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음악 활동을 통한 유아 창의·인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김미옥(Mee-Ok Kim),송승민(Seung-Min Song) 한국보육지원학회 2020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6 No.6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ducation program using music activities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to analyze the impact of this program on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of young children in child care classrooms. Methods: The study consisted of how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 using music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was developed and the impact of the program on 5-year-old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The experimental treatment was conducted on a total of 16 occasions for eight weeks. The data were collected through the preschooler Creativity test(K·CCTYC) and The Empathy Index for Children and Adolescents (IECA) and Skill Situation Measures were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xperimental treatment with paired t-test. Results: First,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fluency , flexibility , originality and imagination of creativity. Second, the program had positive effects on empathy ability and prosociality. Conclusion/Implications: The effectiveness of the creativity and personality education programs using music activities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and the ways to promote young children’s creativity and personality in early childhood educations institutes were discussed.

      • KCI등재

        한국장애인복지학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과 고찰

        김경미(Kim Kyung-Mee),김미옥(Kim Mi-Ok)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 한국사회복지학 Vol.58 No.3

        이 연구는 장애인복지학의 이론적 패러다임에 따라 한국장애인복지학의 연구동향에 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한다. 즉, 장애인복지학의 기술적·이론적 분석을 통해 한국장애인복지학의 변화를 점검하고 향후 지향해야 할 방향성에 대한 논의의 장을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이 연구는 첫째, 사회복지학이 주 전공인 학회 중 학술진흥재단 등재지나 등재후보지로 등록된 학술지 9종을 대상으로 1979년 부터 2005년에 이르기까지 연구동향에 관한 기술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장애의 복합성에 기초한 사분모델을 이용하여 한국장애인복지학의 이론적 경향을 분석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이 두 가지를 제언한다. 첫째, 장애 현장의 다양한 이슈와 장애당사자의 욕구 반영, 장애종별 특수성과 장애인복지학 고유의 역사성 등 다양한 주제에 관한 장애 연구가 활성화되어 한국장애인복지학의 이론 구축(theory-building)을 해야 한다. 둘째, 한국의 장애인복지학의 이론적 연구동향은 개인적-관념론이 우세하나 사회적-유물론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며, 이러한 이론적 경향성은 최근 장애인복지 현장 및 학계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적 모델 및 자립생활 모델에 대한 논의와 맞물리는 것으로 이에 대한 좀 더 밀도 있는 학계 및 현장의 성찰이 필요하다. This paper aimed to analyze articles published in 9 Korean social work journals from 1979 to 2005 regarding the conceptualization of disability and the orientation of disability theories. Trends of disability theories have shifted from the division of the individual model and the social model to four models including individual materialist, individual idealist, social creationist, and social constructionist. As a result of categorizing the articles, it was revealed that the individual idealist position is the most popular and the social creationist position is increasingly popular. To understand disability holistically, the complexity of disability has to be addressed rather than focusing on one model.

      • KCI등재

        여성장애인 고용 안정 및 확대를 위한 구직화 과정 분석 연구

        강철희(Kang, Chul Hee),김미옥(Kim, Mee Ok) 한국장애인재활협회 2000 재활복지 Vol.4 No.1

        최근 장애인 복지환경의 변화와 함께 장애대상별, 생애주기별, 욕구별 서비스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흐름과 함께 여성장애인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이 당면한 자립생활의 현실에 대한 관심에 기초하여 여성장애인의 구직화 전과정을 세분화하여 여성장애인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적인 어려움 및 욕구들을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서 여성장애인의 고용 안정 및 확대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여성 장애인의 구직화 과정 즉, 취업전 상황, 취업준비과정, 구직을 통한 고용시장으로의 진입, 고용된 이후 직장생활의 유지 및 어려움, 사후관리의 각 단계를 연구분석 내용으로 구성하여 여성장애인 18명을 심층 면접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제한된 수의 대상자를 기초로 일반화하는 것의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1998년 한국사회복지학회가 여성장애인 8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취업욕구 및 실태조사의 결과를 선행연구에서 본 연구의 분석 틀에 맞게 정리함으로서, 제한된 수를 대상으로 심층면접하는 것이 갖고 있는 한계를 보완하여 여성장애인 구직화 과정에 대한 보다 보편적이고 심도 있는 이해를 형성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여성 장애인들은 구직화 전과정에서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전 과정에서 여성장애인들은 정보접근에서의 제한으로 취업기회 자체를 모르거나, 취업자페에 급급하여 자신의 적성이나 업무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준비과정에서도 여성장애인들을 위한 직업훈련이 너무나 제한적이고 홍보가 되지 않아 다양한 측면에서 직업훈련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직업적응 훈련 등도 보다 강화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과정에서는 구직등록 및 구직상담 전 과정에서 공식적 통로보다는 주로 개인이나 친척 등의 개인적 자원에 의존하고 있어서, 공식통로에 대한 홍보 및 정보 접근성 강화의 필요성이 상당히 큼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직장생활에서 여성장애인들은 업무배치, 임금, 승진등 전반적 영역에서 차별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성희롱 등의 문제를 제기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후관리 과정에서는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여성장애인들이 갖게 되는 문제 및 욕구 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 및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보여진다. Little study has been conducted concerning disabled women's employment realities. By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8 disabled woman having employment experience selected from the database of Korean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and describe their employment realities, difficulties and noods. In order to compare the results, i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lso reported the 1998 study results by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concerning 805 disabled women's realities. This study analyzed disabled women's employment, realities according to the following phases: pre-employment phase: preparation phase for employment: search phase for employment: adaptation phase in employment: and post-employment services phase. This study revealed that in pre-employment phase, disabled women have barriers in accessing to information. In preparation phase, they have little information about available vocational training and disappointments about limited areas and opportunities in vocational training. In search phase for employment, they depend on personal networks rather than public search system available to them. In adaptation phase in employment, they have feelings of discrimination in work arrangements, salary, promotion, etc. They also reported experiences of sexual harassment. In post-employment services phase. they have dissatisfaction about lack of services. This study identified the areas for improvement and suggested the direction in policy and intervention for strengthening disabled women's employment according to each phase related to employment.

      • KCI등재

        직장 내·외 사회적 지지와 보육교사의 심리적 소진 및 교사-영유아 상호작용 간의 관계

        박남심(Nam-Shim Park),박보경(Bokyung Park),김미옥(Mee-Ok Kim) 한국보육지원학회 2021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7 No.6

        Objective: This study examined the relationships among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and teacher-child interaction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62 child care teachers and they responded to questionnaires on research variables. Data were analyz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Results: First,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had a 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at is, child care teachers, who perceived that they received a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had high-quality interactions with children. Second,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had an indirect effect on teacher-child interactions through child care teachers’ psychological burnout. In other words, child care teachers, who perceived that they received a high level of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experienced less psychological burnout, which led to high-quality interactions with children. Conclusion/Implications: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paths in which social support in the workplace and social support outside the workplace influence teacher-child interactions were different. Although the pathways were differ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emphasize that both types of social support are important factors that promote teacher-child interactions.

      • KCI등재후보

        집단상담자 발달 모형 -전문성 발달의 단계, 주요 주제 및 특성을 중심으로-

        권경인 ( Kyung In Kwon ),지희수 ( Hee Su Ji ),강신호 ( Sin Ho Gang ),김미옥 ( Mee Ok Kim ) 서강대학교 학생생활상담연구소 2012 人間理解 Vol.33 No.1

        본 연구는 집단상담자의 전문성 발달 특성을 분석하여 집단상담자 발달 모형을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석사과정(집단상담경력 2년 이하) 15명, 석사졸업이후부터 박사과정(집단상담경력 2년-10년) 10명, 집단상담전문가 과정(집단상담경력 10년-20년) 10명, 숙련전문가과정(집단상담경력 20년 이상) 5명으로 총 40명의 집단상담자들을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다. 각 과정별참여자 선정기준을 제시하고 이에 따른 표본 추출을 하였다. 연구 참여자와의 효과적인 면담을 위해 면담흐름표를 작성한 후 2-3차에 걸친 개별면담을 실시하였고, 면담 자료는 근거이론 접근방식(Strauss & Crobin, 1998)으로 분석하였다. 각 과정 별로 패러다임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통합했으며, 최종적으로 개방코딩, 축코딩, 선택코딩을 통해 면담자료를 범주화한 결과, 65개의 개념,23개의 하위범주, 12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분석 결과 본 연구의 핵심범주는``집단상담자의 내재화와 개별화``이다. 집단상담자의 상담자로서의 전문성 발달의 핵심적 주제는 상담자 자신과 떨어져 멀리 객체로 있던 집단상담이 상담자 속으로 들어와 내재화되는 과정을 거친다는 것이며, 전문성의 형태로서 개별화된 기법과 이론적 모형을 추구해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집단상담자의 발달과정을 집단상담으로 이행단계, 내재화 초기단계, 정체성 수립단계, 개별화단계로 정리하였다. 패러다임 분석으로부터 도출된 집단상담자의 발달 특성의 중요 주제는 11개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evelopmental model of group counseling expertise. We classified the group counselor`s developmental process into four stages, and participants were recruited based on the criteria defining each stage. Forty therapis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three separate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each participant. The interview data was analyzed by the ground theory approach(Strauss & Crobin, 1998).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core themes of this study were internalization and individuation. The group counselors` chronological developmental process could be summarized as the stages of transference early internalization, identity establishment, and individualization. The main themes were derived from the paradigm analyses regarding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of group counselors.

      • KCI등재

        여성장애인의 고용 안정 및 확대를 위한 구직화 과정 분석 연구

        강철희,김미옥 한국장애인재활협회 재활연구소 2000 재활복지 Vol.4 No.1

        최근 장애인 복지환경의 변화와 함께 장애대상별, 생애주기별, 욕구별 서비스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흐름과 함께 여성장애인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이 당면한 자립생활의 현실에 대한 관심에 기초하여 여성장애인의 구직화 전과정을 세분화하여 여성장애인이 당면하고 있는 현실적인 어려움 및 욕구들을 심층적으로 탐색함으로서 여성장애인의 고용 안정 및 확대를 위한 정책적,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의 구직화 과정 즉, 취업전 상황, 취업준비과정, 구직을 통한 고용시장으로의 진입, 고용된 이후 직장생활의 유지 및 어려움, 사후관리의 각 단계를 연구분석 내용으로 구성하여 여성장애인 고용현실을 심도 있게 탐색하고 기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 18명을 심층 면접하는 방법을 활용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제한된 수의 대상자를 기초로 일반화하는 것의 제한점을 보완하고자 1998년 한국사회복지학회가 여성장애인 805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취업욕구 및 실태조사의 결과를 선행연구에서 본 연구의 분석 틀에 맞게 정리함으로서, 제한된 수를 대상을 심층면접하는 것이 갖고 있는 한계를 보완하여 여성장애인 구직화 과정에 대한 보다 보편적이고 심도 있는 이해를 형성해 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결과, 여성장애인들은 구직화 전과정에서 전반적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취업전 과정에서 여성장애인들은 정보 접근에서의 제한으로 취업기회 자체를 모르거나, 취업자체에 급급하여 자신의 적성이나 업무특성을 고려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취업준비과정에서도 여성장애인들을 위한 직업훈련이 너무나 제한적이고 홍보가 되지 않아 다양한 측면에서 직업훈련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고, 직업적응 훈련 등도 보다 강화될 필요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직과정에서는 구직등록 및 구직상담 전 과정에서 공식적 통로보다는 주로 개인이나 친척 등의 개인적 자원에 의존하고 있어서, 공식통로에 대한 홍보 및 정보 접근성 강화의 필요성이 상당히 큼을 나타내고 있었다. 또한 직장생활에서 여성장애인들은 업무배치, 임금, 승진 등 전반적 영역에서 차별 등의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성희롱 등의 문제를 제기하기도 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후관리 과정에서는 사후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상황이 여성장애인들이 갖게 되는 문제 및 욕구 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여성장애인 고용에 있어서 최초로 구직화 과정의 각 단계별로 심층적인 탐색 및 기술을 통하여 정책 및 실천적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보여진다. Little study has been conducted concerning disabled women's employment realities. By semi-structured interviews with 18 disabled women having employment experience selected from the database of Korean Employment Promotion Agency for the Disabled, this study attempted to explore and describe their employment realities, difficulties and needs. In order to compare the results, in the literature review this study also reported the 1998 study results by Korean Academy of Social Welfare concerning 805 disabled women's realities. This study analyzed disabled women's employment realities according to the following phases: pre-employment phase; preparation phase for employment: search phase for employment: adaptation phase in employment: and post-employment services phase. This study revealed that in pre-employment phase, disabled women have barriers in accessing to information. In preparation phase, they have little information about available vocational training and disappointments about limited areas and opportunities in vocational training. In search phase for employment, they depend on personal networks rather than public search system available to them. In adaptation phase in employment, they have feelings of discrimination in work arrangements, salary, promotion, etc. They also reported experiences of sexual harassment. In post-employment services phase, they have dissatisfaction about lack of services. This study identified the areas for improvement and suggested the directions in policy and intervention for strengthening disabled women's employment according to each phase related to employ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