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김금현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중앙연구원 2012 Korea Journal Vol.52 No.2
This article investigates intercultural misunderstandings between Koreans and Malays at work that may prevent Korean companies from becoming key players in global collaboration. It utilizes “sociology of knowledge” developed by Karl Mannheim and the sociocultural value orientation of Fons Trompenaars to understand the root cause and sources of conflicts in industrial settings. Korean society has always emphasized homogeneity as a basic feature of its cultural identity and integration. To outsiders, however, this may be viewed as Koreans’ ethnocentricity. Experience suggests that the more Korean companies invest overseas, the mor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problems crop up in their international interactions, which can be attributed to lack of understanding of intercultural differences and diversity. In this respect, this research could contribute towards conflict resolution through mutual understanding. It concludes that one of the main causes of conflict is the different perspectives of various groups on how they look at reality and nature, which influence their understanding of problems and circumstances, or what Mannheim terms the “definition of the situation.”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Programs in Malaysia
김금현,류승완 이중언어학회 2001 이중언어학 Vol.19 No.1
The Korean studies program was introduced to Malaysia only in recent time and this program is considered as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program. Compare to other languages such as French, German, Japanese and Chinese which are introduced much earlier than Korean, this establishment of Korean studies program could be considered as a high achievement in academic area of study.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program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both Malaysian universities and society not only to introduce Korean language, culture and people but also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Malaysians and Koreans. However, considering the history and the number of students, these two programs in Malaysia still need to be developed more.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and prospects of two programs i.e.,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in Malaysia. These two programs will be discussed in the following sub-headings:1. Introduction2. Korean Language Program 3. General Points 4. Korean Studies5. Conclusion: The Problems and Prospects of Korean studies
류승완,김금현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2010 한국언어문화학 Vol.7 No.1
류승완, 김금현. 2010.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역할과 중요성 -말레이시아 대학에서의 사례연구-. 한국언어문화학. 7-1. 117-144. 본고는 말레이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 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실증적 조사를 통해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한국은 물론 인근 동남아시아 국가들과는 달리 다인종, 다문화, 다종교 국가로 대별되는 말레이시아는 국어인 말레이어 외에도 중국어, 인도어 그리고 영어는 물론 토착민들의 토속어 등 사용언어에 있어서도 다언어 국가로 특징 지워진다. 80년대 중반부터 대학교 선택과목으로 보급된 한국어 교육은 언어구사능력 중심 교육에서 90년대 말부터 서서히 문화 교육을 도입하기 시작한다. 문화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는 있으나 실질적으로 한국어 학습자들이 어떠한 문화교육을 얼마나 필요로 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는 데 이 연구의 목적이 있다. 설문 및 인터뷰 방식을 채택, 단계별로 학습자들의 한국어 학습 목적 등에 관한 설문조사와 한국에 대한 지식 및 문화교육에 대한 학생들의 요구도를 조사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세 그룹으로 나누어, 첫 번째 그룹은 한국어를 선택과목으로 수강하는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 학생들, 두 번째와 세 번째 그룹은 말라야 대학교 학생들로서 한국어를 선택과목으로 그리고 전공/부전공으로 하는 학생들을 나누어 조사하였다. 연구 결과는 각 세 그룹 학생들의 문화교육에 대한 인식과 관심이 많은 부분에 있어 일치하고 있음과, 앞으로 말레이시아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있어 문화교육의 체계화와 및 비중이 높아져야 함을 제시하고 있다. (말레이시아 국립 대학교, 말라야 대학교)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Programs in Malaysia
김금현(Keum-hyun Kim),류승완(Seung-yoan Rou) 이중언어학회 2001 이중언어학 Vol.19 No.1
The Korean studies program was introduced to Malaysia only in recent time and this program is considered as the further development of the Korean language program. Compare to other languages such as French, German, Japanese and Chinese which are introduced much earlier than Korean, this establishment of Korean studies program could be considered as a high achievement in academic area of study. The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programs play a very important role in both Malaysian universities and society not only to introduce Korean language, culture and people but also to promot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Malaysians and Koreans. However, considering the history and the number of students, these two programs in Malaysia still need to be developed more. Therefore, this paper focuses on the development and prospects of two programs i.e., Korean language and Korean studies in Malaysia. These two programs will be discussed in the following sub-headings: 1. Introduction 2. Korean Language Program 3. General Points 4. Korean Studies 5. Conclusion: The Problems and Prospects of Korean studies
한국어와 말레이어의 관용표현 대조 연구 - 식생활 관용표현을 대상으로 -
김정아,김금현,웡얀이,리옌리 동학학회 2024 동학학보 Vol.0 No.70
이 연구의 목적은 한국어와 말레이어의 식생활과 관련된 관용표현을 대조·분석하는 것아다. 이를 위해 한국어와 말레이어의 ‘음식’, ‘도구’, ‘조리 방법’, ‘식재료’ 용어가 포함된 관용표현을 선정하여 두 언어의 관용표현에서 나타나는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해 보았다. 이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어에서는 ‘밥’, ‘떡’, ‘죽’ 등 쌀로 만든 음식 용어, 말레이어에서는 ‘식물’, ‘과일’ 관련 용어가 관용표현에 많이 나타난다. 둘째, 한·말의 관용표현에서는 용어는 공통적이지만 서로 다른 의미로 쓰이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쌀’은 한국어와 말레이어에서 모두 ‘경제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보였지만 ‘소금’의 경우 한국어에서는 ‘고난’이라는 부정적인 의미로 나타나고, 말레이어에서는 ‘경험’이라는 긍정적인 의미를 나타낸다. 셋째, 한국어와 말레이어의 식생활 관용표현에는 두 언어를 사용하는 화자들의 문화와 정서가 반영되어 있다. 이러한 특성들은 관용표현 구성에 선택된 용어와 용어의 의미를 통해서 확인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어와 말레이어 관용표현의 대조 연구를 통해 언어와 언어의 배경이 되는 문화를 이해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다. 나아가 이 논의의 결과는 언어 교육, 교재와 사전 편찬의 기초 자료가 될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conduct a contrastive study on idiomatic expressions related to dietary life in the Korean and Malay languages. The idiomatic expressions chosen were determined by elements such as ‘food’, ‘cooking tools’, ‘recipe’, and ‘ingredients’.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observed characteristics present in both languages. The findings revealed a significant presence of idiomatic expressions in Korean that revolve around food items prepared with rice, such as ‘rice’, ‘rice cakes’, and ‘porridge’. Meanwhile, the Malay language exhibited a notable abundance of idiomatic expressions about ‘plants’ and ‘fruits’. Furthermore, while some terms were understood in the same way in both languages, there were also examples where they were interpreted differently. For instance, ‘rice’ is commonly associated with ‘economic life’ in both Korean and Malay. However, the ‘salt’ carries a negative connotation in Korean, whereas it holds a positive meaning of ‘experience’ in Malay. Study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these two languages can significantly augment our understanding of the corresponding cultures and languages. As well this study can serve as a fundamental basis for language education, textbook production, and dictionary compil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