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TMSP/PDMS-Borosilicate 복합막에 의한 수소-질소 기체 분리에 관한 연구

        이석호,이현경,Lee, Suk Ho,Lee, Hyun Kyung 한국막학회 2015 멤브레인 Vol.25 No.2

        PTMSP와 PDMS로부터 합성된 PTMSP/PDMS 그라프트 공중합체에 다공성 borosilicate를 0~5 wt% 첨가하여 PTMSP/PDMS-borosilicate 복합막을 제조하였다. 합성된 PTMSP/PDMS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수평균분자량(${\bar{M}}_n$)은 460,000이었고, 중량평균분자량(${\bar{M}}_w$)은 570,000이었으며, 유리전이온도($T_g$)는 $33.53^{\circ}C$에서 나타났다. TGA 측정에 의하면 PTMSP/PDMS에 borosilicate가 첨가되면 복합막의 감량이 작아지고 감량이 완결되는 온도도 낮아졌다. SEM측정에 의하면 PTMSP/PDMS-borosilicate 복합막 내에 들어있는 borosilicate는 $1{\sim}5{\mu}m$ 크기로 분산되어 있었다. 기체투과 실험에 의하면 PTMSP/PDMS-borosilicate가 첨가되면서 자유부피, 공동, 기공률이 증가하여 기체투과가 용해확산에 의한 것보다 분자체거름, 표면확산, Knudsen 확산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하여 $H_2$와 $N_2$의 투과도는 증가하고 선택도($H_2/N_2$)는 감소하였다. The PTMSP/PDMS graft copolymer were synthesized from the PTMSP[poly(1-trimethylsilyl-1-propyne)] and the PDMS[poly(dimethylsiloxane)] and then the PTMSP/PDMS-borosilicate composite membranes were prepared by adding the porous borosilicates to the PTMSP/PDMS graft copolymer. The number-average molecular weight (${\bar{M}}_n$) and the weight-average molecular weight (${\bar{M}}_w$) of PTMSP/PDMS graft copolymer were 460,000 and 570,000 respectively, and glass transition temperature ($T_g$) of PTMSP/PDMS graft copolymer appeared at $33.53^{\circ}C$ according to DSC analysis. According to the TGA measurements, the addition of borosilicate to the PTMSP/PDMS graft copolymer leaded the decreased weight loss and the completed weight loss temperature went down. SEM observation showed that borosilicate was dispersed in the PTMSP/PDMS-borosilicate composite membranes with the size of $1{\sim}5{\mu}m$. Gas permeation experiment indicated that the addition of borosilicate to PTMSP/PDMS graft copolymer resulted in the increase in free volume, cavity and porosity resulting in the gradual shift of the mechanism of the gas permeation from solution diffusion to molecular sieving surface diffusion, and Knudsen diffusion. Consequently, the permeability of $H_2$ and $N_2$ increased and selectivity ($H_2/N_2$) decreased as the contents of borosilicate increased.

      • KCI등재

        하드웨어 복잡도를 줄이기 위한 RDO내 DCT 공유구조의 HEVC 화면내 예측부호화기

        이석호,장준영,변경진,엄낙웅,Lee, Sukho,Jang, Juneyoung,Byun, Kyungjun,Eum, Nakwoong 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14 스마트미디어저널 Vol.3 No.4

        HEVC 차세대 비디오 압축 표준은 ITU-TSG16 WP와 ISO/IEC JTC1/SC29, WG 11 두 단체 공동으로 2013년 표준화가 완료되었으며 기존 H.264 하이프로파일과 비교하여 압축효율은 두배 정도이다. HEVC에서 화면내 예측 (intra prediction) 모드는 planar와 DC 모드를 포함한 35개의 방향성 모드가 있으나 모든 모드를 적용한 부호화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하드웨어 복잡도가 증가하며 각 코딩유닛(coding unit) 사이즈에 따라 정확한 모드예측을 위한 RDO (rate distortion optimization) 계산에 필요한 DCT 사이즈도 증가하였기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하드웨어 사이즈를 줄이기 위하여 양자화를 위한 DCT와 SSE 계산을 위한 RDO 블럭내 DCT를 공유하는 화면내 예측부호기를 제안한다. 성능은 HEVC 참조소프트웨어인 HM-13.0과 비교하여 BD-rate는 평균 20% 증가하며 부호화시간은 4배 이상 단축되어 300MHz에서 FHD ($1920{\times}1080p$) 영상의 초당 60 프레임 실시간 부호화가 가능하다. HEVC is the latest joint video coding standard with ITU-T SG16 WP and ISO/IEC JTC1/SC29/WG11. Its coding efficiency is about two times compared to H.264 high profile. Intra prediction has 35 directional modes including dc and planer. However an accurate mode decision on lots of modes with SSE is too costly to implement it with hardware. The key idea of this paper is a DCT shared architecture to reduce the complexity of HEVC intra encoder. It is to use same DCT block to quantize as well as to calculate SSE in RDO. The proposed intra encoder uses two step mode decision to lighten complexity with simplified RDO blocks and shares the transform resources. Its BD-rate increase is negligible at 20% on hardware aspect and the operating clock frequency is 300MHz@60fps on FHD ($1920{\times}1080$) image.

      • SCIESCOPUSKCI등재

        Prediction of Reactor Coolant Pump Performance Under Two-Phase Flow Conditions

        이석호,방영석,김효정,Lee, S.,Bang, Y.S.,Kim, H.J. Korean Nuclear Society 1994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26 No.2

        이상유동시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성능을 펌프의 기하학적 형상 및 단상 유동시의 펌프 성능을 이용하여 예측하였다. 단상 유동시의 원자로 냉각재 펌프의 벽면 마찰손실은 Truckenbrodt의 경계층 이론을 이용하여 예측하였으며, 계산된 벽면 마찰 손실 및 분리 손실을 사용하여 이상유동시의 수두손실을 예측하였다. 해석결과는 Combustion Engineering 사의 펌프 실험 데이터와 비교하였다. 또한 냉각재 상실사고시 이상유동배수가 첨두 피복재 온도에 미치는 영향을 RELAP5를 사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분석결과는 이상유동배수의 정확성이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A performance of reactor coolant pump in two-phase flow is examined using the pump geometric conditions and the performance of the pump in single-phase flow. Wall friction loss of the reactor coolant pump in single-phase flow is prdicted using the Truckenbrodt boundary layer theory, and the head loss in two-phase flow is predicted with calculated well friction loss and separation loss coefficients. The analysis results are compared with the Combustion Engineering pump test data. The effect of two-phase multiplier on the peak clad temperature in Loss-of-Coolant Accident is also examined using the RELAP5 and the results indicate the importance of its accuracy.

      • SCIESCOPUSKCI등재

        Analyses of SGTR Accident With Mihama Unit Experience

        이석호,김갑,김효정,은영수,Lee, S.H.,Kim, K.,Kim, H.J.,Eun, Y.S. Korean Nuclear Society 1994 Nuclear Engineering and Technology Vol.26 No.1

        1991년 2월 미하마원전에서 발생한 증기발생기 세관 파열사고에 대한 경험을 바탕으로, 본 사고에 대한 고리 1호기의 대처능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고리 1호기의 계통설계 및 운전조건은 미하마 2호기와 아주 유사하기 때문에 고리 1호기에서 발생한 가상의 증기발생기 세관 파열사고시의 사고경위 및 전개에 대한 평가가 필요하였다. 해석은 고리 1호기 EOP를 근거로 현실적으로 가능하게 수행되었다. 해석결과, 파열된 세관을 통한 누출은 사고후 약 40분 후에 정지되었으며, 고리 1호기는 유사한 증기발생기 세관 파열사고의 경우 충분한 대처능력이 있음을 보였다. 그러나, SI 신호작동후 소외전원으로 부터의 비안전등급 AC전원으로 단절되는 설계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며, EOP의 운전절차가 운전원의 적절한 판단을 요구하기에는 다소 충분치 못함을 보였다. 또한 미하마 원전의 사고를 실험적으로 모사한 LSTF의 실험결과를 이용 해석코드인 RELAP5/MOD3의 평가능력에 대하여 해석을 수행하였다. 해석결과 코드는 사고 초기의 누설량 예측을 제외하고는 일반적으로 실험결과와 잘 일치하고 있음을 보였다. A SGTR accident postulated at Kori unit 1 is simulated with Mihama unit experience, which occurred on February 1991, to evaluate the capability of plant to cope with the transient. The system design and plant conditions of Kori Unit 1 are much similar with those of Mihama Unit 2. Therefore, special concern has been given to evaluate the sequence and the resulting consequence of the postulated SGTR accident at the Kori unit 1 An analysis is peformed as realistically as possible, with following the EOP of Kori unit 1. The result indicates that the leak through tube break terminates within about forty minutes, and the Kori unit 1 may be sufficient to cope with SGTR accident with same type of sequence. However, the reconsideration may be required for the design of Kori unit 1 which disconnects non-safety AC power from off-site power on SI signal generation. It may be pointed out that the content of EOP for SGTR accident is not enough to require operator's proper judgements. An analysis of SGTR accident tested in the LSTF which simulated the SGTR accident at the Mihama Unit 2 is peformed using the RELAP5/MOD3. The results indicates that the code yields in general good agreement with the test, except the break flowrate at the early stage of the event.

      • SCOPUSKCI등재

        대장직장암에서 임상조직학적 소견과 DNA ploidy와의 상관관계

        이석호,김헌정,김우철,조영갑,노준규,우제홍,황태숙,Lee Suk Ho,Kim Hun Jung,Kim Woo Chul,Cho Young Kap,Loh John J K,Woo Ze Hong,Hwamg Tae Soo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3

        목적 : 여러 종양에 있어 DNA ploidy 양상은 여러 임상조직학적인 소견과의 연관성을 보여주어 왔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대장직장암에 있어서의 이러한 연관성에 대해 알아보고 직장 5상 결장암에 있어서 치료 실패율과의 연관성에 대해 알아 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본 연구에서는 대장 직장암으로 진단 후,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받은 환자 117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Medley method에 따라 파라핀에 고정 후 flow cytometry를 사용하여 DNA ploldy와 여러 임상조직학적인 소견들과의 연관성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 중 Duke 병기 B, C 직장 5상 결장암 환자 75명을 대상으로 하여 치료실패 양상과 DNA ploidy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 보았다. 결과 : 종양분석 결과 40예(34.2%)에서 aneupioldy histogram을 얻을 수 있었다. DNA aneuploidy와 나이, 성별, 침범 깊이, 위치 그리고 Dukes' 병기와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Dukes 병기 B 직장암에 있어서는 치료 실패율과 DNA ploidy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p=0.048). 결론 : 대장 직장암에서 DNA ploi텀는 다른 임상조직학적 소견들과 관련이 없었고 직장 5상 결장암 병기 B에서는 치료 실패율과 연관성을 보였으나 보다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한 검증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 DNA ploidy pattern was shown to correlate with several clinicohistologic findings in several tumors.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correlation of the clinicohistologic findings in colorectal cancer and the failure pattern in rectosigmoid cancer with DNA ploidy. Materials and Methods DNA flow cytometry using the Hedley methods on paraffin embedded specimen from 117 patients with colorectal cancers after curative resection was peformed. We tried to find the correlation between DNA ploidy and various clinicohistologic findings. And then the correlation DNA ploidy and the failure pattern in 75 patients of rectosigmoid cancer was analized. Results : Forty samples (34.2%) from tumors gave aneuploidy histogram.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frequency of DNA aneuploidy in terms of age, sex, depth of invasion, location and Dukes stage. But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DNA ploidy and the failure rates in Dukes stage B rectosigmoid cancer (P=0.048). Conclusions : These findings suggest that DNA ploidy pattern shows the correlation with the treatment failure rates in Dukes stage B rectosigmoid, but not with many other clinicohistologic findings. However,more patients will be needed to disclose these findings.

      • KCI등재

        PTMSP-Borosilicate 복합막에 의한 수소-질소 기체 분리에 관한 연구

        이석호,강태범,Lee, Suk Ho,Kang, Tae Beom 한국막학회 2014 멤브레인 Vol.24 No.6

        무정형의 괴상의 다공성 borosilicate는 trimethylborate (TMB)/ tetraethylorthosilicate (TEOS) 몰비 0.01~0.10 겔체를 $700{\sim}800^{\circ}C$ 온도범위에서 열처리 하였을 때 얻어졌다. BET와 SEM 관찰에 의하면 $700{\sim}800^{\circ}C$에서 얻어진 borosilicate의 표면적은 $251.12{\sim}355.62m^2/g$이고, 기공직경은 3.5~4.9 nm이며, 입자크기는 30~60 nm이었다. TGA측정에 의하면 borosilicate가 poly[1-(trimethylsilyl)propyne](PTMSP)에 첨가되었을 때 PTMSP-borosilicate 복합막의 열적 안정성은 향상 되었다. SEM관찰에 의하면 borosilicate는 $1{\mu}m$ 크기로 복합막 내에 분산되어 있었다. 기체투과실험에 의하면 PTMSP에 borosilicate 함량이 증가하면 자유부피, 공동, 기공률이 증가하여 기체투과가 용해확산에 의한 것보다 분자체거름, 표면확산, Knudsen 확산에 의해 일어나는 경우가 점차 증가함으로 해서 $H_2$와 $N_2$의 투과도는 증가하고 선택도($H_2/N_2$)는 감소하였다. The amorphous and porous borosilicate without any cracks was obtain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 : 0.01~ 0.10 mole ratio of trimethylborate (TMB)/ tetraethylorthosilicate (TEOS) and the temperature of $700{\sim}800^{\circ}C$. According to the BET and SEM measurements, borosilicate heat-treated in between 700 and $800^{\circ}C$ showed the surface area of $251.12{\sim}355.62m^2/g$, the pore diameter of 3.5~4.9 nm, and the particle size of 30~60 nm. According to the TGA measurements, the thermal stability of poly[1-(trimethylsilyl)propyne](PTMSP) membrane was enhanced by inserting borosilicate. SEM observation showed that the size of dispersed borosilicate in the composite membrane was $1{\mu}m$.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ermeability of $H_2$ and $N_2$ increased and the selectivity of $H_2/N_2$ decreased upon the addition of borosilicate into PTMSP membranes. Addition of borosilicate may possibly increase the free volume, cavity and porosity of membranes indicating that permeation occurred by molecular sieving, surface and Knudsen diffusion rather than solution diffusion of gases.

      • 3차원 공간질의를 위한 효율적인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의 검증

        이석호,이지영,Lee, Seok-Ho,Lee, Ji-Ye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1

        최근 들어 건축과 IT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서 대규모의 복잡한 3차윈 공간이 증가하고 있고, 사람들 또한 이러한 공간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복잡한 3차원 공간 내에서 유사시를 대비한 또는 편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가 필요하게 되었고, 이러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복잡한 공간에서의 효율적인 위상학적 관계성 파악이 기본적으로 뒷받침이 되어야 한다. 공간의 관계성 파악은 위상학적 관계를 저장하고 표현하는 각각의 데이터 모델에 따라 그 방법과 효율성이 달라진다. 위상학적 관계성 저장과 표현에 있어서 가장 널리 사용되어 왔던 데이터 모델은 B-rep 기반의 데이터 모델이고, 2000년대 초반에 들어서는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에 관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 저장 용량 및 공간질의에 대하여 두 데이터 모델의 효율성을 검증한다. 효율성은 데이터의 저장용량, 인접성 및 연결성 질의 응답속도를 기준으로 하여 수행한다. 효율성 검증의 결과로써 네트워크 기반 위상학적 데이터 모델이 3차원 공간질의에 있어서 B-rep 기반 데이터 모델 보다 효율성이 높음을 제시한다. In recent years, large and complex three-dimensional building has been constructed by the development of building technology and advanced IT skills, and people have lived there and spent a considerable time so far. Accordingly. in this sophisticatcd three-dimensional space, emergencies services or convenient information services have been in demand. In order to provide these services efficiently, understanding of topological relationships among the complex space should be supported naturally. Not on1y each method of understanding the topological relationships but also its efficiency can be different depending on different topological data models. B-rep based data model is the most widely used for storaging and representing of topological relationships. And from early 2000s, many researches on a network based topological data model have been conduct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iciency of performance on spatial queries. As a result, Network-based topological data model is more efficient than B-rep based data model for determining the spatial relation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