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프레임동영상의 근실시간 센서모델 보정시스템 개발 및 성능분석

        권혁태,고진우,김상희,박세형,Kwon, Hyuk Tae,Koh, Jin-Woo,Kim, Sanghee,Park, Se Hyoung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 2018 한국군사과학기술학회지 Vol.21 No.3

        Due to the increasing demand for more rapid, precise and accurate geolocation of the targets on video frames from UAVs, an efficient and timely method for correcting sensor models of motion imagery is required. In this paper, we propose a method to adjust or correct sensor models of motion imagery frames using space resection via image matching with reference data. The proposed method adopts image matching between the motion imagery frames and the reference frames which are synthesized from reference data. Ground or reference control points are generated or selected through the matching process in near real time, and are used for space resection to get adjusted sensor models. Finally, more precise and accurate geolocation of the targets can possibly be done on the fly, and we have got the promising result on performance analysis in terms of the geolocation quality.

      • KCI등재

        사상捨象의 사상화思想化라는 방법

        권혁태(Kwon, Heok Tae) 역사비평사 2012 역사비평 Vol.- No.98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Maruyama Masao, a famous Japanese intellectual/thinker dealt with colonial/nation questions, especially colonial Korea in his investigation of the building and deconstruction of Imperial Japan Maruyama’s personal experience of colonial Korea is extensive as many of his contemporaries in Japan. He witnessed Korean massacre in Kanto Great Earthquake. In addition, he spent part of his military service in Korea’s Pyungyang. His father Maruyama Kanji was a chief Editor of a newspaper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or-general of Korea. Despite such experiences, his theoretical account of colonial Korea is strangely missing, presumably because his theory of fascism fails to explain the question of colony. In other words, Maruyama’s fascism can show how Japanese society was transformed into anti-democratic political system. Yet, it is hard to explain how Japan expanded itself into an imperialistic nation. For him, the most important project was to consolidate democracy, while eliminating fascist elements in postcolonial Japan, leading to ‘the completion of modernity’ In Maruyama’s world, imperialistic expansion did not necessarily contradict the modernity. This explains the reason Maruyama kept silence on the question of colonial Korea. This research shows how his worldview and theory was constrained by eliminating the question. Ironically, Maruyama’s theoretical limitation manifested itself overtly by not answering ‘Chosun’ (Korea) question at all.

      • KCI등재

        1960년대 일본의 사회운동과 "자기부정"의 사상

        권혁태 ( Heok Tae Kwon ) 한국사회사학회 2015 사회와 역사 Vol.0 No.106

        이 글에서는 1960년대 후반부터 1970년대 초중반에 걸쳐 일본사회에서 벌어졌던 오무라 수용소/출입국관리체제 반대투쟁의 사상적 기반을 1960년대 후반부터 학생운동 내부에서 제기되기 시작한 ‘자기부정’ 논리의 확산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엘리트대학생으로서의 ‘자기부정’이 대학생 일반으로서의 ‘자기부정’으로 진화하고, 그리고 일본인으로서의 민족적 ‘자기부정’으로, 급기야는 ‘국가해체’라는 ‘자기부정’ 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과정 끝에 출입국관리체제 반대운동이 자리하고 있었다. ‘자기부정’은 타자와의 관계에서 가해자로서의 자기의 ‘원죄’를 성찰/반성하고, 그 관계를 끊기 위해 자신과 자신이 속해있는 가해자로서의 집단을 해체하는 실천적 행위를 동반한다. 전자는 지극히 개인적인 도덕적 성찰의 문제이고 후자는 지극히 정치적인 문제이다. 개인적인 도덕적 성찰이 바로 정치적 행위의 전제가 되거나 혹은 동시 과정이 되면, 이는 도덕적 엄숙주의로 빠질 가능성이 크다. 이 시기에 벌어졌던 출입국 관리체제 반대운동이 도덕적 엄숙주의와 관념주의에 빠져 급진화될 수밖에 없었던 것은 이 운동의 바탕에 ‘자기부정’의 논리가 강하게 자리 잡고있었기 때문이다. 이 같은 ‘자기부정’의 논리가 출입국관리 반대 운동의 철학적 배경으로 작용하게된 것은 일본 사회에 이른바 ‘망명권(亡命權)’과 ‘망명권(亡命圈)’이 동시에 부재했기 때문이다. ‘망명권(亡命權)’은 외부로부터의 망명자가 합법적으로 거주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하며, 망명권(亡命圈)은 망명자를 보호할 수 있는 비합법적 생활공간을 뜻하는데, 일본 사회에는 망명자에 대한 합법적 보호 장치도 없었고 망명자가 머물 수 있는 비합법적 생활공간도 존재하지 않았다. 즉 일본의 전후 민주주의는 이 두 가지 망명권의 부재를 구성요소로 삼고 있었다. 따라서 출입국 관리 반대운동은 ‘자기부정’의 논리에 입각해 국가 권력(전후 민주주의)에 대한 해체운동으로 치달을 수밖에 없었던 것이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e movement for the deconstruction of Omura Immigration Center/Immigration Center, noting the proliferation of self-denial trend in the student movement in Japan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 1960s ~ mid 1970s. The movement against the immigration control system was in association with the self-denial as elite college students, as a member of the nation, and led finally to a radical idea of the dissolution of state. The self-denial is to reflect on one’s original sin as a attacker in relation to others. And it leads to the dissolution of attacker group to which he/she belongs to. The former is a question of personal moral reflections, the latter very political problem. If personal moral reflections become a premise of political action, it is likely to be trapped in somber moralism The radicalization of the movement abovementioned was due to the logic of self-denial based on strong moralism and abstract ideas. Thus, the logic of self-denial became the philosophical foundation of the movement The major reason for that was the absence of exile rights and exile space in Japan at that time. In Japan, there was neither legal protection for those who choose to exile nor legal space for them to lead a daily life. Post-war democracy in Japan was, in part, association with the absence of these exile right and space. Thus, this is why the movement against the immigration control system became trapped in the movement for the deconstruction of state power - post-war democracy.

      • KCI등재

        선린학생회관과 중일관계

        권혁태(Kwon, Heok-Tae) 한국중국현대문학학회 2012 中國現代文學 Vol.0 No.60

        This article is to examine various conflicts among Japanese and Chinese governments and Japanese Communist Party over the ownership and residency right of Zenrin-Gakusei-Kaikan(Japan-China Friendship Center, 善隣學生會館) in Tokyo. The Center was originally established to control and manage Manchurian-Chinese students studying in Japan in the colonial period. Although the facility is a core of Japanese-Chines friendship movement without having resolved disputes over the ownership even after the normalization of the two nations" governmental relations in 1972, there were a series of conflicts between Japanese government and Chinese residents in Japan in 1950s and on the other hand among Japanese Communist Party, Chinese residents, and Chinese Communist Party in the 1960s. My article aims at reconstructing the postwar history of Chinese-Japanese relations over the disputes. I could confirm three premise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disputes. First, the Cold war logics work within the frame of nation-states. Secondly, civilian exchanges between states are to complement governmental relationships, not to lead or transcend them. Thirdly, the international solidarity between Japanese and Chinese Communist parties has been constrained by the logics and frames of nation-states at the expense of internationalism.

      • KCI등재

        강제수용과 병역거부 ―재미 닛케이진과 『노노보이』의 세계

        권혁태(Kwon, Heok-Tae) 역사비평사 2021 역사비평 Vol.- No.134

        With the outbreak of Pacific War initiated by Japanese sudden attack on Pearl harbor in 1942, U.S. government imprisoned 120,000 Japanese-Americans (Nikkeijin) in ten ‘Relocation Center’ for ’security’ reasons. Starting in 1943, U.S. government reviewed and examined their loyalty to the State and disloyalty to Japan. In other words, the government wanted to question whether they were ‘enemy-benefitting’, 『No-no Boy』, John Ocada’s novel published in 1957 dealt with some Japanese-American draft-resisters who had refused to be loyal to the U.S.A. My article aims to examine and analyze how the forceful internment of Japanese-Americans were related to the issues of citizenship, race, and military service, largely based on the review of Ocada’s novel 『No-no Boy』.

      • KCI등재

        렘 콜하스의 PRADA 공간에서의 유동적 프로그램 특성 연구

        권혁태 ( Hyeok Tae Kwon ),윤재은 ( Jae Eun Yoo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1 기초조형학연구 Vol.12 No.2

        현대건축에서 공간의 용도와 건축가들의 의도에 의해 공간의 구조와 형태가 결정되어지는 기능주의적 프로그램인 모더니즘 건축의 시각에서 벗어나, PRADA공간에서 나타나는 동적, 유기체적 프로그램의 특성과 불확실성의 재해석, 개방적이며 가변적 공간 구성의 프로그램 특성 분석을 통하여 나타난 유동적 프로그램의 특성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속, 불연속의 공간언어가 표현된, 다양성과 적응성의 특징을 가진 가변성(Variability)이다. 둘째, 프로그램의 실제적 움직임의 공간표현인 이동성(Migratory)이다. 이동성은 복합과 형태 변이성을 가지는 공허의 전략으로 설명된다. 셋째, 프로그램의 특성은 일시성(Impermanency)이다. 프로그램의 분해와 통합을 통한 공간의 재해석과 혼합은 이벤트로 설명되고 있다. 넷째, 위치의 등치를 통한 등방성과 공간의 모호함으로 설명 되어지는 비선형성(non-linearity)이다. 이러한 프로그램의 유동적 특성은 OMA/AMO의 프로그램의 전략과 유동적 프로그램의 언어인 1. ``공허(Emptiness)의 전략``, 2. ``공간의 모호성(Ambiguity)``, 3. 위치의 등치(等値)를 통한 ``등방성(Isotropy)``, 4. ``분해(Disassemble)와 통합(Integration)``, 5. ``연속(Continuity)과 불연속(Discontinuous)``의 특징을 내포 하고 있다. 렘 콜하스의 PRADA공간 작업을 통해 나타난, OMA/AMO의 유동적 프로그램의 특성분석은 프로그램의 다양한 측면들에 대한 종합적 탐구, 그리고 그것을 뒷받침하기 위해 동원하는 새로운 건축, 미디어적 이론들의 도입과 시각적, 공간적인 재 디자인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의 방법론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In modern architecture, free oneself from a viewpoint in modernism of architecture in functionalist program which is decided to structure and form of space by spatial use and architectonic intention, analysis of characteristic in fluid program-through analysis of characteristic program of dynamic, organic program characteristic and reinterpretation of uncertain, analysis of characteristic program of open and variable space composition in space of PRADA is following. First, It is variability which has characterized diversity, adaptability expressed continuous and discontinuous language in space. Second, It is migratory expressed by space made by practical movement in program. It is explained by strategy of empty that has complexity and alternation of form. Third, program`s characteristic is impermanency. It is expressed in Event which is a spatial reinterpretation and mixture through a disassemble and assemble with program. Forth, it is non-linearity explained by isotropy and obscurity of space through same of location. These characteristic in fluid program involve in which strategy of emptiness, spatial ambiguity, isotropy of space through same of location, a disassemble and assemble and a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with fluid program language and strategy of OMA/AMO in program. Rem Kolhas`s processing in space of PRADA, analysis of characteristic of OMA/AMO in fluid program can say that it is a synthetic study about various aspects of the program, new using construction to support it, instruction of media theory, and a methodological approach of various programs for visual, spatial a lot of design.

      • KCI등재

        특집논문 : 한국의 일본 언설의 "비틀림" -"객관성"과 "보편성" 문제를 중심으로

        권혁태 ( Heok Tae Kwon ) 한국문학연구학회 2015 현대문학의 연구 Vol.0 No.55

        ``객관적``인 일본연구는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일본연구가 그 형식에서 독립적인 학문영역으로 자리 잡기 시작한 1980년대 이후, ``객관성``이라는 것은 그 내용과 관계없이 일본연구의 앞머리에 붙는 수사(레토릭)로서 흔히 접할 수 있는 열쇳말이다. 하지만 여기서 말하는 ``객관성``은 이른바 ``가치자유적`` 의미라기보다는 오히려 기존의 일본론에서 나타났던 가치목적적 전제에 대한 기계적인 반동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객관성``을 표방한 일본연구는 19세기 이래의 제국주의 질서에 저항해왔던 장기간의 이의제기(``탈식민``)를 물리침으로써 그 질서 위에서 있는 근대화론과 개발주의에 저항할 가능성을 스스로 포기했다고 볼수 있다. 이 글에서는 한일관계의 제도화 시점이라 할 수 있는 ``65년 체제`` 이후, 한국의 일본 언설이 탈(脫)식민과 주체의 형성이라는 과제와 관련해서 어떤 내적 모순, 즉 ``비틀림``의 구조를 내포하게 되었는가를 이른바 ``객관성``의 문제를 중심으로 ``논리적``으로 살펴본다. What does it mean by ``objective`` Japanese Studies?``Objectivity`` is a key word widely used in Japanese studies as a rhetoric since 1980s when the studies began to be regarded as an independent academic field. However, the term ``objectivity`` does not refer to ``value free`` state. Rather it is a reaction to ``value as a goal`` hypothesis in the established Japanese discourse.Japanese studies embodying ``objectivity`` has given up a possibility of countering the modernization theory and developmentalism by disregarding long-term project against imperial order (postcolonial project) since the 19th century. In this context, I``d like to examine internal contradictions in Korean discourses on Japan since the formation of ``1965 Korea-Japan system``, that have attempted to formulate post-colonial projects and subjects, centering on ``objectivity`` and ``universality``.

      • KCI등재
      • KCI등재

        4월혁명의 국제적 파장과 ‘반란’의 1960년 : 일본의 안보투쟁과 터키의 5월정변과의 비대칭적 인식을 중심으로

        권혁태 ( Kwon Heok-tae ) 민족문학사학회·민족문학사연구소 2020 민족문학사연구 Vol.73 No.-

        이 글에서는 1960년의 ‘4월혁명’을, 동일한 시간대에서 발생한 일본의 ‘안보투쟁’ 및 터키의 ‘5월정변’과 관련시켜, 각각의 사건의 주체들이 상대방을 어떻게 ‘의식’하고 어떻게 ‘소비’했는지를 밝혀냄으로써 4월혁명의 파장을 국제적 맥락 속에 자리매김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국의 군사동맹체제에 긴박되어 있는 한국/일본과 터키에서의 학생 반란은 의도와 관계없이, 미국 등에게는 ‘탈미’의 움직임으로 해석되어 미국 중심의 세계체제를 뒤흔드는 위기의 사건으로 받아들여졌다. 중국 등은 이를 일련의 반미제국주의 투쟁으로 자리매김하고 이를 미국 중심의 세계질서를 뒤흔드는 절호의 기회로 해석하였다. 일본정부와 보수층은 4월혁명을 한일관계 개선을 통한 집단적 안보체계의 디딤돌로 보면서도, 이 같은 흐름이 일본으로 ‘전염’될 것을 우려해 4월혁명에 폭력과 혼란이라는 낙인을 찍음으로써 이른바 ‘일본의 한국화’를 막으려 하였다. 반면, 안보투쟁의 당사자들은 한편에서는 4월혁명의 반독재 반공 노선을 애써 반미/반제 노선으로 ‘억지로’ 꿰맞추거나 침묵을 했고, 다른 한편에서는 반공 노선의 뒷면에서 다른 이념적 지향성을 읽어내려 했다. 이에 대해, 4월혁명의 당사자들은 이승만의 친공/친일 낙인찍기를 피하기 위해 안보투쟁에 대한 언급을 자기 검열했고, 언론들은 ‘열린 정치공간’에서 좌익적인 안보투쟁이 한국 학생들에 줄 영향을 차단하고 4월혁명 이후에도 반공이라는 정체성을 지켜나가기 위해서 안보투쟁의 폭력성/급진성을 부각시키고, 미일안보조약을 적극 찬성해나갔다. 그 과정에서 기시로 대표되는 전쟁 책임 문제는 후경화되어 간다. This article aims to understand South Korea’s 4·19 Revolution in the international context of the Cold War; the major purpose of my research is to highlight 4·19 revolution, comparing ‘Security Struggle’ in Japan with the May uprsing in Turkey, all led by university students in 1960. In detail, my bottom line is to reveal how the subjects of the three political uprisings of the same year conceived each other and how they utilized others’ positions. The U.S. government and many of its Western allies, and mainstream media regarded the three uprisings led by young college students as anti-American movements, And they were afraid that the rebellions would break up the U.S.-led world system, signaling the beginning of new worldly crisis. On the other hand, China and the Soviets discovered anti- U.S. & anti-imperialist messages that would rock up the U.S.-centered world order. Many discourses on the April Revolution in Korea noted Japan’s anti-dictatorial position in common. Yet they tried to distinguish themselves from Japanese uprising led by students that were presumably pro-communist and anti-American. For South Korean students at that time were very afraid of being named ‘commies’, which might have brought cruel punishment and deprived them of their just cause. Japanese struggles, according its student leaders, were neither anti-communist nor pro-U.S. Rather, they aimed to discard and abolish U.S.-Japan Security Alliance while emphasizing and exaggerating the anti-imperialist character of South Korea’s revolution and of Turkish upris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