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有孔廣口小壺 · 筒形器臺 新論

        김길식 충남대학교 백제연구소 2017 百濟硏究 Vol.66 No.-

        This paper attempts to show the use and function of jar air hole and cylindrical-shaped pottery stand that are excavated throughout the 4C~6C Baekje and Youngsanriver basin area. It also tries to discover the backgrounds of rituals related to the use of the potteries. The findings suggest that jar with hole is a ceremonial pottery, thorough which the spirit comes in and goes out at the moment of ritual rather than a kettle for carrying alcohol.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at the same time, carries the same use and function as jar with hole, rather than being used as a prop that supports the container. These potteries were greatly influenced by celadon porcelain jar, popular in western and eastern Jin period in ancent China, and were adapted throughout 4C~6C Baekje and Youngsanriver basin area. The ancient Chinese celadon porcelain jar carried the same ritual function as the two potteries previouly discussed. The “Haso-u(はそう)”,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and decorative stoneware in ancient Japan during the Kohun period in ancient Japan, are all in the same shape while they possess the same use and function. The two potteries reflect the Taoistic ritual idea popular in the corresponding era. There are two types of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were used in the rituals held in the dominions of Baekje, either having the holed jar or not. However, jar with hole is not found by itself. Meanwhile, Daegaya, which was adjacent to and influenced by Baekje dominion, thus used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with a holed jar. On the other hand, Sogaya, which was close to Youngsanriver basin, had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with no holed jar, but the jar with hole was put on top of it. No cylindrical shaped pottery stand is found throughout Youngsanriver basin, while only jar with hole is found. On the whole, ritual potteries of each region show commonalities as well as differences. This implies that Baekje, Youngsanriver basin, Daegaya, and Sogaya all shared similar ritual culture, but each formed distinct ancestral rites area at the same time. 4~6세기 영산강유역과 가야남부를 중심으로 출토되는 특징적인 토기인 유공광구소호(有孔廣口小壺)는 祭儀 時에 술을 따르는 주기(注器)로 인식해 왔다. 그 원류는 일본 고분시대‘はそう’에서 구하거나, 백제에 수입되어 사용되던 중국 兩晋代의 계수호(鷄首壺)에서 구하였다. 백제와 가야권역에서 출토되는 통형기대는 단순한 그릇받침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두 토기의 本領인 祭器 기능에 천착한 논의는 이루어지지 못한 나머지 이 토기의 용도·기능과 그 사회 사상적 의미 파악에 태생적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다. 유공광구소호는 적은 용량의 동체부, 正置가 어려운 둥근 바닥, 과장된 구경부와 장식, 無把手 등 따르는 주기로서 부적합한 구조이다. 백제와 가야지역의 핵심 祭器인 호부통형기대(壺附筒形器臺) 상부에 붙은 壺와 같을 뿐만 아니라, 중국 後漢代∼兩晋代에 유행하였던 陶器 ․ 靑瓷罐에 붙은 小壺, 일본 고분시대‘はそう’와 裝飾附須惠器에 붙은 小壺와도 같아 그 용도와 기능, 계통이 밀접한 관계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백제와 가야 통형기대는 수발부통형기대(受鉢附筒形器臺)와 상부에 유공광구소호 ․ 장경소호 등이 올려진 형태인 호부통형기대 등 두 유형이 있다. 전자는 분리형, 후자는 일체형으로 사용 방법에 차이가 있으나, 같은 용도 ․ 기능을 가진 祭器이다. 특히 완성 형태의 祭器인 호부통형기대와 유공광구소호는 다른 모습이지만, 유공광구소호를 공유하고 있어 같은 용도와 기능을 가진 祭器임이 논증되었다. 이 두 기종의 핵심 요소인 유공광구소호의 원류는 당시 백제와 밀접하게 교류했던 중국 三國~兩晉代 호족 무덤에 부장된, 이른바 魂甁 ․ 神享 ․ 穀倉罐 등으로 불리는 陶器罐 ․ 靑瓷罐에서 구할 수 있으며, 도교적 제의관념이 반영되어 있었다. 이 기물에 부착된 장경소호 또는 유공광구소호는 백제 ․ 가야 ‧ 영산강유역의 호부통형기대의 호형부와 유공광구소호와 같다. 이로써 백제와 영산강유역, 가야권역에 공통적이면서도 배타적으로 분포하는 유공광구소호와 통형기대는 각종 제의에 사용된 핵심 祭器로서, 제의 대상인 亡者의 魂靈 또는 (鬼)神이 들어와 안거하는‘憑几’이자 神主단지로 파악되었다. 그런데 백제권역에서는 두 유형의 통형기대 모두가 사용된 제의형태에서 한성기 후반~웅진기를 거치면서 호부통형기대 중심의 제의형태로 수렴되어 갔으며, 백제와 인접한 대가야권역에서는 백제의 영향으로 호부통형기대를 사용하는 제의 형태였지만, 영산강유역과 접경한 가야남부에서는 수발부통형기대와 유공광구소호가 조합된 제의형태였다. 영산강유역은 발형기대만 확인될 뿐, 통형기대는 全無하여 다른 제의형태가 상정되었다. 이와 같이 각 지역 간에 祭器의 공통점과 차이점이 함께 나타나는 것은 백제 ․ 영산강유역 ․ 대가야 ․ 소가야권역이 유사하면서도 독자적인 제의권을 형성하고 있었기 때문으로 이해되었다.

      • 淸州 父母山城 出土 鐵製遺物의 系統과 占有勢力의 變化推移

        김길식 한국성곽학회 2013 한국성곽학보 Vol.24 No.-

        父母山城では建築材·農工具·武器·馬具などの鐵製遺物が数多く出土した。この遺跡から出土した遺物は百濟系․高句麗系․新羅(統一新羅)系のものが含まれており、およそ、5つの画期を経て変遷し、鐵器以外の遺物をまとめて見ると、さらに2つの画期が見られる。第Ⅰ期は百濟の漢城期後期に当たる鐵器や土器などが用いられた時期であり、歴年代としては5世紀中後葉以前から百濟の領域に入っていたと考えられる。ただ、この時期、城郭の有無は不明である。第Ⅱ기期は、歴年代として、5世紀後葉であり、多くないが、高句麗系の鉄鏃と土器が出土する。この時期から6世紀前半まで高句麗の支配下にいたと考えられるが、高句麗軍の駐屯は行っていなかったと推定去れる。第Ⅲ期は6世紀中葉~後葉であり、突然、新羅系の武器·農工具や新羅後期樣式土器などが出土する。6世紀中葉以来、新羅勢力によって石築山城が築かれており、6世紀後半まで新羅の支配下にいたと考えられる。改めて、第Ⅳ期になると、百済系の武器·農工具·土器·瓦などが出現し、泗沘期の百済によって、この地域を占有した時期である。第Ⅴ期になると、6世紀後半~7世紀3/4半期の武器類·農工具類·建築材など、新羅系の鐵器が改めて出土する。やはり、父母山城が新羅勢力によって再占領されたことがわかる。7世紀3/4半期以後になると、新羅土器と鐵製遺物の数は著しく減ることになる。このような状況は、百濟と高句麗の滅亡と三國統一などの過程における、父母山城の位相弱化を示すことと考えられる。その後、8世紀中葉以後になると、改めて、統一新羅の土器が出現する。このような状況は、西原小京が西原京に改稱されるなどの行政改編に伴う、父母山城の位相強化の結果であると考えられる。 부모산성에서는 건축부재류, 농공구, 무기, 마구 등 다수의 철제유물들이 출토되었다. 이들 철제유물의 특징과 계통, 사용 시기에 대하여 검토해본 결과, 백제계․고구려계․신라(통일신라)계 등으로 변별되었다. 이와 같이 계통 분류된 철제유물들을 연대 추정이 가능한 타 유적 출토 철기들과 대비하고, 함께 출토된 토기류의 편년과 대비해본 결과 크게 다섯 개의 획기로 나누어지며, Ⅴ기 이후에도 다시 2개의 획기로 구분될 가능성이 상정되었다. Ⅰ기는 백제 한성기 후기의 철기와 토기 등의 유물들과 이와 관련된 주거지․저장수혈 등이 나타나는 시기로서, 5세기 중후엽 이전부터 백제 세력이 점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Ⅱ기는 5세기 중후엽으로 편년되는 고구려계 유엽형․착두형 철촉 몇 점과 토기편들이 미미하게 나타나는 시기로, 이 시기부터 6세기 전반까지 고구려 세력의 관할 하에 있었지만, 城內에는 고구려 세력이 직접 주둔하지는 않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Ⅲ기는 6세기 중엽~후엽, 신라계 무기류와 농공구류가 신라후기양식토기들이 급격히 돌출하는 시기로서 6세기 중엽부터 신라세력에 의해 석축산성이 축성된 후, 6세기 후반까지 점유하고 있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Ⅳ기는 백제 사비양식 무기, 농공구류와 토기와 기와가 돌출하는 시기로서 부모산성을 백제가 다시 탈환하여 일정 기간 점유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Ⅴ기는 6세기후반~7세기 3/4분기 이전으로 편년되는 장경식의 신라계 무기류, 농공구류, 건축부재류 등 대다수의 신라계 철기들이 다시 집중되는 시기로서 부모산성이 신라세력에 의해 다시 탈환되어 그 이후 지속적으로 점유되었던 상황을 반영하는 것으로 파악된다. Ⅴ기 이후인 7세기 3/4분기 이후에는 신라토기와 철제유물은 잘 확인되지 않는 것으로 보아 7세기 중후반경, 백제(660)와 고구려(668)의 멸망과 삼국통일, 서원소경의 설치(685) 등의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종전에 비해 부모산성의 위상과 중요성이 약화되었거나 새로운 편재가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상정되었다. 그 후 8세기중엽 이후 전형적인 통일신라 토기들이 다시 나타나고 있어, 기존에 청주지역에 설치된 서원소경을 서원경으로 개칭되면서 행정개편이 이루어진 것과 연동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이 부모산성은 5세기 중엽 ~ 8세기 중엽에 이르기까지 백제․고구려․신라가 수 차례에 걸쳐 서로 뺏고 뺏기는 각축장으로서 행정․군사․물류 거점 역할을 하였던 중요한 관방시설로서, 부모산성과 청주지역 뿐만 아니라 시기에 따라 삼국간의 관계를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매우 중요한 관방유적이었던 것으로 파악되었다.

      • 빙고(氷庫)를 통해 본 공주 정지산유적의 성격

        김길식 한국고고미술연구소 2001 고고학지 Vol.12 No.-

        1996년 조사되어 1999년에 보고된 바 있는 공주 정지산유적은 백제 웅진도읍기의 왕실(국가)제사유적으로 그때까지 전혀 인식되지 못하였던 많은 새로운 자료들이 확인되었다. 당시 필자는 조사성과를 접하고, 조사된 여러 유구와 유물 가운데 본 유적의 성격을 구체적으로 특징지을 수 있는 자료로서, 빙고(氷庫)의 존재에 대한 의견을 개진한 바 있다. 이는 정지산유적 자체의 성격은 물론 백제와 한국 고대의 상장의례(喪葬儀禮)에 대한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었던 이한상·권오영의 발표, 토론문 가운데, 예시되었던 얼음과 상장례와의 관계성에 대한 문헌기록과 그대로 접맥(接脈)되어 빙고와 상장례가 불가분 관계에 있으며, 나아가 정지산유적의 성격은 일차적으로 유적 내에 있는 빙고 유구에 의하여 특징지어질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그 이후 간행된 정식보고서에는 학술발표대회에서 제기되었던 조사 성과와 문제점에 대하여 전혀 검토가 이루어지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정지산유적에서 조사된 여러 유구 가운데 이 유적의 성격을 파악하는데 열쇠가 될 수 있는 소위 “배수로가 딸린 불명의 수혈유구(竪穴遺構)”의 특징을 자세히 검토하여 유구가 얼음을 저장하였던 빙고였음을 검증하고, 정지산유적에서 가장 특징적인 유구라 할 수 있는 벽주(壁柱)건물 및 저수(貯水)시설 등과의 관계를 알아보아 정지산유적의 성격을 구체화하고자 하였다. The Jeongjisan site excavated in 1996 provides important information to examine the funeral ceremony of Baekje Kingdom. It reveals that the subterranean structures whose functions were not determined at the time of excavation, are ice-storage and water reservoir. The ice-storage at the site were connected to the central building, to provide the ice to preserve the dead. This indicates that the Jeongjisan site was the place where the dead of the royal family had been preserved until the funeral ceremony. Historical records show that this site would be the place for the Queen of King Munyeong, who passed away in her 30s due to illness. At the site, various artifacts from China, Japan, Gaya, and the Yeongsangang River area have been found. These countries had close relationship with Baekje at that time; therefore, delegates of condolence were sent. However, there has no artifacts from Silla and Goguryeo which were in hostile relationship with Baekje. As a place for the funeral ceremony, the Jeongjisan site reflects the international relationship of Baekje with surrounding countries at that time.

      • KCI등재

        프로축구선수의 마인드셋과 그릿이 탈진에 미치는 영향

        김길식,이호성 한국스포츠학회 2021 한국스포츠학회지 Vol.19 No.3

        이 연구는 프로축구선수의 마인드셋과 그릿이 탈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프로 축구선수로 하였고, 자료 수집은 편의표본추출법을 이용하여 총 300부의 표본을 수집하여 최종분석에는 264부의 자료 가 이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프로축구선수의 고정 마인드셋은 흥미의 일관성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성장 마인드셋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성장 마인드셋은 노력의 지속성 그릿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고정 마인드셋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둘째, 프로 축구선수의 성장 마인드셋은 정서적 고갈 탈진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고정 마인드셋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성장 마인드셋은 비인격화와 개인적 성취도 저하 탈진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고정 마인드셋은 정(+)의 영향을 미친 다. 셋째, 프로축구선수의 흥미의 일관성 그릿은 정서적 고갈 탈진에 부(-)의 영향을 미치고, 노력의 지속성 그릿은 영향 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흥미의 일관성과 노력의 지속성 그릿은 비인격화와 개인적 성취도 저하 탈진에 부(-)의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mindset and grit on burnout in professional football player. Throug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selected 264 survey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final analysis from professional football player. With the collected dat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by SPSS 21.0. The results of the analysi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fixed mindset impacts negatively (-) influence on consistency of interests, and the growth mindset impacts no significantly on consistency of interests. And the growth mindset impacts positively (+) influence on perseverance of effort, and the fixed mindest impacts no significantly on perseverance of effort. Second, the growth mindset impacts negatively (-)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fixed mindset impacts no significantly on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growth mindset impacts negatively (-) influence 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but the fixed mindest impacts positively (+) influence 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Third, the consistency of interests impacts negatively (-) influence on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perseverance of effort impacts no significantly on emotional exhaustion. And the consistency of interests and perseverance of effort impacts negatively (-) influence on depersonalization and reduced personal accomplish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