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 임원과 이익의 정보유용성

        김영길(Younggil Kim) 한국관리회계학회 2022 관리회계연구 Vol.22 No.2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이사회 내 여성임원의 존재여부가 회계이익에 대한 시장의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데 있다. 여성 임원의 존재는 이사회 다양성 확보와 여성의 특성 측면에서 기업 지배구조에 긍정적으로 작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이익반응계수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19년부터 2021년까지 한국거래소에 상장된 5,939개 기업-연도를 대상으로 실증분석하였다. 이전의 연구에서 활용된 주가수익률과 회계이익의 상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실증분석 결과 전체 이사회 내 여성 임원의 존재여부는 이익반응계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외이사 중 여성임원이 존재하는 경우 이익반응 계수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의 결과는 기업 지배구조가 회계정보의 질을 높인다는 기존의 연구에 추가적인 시사점을 제공한다. 또한 여성 임원이 회계정보의 투명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보제공자 측면이 아닌 정보수요자 입장에서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연구와 차별점이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female director affect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The female director is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corporate governance in terms of diversity on the board of directors and characteristics of women, which is likely to affect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 empirical analysis on 5,939 firm-year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from 2019 to 2021. The analysis is performed by applying the association analysis between the stock price and earnings based on prior work. [Findings] As a result of the empirical results, it was found that female director on the board of director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However, the female outside director makes the earnings response coefficients increase statistically significantly. [Implications] This study improves the understanding of findings that corporate governance improves the quality of accounting information.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ere will be differences from prior studies by examining the effect of female director on the transparency of accounting inform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users, not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providers.

      • KCI등재

        Does Board Gender Diversity Improve the Firm Performance?

        Younggil Kim(김영길) 한국관리회계학회 2021 관리회계연구 Vol.21 No.3

        [연구목적] 본 연구는 기업 이사회 성별 다양성이 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기업 경영활동과 관련된 의사결정에 관여할 가능성이 큰 사내이사를 중심으로 성별다양성을 측정하여 기업 성과와의 관련성을 분석한다. [연구방법] 한국 거래소에 상장된 3845개 표본을 대상으로 고정효과모형을 이용하여 이사회 성별 다양성과 기업 성과와의 관련성을 검정하였다. [연구결과] 실증분석 결과, 이사회를 구성하는 전체 이사들의 성별다양성은 기업 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사내이사들의 성별다양성은 기업 성과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의 시사점] 본 연구는 이전의 기업지배구조 연구를 확장하고 있고, 규제기관에서 여성임원 할당제를 민간기업으로 확대하려는 시점에서 정책적으로 시사하는 바가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Purpose] This study investigates whether gender diversity of the board of directors affects corporate performance, especially in country where chaebol-driven corporate ownership structure are well developed. In particular, gender diversity is defined as inside directors’ gender diversity who are likely to be involved in decision-making related to corporate management activities to examine the association with corporate performance. [Methodology] This study conduct fixed effect regression to address endogeneity issue, and my sample consists of 3845 Korean companies listed on the Korea Exchange. [Findings] The empirical result demonstrates that board gender diversity for inside director positively affect firm performance. [Implications] This study adds to corporate governance literature by examining the link between the gender diversity of the board of directors and firm financial performance. In addition, this study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to investor and regulatory bodies at important times as the Korean government is in the process of mandating corporate gender quotas in the private sector.

      • 광학입자센서 내 노즐형상과 입자 크기에 따른 측정효율 변화에 대한 실험 및 시뮬레이션

        김영길(Younggil Kim),아툴 쿨카르니(Atul Kulkarni),전기수(Kisoo Jeon),윤진욱(Jinuk Yoon),김태성(Taesung Kim) 대한기계학회 200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8 No.5

        The OPS (optical particle sensor) based on light scattering principle are widely used in clean rooms and for the atmospheric environment monitoring applications. Its popularity lies in its real time measurement ability with no physical contact with the particles under measurement. The detection efficiency of the OPS is mainly governed by the scattered light intensity, which strongly depends on particle size and its velocity in the detection area. In this study, we carried out simulation and experiments to evaluate the effect of nozzle size and shape (geometry) on detection efficiency of the OPS. A commercial computational fluid dynamics software FLUENT was used to simulate the flow field and particle trajectories. The effect of nozzle size and shape is evaluated as the count mode of scattering intensity with particle size (300, 500, 700 ㎚) experimentally. Simulated particle velocities were compared with experimental results and found within limit.

      • KCI등재

        뜨로이쯔꼬예 문화의 마구에 대한 일고찰 -재갈과 등자를 중심으로-

        김영길(Kim, Younggil) 고구려발해학회 2021 고구려발해연구 Vol.70 No.-

        뜨로이쯔꼬예 문화는 북실위의 미하일로브까 문화와 제 2송화강의 발해-말갈 문화 그리고 고구려계의 발해 문화가 종합된 복합적인 양상을 보인다. 본고에서는 뜨로이쯔꼬예 문화의 선행 연구에서 상대적으로 주목받지 못했던 재갈과 등자 등 마구류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보는 것을 첫 번째 목적으로, 발해와의 비교를 통해 특징적인 양상을 구체화해보는 것을 두 번째 목적으로 두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형식적, 계통적 특징 분석을 진행하였다. 재갈의 경우 S자형 함유가 장착된 철제 표비와 원환비가 주를 이루는데, 특히 이중 함외환과 인수의 역할을 대신하는 유환이 특징적이다. 등자의 경우 병부의 평면 형태가 방형에 가까운 철제 단병형 등자와 고리형 등자가 확인된다. 주로 남시베리아와 중앙아시아 초원지역 자료와 비교 분석한 결과 재갈과 등자에서 모두 유목문화의 계통적 특징이 확인된다. 뜨로이쯔꼬예 문화 마구의 특징적인 양상을 구체화해보기 위해 유사한 양상이 확인된 발해의 사리파고분군, 대해맹유적, 동청고분군 출토 마구와 비교 분석하였다. 단병형 등자와 고리형 등자에서 형식상의 공통점이 있으나, 3연식 표비와 환판비, 목심철판피 등자의 존재 등에서 큰 차이가 확인된다. 이 현상의 의미를 파악하기 위해 마구류 외의 요소들에서도 비교 분석을 시도했다. 일단 상기한 세 유적 중 사리파고분군에서 마구류 외에도 토광 내 목곽구조물과 화장 등의 매장방식, 심발형 토기의 특징적인 돌대 장식, 투르크식 대장식구 등의 비교를 통해 뜨로이쯔꼬예 문화와 가장 유사성이 높게 나타났다. 대해맹유적과의 비교에서는 투르크계 장신구와 원형계 말갈 패식, 뜨로이쯔끼식 ‘단검’ 등에서 유사성이 추가적으로 확인되나, 3연식 표비는 뜨로이쯔꼬예 문화에서는 출토되지 않은 큰 차이가 있다. 이는 대해맹유적이 다층위유적인 관계로 발해 이전의 한대 문화층의 영향이 재갈에서도 같은 맥락으로 나타난 것이라 보았다. 동청고분군과의 비교에서는 철제 단병형 등자가 공통되나, 목심철판피 등자와 환판비의 존재라는 큰 차이점이 있다. 이 형식의 등자와 재갈은 뜨로이쯔꼬예 문화와 달리 유입 가능성을 고구려를 비롯한 한반도 지역으로 보고 있으며, 주 묘제의 성격과 토기 기종 분석에서도 고구려의 전통을 비교적 강하게 유지한 발해 고분군임을 알 수 있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된다. 첫 번째로, 뜨로이쯔꼬예 문화의 재갈에서는 표비와 원환비에서 보이는 이중외환 형식의 함과 유환을, 등자에서는 단병형과 고리형 형식 자체를 근거로 투르크계의 유목문화적 요소들이 내재되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발해 마구와의 공통요소는 철제 단병형 등자와 고리형 등자다. 그러나 발해의 3연식 표비와 목심철판피 등자는 뜨로이쯔꼬예 문화의 마구 양상과 확연히 다른 요소이며, 이는 마구 외의 자료 분석으로 이전 시기 문화층과 고구려를 비롯한 한반도 지역의 영향이 마구에서도 보여졌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뜨로이쯔꼬예 문화에 대한 선행 연구들에서는 주로 토기에 집중된 분석이 진행되어 온 관계로, 본 연구에서는 마구를 중심으로 그 양상을 분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아볼 수 있을 것이다. Troitskoe culture is a combination of the Mikhailovka culture of Northern Shiwei, the Balhae-Mohe culture of the Second Songhua River, and the Balhae culture of Goguryeo. In this article, we conducted research on Horse Trappings such as bits and stirrups, which were relatively unnoticed in past research on Troitskoe culture. The first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mprove understanding of the Horse Trappings of Troitskoe culture. And the second purpose is to identify characteristic aspects through comparison with Balhae. First, we proceed with the analysis of form and cultural effection. It was mainly compared to data from South Siberia and grasslands in Central Asia. In addition, cultural characteristics of nomadic culture were identified in both bits and stirrups. In order to learn more about the characteristics, it was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Saripa tombs, Daehaemeng relic, and Dongcheong tombs where similar patterns were identified in Balhae. Formal commonalities have been found in short handle stirrups and ring stirrups. However, a big difference can be seen in the existence of three-bar bits, ringed plate bits, and stirrups with wooden frames.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is difference, we also tried comparative analysis on other factors other than Horse Trappings. Among the three sites, the Saripa tombs were the most similar. Not only is it similar in the Horse Trappings, but it is most similar to Troitskoye culture through comparisons of burial methods such as wooden structures and cremation, characteristic decorations of deep bowl pottery, and Turkic belt ornament. Comparisons with Daehaemeng relic showed similarities in Turkic ornaments, circular ‘Mohe type plaques’ belt ornaments, and Troitsky ‘daggers’.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that the three-bar bits has not been excavated from the Troitskoye culture. This phenomenon is attributed to the influence of the occupation layer of the Han Dynasty before Balhae. In comparison with the Dongcheong tombs, it was found that the short handle stirrups had something in common. However, there i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existence of ringed plate bits and stirrups with wooden frames. Unlike Troitskoye culture, this type of stirrup and bits are regarded as a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cluding Goguryeo.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in types of tombs and pottery shows that the Dongcheong tombs were Balhae tombs, which maintained a relatively strong tradition of Goguryeo. Prior studies of the Troitskoye culture have mainly focused on pottery. Therefore, the meaning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analyzed features centered on the Horse Trappings.

      • KCI등재

        발해 마구 연구

        김영길(Kim Younggil) 동북아역사재단 2020 東北亞歷史論叢 Vol.- No.69

        마구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 각종 부품들의 결합체로 당시 산업 기술과 예술 성향들이 응집되어 나타나기 때문에 고고학자들의 큰 관심을 받아왔다. 하지만 발해에 대해서 국내외의 많은 학자가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를 진행해온 것에 비해, 발해 마구는 부품 소개와 형식을 관찰한 기초적인 연구만 진행되어 상대적으로 미진하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기존 연구 자료에 신자료들을 추가해 세부적으로 살펴보고, 발해 마구의 형태적 특징을 파악해보았다. 그 결과 발해의 마구는 적은 출토 수량에 비해 지역별로 다양한 형태 및 종류가 존재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원인은 발해 이전 시기의 문화와 동시기 근접 문화마구들과의 비교를 통해 찾아보았다. 먼저 중경지역의 재갈에서는 신라·가야-통일신라로 이어지는 제작방식과의 연관성을, 등자에서는 고구려와 통일신라 그리고 유라시아 초원지역의 유목민족들과의 연관성을 추정해볼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제2 송화강 중류역의 재갈에서는 유라시아의 고대 유목문화와 중원 문화와의 연관성을, 등자에서는 유라시아 초원지역의 유목민족들과의 연관성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함경북도 지역의 재갈과 등자에서는 모두 고구려와의 연관성이 확인되나, 다만 등자에서는 비교 자료로 고구려에만 한정 지어 검토하기에는 삼국시대 말기 등자의 전반적인 현상들이 확인되고 있어 재고가 필요함을 발견하였다. Horse trappings are a combination of various functional parts, so the industrial techniques and artistic tendencies of the time are combined. So it has received great attention from archaeologists. However, while many scholars in Korea and abroad have been interested in Balhae, Horse trappings of Balhae have only conducted basic research. Therefore, in this article, I added new materials to the existing research materials and examined them in detail. And I figured out the shape of the Horse trappings of Balhae. As a result, Horse trappings of Balhae were found to have various forms and types depending on the region compared to the small quantity excavated. The cause of this was found by comparing the culture of the pre-Balhae period with other cultural herds of the same period. First, the bit in the Jung-gyeong area confirmed the connection between Silla, Gaya and Unified Silla. And in the stirrups, the association between Goguryeo, Unified Silla, and nomadic peoples in the Eurasian grasslands could be estimated. Next, the bit at the middle basin of the Second Songhwa River confirmed the link between Eurasian Ancient Nomadic Culture and Chinese Medieval Culture. And, in the stirrups, the association with nomadic peoples in the Eurasian grasslands could be identified. Finally, both bits and stirrups in Hamgyeongbuk-do were all related to Goguryeo. However, I think that Goguryeo should not be the only thing that should be looked at in the study of the stirrups. This is because the general phenomena of the late Three Kingdoms Period are being confirmed. Therefore, a closer review is needed.

      • KCI등재

        정찰용 무인기를 위한 공용데이터링크 모뎀 설계 및 성능 분석

        정성진,김영길,이대홍,Jung, Sungjin,Kim, Younggil,Lee, Daehong 한국정보통신학회 2018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22 No.1

        최근 다양한 분야에서 이슈가 되고 활용되는 드론 등을 포함한 무인기체계는 군사분야에서부터 시작되어 다양한 민간분야에서도 활발하게 연구 개발되고 있다. 최근 개발되는 다양한 형태의 무인기체계에서, 지상의 조종장치와 무인기간의 연결을 담당하는 통신체계를 데이터링크라고 한다. 특히, 군 분야의 무인기에서 획득된 감시/정찰용 영상정보 및 무인기의 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지상으로 전송하기 위한 공용데이터링크는 특성상 통신의 안정성 확보를 우선으로 한다. 본 논문에서는 정찰용 무인기에서 사용되는 공용 데이터링크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디지털 변복조기의 소요규격을 파악하고, 해당 규격을 만족하기 위한 설계를 제안하였다. 설계된 시스템의 타당성은 구현된 시스템의 성능측정을 통하여 검증하였다. The UAV(Unmanned Aerial Vehicle) system, including the drone of a variety of fields, which has become an issue and utilized in various fields, has begun to develop in military fields and is actively developed in the commercial field. In various types of UAV systems, which have been developed recently, the communication system that is responsible for the connection between the ground control unit and the UAVs is called the data link. Especially, common data link used in military UAVs is required stability of communication to transmit surveillance and reconnaissance intelligence information and UAV's status. In this paper, the requirement for a modem was defined to secure the communication stability of the common data link used in surveillance UAVs. And, the design of the data link modem to satisfy applicable specifications was proposed. The proposed modem design was verified through the performance measurement of the implemented systems.

      • KCI등재

        북한지역의 발해유적 발굴조사 현황과 과제

        박규진(Park, Kyujin),김영길(Kim, Younggil) 고구려발해학회 2022 고구려발해연구 Vol.74 No.-

        이 글은 북한지역 발해시기 문화유적에 대한 발굴 현황과 이에 따른 문제점 그리고 향후 전망 및 과제를 살펴본 글이다. 북한의 발해유적은 1980년대 들어 본격적으로 발굴되기 시작했고, 이후 90년대와 2000년대 초반을 거쳐 최근까지 간헐적으로 조사가 이루어졌다. 이 글에서는 지금까지 알려진 발해유적 중 발굴조사 된 유적을 관방유적, 건축유적, 고분유적, 사찰유적, 생활유적 등으로 분류하여 조사현황을 살펴보았다. 우선 관방유적은 청해토성, 성령산성, 성상리토성 등이 발굴되었고, 건축유적으로는 금산1, 2건축지, 회문리ㆍ동흥리 24개돌 유적 등이 있다. 고분유적은 발굴된 유적의 수가 제일 많은데 함경북도 지역의 금성리고분군, 창덕고분군, 궁심고분군, 부거리일대 고분군, 창촌리고분 등과 함경남도의 평리고분군, 오매리고분군, 부상리고분군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중 창촌리고분과 부상리고분군은 비교적 최근에 발굴되었다. 사찰유적은 오매리사지가, 생활유적으로는 오매리 자기가마터가 대표적이다. 발굴현황을 살펴봤을 때, 북한지역 발해유적은 알려진 곳에 비해 실제 발굴된 유적은 매우 적으며, 발굴조사 역시 고분유적을 중심으로 진행되는 양상이다. 또 지금까지 알려진 발해유적 중 그 성격의 재검토가 필요한 유적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유적조사에서 드러나는 몇 가지 문제점, 즉 발해유적으로 알려진 고분의 성격 문제, 성곽유적의 위치추정 문제, 유적분포와 발해의 남쪽 경계 문제, 발굴조사와 그 보고 과정에서 확인되는 문제 등을 점검하였다. 또 향후 북한지역 발해유적 조사 및 연구 방향을 자료확보 방안, 유적의 정보와 자료의 체계적인 관리방안, 공동연구 및 조사 방안 등을 제언해보았다. 이상에서 확인한 대로, 북한 발해유적은 아직 미발굴된 곳이 더 많으므로, 더욱 활발한 발굴조사가 요구된다. 가장 좋은 방법은 남북이 공동으로 조사를 진행하는 것이지만, 현재 정치적인 상황으로 인해 불가능하다. 하지만 남북공동 조사의 기회는 언제라도 다시 찾아올 수 있으므로, 이를 대비하기 위해서 교류가 없는 시기에도 공동 조사에 대한 철저한 준비가 필요하다. This study is about the current status of excavation archaeological sites, problems, prospects, and tasks during the Balhae period in North Korea. The archaeological sites of Balhae in North Korea began to be excavated in the 1980s, and since then, it has been excavated irregularly in the 1990s, 2000s, and until recently. In this study, the excavated Balhae sites were classified into Defense Outpost sites, Architecture sites, Grave sites, Temple sites, and Subsistence sites, and the current status was checked. As for the Defense Outpost site, Cheonghaetoseong Fortress, Seongnyeongsanseong Hillfort, and Seongsang-ri Fortress were excavated, and Architecture site include Geumsan 1 and 2 Sites, and 24 Foundation Stones Structure Sites in Hoemun-ri and Dongheung-ri. The number of excavated Grave sites is the largest, including Geumseong-ri Burial Group, Changdeok Burial Group, Gungsim Burial Group, Burial Group at Buggeori-area and Changchon-ri Grave in Hamgyongbuk-do Province; Omae-ri Burial Group, and Busang-ri Burial Group in Hamgyongnam-do Province. Among them, Changchon-ri Grave and Busang-ri Burial Group were excavated relatively recently. The Temple sites are represented by Omae-ri Temple Site, and as for Subsistence sites, Omae-ri Porcelain kiln site is representative. Looking at the current excavation status, there were not many surveyed sites of Balhae in North Korea. Excavations were mainly on Grave sites as well. In addition, among the sites of Balhae known, the sites that require reconfirmation of their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In addition, several problems revealed in the survey, such as the Grave known as Balhae sites, the location estimation of the fortress, the distribution of sites and the southern boundary of Balhae, and the excavation and reporting process were checked. Moreover, various directions were proposed to survey and research the sites of Balhae in North Korea. The sites of North Koreas Balhae require more active excavation. The best way is for the South and North Korea to jointly survey, but it is impossible due to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 However, an opportunity for a joint archaeological survey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can come at any time, so it is always necessary to prepare for a joint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