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중국 춘절당(春節檔) 문화 현상에 대한 연구: 2021년의 춘절당을 중심으로

        양순초 ( Yang¸ Shun Chao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2 No.-

        본 논문은 구체적으로 중국 ‘춘절당(春節檔(중국 춘절 기간 상영 영화)’의 문화현상과 춘절 기간의 영화시장을 중심으로 2021년 ‘춘절당’기간의 문화 현상에 대해 분석과 연구를 실행한다. 2021년의 ‘춘절당’의 문화 현상 연구를 주요 논점으로 ‘춘절당’의 발전 역사를 귀납하고 정리함으로써, ‘춘절당’ 형성의 역사 과정 및 계기에서 2021년 ‘춘절당’이 거대한 성공을 거둔 원인 및 중국 영화의 발전과 ‘춘절당’간의 관계를 찾을 수 있다. 2021년의 ‘춘절당’은 중국 영화계에 특별한 한 차례의 시기로, 2020년 중국 춘절 영화시장은 코로나 감염병 여파로 ‘춘절당’이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춘절당’ 기간에 상영을 준비하던 영화들이 갑작스러운 코로나 감염병 사태로 영화관에서 퇴출됐다. 이 때문에 2020년 ‘춘절당’ 기간의 영화 흥행 수입은 거의 ‘0’으로 집계됐다. 하지만 ‘춘절당’은 1년간의 코로나 감염병 사태를 겪은 후 흥행 수입이 줄기는커녕 이전의 모든 ‘춘절당’ 기간의 흥행 수입보다 더 많은 기록을 세우는 역사적 변화를 겪었다. 뿐만 아니라 중국 춘절 영화시장의 역사적 기록들도 잇달아 갈아치우고 있다. 이 때문에 2021 ‘춘절당’ 기간에 80억 위안에 가까운 흥행 수입을 올리며 중국 영화계의 뜨거운 관심사로 떠올랐다. ‘춘절당’은 중국 영화시장 및 중국 영화문화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영화상영 시기로서, 현대 중국 영화문화와 영화시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춘절당’은 중국 영화가 발전하는 과정에서 전통 명절과 결합해 형성된 중국 특색의 문화전통으로, 현대적 의의가 있는 문화전통이 ‘신민속(新民俗)’의 특징을 뚜렷하게 형성하고 있으며, 이는 특히 2021년 ‘춘절당’에서 더욱 잘 드러난다. 따라서 중국 ‘춘절당’ 문화 현상의 연구를 통해 중국 영화시장과 영화문화의 발전을 이해하고, 동시에 현재 중국 영화시장에 내재된 전통문화의 의미를 발견할 수 있다. Centering on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Chinese Spring Festival stalls and the film market during the New Year season, this paper analyzes and studies the cultural phenomenon during the Spring Festival in 2021. With the help of the study of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Spring Festival period in 2021, this paper figures out the specific reasons for the success of the Spring Festival box office in 2021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ese movie development and the Spring Festival stalls by summarizing and organizing the historical process and opportunities of the formation of this period. The year 2021 is unusual for Chinese cinema. The Chinese Spring Festival market in 2020 was hit hard by Covid-19. Many films scheduled for release during the Spring Festival period had to remove from cinemas because of the sudden outbreak of the epidemic. As a result, the box office for the 2020 Chinese New Year season was almost zero. However, in 2021, the Spring Festival saw a shocking change, with box office revenues exceeding those of all previous Spring Festival releases. Not only that, but it also broke several historical records for the Chinese Spring Festival movie market. As a result, the 2021 Spring Festival ended with box office revenue of nearly eight billion yuan, making it a hot topic for the Chinese film industry. As an irreplaceable film release period in the Chinese film market and film culture, the Chinese New Year season plays an essential role in modern Chinese film culture and the film market. The Spring Festival is a cultural tradition with Chinese characteristics slowly forming through the combination of Chinese cinema and traditional festivals as time passes by and gradually showing distinctive ‘new folklore’ characteristics, which is especially evident in the Spring Festival in 2021. Therefore, a study of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Chinese Spring Festival not only provides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Chinese film market and the development of film culture but reveals the traditional cultural meaning inherent in the Chinese film market today.

      • KCI등재후보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로서 바라본 <미스터트롯>의 참여문화 양상 연구

        윤엄지 ( Yun¸ Um Ji ),이현중 ( Lee¸ Hyun Joong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2 No.-

        최근 디지털 기술의 발달로 매체들의 경계가 허물어지면서 하나의 미디어 콘텐츠가 다양한 플랫폼과 채널을 넘나들며 유통되고 공유되고 있다. 이러한 다수의 미디어 융합 현상을 통해 수용자들은 다양한 콘텐츠를 향유할 수 있게 되었고 단순히 미디어를 즐기는 형태에서 벗어나 무언가 후속 활동을 하거나 관련 콘텐츠를 찾으며 프로그램과 상호작용하기 시작했다. 수용자들의 이러한 ‘참여문화’는 미디어 컨버전스 시대의 중요한 특성이다. 수용자들의 참여형태가 적극적으로 변화함에 따라 제작자들은 변화에 맞춰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를 기획하고 제작하기 시작했다. 이러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는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의 확장성, 수용자들의 참여, 세계관 구축 등의 특징을 기반으로 각기 다른 미디어의 속성에 맞게 이야기를 구성하여 하나의 세계관으로 자연스럽게 통합하고 확장하며 발전시킨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수용자들의 ‘참여문화’ 형태를 살펴보기 위해 TV조선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 <미스터트롯>을 분석하고 고찰을 시도하였다. 분석 결과 <미스터트롯>은 단순 리얼리티 오디션 프로그램 포맷 변형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 스토리를 전개하며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로서의 특성을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아직 그 단계가 초기 단계로 보여 지고 있고, 수용자들의 참여문화의 형태가 다양해짐에 따라 프로그램은 수용자들이 폭 넓게 진입할 수 있게 다양한 입구를 마련해야할 것으로 보여 진다. 또한 <미스터트롯>은 기성세대들의 활발한 참여문화 활동으로 뉴미디어에 대한 빠른 적응력을 보여주고 있는 사례로, 트랜스미디어 콘텐츠를 통해 미디어의 기술적, 세대적 경계가 완화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Recentl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the boundaries of media have been blurring, and a single media content is being distributed and shared across various platforms and channels. Through these multiple media convergence phenomena, audiences were able to enjoy a variety of contents, and they started interacting with the program by conducting follow-up activities or finding related contents, not simply enjoying the media. This ‘participatory culture’ of the audience is an important characteristic of the media convergence era. Also, as audience participation actively changed, producers began to plan and produce trans media content in line with the change. These trans media contents are naturally integrated, expanded and developed into a world view by constructing stories according to the attributes of each media based on scalability, participation of audience, establishment of world view, which are characteristics of trans media storytelling.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this study analyzed and considered the TV Chosun reality audition program < Mr. Trot > to examine the form of ‘participatory culture’ of the audienc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 Mr. Trot > is not only a simple transformation of the format of reality audition program, but also develops the story through various media and shows characteristics as trans media contents. But it’s still in the early stages and the forms of participation culture of the audience has diversified, the program seems to have to provide various entrances so that the audience can enter the area widely. In addition, < Mr. Trot > is an example of showing rapid adaptability to new media through active participation cultural activities of older generations, and shows the relaxation of technological and generational boundaries of media through trans-media contents.

      • KCI등재후보

        가상현실 영화의 미학적 가능성 탐색

        정인선 ( Jung In Sun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1 No.-

        본 연구는 ‘창’과 ‘틀’이라는 개념을 통해 가상현실 영화의 특성에 대해 연구하였다. 가상현실 영화에서 시야각이라는 신체적 한계 때문에 한정된 내화면을 상정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한정된 내화면은 롱테이크 등의 기법을 통해 공간의 연속성을 만회하고자 한다. 롱테이크의 존재 여부가 가상현실 영화의 불투명성을 증명했다. 즉 ‘틀’로서 가상현실 영화를 대하며 인식하게 되는 것이다. 동시에 가상현실 영화는 ‘창’으로서 존재한다. 사회적 맥락과 비물리적 환경이 결합할 때, 관객은 가상현실 영화 속에서 가상공간을 현실 세계와 비슷한 공간으로 인지하며 내러티브에 몰입하면서 가상현실 영화를 보게 된다. 이를 통해 가상공간과 현실 세계의 차이를 부정한다. 즉 가상현실 영화라는 매체의 매개성을 약화시키며 가상공간을 보는 ‘창’으로 작동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 이번 연구를 통해 가상현실 영화의 가상공간이 투명하면서도 불투명한 반투명의 공간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가상현실 영화의 반투명한 공간은 미학적 가능성을 확대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virtual reality cinema through the concepts of “window” and “frame”. Due to the limitations of the human vision, it bounds to be limited to images of virtual space. These limited images are intended to make up for continuity of space by long take. The long take of virtual cinema proves the opacity. Eventually, the Spectator perceives the frame as a virtual reality cinema due to the viewing limited. In other words, they become aware of virtual reality films as ‘frames’. At the same time, virtual reality cinema exist as ‘windows’. When the social context and the non-physical environment are combined well, the Spectator perceives the virtual space as a space similar to the real world in the virtual reality cinema. And they see the virtual reality cinema immersing to the narrative. In other words, transparency is emphasized the ‘window’ of virtual reality cinema as a medium. In the end, this study confirmed that virtual space of virtual reality cinema is translucent space. This translucent virtual space combined with the psychological factors of the spectator. These concepts of virtual space is possible for the esthetics.

      • KCI등재후보

        한국 영화학의 동향과 특성: 『영화연구』에 대한 역사적 탐색을 중심으로

        한영현 ( Han Young Hyeon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1 No.-

        이 글에서는 『영화연구』에 게재된 연구 논문들을 중심으로 한국 영화학의 동향과 특성을 논의한다. 한국 영화학회에서 출간한 학술지 『영화연구』에 게재된 연구 논문들은 주로 ‘영화 이론과 미학’, ‘영화사와 작가’, ‘영화산업과 정책·기술’ 분야로 구분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 범주 설정은 초창기에는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았을 뿐만 아니라 내용 또한 서구 이론을 소개하는 차원에 놓여 있었다. 그러나 1990년대부터 관련 연구 분야는 한국 영화에 대한 관심으로 방향을 선회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부터 이러한 경향은 더욱 심화되고 세분화되었다. 한편 한국 영화학에서 가장 관심을 기울인 분야는 ‘영화 이론과 미학’이었다. ‘영화사와 작가’ 및 ‘영화산업과 정책·기술’ 분야가 그 뒤를 이었다. 1990년대 이후부터 관련 연구가 세분화되었지만 여전히 한국 영화학의 정체성 및 주체성과 관련된 논의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그러므로 한국 영화학회의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감안할 때 관련 분야에서 이루어지는 연구 결과는 한국 영화학의 정체성을 밝히는 방향을 나아가야 할 것이다. This study discusses the trend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Filmologie, focusing on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Film Studies』.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Film Studies』 published by the Korean Film Association can be mainly classified into the fields of ‘film theory and aesthetics’, ‘film history and Directors’, and ‘film industry and policy and technology’. This study category setting was not only not clearly distinguished in the early period, but also the content was focused on introducing Western theories. However, since the 1990s, related research fields have turned to interest in Korean films, and since the 2000s, this trend has been further deepened and subdivided. Meanwhile, ‘film theory and aesthetics’ was the field that was most interested in Korean film research. It was followed by the fields of ‘film history and director’ and ‘film industry and policy and technology’. Although related research has been subdivided since the 1990s, there is still a need for discussion on the identity and subjectivity of Korean Filmologie. Therefore, given the long history and tradition of the Korean Film Association, research results in related fields should go in the direction of revealing the identity of Korean filmologie.

      • KCI등재후보

        1990년대 여성 섹슈얼리티 재현의 문제: 장선우의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중심으로

        김예니 ( Kim¸ Yae Ni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2 No.-

        1990년대라는 ‘시대’의 지배적 심상과 감각을 보여주는 대표적인 작가로 장정일을 꼽을 수 있는데 그의 작품을 영화화한 장선우의 영화 중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중심으로 장선우가 왜 장정일 작품을 영화화했는지 살펴보면서 특히, 장선우가 영화로 재현하고 있는 여성의 섹슈얼리티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의하려 한다. 그전에 살펴볼 것은 1990년대의 상황이다. 1980년대 에로 영화가 있었다면 1990년대에는 에로비디오를 중심으로 에로티시즘이 형상화되었는데, 2000년대부터는 인터넷의 보급으로 많은 영상들이 디지털화 되면서 에로티시즘을 재현하는 극영화의 양상이 많은 변화를 보였다. 이런 변화의 과정에서 영화 <너에게 나를 보낸다>는 장선우의 1990년대 작품 중 1990년대 섹슈얼리티가 재현되는 양상을 가장 잘 보여주는 영화라 할 수 있다. 장선우는 원작을 기반으로 <너에게 나를 보낸다>를 기획하면서 ‘가벼운 포르노그라피’를 표방했다. 장정일에게나 장선우에게나 남성 인물의 ‘찌질함’이 중요한데, 이들은 사회적으로 실패했으며 성적으로 ‘불능’인 남성들이다. 그들은 자본주의 사회에서 중요한 생산성이라는 덕목을 갖추지 못한 사람으로 경제적인 생산성도, 사회적 생산성도, 성적 생산성도 없는 인물들이다. 특히, 남성 주인공인 <작가>와 그의 친구 <은행원>은 작품 생산성과 성적 기능의 상관관계를 보여준다. <작가>는 현대 사회에서 꿈꾸기를 포기하고 현재의 질서를 받아들이는 것으로 자신의 생산성을 포기하는 모습을 보인다. 적극적으로 사회 안으로 편입하기 보단 권력되기를 포기함으로써 현대사회의 부정성을 드러낸다. 다음으로 장선우는 기존 에로 영화와 다르지 않게 여성의 육체를 재현하는데, <너에게 나를 보낸다>의 특징이라고 한다면 정사 시퀀스에서 배경음악이나 특별한 소품을 사용하지 않음으로써 에로티시즘을 구현할 때 ‘날 것’의 느낌을 준다. 특히, <바지 입은 여자>의 엉덩이가 강조되는데 이는 여성의 존재를 지우고 ‘엉덩이’로 페티쉬즘이 강화되면서 여성 육체에 대한 물화현상이 강화되는 경향을 보인다는 것이다. 이 영화에서 여성 인물은 여성의 섹슈얼리티, 여성의 성욕, 여성의 욕망을 드러내지 못한 채 남성 인물들의 욕망이 투사되는 대상이 된다. 이는 장선우 감독이 이후, 전위성을 잃는 원인이 된다. Jeong-il Jang can be cited as a representative writer who shows the dominant image and sense of the ‘era’ of the 1990s. This study examines why Sun-woo Jang made Jung-il Jang’s work into a film, focusing on Jang Sun-woo’s < Sending Me to You >, and discusses, in particular, the issue of women’s sexuality that Jang Sun-woo represents as a movie.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to look at the situation in the 1990s. There was an erotic film in the 1980s, and eroticism embodied erotic videos in the 1990s. Since the 2000s, the pattern of film dramas representing eroticism changed as videos were digitized because of the spread of the Internet. In the process of this change, the movie < Sending Me to You > is one of the best movies to show the representation of sexuality in the 1990s among Jang Sun-woo’s works in the 1990s. Sun-woo Jang advocated “light pornography” while planning < Sending Me to You > based on the original novel. The nerd things of male characters are essential for both Jang Jung-il and Jang Sun-woo, and these male characters have failed socially and are sexually impotence. They do not have the virtue of productivity, an important factor in a capitalist society, and are described as not having economic, social, and sexual productivity. In particular, the male protagonist “Writer” and his friend “Banker” show the correlation between work productivity and sexual function. < Writer > presents who gives up dreams in modern society and his productivity by accepting the current public orders. It reveals the negativity of modern society by giving up a social authority rather than actively incorporating them into society. Next, Sun-woo Jang represents a woman’s body, not different from the existing erotic film. The characteristic of < Sending Me to You >, however, he gives the feeling of “raw” when implementing eroticism by not using background music or special props in the sex sequence. materialization of a woman’s body is strengthened because he emphasizes the buttocks of “Women in Pants” by erasing the presence of women and strengthening the fetishism with “butts.” In this film, female characters become the objects that reflect male characters’ desires without revealing women’s sexuality, women’s sexual desire, and women’s desires. It causes the director Sun-woo Jang to lose his avant-garde characteristic.

      • KCI등재후보

        펭수의 멀티 페르소나 연구

        김희경 ( Kim¸ Hee Kyung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2 No.-

        본 연구는 멀티 페르소나가 펭수 캐릭터의 인기요인이라고 설정하고 페르소나의 개념, 특성, 그리고 유형을 이론적으로 살펴본 다음 펭수 캐릭터에서 그 특성과 유형이 어떻게 드러나는지 파악해 보았다. 페르소나의 특성에는 대리성, 위장성, 그리고 차별성이 있으며 이를 세분화하여 나눈 것이 황제, 영웅, 전문가, 친구, 카멜레온 페르소나라는 5가지 유형이다. 펭수 캐릭터는 5가지 유형이 자이언트 펭 TV의 에피소드에서 그의 언행, 시각적인 부분, 자막, 특수효과 등을 통해서 드러남을 알 수 있었다. 결국 펭수의 인기요인은 선과 악, 여성과 남성, 아이와 어른이라는 이분법적 구조로 나누어지는 페르소나가 아니라 멀티 페르소나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라는 것을 본 연구에서 밝혔다. 즉, 일상의 인간들 역시 일상의 공간에서 어느 한쪽으로만 규정지을 수 없는 멀티 페르소나를 가지고 생활하고 있는 바, 펭수는 10살로 설정되어 있지만 그의 캐릭터는 그 이상의 연령대, 남녀 모두, 아이와 어른 모두를 아우르고 있으며, 최근 안티 꼰대라는 문화를 형성할 만큼 할 말은 하고 살자는 언행을 보이고 있다는 점에서 사람들이 펭수에게 감정을 이입하고 공감하고 있다는 것이다. 펭수 캐릭터의 사례를 통해 콘텐츠를 제작함에 있어서 페르소나를 적용해야 할 가치를 보여줬다고 할 수 있다. 향후 포스트 펭수를 위해서 페르소나가 어떻게 작동될지 기대가 된다. This study sets multi personas as a popular factor of Pengsu characters, theoretically examines persona’s concept, characteristics, and types, and then understands how those characteristics and types are revealed in Pengsu characters. Persona’s characteristics include agency, camouflage, and discrimination, which are divided into three types: emperor, hero, expert, friend, and chameleon persona. The Pengsu character was found to be revealed in five episodes of Giant Peng TV through his words, visuals, subtitles, and special effects. In the end, this study revealed that the popular factor of Pengsu is that it has multi personas, not personas, which are divided into dichotomous structures of good and evil, women and men, children and adults. In other words, everyday humans also live in a multi-persona that cannot be defined by either side in the daily space, and Pengsu is set at 10 years old, but his character covers all ages, both men and women, both children and adults. It is said that people are empathizing and empathizing with Feng Su in that they are talking and living to say enough to form a culture called Anti-Kondae. It can be said that the example of Pengsu character showed the value to apply persona in creating content. I am looking forward to seeing how Persona will work for the future Pengsu.

      • KCI등재후보

        김정은 시대 북한영화의 국외 교류·합작 현황과 특징

        이준엽 ( Lee Jun Yeop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1 No.-

        이 논문은 김정은이 집권을 시작한 2012년 초부터 북한 영화의 국외 교류·합작 현황과 그 특징을 알아보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총 8편의 극영화·다큐멘터리 작품, <김동무는 하늘을 난다>(2012), <산너머 마을>(2012), <평양에서의 약속>(2012), <안나, 평양에서 영화를 배우다>(2013), <태양 아래>(2015), <북녘의 내 형제 자매들>(2016), <마이클 페일린, 북한에 가다>(2018), <영광의 평양사절단>(2019)을 중심 분석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김정은 시대를 전후로 하여 북한은 여러 국가와의 관계 개선을 도모하고 있었다. 또한 국제적인 기준에 맞게 인민의 생활 수준을 향상하려는 ‘세계화’에 대한 검토도 이루어졌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이 외부의 시선까지는 바꾸어놓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경향을 교류·협력을 통해 제작된 영화 작품을 통해서도 확인해볼 수 있다. <김동무는 하늘을 날다>, <산너머 마을>, <평양에서의 약속>과 같은 장편 극영화는 북한이 개별 국가와의 친선을 꾀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자국 영화 산업의 기술 발전과 인력 양성까지 도모하였음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한편 다큐멘터리 작품의 경우는 대다수가 원래 기획 의도와는 달리 북한을 비판적인 시각으로 대상화하여 그려내고 있음을 확인해볼 수 있었다. 요약해보면, 북한 영화계에서 국외 교류·합작 비중이 상대적으로 증가한 것은 사실이다. 전반적인 제작 편수가 감소한 가운데 꾸준하게 교류·합작이 시도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것이 김정은 이전 시기에 비해 색다른 경향을 드러내고 있다고 보기는 어렵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북한 사회는 여러 가지 제한된 상황 속에서도 변화의 방향을 모색하고 있으며, 북한 영화계 역시 다양한 측면에서 새로운 시도를 이어가고 있다. 이러한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하며 김정은 시대의 북한을 이해해보아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s the current statu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ational collaboration of North Korean films since 2012 when Kim Jong-un took power. To this end, Comrade Kim Goes Flying(2012), The Other Side Of The Mountain(2012), Meet in Pyongyang(2012), Aim High in Creation(2013), Under The Sun(2015), My Brothers and Sisters in the North(2016), Michael Palin in North Korea(2018), A Glorious Delegation to Pyongyang(2019) were analyzed. North Korea was seeking to improve relations with various countries before and after the Kim Jong-un era, and “globalization” was promoted to raise the standard of living for its people. However, such efforts have not changed the external prejudices. This trend can also be seen through film works produced through co-production and cooperation. Featured films such as Comrade Kim Goes Flying, The Other Side Of The Mountain, Meet in Pyongyang show that North Korea sought friendship with various countries and also promoted the development of film technology and train human resources in its film industry. In the case of documentary works, most of them look at North Korea from a critical perspective, contrary to their original planning intentions. It is true that the proportion of international co-production and cooperation in the North Korean film industry has increased relatively. This is because the number of films produced has decreased, and at the same time, international co-production and cooperation is steadily being attempted. However, it is hard to say that this is showing a different trend compared to the time before Kim Jong-un. Nevertheless, North Korean society is seeking direction of change despite various limited situations, and the North Korean film industry is also continuing to make new attempts in various aspects. We should positively evaluate this and understand North Korea under the Kim Jong-un era.

      • KCI등재후보

        미디어에 재현된 ‘웃자란’ 어린이 형상화 연구: 어른을 이해하고 위로하는 지혜로운 어린이들

        김지연 ( Kim Ji Yeon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2 반영과 재현 Vol.3 No.-

        본 논문은 미디어에 등장하는 어린이 형상에 주목한다. 미디어에 재현된 어린이들의 모습에는 그 사회가 가진 고정관념이 드러나는데, 본고에서 주목한 것은 어른들의 기대와 욕망이 투영된 ‘웃자란’ 어린이 형상이다. 최근에 인터넷에서 화제가 되었던 한 영상에서는 자신의 삶에 허무함을 느낀다는 중년 여성을 9살 어린이가 위로하는 장면이 등장했다. 어린이가 보여준 따뜻한 반응에 여성 배우는 감동의 눈물을 보였으며, 많은 어른들이 SNS를 통해 어린이의 발언과 표정에서 위로를 얻었다며 해당 영상에 공감을 표했다. 어린이가 어른을 위로하는 모습은 드라마에서 종종 재현된다. 이러한 ‘웃자란’ 어린이는 어른과 짝패로 등장하는데, 이때의 어른은 많이 지쳐있거나, 악행을 도모하거나, 책임을 회피하거나 눈치가 없는 모습을 보인다는 점에서 어린이와 대조된다. <오마이금비>의 금비는 무책임한 친부(親父)의 입장도 이해하며 그가 상처받지 않도록 자신의 일을 스스로 처리하고자 한다. <연애시대>의 은솔은 어른들의 상처나 장점을 다른 사람보다 먼저 눈치챌 뿐 아니라, 어른들이 자신의 진심을 알아차릴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준다. <품위있는 그녀>의 지후는 이혼한 부모의 입장과 상황을 이해하는 데에서 나아가, 엄마가 상처받지 않도록 위로하고 아빠가 잘못을 깨달을 수 있도록 자극한다. 끝으로 <갯마을 차차차>의 이준은 사례로 든 드라마 중 유일한 남자어린이로, ‘선비’라는 별명이 있을 정도로 단정하고 사려깊다. 종종 부모와 투닥거리거나 부모에게 핀잔을 듣기도 하는 단짝 보라와는 달리, 이준은 어린 아이임에도 늘 부모의 눈치를 보면서 걱정을 끼치지 않으려 애쓴다. ‘웃자란’ 어린이 형상은 비현실적일 뿐 아니라, 그들의 발언이나 행위가 어른의 기대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그려진다는 점에서, 어린이를 도구적으로 소비할 우려를 낳는다. 어린이의 다양한 형상이 다채롭게 조명될 때, 어린이에 대한 차별이나 편견도 극복될 수 있다. 어른의 시선에서 바람직한 모습으로 재단된 ‘웃자란’ 어린이 형상이 아이들의 전형을 표상해서는 안 된다. This thesis focus on the representation of children on TV Drama. The image of children reflects the stereotype of the contemporary society. We pay attentions on ‘precocious child’ character on TV, because it seems grown-ups want child to be like that. Lately one video clip of ODG went viral, getting nearly 0.7 million hits on the Youtube and forming diverse reaction on the social media. In that video, a woman in her 40s talked about her remorse and suddenly burst into tears. As 9 year-old-girl has listened to her attentively, advising and consoling her warmly. Many people got comfort by young girl, but some of them worried about her embarrassment and an intolerable situation. We can see many precocious children character on TV Drama, they play a mate to one adult who is commonly father or mother. Adults in the drama are fatigued, that irresponsible, or almost got tempted into evil doing. Geum-bi of < My Fair Lady > understand her father and want to lessen his burden even she’s fallen terminally ill. Eun-sol of < the age of love > can notice grown-ups’ inner hurts or virtues, unlike other people, give them an opportunity of realizing and following their heart. Ji-hu of < Dignity > shows empathy with the suffering of her wise mother and finds fault with her silly father cheating on his wife. Ee-jun of < Hometown chachacha > is a boy called ‘noble scholar’. When he’s been growing up, he never caused his parents any heartache, so he is parent’s pride and joy. He is always careful not to make his parents worried. The characters of precocious child are not only unreal but too ideal. It measures up to only adults’ expectations and it never reflects who children really are. When we can meet various children characters on TV Drama, we can overcome our prejudices and defeat discrimination about child, in reality. Precocious Children characters cannot be the typicality of the child.

      • KCI등재후보

        앙리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담론’을 통해 본 지아장커(賈樟柯)의 영화에 재현된 몸과 공간의 상호성

        왕겅이 ( Wang Geng Yi ),정태수 ( Chung Tae Soo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1 반영과 재현 Vol.1 No.-

        본 논문은 앙리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담론을 토대로 지아장커의 영화에 접근하고자 한다. 르페브르에게 있어서 공간은 인간의 신체적 행위를 통해 남과 관계를 맺어서 형성된 사회적 질서이다. 남과 관계를 맺는 것은 그 자체가 사회적인 것이기 때문에 공간과 사회가 자연스럽게 결합되고, 이를 통하여 사회적 공간은 탄생한다. 필자가 이 논문을 통해서 밝히고자 하는 것은 사회적 공간을 생산하는 데 인간(몸)의 역할과 몸과 공간의 상호관계이다. 이에 대해 르페브르에 따르면 공간과 사회적인 것을 연결시켜준 것은 바로 인간의 실천(몸짓)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의 몸은 사지를 지배하는 ‘대량 에너지’와 뇌가 주도하는 ‘미세에너지’를 통해서 사회적인 것과 공간을 연결시키며 생산한다. 영화는 배우(인간)의 행동으로 사건(사회적인 것)과 장소(공간)를 연결시켜줌으로써 사회적 현실을 재현한다. 이처럼 영화의 사회적 현실의 재현방식과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이론은 어느 정도유사하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하여 밝히고자 하는 지아장커의 영화속 몸과 공간의 관계성을 입증하는 데 있어 르페브르의 공간담론은 매우 적절한 분석방법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그의 인간학적 공간담론을 rl반으로 1978년 개혁개방 이후 중국의 사회적 현실을 냉철하게 기록하는 중국 제6세대 감독인 지아장커(賈樟柯)의 <세계(世界)>(2004), <동(東)>(2006), <스틸 라이프(三峽好人)>(2006), <무용(無用)>(2007), <24시티(24城記)>(2008)이라는 다섯편의 장편 영화에 접근하고자 한다. 르페브르의 인간학적 공간이론을 토대로 그의 영화에 재현된 몸과 공간 사이에 내재된 상호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This paper attempts to approach Jia Zhang-ke’s films based on Henri Lefebvre’s anthropological spatial discourse. For Lefebvre, space is a social order formed by connecting with others through the physical actions of humans. Because it is social in itself that meets relationships with others, space and society are naturally combined and social space is born. so I want to reveal through this paper is the role of human beings (body) in producing social space and the reciprocity of body and space. According to Lefebvre, it is human practice (body move) that connects space and society. More specifically, the human body connects and produces space with social things through “massive energy” that dominates the limbs and “fine energy” led by the brain. The film reproduces social reality by linking events (social) to places (space) with the actions of actors (human beings). As such, it is somewhat similar to Lefebvre’s anthropological spatial theory to the way movies reproduce their social reality. Therefore, it is sufficiently possible to apply his anthropological spatial discourse to movies. Therefore, in this paper, based on his anthropological spatial discourse, Chinese sixth-generation director Jia Zhang-ke’s < World世界 >(2004), < Dong東 >(2006), < Still Life三峽好人 >(2006), < Useless無用 >(2007) and < 24city24城記 >(2008) approaches to Chinese social reality since the reform and opening of 1978. Based on Lefebvre’s anthropological spatial theory, he will be able to analyze in depth the inherent reciprocity between the body and space reproduced in his film.

      • KCI등재후보

        ‘이미지텔링’ 연구방법론 정립을 위한 이론적 고찰

        김소영 ( Kim So Young ) 현대영상문화연구소 2022 반영과 재현 Vol.4 No.-

        Recently, the aspect of image representation diversifies by development of digital media. And image is dealt with a subject of various research area due to trans-media. In stroytelling studies, image has been treated as the way of deliver a story. This article examines imagetelling treating image itself, not means of story delivery. The precedent studies on imagetelling make use of the words of imagetelling, image stroytelling, image and storytelling. And they discuss about image relating to stroytelling. To build imagetelling as academic methodology, this study tries to define imagetelling and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imagetelling. The definition of imagetelling includes the status of image, function, delivery method, and interaction. Then the characteristics of image based on the above components are expanded to the characteristics of imagetelling as follows. They are intersubjectivity, flexible dynamism, remediation, hyper-iconology. Imagetelling regarding image as living organism can be the basis of interdisciplinary studies on images. As mentioned before, imagetelling is still conducting discourse. However, imagetelling is very important issue to us in image age including digital im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