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SP에 있어서 학습자 만족도에 따른 통역·번역 교육의 필요성 연구: 항공승무원 영어를 중심으로

        김동미 ( Dongmie Kim ),강미라 ( Mira Kang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4

        본 연구는 특수목적 영어에 해당하는 승무원영어 과목을 기존의 영어수업보다 더 발전적인 수업 방식을 제시하기 위하여 영어의 통역·번역을 소개, 강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항공서비스과에서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수업 방식에 대하여 설문하였다. 이 논문의 목적은 지금까지 수업해왔던 수업 방식의 유형을 비교 분석하여 수업 중 학습 효과를 높여주고 학생 만족을 높이기 위한 수업 방식을 새롭게 설계하는 것을 제안하는 것이다. 지금까지의 연구는 교재에 대한 불만족 연구가 대다수였다. 그래서 본 논고는 교재 분석과 교수자 외에 수업 내용 및 방식에 개선의 여지가 다분히 필요하다는 전제로 시작한다. 이러한 연구는 지금까지 있었던 승무원영어에서 교재나 교수자의 연구와는 차별된 연구로서 앞으로 승무원영어를 수업할 때 수업 편성에 있어서 통·번역이 다른 영어 분야보다 고려할 만한 가치가 충분히 있다는 점을 시사할 수 있다는 점이다. This study aims to introduce the interpretation and translation for those who are majoring air service to suggest the teaching method so as to make a development in existed ESP, flight service English. Until now, Most of studies have been conducted concerning the textbooks and instructors. But, It is a necessary to develop the teaching method and contents of class as well as textbook itself, instructors. This research has the worth to tell the differences from the before existed studies. Thus, the translation and interpretation of teaching method is needed to be considered to be used in class.

      • KCI등재

        인공지능과 인간의 문학(詩)번역 작품 비교 연구: 한용운의 「님의 침묵」을 중심으로

        김동미 ( Dongmie Kim ) 아시아문화학술원 2018 인문사회 21 Vol.9 No.5

        오늘날 인공지능(人工知能)의 출현으로 인하여 번역 분야에서 활발한 연구와 논의가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문학 분야에서 연구된 범주로는 소설 분야가 대다수이고 시(詩) 분야는 극소수의 연구에 그치고 있다. 이에 대하여 본 논고의 목적은 시에 해당하는 장르로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대하여 인공지능과 인간이 번역한 것을 비교·분석하여 앞으로 디지털 시대에 문학번역에 있어서 이들의 역할과 의미 및 한계를 되짚어 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파파고에서 번역한 「님의 침묵」과 인간이 번역한 「님의 침묵」의 두 번역 결과물을 비교해서 일제 강점기에 있었던 정서적, 역사적, 문화적 견해를 기본 배경으로 시의 형식과 구성, 수법, 문법, 기법을 어떻게 번역하였는지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시 번역에 있어서 인간이 인공지능보다 세부적이고 시적인 다의성(多義性)을 잘 살려 번역을 한 것을 살펴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고의 검증으로 인하여 앞으로 디지털 시대에 시 번역에 있어서 인공지능과 인간의 역할을 재고해 볼 수 있었으며, 앞으로의 인간과 기계번역의 가능성(可能性) 및 조화성(助化性)을 추측할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oday, with the appear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the study has been conducted and discussed in the translation field with continuity. Specifically, most of studied parts of translation field are novel, essay, etc. Poem genre is very rare. So,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role, meaning and limitation by comparing the AI and human’s poem translation in the digital era. To investigate the study, the translation of AI, and human’s translation were analyzed and compared by form, grammar, and style of Yongun Han’s The Lord’s silence. As an result of study, human has translated the poem more with detail and polysemy. Thus, through the proof of this study, it is possible to measure the role of AI and human in the digital era as well as to assume the possibility and harmony of AI and human’s roles in the future.

      • KCI등재

        대학 교양영어 수업의 인공지능(AI) 활용에 대한 학습자 중심의 효율성 분석: 토익(TOEIC) 수업을 중심으로

        김동미 ( Dongmie Kim ),장병현 ( Byunghyun Ja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5

        본 논문은 대학영어(TOEIC)의 인공지능(AI) 활용에 대한 학습자 중심의 효율성을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현 대학생의 인공지능 활용뿐만 아니라 앞으로의 대학영어 학습환경 및 수업 형태를 예측하여 효율적인 학습 방법을 고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현재 재학 중인 교양영어 수강생을 중심으로 인공지능 활용과 인간 교수자의 수업 효율성을 설문하여 비교 조사하였다. 더불어서 미래의 학습환경을 내다보기 위해 지금의 초중고교 학생의 인공지능 활용 정도를 선행연구에서 살펴보았다. 그 결과, 현재 재학생 중심의 인공지능과 인간 교수자의 설문에서는 인간 교수자의 학습 효율성에 대한 선호도가 높았다. 이것은 아직 인공지능이 세련되게 발달하지 않았다는 점과 학습자가 대학영어 시간에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것에 익숙치 않은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한편, 현재 초중고교 학생의 인공지능 활용의 지원과 교육은 앞으로 대학영어의 흐름을 바꿀 수 있을 것이라 고려한다. 따라서 교수자들은 이에 대한 교수자의 역할과 수업 방법의 변화에 대해 적극적으로 대처해야 할 것이다. This paper analyzes the learner-centered efficiency of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I) in college English (TOEIC). In addition, it is intended to devise an efficient learning method by predicting the future college English learning environment and class method as well as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by attending college students. For this study, a survey was conducted by surveying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teaching efficiency of human professors, focusing on college English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In addition, in order to predict the future learning environment, the degree of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by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oday was examined i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in the survey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uman professors centered on attending students, human professors’ preference for learning efficiency was high. This can be assumed that artificial intelligence has not yet developed in a sophisticated way, and that learners are not used to us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 college English class. On the other hand, it is considered that the current support and education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the use of artificial intelligence can change the flow of college English in the futu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mply with changes in the role of professors and teaching methods.

      • KCI등재

        이·공 계열 교육의 전문용어 번역 사용실태와 방향성 고찰

        김동미 ( Dongmie Kim ),김동현 ( Donghyun Kim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본 연구는 이 공 계열 교육에 있어서 번역결과물의 실태에 대한 문제점과 방향 제시를 하는 것이다. 특히, 역사가 깊은 전기 공학 분야를 중심으로 수업시간에 어떠한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에 대한 길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 대하여 필자는 수업 시간에 번역에 있어서의 효과성 저해요소로 본론에서 7가지로 요약하였다. 또한, 그에 대한 결론 부분에서 방향 제시로 2가지를 제안하였다. 현세대는 어느 때보다 학제간 연구가 활발하며 이를 피해갈 수 없을 정도로 상호 협력 간의 관계를 지속시키고 발전시킬 때이다. 이에 대하여 번역의 이론이나 지침이 전기 공학 분야에 적용된다면, 보다 학습자 중심의 교육현장이 이루어질 뿐만 아니라, 번역학과 전기 공학 분야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하여 학습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presents problems and directions on the actual condition of translation results in the education of science and engineering departments. In particular, some problems arise in class, especially in the field of electrical engineering, which has a long history. Regarding this situation, the writer summarized it into seven main points in the translation of class hours as factors that impede the effectiveness of class. In addition, two suggestions were made in presenting directions in the concluding section. The present generation is more active than ever in interdisciplinary research and it is time to continue and develop the relationship between mutual cooperation. In this regard, if the theory or guidance of translation is applied to the field of electrical engineering, not only will a more learner-oriented educational field be achieved, but it will also create synergy between the fields of translation and electrical engineering to maximize the effect of learning.

      • KCI등재

        한국 초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나타나는 번역 양상 연구

        김동미(Kim, Dongmie),신미영(Shin, Miyoung) 한국통번역교육학회 2018 통번역교육연구 Vol.16 No.2

        This study aims to compare and analyze the translation pattern of the elementary English textbook. The selection of textbooks included public English textbooks and private English textbooks are needed to be taught the importance of the translation. At the same time, I analyzed the private English reading textbooks which are always available in any bookstores. The first difference between the textbooks was the amount of elem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e public English textbooks ①, ④ and ⑤ had less elements from different cultural backgrounds than ② and ③. The second difference was the amount of translated text- public English textbooks ②and ③ had more translated text than the public textbooks ①, ④ and ⑤. The third difference was the amount of dialogues. The Public textbooks ② and③ had more dialogues that the ①, ④ and ⑤. In the meanwhile, the private English textbooks ave low quality when it compared by 3 analyzing different ways.

      • KCI등재

        중재자로서의 번역가 역할에 대한 재고: 트랜스젠더 신문 기사를 중심으로

        김동미 ( Dongmie Kim ),정지수 ( Jisoo Jeong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6

        이 논문은 대중매체 가운데 하나인 조선일보를 통해 신문 기사를 번역하는 과정에서 트랜스젠더의 성을 어떻게 번역하는지 비교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 연구를 위해, 한국 신문의 문체적 특성과 대명사의 사용을 선행연구로 다루었고, 번역 관련 분야의 번역자 3명을 대상으로 번역 실험하였다. 그 결과, 3인칭 단수 대명사를 지칭하는 ‘그’ 또는 ‘박 변호사’를 성전환한 사람으로 번역을 하고, 어떤 면에서는 성전환을 한 사람의 성(性) 정체성을 보이지 않도록 번역한 설문자도 있었다. 하지만, 마지막 한 명은 성의 정체성이 밝혀지지 않도록 많은 면에서 중립적인 번역을 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예를 들어, 한국 신문에 ‘그’로 표기된 트랜스젠더를 의식하여 번역하는 과정을 발견했다. 또한 이러한 추적은 번역가가 중재자로서 가시성을 최소화하기 위한 번역 방법으로 사용하였다는 것을 알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compare and analyze how the translator translates transgender’s gender through the Choseon Ilbo newspaper articles. For this study, the stylistic characteristics of Korean newspapers and the use of pronouns were dealt with as prior studies, and translation surveys were conducted to three translators in fields related to translation. As a result, one of the three translators translated “그” or “박 변호사”, which refers to the third-person singular pronoun into a changed gender, and another translated into a changed gender in some ways and the other translated not to be seen the gender identity. However, the last one was able to observe a neutral translation in many respects so that the identity of gender was not revealed. It was conscious of the transgender, which was marked “그” in the Korean newspaper. In addition, these traces can also be explained as a translation method for the translator to minimize visibility as a mediator.

      • KCI등재

        비대면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 수업을 통한 학습자 인식 분석

        김동미 ( Dongmie Kim ),이지은 ( Jeeeun Lee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1 인문사회 21 Vol.1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코로나19로 인해 정규 수업인 교양영어의 보완과목이면서, 영어 역량 강화를 위해 실시하는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의 비대면 수업에 관한 학습자 인식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연구하기 위해 대전의 4년제 A 대학에서 2021년도에 실시한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 중 하나인 ‘라이프 코치’를 가지고 학생들에게 수업의 질적인 내용과 인식에 대해 설문하였다. 그 결과, 온라인 수업 초창기에 시행된 정규 교양영어 과목의 학생 만족도가 비교적 높지 않았던 것과 대조적으로 2021년도에 비대면 수업으로 이루어진 비교과 영어 프로그램은 학습자들에게 비교적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이와 같은 결과 중 하나는 이미 고등학교에서 온라인 수업을 경험한 적이 있었기에 수업 적응에 무리가 없다고 간주할 수 있다. 또 다른 이유는 대학원생보다 학부생들이 더 비대면 수업의 만족도가 높다는 연구 결과와 동일한 것으로써 온라인 수업이 2021년도 신입생 학습자들에게 더욱 익숙한 프로그램으로 인식될 수 있을 정도로 ‘온라인 문화’가 형성되었기 때문으로 추론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earners’ perception of non-face-to-face classes that were conducted to enhance English competency during COVID19 where these supplementary non-credit courses complemented general English credit courses. In order to investigate this study, students at a university in Daejeon - University A - were asked about their perception of their class and qualitative content of “Life Coaching” in 2021. As a result when the study was conducted in early 2021, general English credit class had a lower satisfaction rate when compared to the non-face-to-face supplementary course which had a relatively positive impact on the students. One way of looking at the results might be that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already experienced learning felt more comfortable with the adaptation of online learning. In addition, undergraduate students were more satisfied with non-face- to-face classes when compared with graduate students. Another factor that accounted for the difference is that there exists an “online culture” for the freshman learners of 2021.

      • KCI등재

        U-Zone 개발을 위한 온·오프라인 연계체험 사례 조사

        김영미(Kim Youngmi),홍석기(Hong Sukki),박주현(Park Joohyun),이혜진(Lee Haejin),김동미(Kim Dongmi),류한영(Ryoo Hanyoung) 한국디지털디자인학회 2008 디지털디자인학연구 Vol.8 No.2

        본 연구는 청계천을 중심으로 한 온·오프라인 연계 체험 공간인 U-Zone의 개발을 위한 선행 연구로 향후 U-Zone에서 활용 될 사용자의 경험 요소의 도출을 위해 U-Zone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사용자 경험의 유사 사례를 조사 분석하여 그 요소를 정리하기 위하여 진행 되었다. 이를 위하여 3차례에 걸쳐 총 7개의 분석 항목을 개발하였으며 개발된 항목을 활용하여 50개의 해외 온·오프라인 연계체험 프로젝트 사례와 5개의 국내 고객 체험형 매장 사례들에 대한 사례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특징은 사용자의 경험내용을 맥락적으로 이해 할 수 있도록 행위(Activity) 표로 정리 하였으며 또한 이를 다이어그램과 시나리오로 표현하여 이해를 돕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으로 인해 본 연구의 연구결과가 향후 U-Zone의 창의적 개발을 위한 새로운 데이터베이스 모델로서의 가치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This research is a part of U-Zone Development Project that is being conducted to provide people with seamless online/offline user experience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similar cases and to organize investigated data for future use. From 3 development steps 7 analyzing categories were developed and 50 foreign cases and 5 domestic cases were investigated based on the developed categories. Most of the foreign cases were media art projects and domestic cases were commercial shops operated by major IT companies. In this paper user experiences were analyzed and summarized in the "Activity Table" and its utility were supported by activity diagrams and scenarios. On account of such characteristics the authors of this paper expects that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would be a new database model for creative development of U-Zon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