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다정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orea University 2016 국내석사
With the rapid globalization of the world,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communicative competence in English has become an indispensable part of English education. Communicative approaches to second and foreign language teaching have been highly valued all over the world. Without exception, communicative approach has been a steady topic of discussion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in Korea as well. Although previous research on the topic have already provided many implications to the field of primary English education in Korea, there still exists a strong need for a solid description of the problems and future implications in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ategorize and synthesize research on Primary English Education in Korea for the past ten years. Six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ve approach most frequently discussed in studies related to primary English education in Korea were used as the standard of analysis. This study was also undertaken on the basis of who young learners are and what their distinct characteristics are in English as a Foreign Language (hereafter ‘EFL’) context. To this end, major Korean academic journals on English education were searched from 2005 to 2014, and a total of 204 studies were analyzed on the basis of the six characteristics of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hereafter ‘CLT’) which are most suitable for young learners in Korea. While the communicative approach is frequently discussed in the studies related to primary English education in Korea, there is, nevertheles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that examines how accurately CLT is being reflected in them. The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 that 1) studies on listening and speaking were insufficient in quantity, 2) ‘affective factors’ was the most prioritized characteristic of the communicative approach in studies related to primary English education in Korea, 3) and ‘authenticity’ was the least discussed. This study suggests that balanced research on various characteristics of CLT is necessary for it to be effectively implemented in Korean classroom context. This would, in tur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cative proficiency in young learners. The study concludes with a summary of the findings and some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국제 바칼로레아(IB) 학위과정의 한국 고전문학 교육 연구
이 논문은 국제 바칼로레아(International Baccalaureate, 이하 IB) 학위과정(Diploma Program)에 의해 운영되는 한국 고전문학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분석하고 새로운 대안을 모색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국제공인 교육과정인 IB 학위과정은 16세에서 19세 사이의 고등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이자 국제적으로 인정된 대학 입학 자격을 취득하는 프로그램이다. 최근 IB 교육과정에 대한 교육 정책 차원의 논의는 활발히 이루어지는 반면 이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국어교육 차원에서도 IB 학위과정의 평가방식에 대한 연구는 있지만 ‘무엇을’, ‘왜’ 가르쳐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는 구체적으로 진행되지 않고 있다. IB 학위과정은 모국어의 존중과 문화유산의 유지·발전이라는 IB 교육 이념에 따라 모국어 문학 교육을 특히 강조한다. 이를 위해 IB는 고전과 현대 문학 작품을 균형 있게 다루도록 하면서 교사들이 다양한 시대의 작가 또는 작품을 선택하여 교수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IB 학위과정에서는 교사가 자율적으로 교수·학습 내용을 선정하고 평가를 실시하기 때문에 문학 교육에서의 경우 작품 선정의 타당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하지만 한국 문학 교육의 경우 다른 나라에 비해 근현대문학에 편중되어 있어 고전문학의 비중은 미미한 실정이다. IB가 제공하는 한국 문학 작가 목록을 살펴보면 문학적 가치에 대한 면밀한 검토를 통해 한국문학의 가치와 정체성을 보여줄 수 있는 작가와 작품을 선정하지 못하고 있다. 특히 고전문학 목록을 구성하고 있는 작가와 작품, 문학양식의 설정을 살펴볼 때 전문성이 결여된 편성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IB 학교 현장에서는 고전문학이 낯설고 어렵다는 이유로 교사와 학생들에게 선택받지 못하며 수업과 평가에서 배제되고 있는 현실이다. IB 교육과정의 이상적 목표와 평가 방법에만 집중하여 교수·학습의 대상이 되는 구체적인 내용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B 학위과정의 문학 교육 전반의 특징을 살펴보고, 그 가운데 한국 고전문학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을 점검하여 나아갈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지방정부의 청년수당 도입에 대한 연구 : 정책이전(policy transfer)의 사례로서의 광주광역시와 대구광역시
이 논문은 2015년 서울시와 성남시가 청년수당과 청년배당을 추진한다는 발표를 한 이후로 전국의 지방정부들이 서울시의 청년수당 형태의 정책을 도입한 현상을 정책이전(policy transfer) 이론으로 설명하고자 했다. 여러 지방정부들 중 광주시와 대구시를 대상으로 청년수당 도입과정을 정책이전 이론과 인과과정추적을 통해 분석했다. 이를 통해 두 지역 모두 정책이전의 상호의존성을 분명하게 확인할 수 있었고, 광주시는 동류화(emulation), 동형화(isomorphism) 메커니즘으로, 대구시는 경쟁(competition) 메커니즘으로 판별됐다. 이후 이 분석의 이론적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앞서 살펴본 선행연구들과 두 지역의 정책 도입 과정에서의 정책이전 분석에서 도출된 주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이는 내부요인들을 정리해 정치적 요인과 지역사회 요인의 가설을 도출했다. 반사실적 추론을 통해 가설을 검증한 결과 광주시의 경우 단체장이라는 정치적 요인보다는 정책이전 요인이 더 주요했고 대구시는 선거요인도 물론 있었지만 이보다는 경쟁 지방정부에 대한 대응이라는 정책이전 요인이 더 중요한 영향이 있었다고 분석됐다. 또한 지역사회요인인 청년인구 유출은 두 지역 모두에서 물론 그러한 문제가 있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두 지방정부의 정책입안자들이 가장 신경 쓰고 경계하는 경쟁 지방정부인 서울과 같은 곳에서 지역의 구성원들에게 인기를 끄는 정책을 도입한다면 충분히 그에 대한 대응으로 비슷한 정책을 도입할 수 있다는 결론이 나왔다. 따라서 두 지방정부 모두에서 지역사회 요인보다는 정책이전이라는 외부요인이 더 주요했다고 볼 수 있다.
사립 유치원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개선요구
본 연구는 사립 유치원 현장에서 유아교사들이 부모참여 프로그램 운영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고, 그 경험은 어떠한 의미를 지니는지 알아보며 이에 대한 개선요구를 심층적으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사립 유치원 부모참여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유아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사립 유치원 부모참여 프로그램 운영 과정에서 교사가 느낀 개선요구는 어떠한가? 이를 위하여 연구자는 2019년 4월 1일부터 7월 17일까지 사립 유치원에서 근무하는 경력 3년차 이상 10년차 이하의 교사 7명을 대상으로 하여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면서 경험한 교사의 인식과 이에 대한 개선요구에 대한 심층면담을 개별적으로 진행하였다. 심층면담의 결과 및 분석에서 나타난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긍정적 인식을 살펴본 결과 연구참여자들은 유아 측면에서 ‘교육과정과 연계된 활동, 유아의 유치원 일상의 활력과 활동에 대한 자신감 향상, 유치원 교육과정의 다양하고 풍부한 학습 기회 제공’으로 나타났다. 학부모 측면에서는 ‘자녀 유치원 생활과 자녀에 대한 이해 증진, 가족 간의 친밀감 증진’으로 나타났으며 교사 측면에서는 ‘담당 유아에 대한 심화된 이해, 교사와 학부모 간의 친밀감과 신뢰 형성, 부모의 교사 업무 지원, 교사로서 느끼는 보람과 즐거움’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부정적 인식을 살펴본 결과 ‘보여주기식, 원아모집을 위한 행사. 다른 기관의 영향을 받는, 경쟁 위주의 시장주의적 행사, 일회성의 부모참여 프로그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가 부모참여 프로그램으로 인해 겪는 어려움은 준비 과정에서 ‘보여주어야 한다는 심리적 부담감, 야근의 연속, top-down식의 프로그램 결정 방식, 교사들 간의 업무 갈등, 방해 받는 일과 운영’ 으로 나타났으며 운영 과정에서는 ‘평소와 다른 행동을 보이는 유아들, 경력 교사에 대한 기대치, 시간에 촉박한 부모참여 프로그램, 당당하게 요구할 수 없는 부모참여 프로그램 운영 보상’ 으로 나타났다. 넷째, 부모참여 프로그램에 대한 유아교사의 개선 요구는 교육적 측면에서 ‘유치원 생활을 실질적으로 볼 수 있는 부모참여 프로그램 개발, 수업에 집중할 수 있는 여건 마련, 진정한 유아중심의 교육 실천’으로 나타났고, 권익적 측면에서는 ‘학부모의 요구보다 교사 권익에 중점을 두는 인식 마련, 시간 외 수당과 같은 보상 마련’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따르면 유아교사들이 부모참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며 겪는 구체적인 경험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사의 부모참여 프로그램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방향을 세우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가치가 있음을 시사한다. This study analyzes how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ive parent participation programs at private kindergarten sites and what are the Improvement Demand for the Parent Involvement Program. The study questions are as follows. We set the research questions with respect to two themes. First of all, How do the teachers Preceived about parent involvement program in Private Kindergarten? Secondly, What do the teachers demand for the parent involvement program in private kindergarten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eachers with more than three years of experience and ten years of experience. The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1 April to 17 July 2019. Individual Interviews were conducted three or four times in depth. The research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fter looking at the Teachers ‘ positive perception of the parent participation program in terms of child, it was found that "activities linked to the curriculum, improving confidence in the daily vitality and activities of children' kindergarten lives, and providing various and abundant learning opportunities in the preschool curriculum." and In terms of Parents, It was found that "Advancing the understanding of children's kindergarten life and their children themselves, and increasing the closeness of the family." Finally in terms of Teachers, It was found that "Increased understanding of the child in charge, building intimacy and trust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Supporting for the teaching duties of parents and the value and joy of being a teacher." Secondly, after looking at the Teachers ‘negative perception of the parent involvement program, it was found “a visual-oriented events, competition-driven market-oriented events, one-time parental participation programs.” Thirdly, The difficulties teachers face in preparing for the parent participation program are “Psychological pressure to be shown, continuous overtime, top-down program decision-making, conflict of work among teachers, disrupted work.” and The difficulties teachers face in operation for the parent participation program are "children showing behavior that they have never seen before, expectations for highly experienced teachers, time-consuming parental participation programs and compensation for the operation of parent participation programs that cannot be reasonably demanded." Fourth, Teachers' Improvement demands for educational perspectives on the parent involvement program are to "develop a program for parents to participate in a kindergarten where they can actually see their life, and create conditions for them to focus on classes and practicing genuine child-centered education." and Teachers' Improvement demands for teachers’ rights on the parent involvement program are to “Awareness that focuses on teachers' rights rather than their parents' demands, rewards such as overtime pa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Early childhood teachers can take a concrete look at their experiences in running parental participation program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s parent participation program is worth providing basic data to ensure efficient operation.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유의어 동사 Say, Tell과 Speak, Talk 구분 사용 능력 연구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whether the synonym verbs say, tell and speak, talk by Korean English learners can be used separately according to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 This study aimed to whether Korean English learners can use the synonym verbs say, tell and speak, talk according to syntactic and semantic distinctions, and whether learners' English ability is related to the use of synonym verbs separately. Also, it is intend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fficient English learning activities in the future by analyzing patterns of use errors according to syntactic and semantic classification of the four verb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The higher the English proficiency, the better the use of the syntax of tell and talk. The higher the English proficiency, the better the use of the semantic structure of say, tell and speak. It can be inferred that the higher the learner's English ability, the better the semantic structure can be distinguished than the syntactic structure. When looking at the results of the study through analysis of error patterns by question, learners were able to confirm that even questions with the same semantic structure differed in answer rate and incorrect answer rate, as a result of learners being affected not only by semantic structure but also by syntactic structure. This can be predicted because English education in Korea is affected by the syntactic structure.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synonym learning is necessary through syntactic and semantic distinctions between say, tell and speak, talk. However, this study was conducted on 54 university students at university in Busan, so it may be a little too much to show the actual condition of all Korean English learners. Experiments with questions with various syntactic and semantic structures will have to be conducted on more learners than in later studies to increase the feasibility of this study. 본 연구는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의 유의어 동사 say, tell과 speak, talk를 통사적, 의미적 구조에 따라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는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학습자들의 영어 능력이 유의어 동사를 구분하여 사용하는데 관계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네 동사의 통사적, 의미적 구분에 따른 사용 오류 양상을 분석하여 향후 효율적인 영어학습 활동 개발에 이바지 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영어 능력이 높을수록 say의 의미 구조, tell의 통사, 의미 구조, speak의 의미 구조, talk의 통사 구조를 더 잘 구분하여 사용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say의 통사 구조, speak의 통사 구조, talk의 의미 구조에서는 영어 능력과 통사적, 의미적 구분은 관계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학습자의 영어 능력이 높을수록 통사구조 보다는 의미구조를 더 잘 구분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문항별 오류 양상 분석을 통한 연구 결과를 보았을 때 학습자들은 똑같은 의미적 구조를 가진 문항이라도 정답률과 오답률에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는데 이는 학습자들이 의미 구조 뿐만 아니라 통사구조에 영향을 받은 결과라 할 수 있으며, 보충어 형식과 유형에 따라 달라진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우리나라의 영어교육이 통사적인 구조에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한국인 영어 학습자들은 say, tell과 speak, talk의 통사적, 의미적 구분을 통한 유의어 학습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다만,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소재한 대학교의 대학생 54명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에 전체 한국인 영어 학습자의 실태를 나타내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을 수 있다. 추후의 연구에서는 보다는 더 많은 학습자들을 대상으로 다양한 통사적, 의미적 구조를 가진 문항을 통해 실험을 실시하여 본 연구의 타당성을 높여야 할 것이다.
영화 "위대한 유산(Great Expectations)" 의 의상에 나타난 색채의 상징적 의미
김다정 중앙대학교 예술대학원 2007 국내석사
영화는 예술과 기술의 유기적인 결합을 통해 많은 관념과 감정을 동시에 표현해 온 종합 표현 매체의 하나로 오늘날 그 대중성을 확보함이나 기술적인 진보의 단계의 측면에서 주요한 영상문화로 자리를 잡고 있으며, 그 범위나 영향력도 상당히 확대된 상태이다. 영화의 전체 분위기는 감독의 사상과 스타일, 취향 등에 의해 만들어지는데, 감독이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는 무엇보다 시각적인 요소를 통해 관객에게 전달한다. 영화의상은 감독이 영화의 스토리를 설명하는 데 필요한 중요한 도구로서 관객에게 극중 인물에 관한 정보를 전달하는 동시에 극의 전개를 유도하는 역할을 하고 나아가 영화가 부각시키고자 하는 주제를 시각적으로 재창조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영화의 진행 대부분이 영상에 의하기 때문에 영화에 있어서 가장 큰 시각적 효과인 색의 조화는 결코 무시될 수 없으며, 색채는 영화의상의 시각적인 측면과 상징적 기능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요소가 된다. 색채는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메시지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로 특정 색채를 통해 관객들로 하여금 경험을 통해 습득된 특정 사물이나 어휘 등을 연상하게 하여, 보다 친숙한 환경을 유도해 낼 수 있고 영화의 분위기에 몰두할 수 있게 하며, 상징 의미를 전달하기도 한다. 본 연구는 Charles Dickens의 소설 ‘Great Expectations’을 영상화하여 영화 색채의 활용도가 높게 평가된 영화 『위대한 유산』(Great Expectations, 1998)을 통해서 영화 속 시각적 매체인 영화의상과 색채의 이미지 분석을 토대로 영화 속에 표현된 색채 이미지와 상징성을 고찰해 보고, 『위대한 유산』의 등장인물 의상에 나타난 색채의 상징적 의미를 분석해 보았다. 영화 『위대한 유산』은 영화 전반에 걸쳐 초록색을 주된 색으로 사용하였으며 시간이 지남에 따라 등장인물의 변화된 상황과 심리를 검은색과 하얀색을 사용하여 보여준다. 즉, 초록색과 검은색 하얀색의 색채 연상과 상징적 의미로 영화의 전체적인 분위기를 표현하고 극의 주제를 나타내고 있다. 이처럼 영화의상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색채는 영화의 전체적인 흐름을 이끌어내는 가장 명확한 수단으로 색채가 담고 있는 상징성을 도출시킴으로써 영화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음을 볼 수 있으며, 현대 사회에서 상징효과가 크게 작용하는 색채의 비중이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는 것을 인식하고 영화의상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다양한 색채의 활용으로 표현되는 영화의상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rough the systematic linkage between Art and Techniques, the movies is one of the synthetic expression media which has been expressed a lot of notions and emotions at the same time. And today, it is regarded as a main image culture in securing popularity and in view of technical advance level and is broadening its scope and influence. While the whole atmosphere of a movie tends to be decided by notion, style and taste of a director, the message that the director want to tell can be conveyed to audiences mainly through the visual factors. The costumes for movies, as the crucial instrument needed to directors to explain the story to audiences, deliver the information about characters and at the same time lead the development of a drama and furthermore, visually recreate the theme which the movie is trying to bring into relief. And also, because the progress of the movies largely depends on images, the harmony of colors that is the most visual effect in the movies can not be ignored and colors is the crucial factor supporting the visual side of movie costumes and symbolic function. The color is the crucial factor to express the message to convey. Through the specific color, the movie makes audiences remind the specific object or words acquired from their experiences and induce atmosphere more familiar and make audiences concentrate on that of the movies and may convey symbolic meanings. In this research, through the movie ‘Great Expectation, 1998’ which is cinematizing the novel of Charles Dickens of the same title and was set a high value on its utilization of colors, study the color image and symbolism conveyed on the movie based on the analysis for movie costumes the visual media and color images and analyze the symbolic meaning of colors conveyed on the costumes of characters of 『Great Expectations』 The movie 『Great Expectations』 uses green color as main color over the movie and as time goes by the movie shows the conditional and psychological changes of characters by using black and white colors. That is, through the association of colors and symbolic meaning of green, black and white color, present overall atmosphere and subject of the movie. Like this, the colors holding sway of the atmosphere of a movie, as the most distinct method inducing the overall flow of a movie, can raise the completion level by drawing the symbolism the colors convey. And I expect that the research for the movie costumes expressed by using various colors may be continu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olor on which the symbolic effect act is growing in our time.
(The) effect of Acetylshikonin on oral cancer cells
김다정 부산대학교 치의학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구강 편평 상피 세포 암종은 구강 내에서 가장 흔히 발생 하는 종양으로 5 년 생존율이 50% 정도로 높지 않은 편이다. 치료를 위하여 외과적 수술, 방사선요법, 항암화학요법제제를 이용한 다양한 방법들이 시도되고 있으나 치료 효율은 크게 개선되지 않고 있어 구강 편평 상피 세포 암종의 효과적인 치료법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최근 식물에서 유도된 천연 추출물을 이용한 항암치료 및 예방효과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데 그 중 시코닌(shikonin)은 지치 (Lithospermum erythrorhizon)에서 추출한 성분으로 다양한 연구에서 시코닌과 그 유도체 물질들이 항산화 효과와 항염증 효과를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암세포 증식을 억제하고 세포사멸을 유도함이 보고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아세틸시코닌(Acetylshikonin)은 시코닌 파생물 중의 하나로 종양을 일으키는 피하혈관 신생을 억제하고 S180 육종 모델에 대해 항종양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보고되었다. 그러나 아세틸 시코닌의 구강암에 대한 분자적 메커니즘과 화학치료적인 가능성에 대해 밝혀진 것은 거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구강암 세포를 사용하여 아세틸시코닌이 구강암 세포 증식과 세포사멸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된 분자적 기전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우선 아세틸시코닌의 적정한 농도와 세포생존율을 알아보고자 MTT assay 를 시행한 결과, 구강암 세포(Ca9-22)에서 농도와 시간 의존적으로 생존율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대조군으로 사용된 정상 각질형성세포(HaCaT)는 아세틸시코닌에 영향을 덜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세포 죽음이 세포 자멸사(apoptosis)에 의한 것인지를 알아보기 위해 Annexin V/PI 염색법으로 24, 48 시간 실험 시 아세틸시코닌이 처리된 구강암세포의 세포사멸의 비율이 높아지고, 각질 형성 세포에서는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Hoechst 염색과 Western Blot 을 통해 재확인한 결과, 구강암세포에서 DNA 분절화가 일어나며 세포 자멸사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Caspase-3, PARP 의 분할과 JNK, p38 의 인산화가 일어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flow cytometry 실험을 통해 아세틸시코닌이 처리된 구강암세포에서 활성산소(ROS)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하고. 항산화 물질인 NAC 와 아세틸시코닌을 따로 또는 함께 처리하여 수행한 실험에서 아세틸시코닌이 구강암세포에서 활성산소의 발생을 매개하여, JNK, p38 의 활성화와 Caspase 의존 경로를 통해 세포사멸을 유도하지만, 각질형성세포에서는 영향을 주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들로 아세틸시코닌은 구강암세포에 특이적으로 반응하여 활성산소를 발생시켜 세포 자멸 경로를 활성화 시킴으로 암세포의 사멸을 유도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으며, 이로써 구강암의 항암 화학 요법 치료제로 아세틸시코닌의 활용가능성을 제시할 수 있다.
The mid-ancient period from the reign of King Beopheung to that of Queen Jindeok holds very important significance in the development of Shilla history. The rule of Queen Seondeok, the 27th ruler of Shilla, was extremely important as the transformational time from the mid-ancient period to the middle period as well as the time when the foundation for the unification of Three Kingdoms was established. The rule of Queen Seondeok, however, saw no introduction of new institutions or arrangement of old ones related to the ruling system unlike the period before and after her rule, which is why previous studies mostly focused on the reality of political force. There has been poor research effort to investigate the entire reign of Queen Seondeok. Recognizing the problem, this study set out to examine if Queen Seondeok played her own political roles during her rule even though she had been considered merely as a transitional character. Previous studies have room to be desired in that aspect. The present study thus divided her reign into the former and latter period and investigated the political and diplomatic nature of her rule and her political roles. Right after ascending to the throne, Queen Seondeok ensured the sanctification of royal power by making active use of King Jeonryunseong, who represents an ideal Buddhist monarch, in the aspect of ideology and ran the government by rallying the influential figures of royal family in the aspect of politics. In the former period of her reign, she subdued the Chilsuk and Seokpum Uprising and recruited talents from the old noble force that advocated her accession to the throne. In the latter period of her reign, she tried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by rallying both the Buddhist force and the new noble force as Baekje engaged in more powerful attacks after its loss at the Daeyaseong Battle. In the aspect of diplomacy, she performed independent and practical diplomacy in relations with Tang Dynasty. Based on those findings, the investigator also looked into the political nature of her reign and her political roles. The findings indicate that she tried to reinforce her royal authority by claiming to support King Jeonryunseong and ran the affairs of state by rallying the force of royal family as the pivot. In addition, her independent and practical diplomacy was prominent in the relations between Shilla and Tang. Those findings demonstrate that Queen Seondeok, who used to be regarded as a transitional figure, actually performed her roles fully during her peaceful reign. The political roles of Queen Seondeok, however, changed after the Daeyaseong Battle. As the new noble force recruited to overcome the national crisis made excessive growth, her roles as the pivot became weak. Failing to maintain the balance between the old and new noble force, she eventually got caught up in the Bidam Uprising and killed.
터보차저 제어를 위한 스윙게이트 밸브 설계에 관한 연구
스윙게이트 밸브는 디젤엔진 선박의 터보차저로 유입되는 배기가스를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기존의 밸브는 디스크와 몸체 사이의 간극이 없어 불완전 연소 시 생성되는 불순물로 인해 디스크가 고착되어 원활한 개폐가 어렵고 디스크에 처짐이 발생하여 밸브 개폐 시에 몸체에 스크래치가 발생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디스크 고착 방지를 위하여, 밸브가 닫혀 있을 때 배기가스가 터보차저를 구동 시키지 않는 간극을 결정하였다. 밸브의 전체 두께는 설치공간의 제약으로 인해 고정되어 있으므로 결정된 간극에 따라 플랜지와 몸체의 두께를 설계하였고, 이를 통해 밸브의 경량화를 이루었다. 또한, 디스크의 형상 및 두께 설계를 통해 디스크 처짐으로 인한 스크래치를 저감시켰으며, 상기의 과정을 거쳐 설계된 스윙게이트 밸브에 대하여 진동하중에 따른 구조안전성을 검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