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디지털정보화와 일상생활만족도의 관계: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 효과 분석

        김반야(Kim, Ban-Ya),권종실(Kwon, Jong-Sil)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정보화정책 Vol.29 No.2

        본 연구는 디지털정보화의 접근, 역량, 활용 수준이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고, 이 변인들 간의 관계에 있어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를 검토하였다. 이를 위하여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의 ‘2020 디지털정보격차 실태조사’ 자료를 활용하여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전반적으로 디지털정보화는 일상생활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 역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디지털정보화가 일상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력과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매개효과의 유의성은 디지털정보화의 하위 차원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디지털정보화 정책의 필요성과 당위성을 뒷받침하고 디지털정보화 정책 수립 및 추진 시 도움이 되는 유용한 정보를 제공한다. 덧붙여 이 연구는 디지털정보화와 디지털기기 이용성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3차 정보격차의 선행요인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ifferent types of digital informatization (i.e. access, skill, utilization) on life satisfaction. The mediation effects of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are also tested. The ‘2020 Survey on the Digital Divide" conducted by the National Information Society Agency was referenced for empirical analysis. The findings show that in general, digital informatization contributes to improving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mediates the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life satisfaction. However, the magnitudes of the effects of digital informatization and mediation effects differed according to the types of digital informatization. This study supports the necessity and justification for a digital informatization policy and provides valuable information that helps establish and promote digital informatization policies. In addition, this study helps to understand the determinants of the third-level digital divide information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igital informatization and the outcome of digital device use.

      • KCI우수등재
      • KCI등재

        인터넷 이용 유형이 초등학생의 인터넷 일탈에 미치는 영향

        장현미(Jang Hyun-Mi),김반야(Kim Ban-Ya)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08 한국청소년연구 Vol.19 No.4

        이 연구는 시간이 경과하면서 초등학생의 인터넷 이용 유형에 따른 인터넷 일탈의 변화가 어떠한가에 대해 밝히고자 했다. 이를 위해 한국 청소년 패널조사 중 조사시작 당시 초등학교 4학년인 아동을 대상으로 3년에 걸쳐 수집한 자료를 바탕으로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통계적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초등학생의 인터넷 일탈의 초기치에 사회적 이용의 초기치는 정적으로, 정보추구 이용의 초기치는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인터넷 일탈의 변화율에는 사회적 이용의 초기치가 정보추구 이용의 초기치보다 정적으로 유의하게 더 큰 영향력을 미쳤으며, 사회적 이용의 변화율은 정적으로, 정보추구 이용의 변화율은 부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등학생의 인터넷 유형 중 사회적 이용의 과도한 이용을 지양하고 그 올바른 예절과 방법을 교육하며, 정보추구 이용을 장려하는 것이 인터넷 일탈의 감소를 위한 지침이 될 수 있다는 함의를 도출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 growth model and to prove the effect of children's Internet use type on Internet deviance. Data from the 2004-2006 Korea Youth Panel Survey was used for the analysis.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a growth curve model. The major finding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confirms the positive effects of social use and the negative effects of information-seeking use in terms of Internet deviance. Second, the intercept of social use has a greater effect on the slope of Internet deviance than the intercept of information-seeking use. Finally, while social use has a positive effect on Internet deviance, the information seeking use affects Internet deviance negatively. On the basisof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educators should work at improving the way that children perceive and use the Internet. In short, to prevent Internet deviance, they should guide them towards the more informational uses while keeping them away from excessive use of the Internet for social purposes.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등재

        SNS 관계망에서의 상호작용은 어떻게 사회적 지지감을 형성시키는가? -관계망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조윤경 ( Yun Kyoung Cho ),백영민 ( Young Min Baek ),김반야 ( Ban Ya Kim ) 한국커뮤니케이션학회 2014 커뮤니케이션학연구 Vol.22 No.2

        SNS 공간에서는 다양한 유형의 인간관계를 유지·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연구는 SNS 공간에서의 인간관계유형을 ‘관계유지’(기존 오프라인 관계가 SNS로 옮겨간 경우), ‘관계형성’(SNS에서 새로이 형성된 경우), ‘관계회복’(끊어졌던 오프라인 관계가 SNS를 통해 회복된 경우)의 세 가지로 구분하였고, 각각의 관계망의 크기와 강도를 구분하였다. 또한 이에 영향을 받는 사회적 지지감 역시도 온라인과 오프라인으로 구분한 후 각 관계망의 크기와 강도가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연구결과, 오프라인 사회적 지지감과 온라인 사회적 지지감은 서로 구분되며, SNS 관계망 유형별에 따라 다른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모든 유형의 관계망 크기는 온/오프라인 사회적 지지감에 별다른 영향을 주지 못하였지만, 관계형성형 관계망 강도는 온라인 사회적 지지감에 그리고 관계유지형 관계망 강도는 오프라인 사회적 지지감에 긍정적 효과를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에 대한 논의와 이론적 함의, 그리고 한계점은 결론부에서 구체적으로 논의하였다. A variety of human relationship can be formed and maintained on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ocial interactions in SNS on perceived social support (PSS) and how the effect varies according to the type of human relationship. Specifically, this study distinguishes two types of PSS (i.e., offline PSS and online PSS) and classifies human relationships on SNS into three types: (1) maintained relationship, indicating the SNS relationships are originated from preexisting offline relationship, (2) newly-formed relationship, meaning the SNS relationships are newly born through interaction online, and (3) recovered relationship, defined as the SNS relationships which had been broken but are recovered by the SNS`s eficient search function. Each relationship on SNS is measured with two-dimensional model, comprising of network size (i.e., number of SNS friends) and network intensity (i.e., frequency of interaction with the SNS friends).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 of SNS use on social support is not monolithic. Specifically, we found that ‘network intensity on maintained relationship’ promotes offline PSS but ‘network intensity on newly-formed relationship’ promotes online PS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our findings are also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