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후 희곡문학과 실존에 대한 갈등- 김상민의 <벼랑에 선 집>과 오학영의 <심연의 다리>에 나타난 섹슈얼리티를 바탕으로 -

        김리안 한민족어문학회 2022 韓民族語文學 Vol.- No.96

        Human dignity comes from the freedom of the body. In particular, 'sexuality' is the source of self-identity and a key factor in making humans human. However, after the Korean War, the Lee Seung-man regime suppressed ideology and sexiness under the guise of national reconstruction to maintain its long-term government. As a result, human existence was divided into good and evil according to anti-communist ideology, and sexuality was judged based on traditional familism. However, the administration based on the U.S. political and economic foundations has created contradictions that encourage human inner desires. The post-war generation rebelled against the reality that alienated humans by coexisting with the value system of the past and the material god even though their lives and communities had been ruined by the war of ideology. And they secretly explored the identity of human existence to live a free life in its original nature. At this time, sexiness works as a way of self-liberation, so it becomes an important subject for exploring the identity of human existence. Kim Sang-min's drama, <The House on the Cliff> ( Hyeondae Literature , 1958.12) and Oh Hak-young's <A Bridge of Abyss> ( Hyeondae Literature , 1959.10.), dramatized sexual deviations against the oppressive reality that even the fundamental desire for love must be carried out ethically and morally within universal social norms. Based on the two plays, this paper attempts to analyze the stage background containing the existential consciousness of the post-war generation and the sexual conflict of the characters in the play. This aims to focus on the reality of the time when the conflict over existence was frustrated by infidelity and to understand the zeitgeist of the postwar generation. 인간존엄은 신체의 자유에서 비롯한다. 특히 섹슈얼리티는 자아정체성의 근원이자 인간을 인간답게 만드는 핵심 요소가 된다. 그러나 이승만 정권은 한국전쟁 이후 국가재건이란 미명 아래 장기집권을 위하여 사상과 섹슈얼리티를 억압하였다. 이로써 인간존재는 반공이데올로기에 따라 선과 악으로 이분화되고, 섹슈얼리티는 전통적 가족주의를 근거로 재단되었다. 하지만 미국을 정치적ㆍ경제적 토대로 한 정권은 오히려 인간 내면의 욕망을 부추기는 모순을 낳았다. 전후세대는 이념전쟁의 비극으로 인해 삶이 폐허로 변하고 공동체가 해체되었음에도 전후 사회가 과거의 가치체계와 물신(物神)으로 양립하며 인간을 소외하는 현실에 반기를 들었다. 그리고 인간이 본래의 성질대로 자유로운 삶을 살기 위하여 인간존재의 정체성을 내밀히 탐구하였다. 이때 섹슈얼리티는 자기해방의 한 방식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인간존재의 정체성을 탐구하는 중요한 소재가 된다. 전후세대의 희곡인 김상민의 <벼랑에 선 집>( 현대문학 ,1958.12.)과 오학영의 <심연의 다리>( 현대문학 ,1959.10.)는 사랑이라는 근원적인 욕망조차도 보편적 사회규범의 범위 내에서 윤리ㆍ도덕적으로 수행되어야 하는 억압적 현실에 반발하여 성적 일탈을 극화하였다. 이 논문은 두 희곡을 바탕으로 전후세대의 실존의식을 담은 무대배경과 극중인물의 섹슈얼리티에 대한 갈등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로써 실존에 대한 갈등이 불륜으로 처단되고 마는 당시의 현실을 조명하여 전후세대의 시대정신을 이해하고자 한다.

      • KCI등재

        주요섭의 소설 「사랑 손님과 어머니」와 신상옥 영화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의 모성상 비교 연구

        김리안 ( Kim Lee-an ) 부산대학교 영화연구소 2018 아시아영화연구 Vol.10 No.2

        주요섭의 소설 「사랑 손님과 어머니」(1935)와 신상옥의 영화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1961)의 주인공인 “옥히 어머니(이후 ‘어머니’)”는 경제적 궁핍이나 수절의 압제 등에서 자유로운, 현대적 교육을 받은 여성이다. 그럼에도 시대상과 유리된 채 평화로운 시골 읍에서 사별한 남편에게 수절하며 홀로 유복녀 외딸을 양육하는 지극히 전통적인 ‘모성상’으로 그려지고 있다. 지식인의 역할이나 시대적 요구와 무관하게 흰 한복을 고상하게 입고 쪽진 머리에 비녀를 단정히 꽂은 ‘어머니’는 현대를 향하는 역사의 흐름에서 매우 이질적이다. 이 논문은 여기에서 문제의식을 가지고 출발하였다. 그리하여 작가와 감독이 ‘어머니’를 전통적인 모성상으로 묘사함으로써 말하고자 한 바가 무엇이며, 이 모성상이 독자나 관객에게 어떻게 와 닿길 바랐는지 밝히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사회문화적 맥락과 작가ㆍ감독의 창작ㆍ제작의식을 근거로 작품 속의 모성상이 내포하는 상징적 의미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1920년대는 여성해방론이 신여성에게 수용되면서 여성의 자아실현과 사회적 지위 향상을 촉구하였던 시기였다. 이들은 가부장적 제도에서 벗어나 여성의 자아에 주목하며 근대적인 담론을 형성해 나갔다. 이때 재가 문제는 여성의 존엄과 인권 보장의 대표적인 전제조건이었다. 그런데 이 시기에 교육을 받은 「사랑 손님과 어머니」 속 ‘어머니’는 여성을 전통적인 모성상으로 소외시키는 사회구조에 저항하기는커녕 오히려 시대의 흐름에 역행하며 인습에 따라 자아를 포기하였다. ‘어머니’는 근대적 교육을 받은 지식인이지만 모성상으로 정형화된 대표적인 인물이라고 볼 수 있다. 한국전쟁 이후 급진적으로 거세졌던 개인과 자유에 대한 열망은 민중의 혁명을 이끌어 내었다. <사랑방 손님과 어머니>를 촬영한 때는 1960년 4ㆍ19혁명이 발발한지 1년도 채 되지 않은 시기였다. 그런데 영화 속 ‘어머니’는 마치 소설 속에 존재했던 ‘어머니’가 27년이라는 시간을 초월하여 전통적인 모성상의 모습 그대로 환생한 듯하다. 인간존엄과 자유민주주의를 실현하기 위해 역동적으로 변모해가던 시대적 흐름에 역행하며 인간 본연의 욕망인 사랑을 억압하고 전통적 인습에 따라 수절하고 있는 것이다. 두 작품은 ‘과부의 재혼’이라는 사회적 논점을 소재로 모성상에 대해 담론화하였다. ‘어머니’를 전통적 가치관과 현대적 가치관 사이에서 처절하게 갈등하다가 끝내 자아를 상실하도록 묘사한 의도는 모성의 표상인 ‘어머니’의 내면에서 작동하고 있는 현모양처 이데올로기에 대해 고발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독자나 관객으로 하여금 약 30년의 시간이 흘렀어도 여전히 도덕률인양 정당성을 획득한 인습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게 하여 이 시대를 살아가는 현대 지식인의 역할이란 무엇인지 고민하게 하는 것이다. 역사적으로 인간은 개성과 자아주체성을 지닌 ‘나’로서 존재하기 위해 천부인권을 실현하고자 동력을 형성해 왔다. 불합리한 제도에 저항하지 못하고 과거에 매인 채 박제된 ‘모성상’의 기호는 현재에도 미처 인식하지 못한 인습이 인간을 타자화하여 소외시키고 있지는 않은지 경계하고 점검해야 한다는 작가ㆍ감독의식을 투영하고 있다. “Okhee’s mom’ (referring as ‘mother’ afterwards), the heroine of Ju Yo-Seop’s novel ‘The Sarang’s lodger and Mother’ (1935) and Sin Sang-Ok’s film < The Sarng’s lodger and Mother’ > (1961) was a woman receiving unconstrained the modern education beyond financial poverty or the oppression of chastity. In spite of that, the heroine was portrayed as an extremely traditional ‘maternal image’ who kept chastity to her bereaved husband and was raising her only one daughter, the posthumous child in a peaceful county, being far away from reflecting the times. The ‘Mother’ elegantly wearing white Hanbok (as a sign impling a widow) and wearing her hair in a bun, regardless of an intellectual’s role or the needs of times was very strange in the historic trend going toward the modern times. This thesis was started from here with critical mind. So this thesis aimed to identify what the writer and the director wanted to tell by describing the ‘Mother’ as a Korean traditional ‘maternal image’, and what message they wanted their readers or audience to accept through such ‘maternal image’. For this purpose, this thesis tried to analyze symbolic meanings implicated in the ‘maternal image’ of these works on the basis of the writer and the director’s creation and production view points as well as the social & cultural contexts. 1920s was the period when the women’s self-realization and the advancement of their social position were urged with being accepted the feminism by the modern girls. The modern girls focused on the woman’s self out of the patriarchy and suggested conventional arguments. At that time. a widow’s ‘re-marriage’ was a prerequisite representing the woman’s dignity and the human-rights guarantee. However, the ‘Mother’ described in the above-mentioned novel abandoned her self with following the outmoded tradition going against the times trend, let alone resisting against the social structure confining the woman as the traditional ‘maternal image’ and excluding her from the society. Hence, the ‘Mother’ can be seen as a representative figure being stereotyped as the ‘maternal image’ despite of an intellect who was given modern education. It was not passed a year after the April 19 Revolution was broken out in 1960 when the film Sarang’s lodger and Mother’ was shot. Korean’s longing for the ‘individual’ and ‘freedom’ that had rapidly been increased since the Korean War led the Korean people’s revolution. But, the ‘Mother’ in the film was seemed to be reincarnated as the traditional ‘maternal image’ of ‘Mother’ of the same-titled novel in transcending the time of 27 years. The reason was because the ‘Ok-hee mother’ was remaining her faith to her bereaved husband according to the outmoded custom with keeping down the love, human’s inborn desire going against the times trend that the society was progressively changing in order to realizing the human dignity and free democracy. The both works discussed the ‘maternal image’ with the social topic of ‘widow’s re-marriage’ as their materials. The purpose of these works describing the ‘Mother’ as a woman desperately agonizing the traditional value the modern value about a mother and eventually losing her self was to denounce the violence of outmoded custom influencing in the mind of ‘Mother’, the signal of motherhood. Besides, they made the readers and the audience critically see the outmoded custom banning a widow’s re-marriage which still remained its justice as a moral even though about 30 years had been passed between the novel and the film, and made them think over what role of an intellectual living this age is. Historically, the human being has realized the natural rights and formed the driving force in order to be existed as ‘I’ possessing the personality and the self-independence. The stereotyped ‘maternal image’ with being tied to the past without trying to resist against unreasonable systems reflects the writer and the director’s thought that we should alert and check whether an outmoded custom not being recognized by people makes a human as the other and excludes from our society.

      • KCI등재

        「사랑손님과 어머니」에 함의된 주요섭의 작가의식 연구

        김리안 ( Kim Lee-an ) 한민족어문학회 2018 韓民族語文學 Vol.0 No.80

        근대의식은 사회구성원이 자유와 평등을 추구하고 자아주체성을 열망하는 데에서 비롯된다. 그 중 자유연애는 신분과 계급을 기반으로 한 가부장적 봉건제도에 대한 반발이자 근대성의 표상이었다. 뜨거워진 교육열 역시 문맹을 퇴치하여 민족 독립을 이루거나 자아실현 또는 사회적 지위 향상을 통해 인간답게 살아보겠다는 의지의 결과였다. 이러한 동력으로 점차 근대화 되어가던 조선은 1930년대에 이르러 근대라는 단어가 어색하지 않을 만큼 구색을 갖추게 되었다. 일제강점 하에서 국민 대다수가 경제적으로 궁핍했음에도 자본주의적 문물이 안착되었던 것은 물론 근대의식이 팽배해졌던 것이다. 이와 같은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보았을 때 「사랑손님과 어머니」의 주요인물들은 개인의 자아에 주목하고 자유연애를 긍정하며 과부의 재가 문제를 사회적으로 해결하려던 시기에 신교육을 받은 사회특권층이자 현대 지식인이다. 그런데 이들은 경제적으로 안정된 삶을 영위하고 있을 뿐 아니라 수절을 강요하는 압제에서 빗겨 나 있음에도 봉건적 관습으로 사랑에 대한 욕망을 억압해 버리는 근대와 전근대의 모순에 빠지고 만다. 이렇게 사건이 전개된 데에는 주요섭의 가치관과 창작의도가 강력하게 작용했다고 보아야 한다. 봉건적 관습과의 결별을 위해 겪어야 할 처절한 내적 갈등을 섬세하게 묘사하여 당시 지식인층이었던 독자가 감정이입을 하도록 유도함으로써 이 갈등의 부당함에 대하여 보여주고 현대 지식인이라면 어떤 선택을 했어야 하는가에 대해 고민하는 자리를 마련하고자 했던 것이다. 「사랑손님과 어머니」의 사회문화적 맥락과 작가의 작품 창작경향을 살폈을 때 이 작품은 통속적일 수 있는 사랑을 소재로 한 것이 아니며, 관습을 비판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도 아니다. 주요섭은 불의에 굴복하지 않고 사회변혁에 앞장서는 지식인이었으며, 그에게 있어서 사랑은 불의에 대한 저항이었다. 또한 당시 문학을 향유할 수 있었던 계층은 지식인들이었다. 따라서 작가는 작품을 통해 인간의 가장 본질적 욕망인 사랑조차도 개인이 자유롭게 선택할 수 없는 사회구조에 대하여 의구심을 제기하고자 창작활동을 했다고 볼 수 있다. 특히 현대 지식인이라면 마치 도덕률인양 내면화된 관습을 인식하고 저항할 수 있어야 한다는 작가의식을 전달하고 있다. Modern consciousness comes from the desire for freedom and equality and longing for ego identity by members of society. Free love was, inter alia, a reaction against the patriarchal feudalism based on status and class and seen as a symbol of modernity. Education was the result of the will to achieve national independence by eliminating illiteracy, and helped individuals to improve their social status and reach self-realization as well. With such a driving forces, Joseon gradually modernized itself in the 1930s, and was able to assemble enough that the word modernity would not be awkward. That is why capitalist culture settled down and modern consciousness became prevalent, although the majority of the people were poor financially. In this sociocultural context the main characters of 「The guest and Mother」 are the newly educated social and modern elite who paid attention to their individual egos, were open to free love, and were about to solve the widow's remarriage problem. Even though they led financially stable lives and were strayed by the tyranny of the remaining faithfulness of a widow, they fell into the contradiction of modern times when feudal customs suppressed their desire for love. The developments should be viewed as a strong reflection of Ju Yo-seop’s values and purpose of writing. The author has provided detailed descriptions of the inner conflict of the desperate people who should break away from feudal customs. At the same time, he wanted to maximize the injustice of the conflict by encouraging the reader to be empathetic, while giving the reader an opportunity to discuss he choices of the intellectuals. The sociocultural context of 「The guest and Mother」 is not based on a love that can be vulgar, nor on criticizing customs. Ju Yo-seop was an intellectual who did not succumb to injustice but was a leader in social change, and for him, love was the driving force of social revolution. In addition, intellectuals were able to enjoy literature at the time. The author emphasizes that through his literature even the most essential human desire, love, should voice its criticism of the structure of society, which individuals cannot freely choose. In particular, modern intellectuals convey the writer’s consciousness in that they should be able to recognize and resist internal customs, as if they were moral factors.

      • KCI등재

        알루미늄 6061 합금의 표면 나노 구조물 변화에 따른 방빙 특성 연구

        정찬영,김리안 한국부식방식학회 2022 Corrosion Science and Technology Vol.21 No.6

        Recently, aluminum 6061 instead of copper alloy is used for cooling heat exchangers used in the internal combustion of engines due to its economic feasibility, lightweight, and excellent thermal conductivity. In this study, aluminum 6061 alloy was anodized with oxalic acid, phosphoric acid, or chromic acid as an anodizing electrolyte at the same concentration of 0.3 M. After the third anodization, FDTS, a material with low surface energy, was coated to compare hydrophobic properties and anti-icing characteristics. Aluminum was converted into an anodization film after anodization on the surface, which was confirmed through Energy Dispersive X-ray Spectroscopy (EDS). Pore distance, interpore distance, anodization film thickness, and solid fraction were measured with a Field Emission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FESEM). For anti-icing, hydrophobic surfaces were anodized with oxalic acid, phosphoric acid, or chromic acid solution. The sample anodized in oxalic acid had the lowest solid fraction. It had the highest contact angle for water droplets and the lowest contact hysteresis angle. The anti-icing contact angle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for specimens in all solu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