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C. 에셔의 원(圓), 신화와 대중문화

        김성수(Kim, Soung Su)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09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3

        본 논문은 M.C. 에셔의 작품 분석을 통해 신화적 개념이 어떻게 대중문화로 재연되었는가를 살펴보려 한다. 네덜란드 출신의 그래픽 아티스트인 에셔는 보편적인 수학성을 자신의 작품에 내재시키기로 유명하다. 그러나 그의 작품들은 수학적인 면뿐만 아니라 인문학적인 면에서도 충분히 독해될 수 있는 것 같아 보인다. 그의 작품들 속에 신화적 원의 형태가 들어 있기 때문이다. 결국 그가 마음에 품었던 것은 비일상성과 일상성의 구도를 넘어섬이라고 해석될 수 있다. <상대성> 등 에셔의 여러 작품들은 계속 복제되어 대중문화형태로 시장에 등장하고 있다. 에셔의 작품들은 감상자의 관심을 쉽게 끌 수 있는 특이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비일상성과 일상성의 경계를 넘고 있다는 면, 그리고 그것이 원으로 구성되어 있는 까닭에 감상자들로 하여금 영원과 무한, 그리고 재미를 느낄 수 있게 해준다. 그래서 대중문화의 소비자들은 에셔 특유의 이미지가 뿜어내는 쾌락과 유희와 심오함의 아우라를 각종 매체를 통해서 느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것이 에셔의 작품들 속에 대중적 친화성이 있다고 간주할 수 있게 해주는 가장 큰 이유다.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 representation of myth in mass-culture by analyzing M.C.Escher s works. Dutch graphic artist M.C.Escher is well-known for expressing mathematical concepts in his print works. However, in my view, his works can be read not only from the aspect of mathematics but also from the aspect of humanities. This is because there seems to be a certain kind of mythical circle in all his works. Through the mythical circle, he seems to represent something which transcends the common and the uncommon. Many of Escher s works including his <Relativity> have been reproduced in various forms in the mass-culture. It seems that his works have some special appeal to the consumers of mass-culture in the world. And one such appeal is the transcendent nature of his works that go beyond the common and the uncommon, which is expressed most notably by a pattern of mythical circle. This evokes ideas of eternity and infinity in the mind of the viewer, while also giving them a sense of fun. Viewers can feel both pleasure and the aura of mythical depths in many types of reproductions of Escher s images. This makes Escher a unique figure in modem art.

      • 문화의 4대 특성과 문화적 전환, 그리고 문화콘텐츠산업

        김성수(Soung-su,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22 철학과 문화 Vol.46 No.-

        본래 문화란 무엇인가는 일반적인 질문이지만 답변하기 어려운 내용이다. 문화가 여러 방식으로 다양하게 이야기될 수 있는 용어인 탓이다. 실제로 문화만큼 유동적인 용어를 찾기가 쉽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통 사람들은 문화에 대해 종종 쉽고 편하게 말하곤 한다. 그러면서도 동시에 중요하게 생각한다. 결국에는 무엇에나 문화라는 용어를 궁극에는 갖다 붙이고자 하는 성향도 있다. 문화가 중요하다는 데에는 재론의 여지가 없는 것이다. 문화가 이렇게 중요해진 이유 중 하나는 ‘문화’라는 용어의 외연과 내포량이 ‘문화적 전환’이라는 용어의 사용 등과 더불어 이미 1970년대 때부터 매우 크게 확장되었기 때문이라는 측면이 있다. 이 견지에서 본고는 문화의 4대 특성, 문화적 전환, 문화콘텐츠산업 개념이라는 3가지 주제를 각기 따로 정리해 이해해보았다. 물론, 각각의 맥락에는 서로 상통하는 바가 있다. 사람들이 문화를 어떻게 생각하고 이해하느냐가 문화적 전환과 문화콘텐츠 산업을 만들어 낼 수 있게 했다는 맥락이 있는 까닭이다. 본고는 먼저 문화란 무엇인가에 대해 살펴보고, 문화와 문화적 전환과의 관계를 검토하였다. 더불어 우리의 문화콘텐츠산업은 어떠해야 하는가도 추가적으로 알아보았다. 모두 다 문화를 어떻게 보느냐라는 문화에 대한 세부적인 내용이다. 문화콘텐츠산업이 만들어낸 문화 산물들을 협의의 문화 차원에서 문화 자체로 보게 된 내막의 흐름이기도 하다. Although the question of how to define culture is a general one, it is not easy to answer it. This is because culture is a term that can be defined in many different ways. The term ‘culture’ is arguably one of the most flexible terms. And yet people use the term very easily and comfortably. At the same time, they regard it as something important. Moreover, the term is used to address such a variety of phenomena. No one could argue that culture is not important. One of the reasons that made culture so important is the fact that the extension and the connotation of the term have expanded tremendously since the 1970s with the use of the term ‘cultural turn’. This paper looks into three themes―4 characteristics of culture, cultural turn, and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ose three themes are of course interacting with each other, becaue how people understand culture creates cultural turn and cultural contents industry. The paper first examines what culture is. Secondly, the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cultural turn is analyzed. Thirdly, it discusses what Korean cultural contents industry should be like. All of these are detailed contents of how we see culture. It could be argued that the products of cultural contents industry can be seen “cultures” in the narrow sense of culture.

      • KCI등재

        글로컬적 관점에서 본 한류에 대한 재평가

        김성수(Kim Soung-Su) 인문콘텐츠학회 2010 인문콘텐츠 Vol.0 No.18

        한류가 일시적인 유행에 그칠지 모른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한류문화상품의 수출이 예전 같지 않다는 이야기도 들리고, 한류문화상품에 대한 거부반응들도 아시아권에서 생겨나고 있다. 한류의 한계가 여러 면에서 드러나고 있다는 방증이다. 본고는 왜 이런 현상이 발생했는지에 대해 고찰하고, 이렇게 된 한류의 근본적인 문제점을 한류에 내재된 자문화중심주의적 이데올로기로 규정해 보고자 한다. 문화 민족주의적 입장, 신자유주의적 입장, 탈식민주의적 입장 모두가 이와 연결된다. 그리고 더 나아가 한류의 지속 가능성을 한국인 특유의 정서에서, 홍콩?일본문화의 대체상품이라는 면에서, 정부의 새로운 정책에서 찾으려는 시도들의 문제에 대해서도 살펴보고자 한다. 기본적으로 한류는 그간 한국을 위한, 한국인을 위한 자본주의 문화상품들이라는 차원에서 구성되어 왔기 때문에 유행 이상을 넘어설 수 없었으며, 외국에서 한류를 보는 시각 역시 고울 만은 없었다고 생각된다. 이미 한류에 대한 질시나 한국 문화에 대한 식상함 등이 한류에 대한 반감으로 드러나고 있다는 측면은 이러한 판단에 신빙성을 더해준다. 이에 대한 하나의 해답으로 본고에서는 글로컬(glocal)을 제시한다. 세계화와 지역화를 아우르는 글로컬이라는 관점을 통해 한류는 새롭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고, 일시적 유행이 아닌 지속 가능한 현대 대중문화가 될 수 있다고 본다. 이미 성공한 한류 문화 상품들 모두가 글로컬적 요소들을 충분히 가지고 있다는 것도 주지해야할 사실이다. 결과적으로 전통과 현대 측면 모두에서 한국적 특수성이 인류 전체에 호소하는 보편성과 맞닿을 경우에, 또 누구나 재미와 흥미를 느낄 수 있게 글로컬적으로 융합되고 낭만적으로 창조되는 경우에, 지속 가능한 한류문화상품의 생산이 계속될 수 있다는 것을 제언하고자 한다. It has been suggested that the Korean Wave was a temporary trend and cannot last. Export of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Korean Wave is decreasing and some Asian countries are showing negative reactions towards those products. These reveal limitations of the Korean Wave. This study examines some possible reasons for this phenomenon. In particular, ethnocentric ideology embedded in the Korean Wave is identified as the fundamental cause. Related to this are cultural nationalism, neo-liberalism and post-colonialism. Moreover, the study points out the limitations of some of the proposals that have been made for sustainable Korean Wave. Those proposals include 1) the view that the Korean Wave can last by appeal to the collective emotion of the Korean people, 2) the view that the Korean Wave can last as a substitute for the cultural products of Hong Kong and Japan, and 3) the view that new policies of the Korean government can solve the problems. This study points out the fact that the Korean Wave has been a temporary trend because it has been conceived as cultural products for Korea and the Korean people and therefore we cannot expect positive reactions from other countries that go beyond a temporary interest. Negative reactions to the Korean Wave are partly because they are jealous of the success of the Korean Wave and partly because they are tired of the Korean culture. This study suggests a glocal perspective as a way forward. It shows how the Korean Wave can be understood from a glocal perspective and how it can last as cultural products. One can identify glocal elements in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Korean Wave that have already been successful. Three elements are identified as glocal and suggested as guidelines for designing and producing sustainable cultural products of the Korean Wave in the future. They are a connection between the traditional and the modern; between the Korean particulars and the universals; and between fun and romantic creation.

      • 문화의 탈경계 현상과 연결되는 다섯 용어에 대한 검토

        김성수(Soung su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3 철학과 문화 Vol.26 No.-

        Commonly used terms when explaining the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includes consilience, fusion, and convergence. Related terms include complex and articulation, which can be understood respectively as an example and an additional concept. These terms are often used interchangeably. This may be due to the fact that these concepts have been influencing each other. Looked at more closely, however, we can find that these concepts have their own ways to relate to the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and cultural contents studies. Due to the confusion in the use of these terms, the descriptions of a specific object in cultural contents studies have not been as rigorous as one could hope for. Based on this observa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definitions of these five terms. Through the examination, it is hoped that it gives the reader an opportunity to think deeply about how we can understand the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and also how it may be developed. It is argued that the five terms are likely to play important roles in the future when analyzing the individual trans-boundary cases of cultural contents. Using these terms more precisely and appropriately will be a starting point that enables us to better understand and analyze the various phenomenon of the trans-boundaries of culture. 문화의 탈경계 현상을 설명할 때 흔히 사용되는 용어는 통섭(consilience), 퓨전(fusion), 컨버전스(convergence) 등이다. 그와 관련되는 용어는 복합공간(complex)과 절합(articulation) 등이다. 이 두 개념은 탈경계현상이 구체화되어 실현되는 사례 및 추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보통 이 용어들은 명료하게 구별되지 않고 사용되는 경향이 있다. 물론 이들 개념이 서로 간에 깊은 영향을 주고받는 측면이 있지만, 사실상 그 의미들은 각기 독립적이면서 각자의 방식으로 탈경계 현상은 물론, 문화콘텐츠학과 관계 맺을 수 있다. 그러나 사용자들이 혼동하면서 쓰는 까닭에 문화콘텐츠학에 있어서의 특정 대상에 대한 분석이 엄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기도 했다. 본고는 이 부분에 착안하여, 이 다섯 가지 용어들의 정의에 대해 검토해 보고자 했다. 이 다섯 가지 개념의 검토를 통해 필자가 의도하려 한 바는 문화콘텐츠학에서의 탈경계 현상이 어떻게 이야기되어야 하는지, 또한 전개되어야 하는지를 고민해 보는 것이다. 향후, 통섭, 퓨전, 컨버전스, 복합공간, 절합이라는 다섯 가지 용어는 탈경계현상이 많은 특정의 문화콘텐츠 사례들을 분석하는 데 있어서 나름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게 될 가능성이 많을 듯하다. 이 다섯 용어에 대한 적절한 사용은 문화콘텐츠학에 있어서 다양한 탈경계 상황들을 보다 더 잘 이해하고 분석할 수 있게 해주는 하나의 출발점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 로티와 푸코의 반정초주의적 성향과 재서술 개념

        김성수(Soung-su KIM)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문화연구소 2012 철학과 문화 Vol.25 No.-

        미셀 푸코와 리차드 로티는 철학계의 이단아라는 꼬리표가 붙어 다닌다. 푸코는 사회학자나 역사학자로 분류되는 것이 더 옳다는 말이 있다. 로티는 동료 철학자들 ― 심지어 신실용주의자로 분류되는 퍼트남에게서 조차도 ― 로부터 유아론적 상대주의자이며 문학평론가라고 공격을 받았다. 이런 평가는 푸코와 로티가 스스로 자초한 면이 있는데, 그들은 일부러 자신들의 철학을 다른 철학자들과 각기 다르게 표현했다. 그러나 그들의 사유에는 첫째로 인식론적 ‘반정초주의(anti-foundationalism)’라는 공통점이 있어 보인다. 하지만 로티는 인식론 자체를 받아들이지 않았으며, 푸코는 인식론적 내용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았다. 그들에게 있어서 이는 너무나 자연스러워서, 그들의 사유 체계 내에 면면히 스며들어 있었다. 둘째로 그들에게는 ‘재서술(redescription)'이란 일종의 메타텍스트적인 공통개념이 있다. 재서술은 각자 자신의 관점에서 자신의 사유를 세상에 언어로 투영하고 서술해 나가면서, 이에 따라 자신의 삶을 영위해 나가는 ‘자유로운 서술자’라는 의미일 것이다.―이 둘은 모두 전래의 철학에 반기를 드는 내용이라 평가될 수 있다. 푸코와 로티의 이런 면들은 반정초주의적 관념론과 재서술주의라고 호칭할 수 있다. 그들은 추구하려 했던 것은 기본적으로 전통 철학의 사유 방식에서 자유롭게 되고, 본질주의적•합리주의적인 관점과 행위로부터의 자유였다. 따라서 두 사람에게 보편적이고 불변의 토대가 있다는 사유와 그 사유에서 나온 세계는 하나의 관점에서 나온 세계에 불과하다. 물론 이런 반정초주의적 성향은 허무주의, 회의주의, 상대주의 등으로 해석될 수 있으며, 푸코와 로티 스스로도 이를 잘 알고 있었던 것 같다. 즉 인간 지식 전체를 소설로 만들어 버렸던 푸코와 로티 역시 소설가들일 따름이며, 이를 자신들도 인지하고 있었던 것이다. 하지만 바로 그렇기 때문에 푸코와 로티의 반정초주의적 경향은 인간의 지식이 현재적이며, 통시적으로 완전하게 절대적일 수는 없다는 면을 드러내고, 더 나아가 인간에게는 세상을 늘 새롭게 해석하며 지식을 만들어 온 원동력으로서의 해체적 창의주의와 창조적 서술주의가 있어왔음을 강조하려 했던 것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It is not odd that Michael Foucault and Richard Rorty could be called as a heretic for many philosophers. There is a saying that Foucault should be counted as a sociologist or historian. Rorty was vehemently attacked by his fellow philosophers including other neo-pragmatist such as Putnam. In fact, this was a result of what they did. Their thoughts were so much different from traditional main stream philosophy. And so, in some sense, they were different from one another as well. However, firstly, their common sense could be told as ‘epistemological anti-foundationalism’. Rorty does not take epistemology itself and Foucault hardly mention any epistemological reference though. It seems that this thought was so natural for them, since this reside in their each thought system. Secondly, in addition, there is an idea which can be named as ‘redescription’ as a meta-textual notion. For them, it means that people can reflect their own thoughts and perspectives to the world for their own lives. In this sense, all people could be called a free redescriber to write each of their stories.―Obviously, both of two seems to be a concept which rise against traditional philosophy. I would like to say that these are anti-foundational idealism and redescriptionism of Foucault and Rorty. What they wanted to pursue is free from traditional philosophical thought system and one strict perspective and action in the context of essentialism and rationalism. For them, the thought that there is the universal and unchanged epistemological foundation, and the world which is reflected by this thought, are nothing but a result which is from one perspective. Of course, this anti-foundational tendency could be interpreted as some kind of nihilism, skepticism, relativism, etc, and I am sure that they already know this. In other words, Foucault and Rorty who treated all human knowledge as Fiction(that does not mean ‘fiction’ in literature but Fiction since all human knowledge have been made by humans) knew that they are one of the Fiction writers as well. Hence, the anti-foundational tendency of Foucault and Rorty actually presents that, on the one hand, human knowledge is neither permanent nor absolute, and on the other hand, human beings generally have that there are de-constructive creationism and creative predicatism as the power source of human knowledge. Certainly, this is one way of interpretation of human.

      • KCI등재

        할리우드 SF영화의 이미지텔링에 사용된 알레고리 연구 : 비주얼문화연구 견지에서의 <블레이드 러너>와 <마이너리티 리포트> 핵심 장면들에 대한 분석

        김성수(Soung-su Kim) 글로벌문화콘텐츠학회 2015 글로벌문화콘텐츠 Vol.0 No.19

        본 고는 비주얼콘텐츠 연구로서의 영화 연구라는 방법론적 지평을 넓히고자하는 의도에서 기획되었다. 먼저 비주얼 장면 이미지텔링이라는 개념을 중심으로 회화 알레고리 접근방법과 문화연구의 이데올로기적 접근방법을 재구성하여 분석 프레임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이를 이용하여 미국 할리우드의 SF 영화들에서 사용되는 알레고리 기법을 검토한다. 분석의 예로서는 <블레이드 러너>와 <마이너리티 리포트>를 사용하였다. 일반적으로 작품성 높은 SF 영화는 현 사회 상황을 여러 방식으로 반영하면서 때로는 강도 높은 비판을 하기도 한다. 상상력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치ㆍ사회ㆍ철학적 주제들을 조합하여 관객들에게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비주얼 이미지가 관객에게 호소하는 바는 다른 장르의 영화에 비해 훨씬 더 크다고 볼수 있다. 그런 탓에 훌륭한 SF 영화의 경우, 장면의 이미지텔링이 차지하고 있는 비율은 상당할 수밖에 없다. 회화적 알레고리, 이데올로기의 시각에서 보자면, 영화 속의 주요 장면 이미지들은 인문ㆍ사회학적 주제들과 맞닿아 있다. 이러한내막 때문에 관객들은 SF 영화를 보면서 시각적으로 강하게 실감하고 감동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broaden the methodological horizon of film studies as part of visual contents studies. An analytical framework was established by the allegory of visual art with “visual scene imagetelling” as a focal concept. Using this framework, moreover, some major allegorical techniques that are frequently used in SF films of Hollywood were examined. For the example of this analysis, I use <Blade Runner> and <Minority Report>. Good SF films often make severe criticisms of the present world by reflecting many aspects of it in imagined societies. Diverse political, social, and philosophical themes are combined using imagination and are shown to the audience. Thus the appeal of visual images on the audience is more salient in SF films than in films of other genres. The ratio of scene imagetelling in the film is therefore significantly high in good SF films. From the perspective of visual allegory and ideology, the images of the major scenes reveal themes of the human and the social sciences. Because of this, the audience visually experience the meaning of the film and be touched by it.

      • KCI등재

        에스닉 문화와 <반지의 제왕> - 중간계와 아르네 네스

        김성수 ( Kim Soung-su ) 한국동서철학회 2016 동서철학연구 Vol.0 No.81

        본고는 에스닉 문화(ethnic culture)라는 관점을 감안한 환경 주제로 <반지의 제왕>에 대해 검토해 보았다. ‘에스닉’이란 민속적 혹은 토속적인 양식을 총칭하는 말이며 민족지학(ethnography)과도 당연히 연결되므로, 민족(ethnos)에 대한 기술 혹은 문화에 대한 서술의 차원에서 접근하였다. 영국적인 내용이 많은 <반지의 제왕>은 환경 문화(environment culture) 문제와도 결부되는 면 또한 많다. 인류와 종족의 환경, 자연과 산업 등과 같은 주제들이 이야기 속에 내포되어 있는 탓이다. 특히 노르웨이의 심층생태학자(deep ecologists)인 아르네 네스(Arne Naess)의 이론을 J. R. R. 톨킨의 작가적 사유와 <반지의 제왕>의 세계관에 연결시켜 보았다. 중간계의 종족들이 이 환경관련 내용들을 대변하고 있으며, <반지의 제왕>이 현실을 반영하고 있으면서도 현실을 넘어서고자 한다는 면, 환경 이론으로서의 심층생태학이 현실에 많은 영향을 주고자 하면서도 어느 정도 이상적인 측면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에스닉 문화적측면을 내재한 판타지 이야기인 <반지의 제왕>은 영화를 통해 그리고 환경 주제와 관련해서 에스닉 문화를 넘어서는 작품이 된 것 같기도 하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Lord of the Rings story regarding environmental issue in the vision of ethnic culture. Since ‘ethnic’ is a word which indicates a pattern and form of local or folk, and is definitely connected with ethnography, my approach is somehow a kind of cultural description or ethnic narration. It is also right to say that LotR, which includes ideas of British national aspect, is deeply intertwined with environmental culture issue. Environment of human, species, nature and industry is one of the main topics of the LotR narrative. Especially, I linked the ideas of Norwegian deep ecologist, Arne Naess with J. R. R. Tolkien’s mind and the world view of LotR. We could find the idea that the species of the middle-earth reveals the environmental issues; LotR reflects the reality but simultaneously tries to overcome the reality; and deep ecology seems to be an ideal thought in a sense. It seems that a fantasy story LotR is a work which transcends the context of ethnic culture concerning environmental issues and through films.

      • 문화의 다양성 현상과 연결되는 다섯 용어에 대한 검토

        김성수(Kim, Soung-su) 글로컬창의산업연구센터 2018 글로컬창의문화연구 Vol.7 No.1

        Commonly used terms when explaining the cultural diversity phenomenon include multiculture, interculture, cross-culture, transculture. And, the key concept that is intimately related to these is hybrid culture. This is because contemporary cultural diversity issues are connected in many ways to how the hybrid culture situation develops. Certainly, it is closely linked to two fundamental concepts of culture: cultural identity and cultural variability. In this regard, today’s cultural diversity is understood as an advance of ‘multiculture → interculture → transculture’ related to hybrid cultures, and cross-culture is sometimes considered essential to realizing cultural diversity on a practical level. Each of these words is independent and can be related to cultural content studies as well as the cultural diversity phenomenon in its own way. Based on this observa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the definitions of these five terms. Through the examination, it is hoped that it gives the reader an opportunity to think deeply about how we can understand the cultural diversity phenomenon and also how it may be developed. South Korea has entered a multicultural society, where cultural diversity has become common in society. It seems that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se cultural diversity concepts and to think deeply about the current situation. A proper understanding of these five terms is one of the studies that will lead to better understanding and a good start for today’s society, which was opened by cultural diversity.

      • KCI등재후보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의 비극적 결말과 허무주의: <메이드 인 홍콩>과 <달콤한 열여섯>

        김성수 ( Kim Soung Su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1 No.-

        포스트모더니즘 영화들은 해체적이고 혼종적인 환상 세계를 관객들에게 보여주기 위해 열린 결말 내지는 비극적이거나 허무주의적인 결말을 추구하는 경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그러나 비극적인 결말이나 허무주의는 포스트모더니즘영화만이 아니라 본래 지구촌 예술영화에서의 공통 주제였으며, 특히 예술적인 상당수의 사회적 리얼리즘(social realism) 영화에 들어있었던 내용이다. 주지하듯 사회적으로 소외당하고 있는 특정인 내지 집단의 삶과 환경을 매우 밀도있고 심각하게 묘사하는 영화가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다. 필자는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에서 포스트모더니즘과 연결될 수 있는 허무주의와 비극적인 결말이 왜 사용되고 있는 지를 고찰해 보려 하였다. 분석의 대상 영화로서는 프루트 챈의 <메이드 인 홍콩>(1997)과 켄 로치의 <달콤한 열여섯>(2002)을 선택하였는데, 이 영화들은 20세기 현대의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가 어떤 것인지를 잘 보여주는 좋은 사례다. 이 두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에서 허무주의와 비극적 결말, 폭력에 함축되어 있는 여러 중요 요소들이 어떻게 작동하고 있는 지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해 ‘카타르시스’와 니체의 ‘인간적인 인간’ 개념이 주요 핵심 이론으로 활용되었다. <메이드 인 홍콩>은 홍콩에서 만들어졌으며, <달콤한 열여섯>은 영국에서 만들어진 영화이지만, 이 두 작품은 영화적 차원에서 허무주의와 폭력과 비극적인 결말이라는 내용이 잘 조화되어 있다. 허무주의는 인간과 사회의 비참함을 드러내는 유용한 도구이며, 폭력 이미지는 허무주의를 잘 드러내게 만드는 열쇠 중하나이고, 비극적인 결말은 인간의 한계 상황을 확실하게 드러나도록 해 주는 영화적 장치임을 알 수 있게 한다.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는 사회의 문제점과 인간삶의 허무를 드러내는 데 적합한 것이다. 다만 이런 사회적 리얼리즘 영화는 관객들로 하여금 이렇게 인간과 사회를 볼 수 있게 연출된 영화라는 면도 분명하게 주지해야 할 부분이다. It is generally told that postmodernist films seek open or tragic and nihilistic endings to show audiences a deconstructed and hybrid fantasy world. But the tragic ending or nihilism was not only a common theme in postmodern films but also in global art films, especially in many artistic social realism films. As we all know, ‘Social Realism’ is a film that depicts the lives and environment of certain people and groups who are socially marginalized in a very dense and serious manner. In this article, I tried to consider why nihilism and tragic ending, which are linked to postmodernism, were introduced in social realism films. Among the films to be analyzed were Fruit Chan’s < Made in Hong Kong > (1997) and Ken Loach’s < Sweet Sixteen >(2002), which are good examples of what modern social realism films are like in the 20th century. In these two social realism films, I wanted to see how the various important factors that are implicit in nihilism, tragic ending and violence work. For this, the notion of catharsis and Nietzsche’s ‘most human human(human, all-too-human)’ was used as the main core theory. < Made in Hong Kong > was made in Hong Kong, and < Sweet Sixteen > was made in Britain, but the two films are well-matched in terms of nihilism, violence and tragic ending. Nihilism is a very useful tool for exposing the misery of man and society; the image of violence is one of the keys to revealing nihilism well; and the tragic ending is a cinematic device that clearly reveals the human limit situation. Social realism films are best suited to reveal social problems and the futility of human life. However, it is also important to notice that such a social realism film is a film directed which audiences can see humans and society in these contex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