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화가능도 이론을 적용한 최순자의 유아 사회도덕성 검사의 효율적인 측정 조건 탐색

        김성희 ( Kim Sunghee ),김성연 ( Kim Sungyeun ) 미래유아교육학회 2017 미래유아교육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사회도덕성 측정 결과를 일반화가능도 이론에 기초하여 분석함으로써 사회도덕성 검사 점수에서 나타나는 오차요인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산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적정 수준의 신뢰도에 도달할 수 있는 효율적인 측정 조건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유치원의 만 3∼5세인 혼합반 유아 25명을 대상으로 수업을 진행하는 3명의 유아교사가 사회도덕성을 평정한 결과에 일반화가능도 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의 사회도덕성 검사점수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문항과 평가자의 상호작용효과였으며, 평가자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유아 사회도덕성 검사가 적정 수준의 신뢰도에 도달하기 위한 효율적인 측정 조건은 평가자를 3명에서 1명으로 줄이고, 총 문항수를 57문항에서 30문항으로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연구 결과들을 바탕으로 실제 유아교육현장에서 사회도덕성 검사 활용 방안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ive measurement conditions which can obtain a desirable level of reliability based on investigating relative influence of error factors that appear in the social morality test for young children. The collected data were the scores of the young children`s social morality test by 3 teachers who teaching a class of 25 young children aged three to five years in a mixed class.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generalizability analysi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in G-study, the interaction effects between the items and the evaluators were relatively large. On the contrary, the evaluator effect was relatively negligible. Second, in D-study, the efficient measurement conditions to reach an appropriate level of reliability showed that the number of evaluators could reduce from 3 to 1, and the number of items could reduce from 57 to 30. Finally, this study dealt with practical application of using the social morality test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fields followed by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of future research.

      • KCI등재

        필리핀 중등학교 한국어 교재 개발 방향 -필리핀 중등학교 현지인 한국어 교사 인식을 중심으로-

        김성희 ( Kim Sunghee ) 이중언어학회 2021 이중언어학 Vol.8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eachers’ perceptions on develop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textbook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the Philippine SPFL Korean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each Korean teaching area in the order of grammar, speaking, reading, writing, and listening. It was recognized that teaching and learning skills should be improved in the order of speaking, reading, grammar, listening, and writing. Teachers recognized the need for in-depth learning in the order of grammar, speaking, writing, listening, and reading; 2) Currently, “Sejong Korean 1-4” is used for secondary school textbooks by grade 7-10. Korean university languages’ center textbooks and self-made online videos are also used. Teachers recognized that it was essential to develop localized textbook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3) Teachers demanded ‘development of easier, localized textbooks considering the youth learning context’. It called for the integration of curriculum and textbooks, the development of localized textbooks, the development of teacher guidance books, consideration of youth learners, and the development of advanced textbooks. (Inha University)

      • KCI등재
      • KCI등재

        한국사회에서 이주노동자의 문화적응 스트레스

        김성희(Kim, Sunghee),김성해(Kim, Sung Hae) 한국산학기술학회 201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4 No.8

        본 연구는 한국에 이주한 노동자들이 문화적응 과정에서 경험하는 스트레스를 파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123명의 연구대상자들에 대한 자료는 2010년 1월부터 5월까지 수집되었으며 SPSS WIN 18.0을 활용하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비교하였다. 연구결과 대상자들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7개 하위영역 중 향수병 과 차별감에 대한 스트레스를 가장 많이 경험하였으며, 고졸 졸업자가 중졸이하보다, 모국 공동체를 가지고 있지 않 은 경우가 있는 경우보다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상자들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문 화적응 스트레스 하위영역별 차이 중, 차별감, 향수병, 문화충격, 모국 공동체가 없는 경우 및 공공장소에서의 부당 대우를 경험한 경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스트레스를 더 많이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배우자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가 동거하는 경우보다 향수병을 더 느끼며, 남자가 여자보다, 고졸이 중졸이하 보다, 배우자와 동거하지 않는 경 우가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죄책감을 더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이주노동자들이 한국사회에 건전하게 적응하기 위한 향후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acculturative stress in foreign workers in Korea. The data of 123 subjects were collected from January to May, 2010, and analyzed using the SPSS WIN 18.0 program to compar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cculturative stress. The results: The highest score among 7 subcategories of acculturative stress was homesickness, followed by discrimination. Subjects who had high school diploma were more likely to have acculturative stress than those who were middle school graduates or lower. Those who did not have the community with their homeland people experienced acculurative stress more than those who had. The 7 subcategories showed that those who had homesickness, the sense of being discriminated, culture shock, the homeland community, and the experience of unfair treatment in public had acculturative stress more than their counterparts. Those who did not live with their spouses had homesickness more than the counterpart. Male subjects, those with high school diploma, and those who did not live with their spouses appeared to have guilty feelings more often than their counterpa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ed further studies on foreign workers so that they could adjust themselves well to the Korean society.

      • KCI등재

        규장각 소장 〈도성도(都城圖)〉의 산세 표현

        김성희(sunghee Kim) 한국고지도연구학회 2010 한국고지도연구 Vol.2 No.1

        이 글은 1788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규장각 소장 〈도성도〉의 산세 표현을 살펴보고, 조선 후기 유행한 진경산수화풍이 〈도성도〉의 산세 표현에 미친 양식적 특징을 파악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도성도〉에서 도성 주변의 산세 표현은 한 폭의 산수화와 같이 회화성을 띠는 것이 특징이다. 서울의 지형은 동ㆍ서ㆍ남ㆍ북이 산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도성도〉는 서울의 이러한 지형을 강조하기 위해 산을 부각시킨 도성지도이다. 산세 표현에 사용된 회화적 표현 기법은 당시 산수화에 나타난 실경산수화 표현 방법과 공통점이 있으며 특히 18세기 후반 겸재 정선(鄭敾, 1676~1759) 이후 유행한 진경산수화풍과 관련이 깊다. 조선 후기 산수화에 일대 변화를 가져왔던 진경산수화풍이 회화적 표현의 지도 제작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그린다는 형식을 빌리는 지도 제작 역시 회화와 다르지 않고 지도를 그리는 제작자들은 그들에게 익숙한 당대의 화풍으로 지도를 제작했을 것이다. 그러나 지도적 특성상 〈도성도〉에 보이는 진경산수화풍은 산수화에 쓰이는 필치보다는 압축되고 경직되어있다. 그럼에도 1788년의 규장각 소장 〈도성도〉는 입체적이고 회화적인 산세 표현으로 왕조의 상징으로서 도성의 권위를 잘 드러낸다. 이를 통해 〈도성도〉는 지도를 제작한 사람과 제작을 주관한 사람들이 가지고 있던 세계관과 사회적 요구 속에서 탄생되었음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ake a view of the mountain description of Doseongdo in Kyujanggak collection, painted in 1788 and understand how the style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眞景山水畵, jingyeong sansuhwa), which was in popular in the late Joseon period, influence the mountain description of Doseongdo. Key feature of the mountain description around the royal capital in Doseongdo is pictorial character like a landscape painting. Seoul is enclosed by mountains and in order to emphasize such geographical fearture , the mountains were highlighted in Doseongdo. Representation technique used in the mountain description of Doseongdo has similarities with the technique of painting from actual scenery used in landscape paintings in those days, especially with the style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which was very popular in the late 18th century after Jeong Seon (鄭敾, 1676~1759; sobriquet, Gyeomjae). The style of true-view landscape painting brought remarkable changes not only in landscape paintings but also in making a pictorial map. Three dimensional and pictorial description of the mountains of Doseongdo in 1788 expresses authority of the royal capital as Joseon dynasty. It is noteworthy that Doseongdo was created by world view and social needs owned by the person who made the map and anyone who were involved in making the map.

      • KCI등재

        Bollnow‘교육자의 미덕’의 관점에서 교직의 삶에 관한 연구:

        김성희(Kim, Sunghee),신현기(Shin, Hyunki) 한국열린교육학회 2016 열린교육연구 Vol.24 No.4

        이 연구는 O. F. Bollnow의 교육자의 미덕(‘Pädagogische Tugend’)의 개념을 통해 한 특수교사의 교직에서의 삶을 조망하고자 하였다. 그의 사상은 2008년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 시행으로 특수교육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변화들과 함께 ‘좋은 특수교사’양성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논의가 활발해지고 있는 경향과의 연결점이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 또한 그동안 특수교사에게 존재해 왔던 감정적, 정서적 태도가 표준화, 도구화, 조작화, 정형화 등의 틀 속에 가두어져 있음으로 해서 특수교사가 가지고 있었던 미덕을 놓쳤다는 문제의식에서 비롯되었다. 따라서 한 특수교사의 교직에서의 삶을 통해서 특수교육 현장에 존재해 있었지만 구체적으로 밝혀지지 않은 특수교사의 미덕을 현상학적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 도출된 특수교사의 미덕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 현장에서의 열정에 관한 실존적 고민과 교사로서의 본래성을 추구하고자 하는 교육적 상심이다. 둘째, 자신에게 갚을 가능성이 없는 존재를 이롭게 하는 이타성과, 학생의 장애를 그대로 수용하여 학습의 과정으로 이끌어가는 초월적 마음씀을 동반한 교육적 사랑이다. 셋째, 끊임없는 연구로 장애의 특성에 맞게 교수방법을 수정하는 교수 적합화를 통해, 학생들에게 보다 나은 교육적 도전을 위해 끊임없이 고민하여 실행하는 교육적 판단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rvey a professional life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with the concepts of‘Pädagogische Tugend’proposed by O. F. Bollnow. As special education laws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nd others have been implemented since 2008, the increasing tendency of an interest in the necessity and method for training good special education teachers as well as the changes for the quality of special education gives significance to Bollnow’s perspective. Also, the fact that an emotional attitude existing inside 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had been confined into the frames of the standardization, instrumentalization, operationalization, and normalization obscured the‘Pädagogische Tugend’of a teacher and it comprised another purpose of this study. In this sense, this study is trying to define the ‘Pädagogische Tugend’of a special education teacher that was already existed in the field, but not identified, through phenomenological method. The three main‘Pädagogische Tugend’ conclud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y are devastated in an educational way while having existential concern on their passion in the school field and pursuing their Eigentlichkeit. Second, they have altruistic minds to give benefits to those who do not have any ability to return the benefits back to the teachers. Also, their love accompanies transcendental minds that lead their students to the curriculum by accepting their disability as the way it is. Third, they carry out educational judgement consistently to give students better educational challenges through incessant studies for instructional adaptation to amend it according to their students’disability

      • KCI등재

        조선시대 賓禮 연구의 현황과 과제

        김성희(Kim Sunghee) 한국사학회 2021 史學硏究 Vol.- No.144

        본고에서는 조선시대사 연구 성과 가운데 빈례를 직접적으로 다루거나 조선의 대외 교섭 양상을 의례적 관점에서 분석한 논고를 정리하고 향후의 연구 과제를 모색하였다. 조선 시기 대외관계사를 주제로 한 연구는 주로 정치·외교적인 사안에 초점을 맞추어 이루어졌다. 최근 들어 국가 간 교섭 담당자인 사신에 대한 관심이 환기되면서 조선에 출래한 외국 사신의 활동 및 이들에 대한 접대 양상에 주목한 연구가 증가하였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중국 사신 영접의례 및 교섭 활동 경과에 대한 고찰이 이루어졌다. 이어 대명의례 형성 배경과 의주의 성립·조정 과정을 규명하여 조·명 관계의 실질을 파악하는 시도가 이루어졌다. 이 과정에서 동아시아 조공책봉체제 담론에 구체적인 비판이 제기되기도 하였다. 이처럼 조·명 관계의 실질을 파악하는 데 있어 의례가 가지는 중요성이 입증되었지만 명·청 교체 이후 진행된 대중국 의례의 변화상은 아직 상세히 규명되지 못하였다. 중화주의적 이분법을 극복하고 대청의례에 대한 분석을 통해 조·청 관계의 구체적인 속성을 세밀하게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한편 조선의 대교린국 관계에 대한 연구는 대중국 관계에 주목한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진한 상황이다. 조선이 일본 및 여진과 형성하였던 교린 관계의 역사성을 규명하려는 시도는 상당히 이른 시기부터 비롯되었지만 조선이 이들을 대상으로 설행하였던 빈례 의주에 대한 본격적인 고찰은 최근에 이르러서야 시도되고 있다. 이는 조선의 대교린국 교섭 양상에 대한 연구가 주로 대일관계 분석에 편중되거나 조선에서 일본으로 파견한 通信使나 問慰行, 敬差官 등에 집중하였던 경향에서 비롯된 것이다. 조선의 대교린국 의례 전반에 관한 심도 깊은 고찰을 통해 관련 연구의 양적·질적 성장을 도모할 필요가 있다. In this paper, among the research achievements of Joseon history, articles that directly dealt with the proprieties for guests or analyzed Joseon’s foreign relations from a ritual point of view were summarized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sought. Existing historical accounts on Joseon’s foreign relations were mainly focused on political and diplomatic issues. In recent years, as interest in envoys, who oversee negotiations between countries, has been aroused, studies focusing on the activities of foreign envoys visiting Joseon and the aspect of Joseon’s hospitality with them have increased. Subsequently, an attempt was made to grasp the subs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the Ming dynasty by clarifying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diplomatic rituals and the establishment and adjustment process of ritual directives for the Ming dynasty. In this process, specific criticism was raised on the discourse of the East Asian tribute system. As such, the importance of rituals in grasping the substanc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Joseon and the Ming dynasty has been proven, but the change in diplomatic rituals followed by the replacement of Ming and Qing has yet to be clarified in detail. In addition, there is a need to overcome the dichotomy based on Sino-centrism and carefully review the specific aspects of Joseon’s making relations with the Qing dynasty. Meanwhile, sufficient research has not been conducted on the neighborly relationship of Joseon. Attempts to elucidate the historical nature of Joseon’s relationship with Japan and the Jurchen tribes began considerably early. However, a full-scale review on the directives of the proprieties for guests that Joseon implemented for them has not been attempted until recently. This stems from the tendency that research on Joseon’s relations with neighboring countries was mainly focused on analyzing Joseon-Japan relations or focused on envoys dispatched from Joseon to Japan. In order to elucidate the substance of international relations during the pre-modern period, it is necessary to pay more attention to the envoys at the forefront of diplomatic negotiations.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mot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growth of related research through diversification of research topics on envoys from the neighboring countries. In addition, efforts are also required to analyze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nd reorganizing diplomatic rituals throughout the Joseon dynasty in accordance with the macroscopic context of international relations at the tim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