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고자료로 본 소가야의 권역과 변천

        김규운 한국고대사학회 2018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92

        In summing up the overall changing process of Sogaya, Goseong area, a center of Sogaya, grows through external trade given relics in Dongwoidong in the 3rd and 4th centuries. Literary documents which illustrate movements of Sogaya in this period are about ‘seashore 8 states’ war’. In regard to ‘seashore 8 states’ war’,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about its exact time, its target of attack, its details, and the location of seashore 8 states, but this writer accepted and examined a hypothesis that small city states led by Gozaguk which had grown based upon seaborne trade attacked Anlaguk to secure a stable agricultural foundation. In a consequence of losing the war, earlier regions of Sogaya are inferred to have been under the influence of Haman type pottery culture. As this period of the 3rd and 4th centuries pass and the 5th century begins, Sogaya witnesses formation and development stages. The reason is that Sogaya expanded its territory with active trade activities after Goguryeo‘s expeditionary campaign of southern part of the peninsula. After that, Sogaya advanced into eastern part of Jeolla Province, exercised its influence upon areas of Masan, Changwon, Jinryae, Chilwon, etc. and maintained a wide territory up to the mid 5th century, though it lost some of its territory because of movements of Daegaya beginning with the mid 5th century. But with the beginning of the 6th century, Daegaya, which lost a trade route at the mouth of the Seomjin River, took actions of negotiating with regional groups within Sogaya territory and movements of advancing into Changwon area and Sacheon Bay, and so the solidarity of Sogaya became weakened. With the same intention as Daegaya, Silla also took movements of negotiating with each regional group of Sogaya via the Southern Sea by establishing Kimhae as a bridgehead. 소가야양식토기의 분포 양상을 통해 5세기 전반을 시작으로 6세기 중반까지 소가야의 권역에 대해 추정하였다. 먼저 5세기 전반에는 고성을 중심으로 경남 서남부지역을 비롯해 남원 아영지역, 전남 동남부지역까지 세력을 넓히게 된다. 5세기 중반에는 합천 서부지역과 남원 아영지역이 권역에서 벗어나는 반면 마산·창원·김해·칠원지역에 영향을 끼치게 된다. 그리고 5세기 후반에는 기존의 권역을 유지하는 가운데 5세기 중반이후 대가야에 의해 호남 동부의 제지역이 모두 권역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후 6세기에는 소가야의 권역이 급격하게 축소하게 되고, 소가야 내의 제지역 집단의 결속력 또한 완화되는 등의 변화를 보이는 것으로 상정하였다. 이러한 권역의 변화를 토대로 소가야의 성립과 전개, 그리고 멸망에 이르기까지의 동향에 대해 검토하였다. 소가야의 중심지이면서 소가야 성립 이전의 고자국으로 비정되는 고성지역의 동외동 유적의 경우 기왕에 알려진 패총뿐만 아니라 3~4세기대에는 철생산, 생활, 의례 등으로 공간을 구획하여 이용했던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가운데 크고 작은 수혈을 중복으로 배치하고 그 안에 조문청동기, 토기 등을 매납하는 의례행위를 엿볼 수 있었으며 이러한 의례행위는 비단 3~4세기대에만 한정된 것이 아니라 삼국시대까지 이어진다. 더욱이 진주 무촌유적에서도 같은 형태의 의례행위를 한 것으로, 동일한 토기 양식을 보이는 점과 더불어 같은 권역 내의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이 시기 소가야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것으로 포상팔국전쟁 기사가 있다. 이 기사는 그 시기와 공격대상, 내용, 포상팔국의 위치 등에 대해 여러 견해가 있지만 3세기 후반 해상교류를 바탕으로 성장한 고자국을 중심으로 내륙의 안정적인 농업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안라국을 공격하였다는 견해를 수용하는 입장에서 검토하였다. 그리고 결국 전쟁에서 패한 고자국 등은 함안양식 토기 문화의 영향을 받게 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후 400년 고구려 남정으로 기존 세력이 약화되면서 소가야가 활발한 교역활동을 통해 성립·발전하게 된다. 그리고 호남 동부지역과 마산·창원·진례·칠원 등지에까지 영향을 끼치고 신라, 아라가야와 접경을 이룰 만큼 5세기 후반까지 넓은 권역을 유지하게 된다. 그러나 6세기 들어 섬진강 하구의 교역로를 상실하게 된 대가야가 소가야 권역 내 제지역 집단과의 교섭, 또는 창원지역, 사천만으로의 진출 등의 움직임을 보임에 따라 소가야 권역 내의 결속력은 약화된다. 신라 역시 대가야와 같은 맥락으로 김해지역을 교두보로 남해안을 통해 제지역 집단과 교섭하게 된다. 이러한 이해관계의 결과로 6세기 이후 고성지역에는 수장묘역인 송학동고분군뿐만 아니라 내산리고분군 등에서도 대가야 문물과 신라 문물, 그리고 왜계문물과 영산강유역의 문물까지 이입되는 것이다. 따라서 그 행위의 능동성이 얼마나 큰지가 관건이 되겠지만 이 시기 소가야가 대외교류의 중추적인 역할을 한 것은 분명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 KCI등재

        한반도 전방후원분과 왜계석실의 분포유형 검토

        김규운,김준식 한국상고사학회 2010 한국상고사학보 Vol.70 No.-

        Like Keyhole– shaped tomb in Yeongsan River Valley, Stone– chamber tomb of Wae's styles were built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 peninsula around the 6th century. Since Keyhole– shaped tomb was excavated, it has been studied diversly from Archaeological studies to body buried's root. However, it is true that integrated analysis for the whole of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 peninsula lack. Thus, we have studied where Stone– chamber tomb of Wae's styles are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 peninsula. According to distribution aspect which is approached by synchronic way, we reached 3 types of distribution patterns. Type 1 was constructed in local ruling class of burial mound tumulus. Type 2 was constructed separately in the place where local ruling class didn't exist. Type 3 have a different character which built up tombs including Stone– chamber tomb of Wae's manners. In process of time, these type of patterns changed from type 1 to type 3. Base on those analysis, we have studied the significance of Stone– chamber tomb of Wae's styles. First, In the Korean Peninsula and Japanese islands there were no same type of constructions while Stone– chamber tomb of Wae's manners were expanding. It it true that Stone– chamber tomb of Wae's styles in Korean Peninsula were affected from Japanese Islands. The type of burial mound tumulus and Stone– chamber tomb also have a unique Japanese islands's characteristic. Hence, those evidences suppose body buried in Stone– chamber tomb as Japanese. And under the relationship between Paekche and kinai Dynasty, those Japanese built Keyhole– shaped tombs in Yeongsan River Valley. Also circle tomb of Stone– chamber tomb of Wae's manners were buil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Gaya and Kyusyu Dynasty. Under the relationship with local head, they settle down local area through constructing in burial mound tumulus, being constructed separately and making tombs 영산강유역의 전방후원분을 비롯해 한반도 남부에는 6세기를 전후한 시점에 한하여 왜계석실이 조영된다. 전방후원분의 발견이후 최근까지 고고학적인 연구뿐만 아니라 피장자의 출자 문제까지 다각도로 연구되고 있으나 한반도 남부 전체를 아우르는 분석이 부족한 문제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한반도 남부에서 왜계석실이 어떻게 위치하고 있는지 그 분포양상을 통해 공시적으로 접근하였고, 그 결과 3가지의 분포유형을 도출하였다. 1유형은 재지 수장묘의 분구 내에 조영되는 것, 2유형은 재지 수장이 없는 곳에 단독 조영, 3유형은 왜계석실을 포함하는 고분군을 형성하는 것이다. 이 유형들은 시간상으로 1유형에서 3유형으로 변화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분석을 토대로 외계석실의 의의를 검토하였다. 먼저 한반도와 일본열도 모두 석실의 확산에서 똑같은 형태의 것이 조영되는 경우가 없음을 지적하면서 한반도의 왜계석실에 재지계 요소가 반영되는 것은 당연한 것이고, 분구형태와 석실의 일본열도적인 요소로 볼 때 그 피장자는 왜인으로 비정하였다. 그리고 그 왜인들은 당시 백제 -畿內정권과의 관계 아래에서 영산강유역에는 전방후원분이 조영되고, 가야지역에는 가야-九州의 지역적인 관계에 따라 원분의 왜계석실이 조영되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이러한 전체적인 흐름 아래 지역 수장과의 관계 속에서 같은 분구 내 조영, 단독 조영, 고분군 형성 등으로 지역 내에서 자리 잡는 것으로 파악하였다.

      • KCI등재

        울릉도 고분의 출현과 그 배경 검토

        김규운,김건우 영남고고학회 2022 嶺南考古學 Vol.- No.94

        울릉도에는 512년 이사부의 정벌 기사를 통해 고대에 우산국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산국을 고고학적으로 증명할 수 있는 자료는 없다. 울릉도에서 가장 이른시기에 확인되는 고고자료는 고분이다. 주로 횡혈식석실을 매장주체부로 하는 고분들의 현황을 정리하고, 왜 이러한 고분이 출현하게 되었는지, 신라가 우산국을 정벌하게 된 배경이 무엇인지에 대해서 접근해 보았다. 우선 울릉도에 축조되는 고분은 총 3단계로 구분할 수 있는데 고분이 처음출현하는 단계를 울릉도에서 확인되는 신라토기를 근거로 6세기 중엽을 상한으로 상정하였고, 2단계는 7세기 후엽부터, 3단계는 9~10세기로 상정하였다. 울릉도 고분이 어느 지역에서 영향을 받았는지에 대해서는 기왕에 경북 북부 내륙지역, 강원 혹은 동해지역으로 주로 언급되었는데, 세장방형의 평면형태와 지면보다 석실 바닥을 높게 마련한 점, 석실의 석벽을 축조하면서 봉분을 쌓은 분묘일체형이라는 점에서 울진 덕천리고분군과의 관련성을 제시하였다. 울릉도에 신라의 영향으로 고분이 축조되는 배경으로는 512년에 정복을 하나, 동시에 사람들을 사민하지는 않았으나 일본열도 제작 삼루환두대도와 고구려 사신이 일본열도로 건너 가는 기록을 보듯이 6세기 중후반에 고구려와 왜가 동해안 루트를 이용하는 것을 견제하기 위해, 즉 동해안 제해권을 적극적으로 통제하기 위해서 울릉도로 사람들을 사민한 결과로 인해 울릉도에 고분이 출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 KCI등재

        5~6世紀小加耶樣式土器設定

        김규운 한국고고학회 2010 한국고고학보 Vol.76 No.-

        Studies on the Three Kingdoms period in the Youngnam Province have mainly been aimed a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olities of each region, such as Silla or Gaya. But due to the lack of historical documents, many scholars think negatively about the hypothesis that Sogaya may have formed a polity. Thus, this study began with the following question: “What are the archaeological materials which prove Sogaya’s entity?”Among pottery excavated in the Sogaya territory, this study carried out form classification on the ‘triangled javelin thrower figurine dish without cover’, ‘triangled javelin thrower figurine dish with cover’, ‘unmounted rectangular javelin thrower figurine dish’, ‘mounted reciprocal javelin thrower figurine dish’, ‘cover’, ‘jar with horizontal mouth’, ‘big axe pattern jar with straight mouth’, ‘bowl-shaped stand with horizontal mouth’, ‘cylinder-shaped stand’, ‘big axe pattern bowl with handle’, and ‘cup with handle’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traits of each type of ceramic vessel. They were then arranged in order and defined as Sogaya type pottery. On the basis of the results, they were divided into seven phases (I~VII). The lowest time limit of each period was established based on reference literature, and each period was dated through crossdating with Daegaya type pottery, Silla type pottery, Japanese Sueki, etc. There are many different opinions regarding the center of Sogaya type pottery, since little is known about the pottery culture of the Goseong area in the 5th century. But according to excavations recently carried on in the areas of Goseong and Tongyeong, the Goseong area can be confirmed as the center of Sogaya from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till its collapse in that Sogaya type pottery belonging to the first half of the 5th century was excavated in this area and Sogaya style tombs were confirmed.

      • KCI등재

        강원고고학 연구의 동향과 전망

        김규운 강원사학회 2019 江原史學 Vol.0 No.33

        Archaeological surveys in Gangwon Province have been around 100 years since the 1912 survey of the Gangneung Ancient Tomb by the Japanese. A large number of archaeological materials have been piled up as the excavation work began in earnest in the 1980s with the nationwide development craze. In Gangwon Province, related research was also actively carried out due to this data accumulation. Recent research trends have been reviewed and future challenges presented. We looked at the period-by-era aspects of the papers published in the journal, and how many archaeological papers centered in Gangwon Province have been published in the national journals. The result was not optimistic. He pointed out that research on Gangwon studies has not spread across the country and is being consumed only in the region. In other words, he stressed the need to study Gangwon Archaeology in the context of the entire Korean Peninsula. I mentioned several tasks in that light. It should be actively reviewed that there is a unique culture such as the site of Cheonjeon-ri in the middle of the Bronze Age. And it reminded us that archaeological careful analysis should precede the debate on national names. It also pointed out that the study of the Three Kingdoms Period was insufficient in Gangwon Province compared to other regions. Of course, although the number of tombs on the Korean Peninsula is significantly smaller than in other areas, the tombs of Goguryeo, Baekje, and Silla are distributed in Gangwon-do, and their burial grounds were also constructed from wooden tombs to stone tombs and transverse blood dining rooms. Therefore, it was thought that it would be possible to clearly reveal the identity of the ancient Gangwon Province by carefully analyzing ancient tombs distributed in Gangwon Province and tracking the changes. We expect a lot of up-and-coming researchers to work on these challenges. 강원도의 고고학조사는 1912년 關野貞과 谷井濟一에 의한 강릉 하시동고분군 조사 이래 약 100년 정도 지나왔고, 특히 1980년대 전국의 개발 열풍과 동반하여본격적인 구제발굴이 시작되면서 많은 고고자료가 쌓여왔다. 그간 강원도에서도이러한 자료 축적에 따라 관련 연구도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이 100년 동안의 연구성과를 다 정리하는 것은 불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의 연구 경향에 대해 검토하고앞으로의 과제를 제시하였다. 학술지에 투고된 논문의 시대별 양상, 그리고 전국 학술지에 강원지역을 중심으로하는 고고학 논문이 얼마나 게재되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결과는 낙관적이지못하였다. 강원고고학 연구가 전국적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지역내에서만 소비되고있는 실정을 지적하였다. 즉, 한반도 전체적인 맥락에서의 강원고고학 연구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러한 관점에서 몇 가지 과제에 대해 언급하였다. 송국리문화로 대표되는 청동기시대 중기에 천전리유적 등의 독특한 문화가 있음을 적극적으로 검토하여야 한다. 그리고 이른바 예맥논쟁이라고 하는 것에서 벗어나 고고학적으로 치밀한 분석이 선행되어야 함을 상기시켰다. 또한 다른 지역에 비해 강원지역에서는 삼국시대에 대한 연구가미진한 점을 지적하였다. 물론, 한반도내 다른 지역보다 고분의 수가 현저하게 적지만, 강원지역내에서는 고구려, 백제, 신라의 고분이 분포하고 있으며 그 매장주체부도 목곽묘부터 석곽묘, 횡혈식석실에 이르기까지 다양하게 축조되었다. 따라서 강원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고분을 면밀하게 분석한 다음 그 변화양상을 추적하는 것을 통해고대 강원지역의 정체성을 명확하게 밝힐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하였다. 이러한 과제를해결하는 방향으로 강원고고학이 나아가야 할 것이며 특히, 신진연구자들의 많이등장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임을 강조하였다.

      • KCI등재

        일본 九州地域 횡혈식석실의 도입 과정 검토

        김규운 중부고고학회 2019 고고학 Vol.18 No.3

        In the Japanese archipelago, the Kyushu area was introduced more than a century before the political center of Kinai, and Kyushu-style a stone chamber spread around western Japan. This has also been explained based on the geographical advantage of being closest to the Korean peninsula. However, although it is clear that transverse blood cubicles were introduced in the late 4th century in the Kyushu area and their origin was sought from the continent, especially the Korean peninsula, there was a lack of explanation as to what shape they were introduced in which region, and the process was reviewed in comparison with the aspects of the Baekje Hanseong period and the introduction of the kinai area. As a result, in the Kyushu area, a stone chamber begins to be built as the elites actively introduce information of new burial concepts, but fail to establish a perfect form and local traditions are added. The pattern is almost similar to the process of introducing a stone chamber in the provinces of Baekje. On the other hand, since Kinai Station placed more importance on the appearance of ancient tombs than on the introduction of unseen burial bodies, and focused on introducing new production technologies from the Korean Peninsula, a stone chamber will be introduced later than the Kyushu area. It is also a big difference from Kyushu area that the introduction of a stone chamber can assume the images of migrants who crossed from Baekje. 일본열도에서는 당시 정치적 중심지인 畿內地域보다 九州地域에서 거의 한 세기 가까이 앞서 횡혈식석실을 도입하게 되고 이후 서일본을 중심으로 이른바 九州系石室이 확산된다. 이는 역시 한반도와 가장 가까운 곳이라는 지리적 이점을 그 근간으로 두고 설명되어 왔다. 그러나 九州地域에서 4세기 후반에 횡혈식석실이 도입되고 그 기원을 대륙, 특히 한반도에서 찾고 있는 것은 분명하나, 어느 지역에서, 어떠한 양상으로 도입되는지에 대한 설명은 부족하였고, 그 과정에 대해 한성기 백제의 양상, 그리고 畿內地域의 도입 과정과 비교하여 검토하였다. 그 결과 九州地域에서는 횡혈식석실이라는 새로운 장제, 묘제의 정보를 수장층에서 적극 도입하면서도 완벽한 형태를 구축하지 못하고 지역적 전통이 가미되면서 횡혈식석실이 축조되기 시작한다. 그 양상은 백제의 지방에서 횡혈식석실을 도입하는 과정과 거의 유사하다. 반면 畿內地域에서는 눈에 보이지 않는 매장주체부의 도입보다는 전방후원분이라는 분형을 중시하고, 또 한반도로부터 새로운 생산기술을 도입하는 것에 치중하였기 때문에 九州地域보다 늦게 횡혈식석실이 도입된다. 畿內地域에서의 횡혈식석실 도입에는 분명 백제로부터 건너온 이주민의 모습을 상정할 수 있는 것 역시 九州地域과의 큰 차이이다.

      • KCI등재

        부여(扶餘) 능산리고분군(陵山里古墳群) 성격(性格)에 대한 재고(再考)

        김규운,양숙자 국립문화재연구원 2016 헤리티지:역사와 과학 Vol.49 No.2

        Royal tombs in Neungsan-ri had been studied several times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era. But, conceiving the general complexion of them is difficult for lack of data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are still insufficient. Thus, necessity of new approach and understanding in Royal tombs in Neungsan-ri are emphasized by the reviewing existing studies and conservation history. The Serial numbers of the Royal tombs in Neungsan-ri has been registered arbitrarily without clear guidelines from Japanese Colonial era until present time. It means previous studies were devoid of consideration for serial number changes. And, research has shown that Royal tombs in Neungsan-ri counts at least twenty, taking No.8 tomb of recent study into consideration. Moreover, in case of eastern tombs it needs changes in the existing perception that Royal tombs in Neungsan-ri consist of only six-tombs because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eastern tombs and central sixtombs considering the burial chamber and lacquered wooden(koyamaki) Coffin. Ultimately, current state of Royal tombs in Neungsan-ri doesn't have authenticity because they had been found and regulated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Consequently, it is required to overall study into entrance to burial chamber and covered burial stone marker and exaggerated mounds, ignored another tombs other than six-tombs in the center. 능산리고분군은 일제강점기에 몇 차례 조사되었으나 아직까지 그 전체적인 양상을 이해하기에는 자료가 턱없이 부족하다. 또한기왕의 조사자료에 대한 분석 자체도 부족하다. 따라서 능산리고분군이 어떻게 조사되었고, 보존되어 왔는지에 대한 검토를 통해능산리고분군을 새롭게 이해하고 접근할 필요성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능산리고분군의 일련번호는 일제강점기부터 지금까지 확실한 기준이 제시되지 않은 채 자의적으로 부여해 왔다. 이는 당시 조사과정에서 일련번호가 어떻게 변하였는지에 대한 검토가 없었기 때문으로 보았다. 그리고 능산리고분군은 현재 정비되어 있는 7기로구성된 것이 아니라 이미 일제강점기에 서쪽부터 3+4+7+5기로 구성되어 있음을 확인하였고, 現8호분의 성과를 더하면 적어도20기로 구성된 고분군임을 제시하였다. 또한 동고분군의 경우, 현실의 규모, 고우야마키로 제작한 목관에 옻칠을 한 공정까지 중앙의 6기와 비교해도 크게 차이가 없는것으로 보면서 6기만을 왕릉군으로 설정해 온 기왕의 인식에 변화가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궁극적으로 현재 정비되어 있는 능산리고분군은 일제강점기에 이미 정비가 완료되면서 원래 가지고 있던 정보를 하나도 표현하고있지 못함을 지적하였다. 현실로 진입하는 입구시설, 호석을 덮어버리고 고대하게 과장된 봉분이 그러하고, 심지어 주위에 다른 고분들이 분명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제대로 된 지표조사 한번 없었던 문제점을 부각시키면서 능산리고분군에 대한 전반적인조사가 필요하다고 결론지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