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후추(後瘳) 김신국(金藎國)의 시세계 연구

        김묘정(Kim, myojung)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20 한국학연구 Vol.74 No.-

        이 글은 16~17세기에 활동한 小北七學士 중 한 명인 後瘳 金藎國의 시세계 양상을 고찰한 첫 연구이다. 이에 2장에서는 후추의 생애를 개관하는 작업을 필두로 그의 문학적 재능을 확인하였다. 더불어 문집 편제 양상 및 문집 수록 내용의 특징적인 면모를 파악하고, 한시 작품에 드러난 후추의 학문적 사상적 배경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후추의 시세계 양상에서 확인되는 특징적 면모를 세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첫 번째로 小北七學士와의 交遊詩를 비롯해 小北 계열 문인들과의 교유 양상이 드러나는 작품을 통해 小北文壇의 학문적·문학적 連帶 양상을 확인하였다. 두 번째로는 遊賞에서 비롯된 탈속적 情趣 발현 면모를 파악하였다. 후추의 기행시에는 불교적 취향과 선가의 정취가 드러나는데 이는 현실에서 탈피해 탈속적인 정취를 누리고자 한 것임을 확인하였다. 세 번째로는 晩年의 感懷와 자기 悔恨의 면모가 드러난 한시를 분석함으로써 후추의 내적 정서를 검토하였다. 이 글은 小北文壇의 형성기라고 할 수 있는 16~17세기의 小北七學士 가운데서도 후추의 시세계를 검토하여 시문학적 특징을 논의하고자 한 첫 시도라는 점에서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닌다. 이와 같은 연구의 축적을 통해 현재까지 문학사에서 빈 공간으로 남아있는 小北文壇의 실체를 확인한다면 추후 새로운 성과를 견인할 수 있으리라 여긴다. The purpose of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etic world of Huchu(後瘳) Kim Shin-guk(金藎國) in relation 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process of Sobukmundan(小北文壇) in the 16~17th century. Accordingly, at Chapter 2, this study was to check his literary talent, with the work of surveying Huchu"s whole life. In addition,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the aspect of forming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nd contents of containing the collection of literary works and to examine the academic and ideological background of Huchu in his works. Next, at Chapter 3,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features of three aspects of poetic world by Huchu as follows. First, this study was to check the literary·academic solidarity aspects of Sobukmundan through his works which showed the aspects of companionship with Sobuk series of literary persons including friendship poems(交遊詩) with Sobukchilhaksa(小北七學士). Second, this study was to comprehend the aspects of expressing unworldly artistic mood(情趣) which derives from mellow time(遊賞) from the mellow time(遊賞). Huchu"s travel poetry reveals Buddhist taste and atmosphere of Taoism, confirming that they wanted to escape from reality and enjoy unworldly artistic mood. Third, this study was to review Huchu"s inner sentiment by analyzing Sino-Korean poetry that revealed the emotions of later years and self-repentance. This study was to prepare as part of an investigation into the formation and development of Sobukmundan in the 16~17th century. Based on these research findings, this researcher considers it as it can drive new achievements in the future if the intact flow of our literary history can be revealed by clarifying the reality of Sobukmundan"s academic·poetic connections, which remains an empty space in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 KCI등재

        집단지성 기반 온라인 글쓰기 교육과 그 성과 - 단국대학교 <대학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묘정 ( Kim Myojung ) 고려대학교 한국어문교육연구소 2021 한국어문교육 Vol.35 No.-

        이 글은 집단지성 기반 온라인 글쓰기 교육의 이론과 실제에 관한 연구로 단국대학교 <대학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 방법과 성과를 공유하는데 목적을 두고 기획된 것이다. 이에 먼저 2장에서는 집단지성 기반 온라인 글쓰기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함으로써 실제를 구현하기 위한 준거의 틀을 마련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2020년 2학기 단국대학교 <대학글쓰기>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논의를 구체화하였는데, 여기에서는 주로 집단지성 발현 지점인 글쓰기 과정 및 평가 과정에서 확인되는 특징적인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집단지성 활용 방안을 공유하였다. 이 글은 집단지성 기반 온라인 교수학습법을 도입하여 새로운 성과를 도출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또한 집단이 두뇌를 합해 집단지성으로 문제를 해결하고 그것을 글로 표현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해 사고력을 확장하였으며 양질의 글쓰기 실력을 함양할 수 있다는 점이 이 수업의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2020년도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교육의 패러다임 전환과 맞물려 온라인 중심의 교육이 나아가야 할 방향과 <대학글쓰기> 수업의 또 다른 교수학습법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했다는 데 의미를 지닌다고 하겠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are the educational method and achieved performance centering on the University Writing teaching case in Dankook University as a research on the theory and practice of online writing based on collective intelligence education. Accordingly, in Chapter 2, this study laid out frameworks for realizing it in practice by review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online writing based on collective intelligence. Next, in Chapter 3, more elaborate discussions were made, centering on teaching cases, and the study shared the application method of collective intelligence by analyzing the distinctive aspects identified in the writing process and assessment process as points of expressing the collective intelligence. The study holds significance in that it has produced new performance by introducing an online teaching-learning method based on the collective intelligence. In addition, through a series of processes to solve problems through collective intelligence and express them in writing, thinking abilities were enhanced and the performance required was obtained, judged by the fact that good quality writing skills have been cultivated. In conclusion, this study, in line with the paradigm shift in education due to the spread of COVID-19 in 2020, wa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both the direction that online-centered education should move toward and another teaching-learning method in University Writing class.

      • KCI등재

        동료튜터링을 활용한 토픽(TOPIK) 쓰기 온라인 교육의 가능성 탐색: 단국대학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쓰기> 홍길1)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김묘정(Kim, Myojung) 순천향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21 순천향 인문과학논총 Vol.40 No.3

        이 글은 토픽(TOPIK) 쓰기 온라인 수업 사례를 중심으로 동료튜터링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의 가능성을 논의한 것이다.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은 어휘 및 문법ㆍ쓰기ㆍ듣기ㆍ읽기로 대별되는데, 그 중에서도 이 글에서 다루고자 하는 쓰기 영역의 학습은 숙련 과정이 요구된다. 이에 필자는 외국인 학생들이 한국어 쓰기 수업에 대해 흥미를 지니고, 자기주도적 학습을 진행함으로써 교육 내용을 내재화하여 토픽 쓰기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해 외국인 학생 대상 수업이 전면 온라인으로 전환됨에 따라 비대면 수업에서의 새로운 교육 방법이 요구되는 실정이므로, 이 글에서는 이러한 온라인 교육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온라인 수업에서의 소통 부재, 상호 교류 약화라는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동료튜터링을 활용하여 학습자의 능동적 학습 태도 형성 및 상호 교류를 통한 학업 증진효과를 살펴보고자 하는 것이다. 따라서 먼저 2장에서는 외국인 대상 토픽 쓰기 온라인 교육에서의 동료튜터링 도입 배경과 이론적 개념을 살펴, 논의의 타당성을 입증하는 동시에 동료튜터링 교수법이 지니는 장점을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3장에서는 단국대학교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쓰기> 온라인 수업에서의 동료튜터링 활용의 실제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여기에서는 토픽 쓰기 수업에서 단계별로 구현된 동료튜터링 양상과 동료튜터링을 활용한 토픽 쓰기 평가 결과를 공유하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scuss the possibility of Koreanlanguage education by using peer tutoring centered on the cases ofonline course of TOPIK Wri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foreigners can be classified roughly into vocabulary andgrammar·writing·listening·reading, and the learning in the writing areaamong them requires the process of skill formation. Accordingly, thisresearcher groped for a method of internalizing the educational contentand using it in the actual TOPIK Writing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in order that foreign students could be interested in the Korean writingclass. In addition, as classes are fully transferred to online due toNovel Coronavirus (COVID-19), it requires a new educational methodin the untact instructions, so this researcher was to suggest a methodof overcoming these limitations of online education in this study. As aresult,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arning enhancementthrough the formation of active learning attitudes and interaction bylearners by using peer tutoring in order to overcome the disadvantagessuch as communication gap and weakened interaction in the online courses.Accordingly, in Chapter 2,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introduction background of peer tutoring and theoretical concept in theonline education of TOPIK Writing for foreign students to verify thevalidity of discussion and advantages that the teaching method of peertutoring had simultaneously. Next, in Chapter 3, this study was to thisstudy was to explain the practice of using peer tutoring in the<Korean Writing for Foreign Students> online course in DankookUniversity specifically.To conclude, this researcher considers it as it needs to share theaspect of peer tutoring implemented in TOPIK Writing class step bystep and assessment results of TOPIK Writing by using peer tutoring.

      • KCI등재

        한국어판 사회복지사 공감척도의 타당화 연구

        김용석(Kim, Yongseok),송진희(Song, Jinhee),김묘정(Kim, Myojung),조민영(Jo, Minyoung)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6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44 No.1

        사회복지교육과 실천현장에서 공감의 중요성은 강조되어 왔으나 사회복지분야에서 공감을 개념으로 이론화하고 측정하거나 실천에 접목하려는 시도는 매우 적었다. 본 연구는 한국의 사회복지분야에서 측정가능한 공감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공감을 개념화하고 외국에서 개발된 사회복지사 공감척도(Empathy Scale for Social Workers: ESSW)를 우리말로 번안한 후 신뢰도 타당도를 평가하였다. 확인적 요인분석결과 한국어판 사회복지사 공감척도는 3요인(연민적 맥락사정 요인, 수용·협력적 탐구 요인, 내재적 도움과 정서적 지지 요인) 21문항이 타당성 있는 구조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신뢰도는 양호하였으며, 공감을 측정하는 다른 도구인 관계척도(BLRI)와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수렴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평균 분산추출을 이용한 판별타당도도 입증되었다. 한국어판 사회복지사 공감척도의 개발은 공감개념을 체계화하고 반복적 측정을 통하여 근거에 기반한 사회복지실천과 이론화에 기여할 수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Although the importance of empathy has been emphasized in social work education and practice, efforts to theorize and measure the concept of empathy have been scarce. The aim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orean version of the Empathy Scale for Social Workers(ESSW), which was developed based upon theories and research findings related to empathy.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nfirmed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ESSW like its English version is composed of 3 factors(a compassionate contextual assessment, an accepting and attentive collaborative inquiry, and intrinsic helping and emotional support). The Korean version of the ESSW showe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snd satisfactory construct validity.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ESSW would contribute to conducting scientific studies on empathy.

      • KCI우수등재

        자활사업 참여자의 음주문제, 참여기간, 자활의지 간 관계

        김용석(Kim, Yong-Seok),이재완(Lee, Jae-Wan),한명미(Han, Myoungmi),김묘정(Kim, Myojung),정한샘(Jeong, Hansaem),최현정(Choi, Hyunjung),이석호(Lee, Sokho) 한국사회복지학회 2015 한국사회복지학 Vol.67 No.1

        자활사업 참여자의 음주문제는 지역자활센터에서 근무하는 실무자들 사이에서 공유되고 있는 이슈임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연구에서 큰 주목을 받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자활사업 참여자를 대상으로 음주문제와 자활의지의 관계를 탐색하는 것이다. 경기도에 거주하는 281명의 자활사업 참여자가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음주문제와 자활(참여기간, 자활의지)의 관계를 분석한 이변량 분석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자활사업 참여기간과 자활의지의 관계는 음주문제 유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음주문제가 없는 자활사업 참여자들 사이에서 참여기간과 자활의지는 음(-)의 관계를 보인 반면, 음주문제가 있는 자활사업 참여자들 사이에서 두 변수는 양(+)의 관계를 보였고 그 관계는 유의미하였다. 즉 음주문제가 있는 자활사업 참여자들은 자활사업 참여기간이 길어질수록 자활의지가 다소 강해지는 긍정적인 결과를 낳았다. 음주문제에 따른 자활사업 참여기간과 자활의지에 대한 분석결과는 기존 연구와 다른 새로운 결과라고 볼 수 있다. Although self-sufficiency program participants’ alcohol problem is widely recognized among social workers in the field, it has not been received much atten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problem and self sufficiency among the participants. A total of 281 participants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Significant relationships between alcohol problem and self sufficiency were not found in bivariate analysis. However, the moderating effect of alcohol probl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participation and willingness for self sufficiency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Among the participants with alcohol problem, the length of particip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willingness for self sufficiency. The result on the moderating effect of alcohol problem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ength of participation and willingness for self sufficiency has been never mentioned in previous studies.

      • 가언적 규칙 베이스의 선형 논리 의미론

        배민오(Mino Bai),김묘정(Myojung Kim) 한국정보과학회 1998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5 No.1A

        논리는 데이터 모델링을 위한 유용한 지식 표현 언어이다. 가언적 규칙 베이스에서는 사용자가 규칙 베이스의 현상태와 상관없이 가설을 형성하여 추론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가언적 규칙 베이스를 논리 언어로 모델링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직관적 논리가 이용된다. 직관적 논리는 가언적 삽입을 표현할 수는 있지만 가언적 삭제를 가언적 삽입과 함께 표현하지는 못한다. 본 연구에서는 유전적 해럽식에 Girard의 선형 논리 연산자를 추가하여 확장하였다. 유전적 해럽 R-식으로 규칙 베이스의 규칙들을 표현하고 유전적 G-식으로 규칙 베이스의 질의 및 데이터 조작 명령을 표현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언어를 이용하면 가언적 삽입 및 삭제를 포함하는 규칙 베이스의 질의 뿐만 아니라 데이터 갱신, 삽입, 삭제와 같은 데이터 조작 명령도 한 개의 언어로 통합적으로 균일하게 모델링할 수 있다.

      • 대학생의 초고층아파트 선호 경향

        양세화,고경미,김묘정 울산대학교 1999 생활과학논문집 Vol.1 No.1

        본 연구는 초고층아파트가 미래 수요자들에게 어떠한 주거환경으로 인식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고층아파트의 선호거주층수 및 선택시 고려사항을 연령, 현 주거유형, 거주기간, 주거가치를 포함하는 인구학적 특성 및 주거특성의 맥락에서 분석하였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20대 대학생들로 구성되어진 조사대상자들은 11층 이상의 초고층을 선호하는 비율이 높아 기성세대에 비해 초고층아파트에 대한 부정적인 생각을 적게 가지고 있었으며, 주로 외부경관과 안전성을 중점 고려하여 초고층아파트를 선택하겠다고 하였다. 이는 대량공급으로 인한 초고층아파트에 대한 인식 변화와 함께 초고층아파트가 우리나라 주택문제 해결의 한 대안으로 무리없이 받아들여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초고층아파트를 공급하는 건설업체들은 초고층아파트의 단점을 최대한 보완하면서, 장점은 극대화시킬수 있는 계획 방안을 다각적으로 모색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s related to the preferences for the super-high-rise apartment. The smaple consisted of 79 college students in Ulsan who are the prospective residents of super-high-rise apartments in the near future. It was found that almost half of the respondents prefer over 11 stories of the building. Age of the respondents, current structure type, and the interaction variables of current structure type and length of residence were shown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preferences for the super-high-rise apartments. Safety and scenic view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when choosing the levels of the buildings. Housing values of safet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psychological aspects of super-high-rise apartm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