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대난막 부착의 2례

        김성진(SZ Kim),제구화(KW Je),박홍표(HP Park) 대한산부인과학회 1972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5 No.6

        저자는 합병증 없는 임신 10개월 정상분만 2예의 제대난막부착을 경험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Velamentous insertion of the cord is rare anomaly of the insertion in our clinical experience. We had experienced two cases of velamentous insertion and maturity of the fetus. Summary 1) Two cases of the velamentous, insertion of the cord and full term pregnancy was presented. 2) There was no evidence of vasa previa and abruption of umbilical vessels. 3) There was no accompanied with placenta previa.

      • KCI등재

        거대아분만의 3례

        계응심(WS Kei),김성진(SZ Kim) 대한산부인과학회 1969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12 No.9

        There are three cases of giant baby who have 4,960gm, 5,260gm of body weight at birth. They are delivered of living babies by vaginal vacuum extractor, and literatures on giant baby are reviewed briefly.

      • KCI등재

        태아 폐성숙의 지표로서 양수 진탕검사와 Stable Microbubble Rating Test의 진단적 의의

        김성진,김현삼,박찬수,조윤숙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4

        1991년 10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전주예수병원 산부인과에서 분만한 조산 81예를 대상으로 SMR 과 Shake test를 동시에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전체 연구대상 111예중 RDS발생율은 조산아에서 46.9% 만삭아에서는 3.3%였다. 2. 안정미세기포 검사에 따른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발생율은 strong시 2.7%, medium시 16.6%, weak시 88%, very weak와 zero시 100%를 보여 SMR nagative시 pasitive보다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3. 양수진탕검사에 따른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발생율은 +4때 0%, +3때 4.5%, +2때 44.4%, +1때 60%, 0대는 88.8%였으며, positive시 12.3%, negative시 73.7%로 negative때 positive보다 높은 발생율을 보였다. 4. 안정미세기포검사의 민감도는 83.3%, 특이도 95.6%, 양성예측도 92.1%, 음성예측도 90.4%였고 양수진탕검사의 민감도는 73.3%, 특이도 86.5%, 양성예측도는 73.3%, 음성예측도는 87.7%를 보였다. 5. 안정미세기포검사와 양수진탕검사는 태아폐성숙의 지표로 다른 검사에 비하여 비용이 적게들고 방법이 간단하여 쉽게 시행할 수 있으며, 안정미세기포검사가 양수진탕검사에 비하여 진단의 정확성을 보여주어 유용한 검사임을 알 수 있었다. Fetal lung maturation can be assessed by observation of stable microbubble (less than 15 um in diameter) rating test, and shake test of amniotic fluid. SMR and shake test were performed 111 cases. They were 80 cases of preterm, and 31 cases of term delivered. Fetuses with strong microbubble and +4 shake test will not develop RDS. Absence of microbubble and negative shake test suggest high-risk of RD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RDS was 46.9% in preterm deliveries and 3.3% in term deliveries. 2. The RDS incidence rate of SMR test was 2.7% in strong SMR, 16.6% in medium SMR, 88% in weak SMR, and 100% in very weak and zero. 3. The RDS incidence rate of shake test was 1% in +4 group, 4.5% in +3 group, 44.4% +2 group, 60% in+1 group, and 88.8% in 0 group. 4. The sensitivity of the shake test and SMR test were 75.7% and 83.3% respectively. The specificity of the shake test and SMR test were 95.6% and 86.3% respectively. The positive predictability were 73.3% and 92.1% respectively. The negative predictability were 87.7% and 90.4% respectively. 5. As an indicator of fetal lung maturation, SMR and shake test are shorter-time consumming, lesser expensive and simple methods. Two tests have significant value to diagnosis of RDS. SMR has more significant value than the shake test.

      • KCI등재

        자궁경관무력증에 관한 임상적 고찰

        김성진,이영호,박찬수,조윤숙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3

        1988년 1월부터 1992년 12월까지 전주예수병원 산부인과에 내원한 61례의 자궁경관무력증 환자에 대하여 McDonald operation을 시행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자궁경관무력증의 수술빈도는 총 분만수 20,517례중 61례로 0.3%, 즉 336분만당 1례였다. 2. 환자의 평균연령은 29.9세였으며 25세에서 34세사이가 대부분이었다. 3. 수술전 환자의 평균 임신횟수는 3.5회였으며 과거 임신횟수가 많을수록 성공률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다. 4. 자궁경관무력증의 원인으로 인공임신 중절수술이 가장 많았다(59.0%). 5. 수술후 태아생존율은 70.5%(43례)였으며 수술시기에 따른 성공률은 15-16주에 76.9%의 성공률을 보여 가장 높게 나타났다. 6. 수술 성공률은 자궁경관 개대가 적을수록 높았다. 7. 수술후 실패한 18례는 조기진통이 8례, 조기파막이 6례, 감염이 2례, 자궁내 태아사망이 1례, 출혈이 1례였다. 8. 수술후 분만방법은 질식분만이 53례(86.9%), 제왕절개술이 8례(13.1%)였으며 분만시기는 37주이후가 가장 많았다. 이상의 결과로 볼때 산과적 기왕력과 진찰을 중심으로 자궁경관무력증을 조기에 진단하여 적절한 시기에 수술을 시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경관개대가 2cm이하인 자궁경관무력증 환자에서 임신 14-16주에 McDonald operation을 시행할 때 성공율이 가장 높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undertaken for the clinical analysis and evaluation of 61 patients with incompetent internal os of the cervix, who were admitted and trreated at the Chon-ju Presbyterian Medical Center from January 1988 to December 1992.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incidence of this IIOC was 0.3% and mean age of IIOC patients was 29.9 years old. 2. The average number of gravida before operation was 3.5 and the success rate of operation was low at high gravida. 3. The significant contributary factor was previous history of the traumatic induced abortion (59.0%). 4. The postoperative fetal salvage rate was 90.5%(43 cases) and from 15th weeks to 16th weeks of gestation, the success rate of operation was 76.9% and these period revealed the highest success rate of operation. 5. When cervical dilatation was small, the success rate of operation was high. 6. The causes of failed operation (18 casees) were 8 cases of preterm labor and 6 cases of PROM, 2 cases of infection, 1 cases of IUFD, 1 case of bleeding. 7. The delivery methods after operation were via vaginval route in 53 cases (86.9%) and abdominal route in 8 cases(13.1%).

      • KCI등재

        난소종양의 임상 및 조직병리학적 고찰

        김성진,오병전,박찬수,조윤숙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6

        1987년 12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만 8년동안 전주예수병원 산부인과에 입원한 환자중 수술후 병리조직검사상 난소종양으로 확정된 382예를 대상으로 임상 및 병리학적, 통계학적으로 비교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전 난소종양중 양성난소종양이 57.4%(219예), 악성난소종양 14%(55예), 비종양성 난소낭종 26.8%(102예)였다. 2. 비종양성 난소의 경우 난포막과 황체낭종이 52.9%(54예)로 가장 많았으며 단순낭종이 17.6%(18예), 자궁내막증식종이 11.7%(18예)였다. 양성난소종양의 경우 기형종이 52%(114예)로 가장 많았으며 장액성낭성종이 31%(68예), 점액성 낭선종이 12%(28예)였다. 악성난소종양의 경우 장액성낭선암이 33%(18예)로 가장 많았으며 점액성 낭선암이 14%(8예), 전이성낭선암이 2.7%(5예)였다. 3. 호발연령은 비종양성 난소종양은 30-39세(37%), 20-29세(30.3%)순이었으며, 양성난소종양은 30-39세(34.2%), 20-29세(31%)순이고, 악성난소종양은 40-49세(25%), 30-39세(20%)순이었다. 평균연령은 비종양성 난소종양이 34.16세이고 양성난소종양은 34.2세였다. 악성난소종양은 평균연령이 41.45세였다. 4. 분만횟수는 비종양성 난소종양은 분만경험이 2회가 37%로 가장 많았고, 양성난소종양이 분만경험이 없는 경우가 30.84로 가장 많았으며 악성 난소종양일 경우 분만경험 2회가 32%, 5회이상 분만경험이 있는 경우가 15%로 나타났다. 5. 월경력이 규칙적인 경우가 양성 및 악성에서 대부분 폐경기시 악성종양은 49%로 높았다. 원발성 불임증에서도 양성종양 18%(4예), 악성종양 2.6%(1예)였다. 6. 임상증상을 보면 양성종양시 복부통증, 복부종괴, 질출혈 순이었으며, 악성종양시 복부종괴, 하복부팽만, 복부통증 순으로 나타났다. 복수는 악성종양환자중 3.6%정도 보였다. 7. 종양의 크기를 보면 비종양성 난소낭종은 0-5 cm 크기가 50%, 5-10 cm 크기가 43%였고, 양성난소낭종의 크기는 11-155 cm크기인 것이 24.2%(53예)였다. 악성은 6-10 cm크기가 29%(16예)였고, 16-29 cm크기는 20%(11예)였다. 8. 난소종양의 양측성을 살펴보면 양성난소종양은 12%(26예)가 양측성이었는데, 그중 양성기형종이 15%(17예)로 가장 많았고, 장액성낭선종이 8.8%(6예), 점액성낭선종이 10.7%(3예)였다. 악성종양은 양측성이 32.7%(16예)였는데, 장액성낭선암은 40%(7예), 점액성낭선암은 37.5%(3예)였고, 전이성암은 50%(4예), Krukenberg암은 75%(3예)를 보였다. 9. 난소종양의 합병증은 염전이 74%(23예), 파열 19.4%(6예), 경새긍(2예)로 나타났고, 낭성기형종이 제일 많은 염전을 보였다. 10. 양성난소종양의 치료는 일측난소절제술이 52%(114예), 양측난소절제술이 14%(3예), 자궁적출술 및 일측난소절제술이 25.6%(56예), 자궁적출술 및 양측난소절제술이 21%(46예)였다. 악성난소종양의 치료로는 일측난소절제술이 9%(5예), 자궁적출술 및 일측나소절제술이 5.4%(3예), 자궁적출술 및 양측난소절제술이 49%(27예), 자궁적출술 및 양측 난소절제술과 대망절제술이 20%(11예), 항암요법 및 방사선치료가 6예(10.9%)에 해당하였고, 항암치료후 자궁적출술 및 양츠간소절제술과 대망절제술이 3.6%(2예)였다. From December 1987 until December 1993, we performed investigate clinico-pathologic studies of the ovarian tumors among Korean women. Those were admitted to department of obstetricas and hynecology, Presyterian Medical Center during the period of about 7 years who operated and confirmed with histopathological study and stastical survey were made on a series of 382 ovarian tumor patients. The ovarian tumors were classified by the W.H.O. classification. The results were followings: 1. Among 382 cases, 102 cases (26.84%) were non-neoplastic ovarian tumors, 219 cases (57.35%) were benign ovarian tumors and 55 cases (14.2%) were malignant ovarian tumors. 2. In cases of the benign ovarian tumors, cystic teratoma was most frequently revealed in 114 cases (52.05%), and among the malignant ovarian tumors, serous cyst adenocarcinoma was most frequently revealed in 18 cases (52.94%). 3. The incidence of all ovarian tumors was greatest in third decade. All the mean age of non-neoplastic cyst was 34.2 years, and that benign ovarian tumor was 34.2 years, and that malignant ovarian tumor 41.45 years. 4. The incidence of benign ovarian tumor was greatest in para 0(30.83%), and that of malignant ovarian tumor was greatest in para 2(37.7%) and para 3(18.1%). 5. The regular menstrual cycle was revealed in 62% in all ovarian tumor, and 64.3% in benign tumor and 44% in malignant tumor. 6. The lower abdominal patin was present in 40%, abdominal mass in 27.9% and abdominal distension in 8.46% of all ovarian tumors. 7. The bilaterality was 26 cases (11.8%) in benign ovarian tumor, and 19 cases (34.5%) in malignant ones, serous cyst adenocarcinoma was frequently revealed in 7 cases (40%) and 3 cases (75%) in krukenberg tumor. 8. The size of benign ovarian tumor was 6-10 cm in 98 cases (44.7%) and that of malignant ovarian tumor was 6-10 cm in 15 cases (29%). 9. The surgical treatment of benign ovarian tumor was unilateral salphingoophorectomy in 114(52%) and bilateral salphingoophorectomy and total abdomial hysterectomy in 46(21%) and unilateral salphingoophorectomy an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in 56(25.5%). And the surgical treatment of malignant ovarian tumor was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salphingoophorectomy in 49%,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salphingoophorectomy and omentectomy in 20%,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unilateral salphingoophorectomy in 5.4%, besides surgical treatment, chemotherapy and radiotherapy were performed.

      • KCI등재

        난소 암환자의 혈청 및 조직내 HER-2/neu (c-erbB-2) 단백의 발현도

        김경태,조삼현,황윤영,이재억,문형,유중배,김성진,조수현,장성열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2

        HER-2/neu 암유전자의 조직과발현을 보이는 환자의 혈청내 neu 항원으로 생각되는 neu-associated determinants의 존재유무를 측정하여 이 물질이 상피성 난소암환자의 종양표지물질로써의 유용성 여부와 환자의 예후와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정상건강한 여성 20례와 자궁경부암 환자 23례 및 한양대학병원 산부인과에 입원 치료하였던 상피성 난소암 환자 34례를 대상으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혈청 neu농도는 ELISA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으며 정상 건강한 여성에서의 평균 neu농도는 14.01+- 4.31 U/ml(평균+-표준편차)이었고, 자궁경부암 환자 23명의 평균치는 15.35+-3.74 U/ml이었으며 난소암 환자 34명의 평규치는 22.24+-18.58 U/ml이었다. 난소암 환자군에서 양성율은 32.4%이었다. 2. 임상 및 조직학적 소견에 따른 양성율은 조기암(I기 및 II기)인 경우에는 20%이었고 말기암(III기 및 IV기)인 경우에는 20%이었고 말기암(III기 및 IV기)인 경우에는 38%이었다 또한 장액성 난소암인 경우에는 30%, 점액성 난소암인 경우에는 43%, 자궁내막암 난소암인 경우에는 33%이었다. 조직분화도에 따른 양성율은 I 및 II인 경우 27%이고 III 및 IV인 경우에는 37%로써 암기가 진행, 조직분화도가 나쁠수록 양성율 또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3. 혈중 neu 농도가 양성이고 조직염색도가 양성인 민감도는 54%이었다. 그러나 혈청 neu 농도가 낮은 경우의 환자중 조직에서의 neu 단백이 중등도 이하 (-/++) 염색되는 특이도는 매우 높아 87%이었다. 조직내 염색도중 +++이상(양성)을 과발현으로 간주하는 경우에는 혈중 neu단백의 농도가 높을수록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조직내의 염색도가 또한 높아졌다.(p=0.0173). 4. 혈중 neu 단백과 CA125 항원과의 관계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5. 혈중 neu단백의 농도와 임상적 관해도는 혈중 neu단백의 농도가 낮은 경우에는 진행암이 17%이었고 관해율은 79%이었으며, 혈중 neu 단백의 농도가 높은 경우에는 진행암이 55%이었고, 관해율은 36%로써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256) 6. 혈중 neu 단백의 농도에 따른 조직학적 완전관해율은 혈중 neu 단백이 낮은 경우에는 64%, 높은 경우에는 57%이었고, 재발례는 각각 22%, 25%로써 양군간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7. 혈중 neu 단백의 농도와 생존중앙치는 양성인 경우는 21.45개월이었고 음성인 경우에는 41.65개월 이어서 서로 차이가 있는듯하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p=0.061)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로 혈중 HER-2/neu 단백의 측정은 임상적으로 매우 유용한 방법이며 의양성을 줄이는 특이도가 매우 높은 관계로 혈청 neu 단백의 측정이 조직검사 또는 분자생물할적 방법에 의한 복잡한 검사법보다 선행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연구의 숫자는 34명으로 더욱 더 많은 환자의 검정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HER-2/neu(c-erbB-2) oncogene product p185 neu is expressed by most ovarian cancers and overexpressed in approximately 30%. This overexpression is survival time. In the present study, the quatitative measurement of HER-2/neu protein and CA 125 antigen levels in sera were done in 34 patients with diagnosed epithelial ovarian cancer, 23 patients with cerval cancer, and 20 controls. The mean value of ovarian cancer patients (22.2+-18.6 Units/ml) was higher compared with that of cervical cancer (15.4+-3.7 Units/ml), or control sera (14.0+-4.3 Units/ml) Elevated levels($gt;22.6 Units/ml) of circulating neu determinants have been detected in sera from 11(34%) of 34patients . Tissue levels of neu from the same patients were also determin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with anti-neu polyclonal antibody. Of 34patients whohad paraffin embedded tissue block, overexpression(+++) of neu was found in 9 by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 of these 9, serum neu levels were elevated in 6(67%), Among the patients with normal to moderate tissue expression of neu, predicted tissue overexpression with a specificity of 87%(p=0.0173). Serum and tissue levels of neu correlate in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However serum neu levels were not related to the levels of CA 125. Survival of the patients with high serum HER-2/neu was less likely to have worse than that of the patients with normal HER-2/neu level (Median survival : 21.45 vs 41.65 months). Therefore the quantitative measurements of the HER-2/neu oncorprotein in sera may have value in the overexpression of HER-2/neu oncoprotein of patients with diagnosed ovarian cancer. These findings suggest that HER-2/neu deerve further evaluation as a prognostic marker in patients with epithelial ovarian cancer.

      • KCI등재

        혈우병 A 산전진단을 위한 유전자특이탐침 F814와 p482.6의 다형현상에 관한 연구

        이재억,김성진,정성노,이춘근,류명수,조율희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9

        본 연구는 탐침 F814와 p482.6을 사용하여 한국인에서의 대립인자의 빈도와 정보제공율을 조사하고 이 방법이 혈우병 A 보인자 및 산전 태아진단에 유용할 것인지를 알아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BclI 대립인자는 al(0.87Kb)가 79.47%(120/151)그리고 a2(1.16Kb)가 20.53%(31/151)였으며 여기서 산출된 정보제공율(PIC: polymorphic information content)은 0.33이었다. 2. XbaI 대립인자는 b1(1.4 Kb)은 60.93%(92/151)이고 b2(6.2 Kb)는 39.07(59/151)였으며 여기서 산출된 정보제공율은 0.48이었다. 3. 연구대상이었던 혈우병 A 한가족에서 두딸중 한사람은 보인자 다른 한사람은 정상임을 진단할 수 있었다. 4. BclI-XbaI 반수체형(haplotype)분석에서 a1과 b1의 조합의 빈도는 61.79%(76/123)로 가장 많았고, a2와 b2가 12.20%(15/123)로 가장 적었다. 5. BclI의 이형접합자의 빈도는 0.39(20/51)이었고 XbaI의 이형접합자의빈도는 0.51(26/51)이었다. BclI과 XbaI을 함께 적용한 이형접합자의 빈도는 0.63(32/51)이었다. 이상의 결과로 국내에서 혈우병 A의 보인자 및 산전태아 진단에 FVIII:C 유전자내에 작용하는 탐침 F814와 p482.6의 사용은 정확도 및 정부제공율에서 유용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A number of restriction fragment length polymorphisms (RFLPs) have been found in and around the gene for clotting factor VIII and some of these polymorphic markers are sucessfully applied to linkage analysis of hemophilia A family. In this study, we analysed on hundred and fifty one unrelated normal X chromosomes (49 males and 51 females) to determine the frequency of alleles for F814/BclI and p482.6/XbaI RFLPs within FVIII: C gene in Koran population. The BclI and Xbal polymorphic sites are reside in intro 18 and intron 22 of FVIII gene, respectively. The hybrid probe called F814 detect in BclI digests both the DXS52 multialleic polymorphism and the FVIII RFLP. The allele frequencies of FVIII/BclI poly morphism detected by this probe were 79.47%(al, 0.87kb) and 20.5%(a2, 1.16kb). Using the probe p482.6 and restriction enzyme Xbal and KpnI revealed two allele polymorphisms in a frequency of 60.93% (b1.1.4kb) and 39.07%(b2, 6.2kb). The polymorphism information contents (PIC) estimated from each gene frequencies were 0.33 for BclI and 0.48 for Xbal RFLPs. The BclI and Xbal heterozygote rates observed in 51 females were 39%(20/51) and 51%(26/51), respectively. 63%(32/51) of the Korean femaled evaluated were heterozygote in one or both RFLPs. Although there are some linkage desequilibrium between BclI and Xbal sites, Xbal RFLP add the informativity about 26% in which the BclI polymorphism is not informative. For the haplotypes, albl was found to be most common(61.8%) and a2b1 was rare(1.6%). The above results indicate that these two intragenic probes are very useful for prenatal diagnosis of hemophilia A and for detection of its carriers in Koran population as in other ethnic groups.

      • KCI등재

        임부 소양성 팽진양 구진 및 판 1 예

        이재억,박문일,김성진,오철학,권철욱 대한산부인과학회 1994 Obstetrics & Gynecology Science Vol.37 No.12

        최근 한양대학교 산부인과에 임부 소양성 팽진양 구진 및 판 환자 1예를 경험하고 치료하였기에 간단한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는 바이다. Pruritic Urticarial Papules and Plaques of Pregnancy, also called PUPPP, is the most common pruritic dermatosis of pregnancy. It is charicterized by an intensely pruritic cutaneous eruption that usually appears in late pregnancy. We have experienced a case of PUPPP at 41 weeks gestation in 24 year-old primigravida woman and have reported with a brief review of related literatu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