수가 7명(28%)이었다. 내과적 흉강경으로 흉수의 원인을 알아낼 수 없었던 1명(4%)은 추후에 심장막 조직 생검으로 결핵으로 진단되었다. 내과적 흉강경 중 혈압, 심박동수, 산-염기 상태의 변화는 보이지 않았다(p>0.05). 결론: 내과적 흉강경은 진단율이 높으면서도 안전한 시술이다. Background: The causes of the pleural effusion are remained unclear in a the substantial number of patients with exudative effusions determined by an examination of the fluid obtained via thoracentesis. Among the various tools for diagnosing exudative pleural effusions, thoracoscopy has a high diagnostic yield for cancer and tuberculosis. Medical thoracoscopy can also be carried out under local anesthesia with mild sedation.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diagnostic accuracy and safety of medical thoracoscopy. Methods: Twenty-five patients with exudative pleural effusions of an unknown cause underwent medical thoracoscopy between October 2005 and September 2006 in Konyang University Hospital. The clinical data such as age, gender, preoperative pulmonary function, amounts of pleural effusion on lateral decubitus radiography were collected. The vital signs were recorded, and arterial blood gas analyses were performed five times during medical thoracoscopy in order to evaluate the cardiopulmonary status and acid-base changes. Results: The mean age of the patients was 56.8 years (range 22-79). The mean depth of the effusion on lateral decubitus radiography (LDR) was 27.49 mm. The medical thoracoscopic pleural biopsy was diagnostic in 24 patients (96.0%), with a diagnosis of tuberculosis pleurisy in 9 patients (36%), malignant effusions in 8 patients (32%), and parapneumonic effusions in 7 patients (28%). Medical thoracoscopy failed to confirm the cause of the pleural effusion in one patient, who was diagnosed with tuberculosis by a pericardial biopsy.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blood pressure, heart rate, acid-base and no major complications in all cases during medical thoracoscopy (p>0.05). Conclusions: Medical thoracoscopy is a safe method for patients with unknown pleural effusions with a relatively high diagnostic accuracy. (Tuberc Respir Dis 2007; 63: 261-267)

      • SCOPUSKCI등재

        회음부 욕창으로 인한 요도 결손 환자에서 pedicled scrotal septal flap을 이용한 치험례

        김영진,이백권,임풍,허진 大韓成形外科學會 1997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24 No.1

        Reconstruction of the male urethra is required for a multitude of congenital anomalies, such as hypospadias and epispadias, as well as for acquired lesions such as stricture disease and trauma. No method is appropriate for all types of repair of the urethra. Asuccessful surgical reconstruction of the urethra is the result of a proper operative selection that depends on the site and length of the disrupted urethra and also depends on, as well as the experience of the surgeon. Reconstruction of the urethra has been performed by the use of homografts,silicone tubes, grafts taken from the bladder mucosa or buccal mucosa. But serious postooperative problems, such as urinary fistula, urethrostenosis, stricture of the site of urethral anastomosis, and diverticulum formation, are not uncommon. Especially, reconstruction of proximal urethra is very difficult because of limitations of operation field exposure and flap transfer. However, the hairless median scrotal skin flap with the scrotal septum attached, rich in neurovascular plexus, is ideal material for creating a new urethra without interference to its blood supply and other complications. We experienced a successful reconstruction of the proximal urethral defect in about 8cm length and perineal sore with pedicled scrotal septal flap and gracilis musculocutaneous flap, respe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