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RISS
RISS 처음 방문 이세요?
고객센터
RISS 활용도 분석
최신/인기 학술자료
해외자료신청(E-DDS)
RISS API 센터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에너지 데이터 수집 및 관리 플랫폼 개발과 구축에 대한 연구
김범주(Kim Beom-Joo),김대환(Kim Dae-Hwan),윤경희(Yoon Kyung-Hee),한정훈(Han Jeong-Hoon) 대한전기학회 2021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21 No.10
본 논문은 최근 우리나라에서 진행 중인 한국형 뉴딜 중 그린뉴딜 정책, 그리고, 전 세계적인 4차 산업혁명에 따른 빅데이터 활용에 있어 생활에 밀접한 데이터인 에너지 데이터를 활용한 인프라 구축과 서비스 모델 개발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원격검침시스템을 통한 국가 단위 에너지 데이터 수집을 진행하고 있으나, 데이터의 활용도가 낮은 상황이다. 이에 따라, 에너지 데이터의 정보로서 가치를 높이고, 기존 공급관리에서 수요관리 방식으로의 에너지 효율화 정책 전환에 따른 에너지 빅데이터 활용에 대한 수요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본문을 통해 현재 누리플렉스에서 진행 중인 가정용 스마트전력 플랫폼 사업과 에너지 데이터 활용 서비스 플랫폼 개발 기술의 기본적인 이해를 통해 향후 다양한 데이터를 융합한 서비스가 나타나고, 이를 통한 시장 활성화를 기대하는 바이다.
에너지 IoT를 지원하는 스마트 에너지 게이트웨이 개발에 관한 연구
김범주 ( Beom-joo Kim ),한정훈 ( Jeong-hoon Han ),박소영 ( So-young Park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6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3 No.2
해당 개발 연구기기는 스마트그리드와 같은 에너지 IoT에 적용할 수 있는 다중통신기반 게이트웨이로 정보를 수집하는 무선 구간과 이를 상위 서버로 전달하는 무선 또는 유선 구간을 복합적으로 적용한 장치이다.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 구축에 있어 여러 정보를 수집하고 상위 관리 서버로 전달하는 중요 역할을 담당한다. 현재는 연구단계로 정보 수집 및 전달은 시험을 완료하였으며, 성능 개선을 진행중에 있다.
소규모 공장을 위한 IoT 기반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김범주 ( Beom-joo Kim ),김대환 ( Dae-hwan Kim ),김용배 ( Yong-bae Kim ),한정훈 ( Jeong-hoon Ha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9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6 No.2
본 논문에서는 공장에너지관리를 위한 IoT 기반 플랫폼 개발에 대한 연구를 다루고 있다. 특히, 스마트팩토리에 대한 고사양성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아닌, 소규모 공장에서도 적용할 수 있는 시스템을 통해 스마트팩토리로 전향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IoT 표준을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클라우드 서비스와 분석시스템 등을 제공한다.
김범주(Beom Joo Kim),유승진(Seungjin Yoo),이교일(Kyo Il Lee),정지열(Ji Yeol Jung),이수진(Su Jin Lee) 대한기계학회 2005 대한기계학회 춘추학술대회 Vol.2005 No.11
This paper describes modeling and control design for the hydraulic system in Electronic Stability Program (ESP) system . A nonlinear mathematical model of the ESP hydraulic system is proposed and its accuracy is experimentally verified. The proposed mathematical model is simplified to use in a model-based controller design. The designed controller determines the duty ratio of the valve explicitly by means of making use of the simplified mathematical model in the ESP hydraulic system. The accuracy of the mathematical model and the performance of the designed controller is validated via experimental results.
IoT 표준 기반 스마트시티 적용 통합 프로토콜 개발에 관한 연구
김범주(Kim Beom-Joo),김대환(Kim Dae-Hwan),윤경희(Yoon Kyung-Hee),한정훈(Han Jeong-Hoon) 한국통신학회 2021 한국통신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21 No.6
본 논문은 다양한 환경에서 수집한 환경정보를 통해 에너지 관리나 생활연계 서비스를 능동적으로 이끌어낼 수 있는 스마트시티 적용 통합 플랫폼 개발에 대한 연구를 다루고 있다. 생활에너지정보의 경우 전기를 비롯한 다양한 계측기 및 센서를 통해 수집이 가능하기에, 여러 통신 프로토콜이 존재하고 있다. 파편화된 통신 프로토콜을 하나의 기술로 적용하기 위해 글로벌 사물인터넷 표준 기술을 적용하여 여러 기기를 하나의 플랫폼에서 묶을 수 있도록 구현하였다. 표준화된 플랫폼을 통해 원격검침부터 공장, 건물, 주택에 대한 스마트시티 적용 에너지관리서비스 등에 폭넓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였다.
김범주(Kim, Beom-Joo),김도형(Kim, Do-Hyung),이정현(Lee, Jung-Hyun),정상천(Jung, Sang-Chun),이성윤(Lee, Sung-Yoon),강승원(Kang, Seung-Won),임희천(Lim, Hee-Chu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8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8 No.05
An ejector is a fluid machinery to be utilized for mixing fluids, maintaining vacuum, and transporting them. The Ejector is applied for a variety of industrial fields such as refrigerators and power plants. It is adopted to recycle anode off gas safely in 5kW Molten Carbonate Fuel Cell system of KEPRI(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The ejector is placed at mixing point between the anode off gas and the cathode off gas or the fresh air. In this study, the entrainment ratio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diametrical ratio of nozzle to throat. In addition, the performance curve of the ejector and the differential pressure in diffuser is observed.
김범주(Kim, Beom-Joo),김도형(Kim, Do-Hyung),이정현(Lee, Jung-Hyun),강승원(Kang, Seung-Won),임희천(Lim, Hee-Chun)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2009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009 No.06
A pivotal mechanical balance of plant for 75kW class molten carbonate fuel cells comprise of a catalytic burner and an ejector which has been designed and tested in KEPRI(Korea Electric Power Research Institute). The catalytic burner, which oxidizes residual fuel in the anode tail gas, was operated at several conditions. Some problems arose due to local overheating or auto-ignition, which could limit the catalyst life. The catalytic burner was designed by considering both gas mixing and gas velocity. Test results showed that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is very uniform. In addition, an ejector is a fluid machinery to be utilized for mixing fluids, maintaining vacuum, and transporting them. The ejector is placed at mixing point between the anode off gas and the cathode off gas or the fresh air Several ejectors were designed and tested to form a suction on the fuel tail gas and balance the differential pressures between anode and cathode over a range of operating conditions. The tests showed that the design of the nozzle and throa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alancing the anode tail and cathode inlet gas pressures. The 75kW MCFC system built in our ejector and catalytic burner was successfully operated from Novembe, 2008 to April, 2009. It recorded the voltage of 104V at the current of 754A and reached the maximum generating power of 78.5kW DC. The results for both stand-alone and integration into another balance of plant are discussed.
스마트시티 센서 정보 수집을 위한 유무선 복합모뎀 개발에 관한 연구
김범주 ( Beom-joo Kim ),김용배 ( Yong-bae Kim ),진창우 ( Chang-woo Jin ),한정훈 ( Jeong-hoon Ha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센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통신인프라 구축에 대한 연구를 다루고 있다. 스마트시티와 같은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함에 있어, 네트워크의 구성은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현재 다양한 유선/무선 통신기술이 나와있어 실제 환경에 적용이 되고 있는 상황에 유선과 무선을 복합적으로 사용하여, 통신의 음영지역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을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하였다.
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을 통한 공장에너지관리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김범주 ( Beom-joo Kim ),김대환 ( Dae-hwan Kim ),김용배 ( Yong-bae Kim ),한정훈 ( Jeong-hoon Han ) 한국정보처리학회 2020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7 No.2
본 논문에서는 공장에너지관리를 위한 에너지관리시스템 개발에 대한 연구를 다루고 있다. 특히, 설비 교체나 고성능 또는 고가의 입출력 장비를 활용하는 것이 아닌, 공장에너지 사용량 모니터링에 대한 네트워크 구축을 통해 공장관리자에게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알려주고, 이를 활용하여 에너지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시스템은 서버를 구축하기 위한 별도 공간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중소형 공장을 대상으로 하기 위해 클라우드 서비스를 적용하여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