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재생산 건강과 권리에 대한 국제적 정책 추세와 한국에 주는 함의

        김새롬 ( Kim¸ Saerom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21 국제사회보장리뷰 Vol.18 No.-

        성·재생산 건강과 권리는 임신·출산·양육과 돌봄을 담당하는 여성의 몸에 대한 인구통제정책 비판을 통해 발견된다. 1995년 베이징 세계여성대회 이후 주류화된 인권 규범이다. 유럽연합을 비롯한 국제사회에서 성·재생산 건강에 대한 국가 전략과 정책이 수립되고 있다. 미국에서는 바이든 정부 집권 이후 국제금지규정이 철폐되고 인구주택총조사에 성적 지향과 젠더 정체성 문항이 포함되는 등 성·재생산 건강과 권리에 대해 보다 진보적인 정책이 추진되고 있다. 한국에서는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에서 최초로 성·재생산권 보장이 공식 정책 목표로 포함되었지만, 이를 추진하기 위한 기반은 부족한 상태다. 국가 중심의 인구통제와 재생산하는 몸을 도구화한다는 비판과 불신을 벗어나 사람 중심적 대응을 위해 성·재생산 건강과 권리라는 규범적·실용적 관점을 채택한 정책을 설계해 나가야 한다.

      • KCI등재

        건강 영역에서 권력강화적 참여의 개념과 전략

        김새롬(Saerom, Kim),김창엽(Chang-yup, Kim)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18 비판사회정책 Vol.- No.59

        참여는 건강 영역에서 중요한 원칙이자 전략이다. 참여의 내재적 목적으로 권력강화(empowerment)에 대한 정치적ㆍ사회적 의미를 명확하게 해야 한다. 그렇지 않을 때 참여는 도구화되고 고립된 공간 안에서 개인과 집단의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 논문은 건강 영역에서 참여 논의가 권력강화 관점으로 전환되어야 함을 주장하고 권력강화적 참여(participation as empowerment)의 의미, 목적, 가능성을 검토했다. 먼저 한국 건강 영역에서 참여의 현황과 한계를 제시하고, 권력에 대한 두 가지 관점인 지배하는 권력과 생성적 권력 관점에 따라 권력강화적 참여의 개념을 논의했다. 이어서 건강 영역에서 심화된 민주주의적 통치 모델로 라이트(Wright)의 권력강화 참여 거버넌스(Empowered participatory governance, EPG) 모델과 그 사례로 브라질 민중건강평의회와 국가건강회의를 살펴보고 한국에서 권력강화적 참여의 전략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했다. 권력강화된 시민들의 참여는 EPG 모델 같은 심화된 민주적 통치와 결합함으로써 국가와 시장에서 일어나는 의사결정에 대한 민주적 통제를 강화할 수 있음을 확인했다. 건강 영역에서 참여는 민주주의 심화를 향한 노력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권력강화의 관점에서 참여의 과정을 기록하고, 권력강화의 과정과 결과를 설명할 수 있는 지식과 노력이 필요하다. Participation is one of the key principles in the health field. At the same time, it is considered a core strategy in improving population health. Without clarifying the intrinsic meaning of participation as politically and socially embedded practice, par-ticipation tends to be instrumentalized and isolated. In this paper, we argue that participation should turn toward its intrinsic value of empowerment. To examine the meaning, purpose, and potential of participation as empowerment, we briefly reviewed previous discussion and current situation of participation in health policy and public health. We compared two different perspectives on power, that is power as domination and power as empowerment, which have distinctive implications for conceptualizing participation. Also, We discussed Wright’s ‘Empowered Participatory Governance’ and People’s Health Council in Brazil to look for actual practice of participation as empowerment and its institutional alignment. By examining Brazil’s experience, we attempted to drew a few implications in strengthening the social power in the health field, considering the Korean health policy context. Only when the participation of the empowered is aligned with deepened democratic governance such as EPG, can the participation strengthen the social control toward the state and the market, thus enhancing the social power’s influence over people’s health. Participation in the health field should be aligned in the broader social effort for deepening democracy. More endeavor to explicate the process of participation as empowerment should be followed.

      • KCI등재

        한국 전공의들의 근무환경, 건강, 인식된 환자안전: 2014 전공의 근무환경조사

        김새롬 ( Kim Saerom ),김승섭 ( Kim Seung-sup ),김자영 ( Kim Ja Young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5 保健社會硏究 Vol.35 No.2

        본 연구는 한국 전공의들의 근무환경과 건강, 환자안전 관련 현황을 파악하기 위한 단면조사연구이다. 2014년 전공의 11,5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인턴 359명과 25개 전문과목의 레지던트 1,386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기술분석을 통해 전공의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근무환경과 건강상태, 환자안전 관련변수의 분포를 확인하였으며 간접표준화를 통해 전공의들의 건강상태를 전일제 일반근로자집단과 비교 하고 표준화유병비를 제시하였다. 분석 결과 전공의들은 주 평균 93시간을 근무하고 있었다. 지난 3개월간 인턴 중 13.1%, 61.5%, 10.2%가, 지난 12개월간 레지던트 중 11.4%, 44.4%, 6.0%가 각각 직장 내 신체적 폭력, 욕설 등 언어폭력, 성희롱 및 원치 않는 성적 관심을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공의들은 전일제 일반근로자집단과 비교하였을 때 유의하게 높은 수준의 근골격계 증상과 우울증상, 그리고 자살생각을 보고하였다. 환자안전과 관련하여 지난 3개월 동안 인턴 13.8%와 레지던트 8.7%가 의료과실을, 인턴 89.3%와 레지던트 68.6%가 주의집중실패를 경험한 것으로 밝혀졌다. 한국 전공의들의 근무환경과 건강, 그리고 이와 관련된 환자안전에 대해 보다 심층적인 연구와 대안의 모색이 필요하다. We conducted a nationwide survey in 2014 to understand working conditions, health and perceived patient safety among medical interns/ residents in South Korea. The survey included 359 interns and 1,386 residents from 25 medical specialties. On average, interns/residents worked 93 hours per week. The prevalence of physical, verbal, sexual violence in the preceding 3 months of interns was 13.1%, 61.5%, and 10.2% while that of residents in the preceding 12 months was 11.4%, 44.4%, and 6.0%, respectively. Regarding health conditions, interns and residents reported significantly higher prevalence of all physical (e.g., musculoskeletal pain) and mental health problems (e.g., depressive symptoms) compared to full-time waged workers. Over the preceding 3 months, the prevalence of medical error and attentional failure was 13.8% and 89.3% among interns, while the figures for residents were 8.7% and 68.6%. This is the first nationwide survey about Korean medical interns/residents. Future studies are required to investigate how the work environment is related to health conditions of interns/residents, and patient safety outcomes in South Korea.

      • Baffle의 위치에 따른 Solar Updraft Tower 성능 향상에 대한 수치해석 연구

        김새롬(Saerom Kim),이승진(Seungjin Lee),박중열(Joong Yull Park) 대한기계학회 2018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8 No.12

        Solar updraft tower (SUT) is one of the renewable energy generation systems using solar energy. It uses updraft air flow due to natural convection created by solar energy. The baffle is a device introduced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heat exchange and improving power generation efficiency. In this paper, among various baffle design parameters, we investigate the effect of baffle location on the performance of SUT. Three cases with different locations were studied using the commercial code, ANSYS Fluent 19.0, to observe thermo-fluid dynamical performances quantitatively. In result, up to 4% increase of the efficiency depending on the baffle locations was found. This implies more detailed investigation on further variations in baffle location is necessary to maximize the SUT efficiency.

      • KCI등재

        포괄적 성·재생산 건강보장을 위한 보건의료체계의 과제: 임신중지를 중심으로

        김새롬(Saerom Kim)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21 여성연구 Vol.109 No.2

        모두의 건강을 보장하기 위한 국가와 사회의 노력에서 임신중지를 비롯한 성・재생산 건강 의제는 지속해서 배제되어 왔다. 이 연구는 지금까지 정부의 정책에서 여성건강이 어떻게 다루어져 왔는지 살펴보고 보건의료체계 개념을 소개하며, 이를 토대로 성・재생산 건강보장을 위한 보건의료체계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지난 20여 년 사이 여성건강에 대한 정부정책은 모성건강의 협소한 범위를 벗어나 차츰 그 영역을 확대하고 있지만 여전히 여성의 건강을 재생산하는 몸으로 환원하고, 개입을 위한 적절한 책무 구조를 갖추고 있지 못하다. 이는 불평등한 의사결정과 자원배분 구조가 지속되고, 성차별적 실천에 대한 직접 개입보다 인식과 규범 변화에 치우치고 있는 상황과 관련이 있다. 모두에게 안전한 양질의 임신중지를 보장하고, 성・재생산 건강을 향상하기 위해서는 보건의료체계 전반의 변화가 필요하다. 여기에서는 세계보건기구의 보건의료체계 개념틀을 활용해 포괄적 성・재생산 건강보장을 위한 보건의료체계의 과제를 모색하였다. 형법상 낙태죄 폐지와 임신중지 합법화는 여성의 성・재생산 건강 의제를 진전하기 위한 중요한 기회이자 계기이다. 여성들이 직접 열어젖힌 정치적 기회를 놓치지 않고 여기에 개입하기 위해 학제적 협력을 강화하고, 여성들의 경험에서 출발하는 정책적 지식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including abortion services, had long been excluded from the government’s effort to ensure “health for all” in South Korea. This study is a narrative review that analyzes previous women’s health policy, introduces the health system conceptual framework, and presents the health system’s forthcoming tasks to ensure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nd rights. In the last two decades, women’s health policy had escaped from the narrow scope of maternal health, but still, it reduces women’s health into the reproductive body, and the adequate accountability structure for women’s health is still absent. The policy focuses on awareness-raising and changing social norms rather than material condition of women’s health, such as health care service production or challenging the unequal distribution of resources. A health system approach is essential to assure safe abortion and improve access to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for everyone. We explored the health system’s future task, utilizing WHO’s six building block framework for health system strengthening. Decriminalization of abortion and legalization of abortion is a significant opportunity to advance the sexual and reproductive health agenda. Scholars should not dissipate the political window from the women’s movement, producing policy alternatives that start from women’s own experience, which requires constructive inter-disciplinary collaboration between public health and women’s studies.

      • 세포 구상체 배양 및 유동 공급이 가능한 마이크로웰 기반 마이크로유체칩

        김새롬(Saerom Kim),박중열(Joong Yull Park) 대한기계학회 2019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19 No.11

        Three-dimensional (3D) cell culture systems and microfluidic systems are being studied as systems with better biocompatibility than 2D cell culture systems, respectively. Integrating these two systems, we propose a system that can apply different shear stresses to 3D multicellular spheroid grown in one channel. The shape of the microfluidic channel was designed in a semicircular shape for the gradient distribution of shear stress, and the microwell array was placed on the bottom of the channel for 3D cell culture. The computational simulation confirmed that different shear stresses were applied to the spheroids placed in each microwell array, which may be useful as a reference for future work. We have also successfully fabricated a system of PDMS materials from a mold made by a CNC milling machine. This system allows for observing biological changes in spheroid caused by the shear stress and can be utilized as a system having better biocompatibility.

      • KCI등재

        지역 의료불평등 해소를 위한 미충족 의료지표 활용의 비판적 분석

        박유경 ( Yukyung Park ),김진환 ( Jin-hwan Kim ),김선 ( Sun Kim ),김창엽 ( Chang-yup Kim ),한주성 ( Joo-sung Han ),김새롬 ( Saerom Kim ) 한국보건행정학회 2020 보건행정학회지 Vol.30 No.1

        Background: Unmet healthcare needs have many advantages for measuring inequalities in healthcare use. However, the existing indicator is difficult to capture the reality of unmet healthcare needs sufficiently and is not quite appropriate in comparing regional inequal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analyze the utilization of the unmet healthcare need indicator for regional healthcare inequalities research. Methods: We used the level of healthcare accessibility and healthcare need to categorize the regions that are known to cause differences in healthcare utilization between regions and verified how existing unmet healthcare need indicator is distributed at the regional level. Results: Four types of region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e high and low levels of healthcare needs and accessibility. The hypothesis about the regional type expected to have the highest unmet healthcare need was not proved. The hypothesis about the lowest expected regional type was proved, but the difference in the average rate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regional types was not significant. The standard deviation of the rate of unmet healthcare needs among regions within the same type was also higher than the overall regional variation, which also disproved the whole frame of hypothesis. Conclusion: Failure to prove the hypothesis means the gap between the supposed meaning of the indicator and the real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e of healthcare utilization of people in various regions of Korea and to resolve inequality, fundamental research on the in-depth structure and mechanisms of healthcare utilization is need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