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개선입법방안 -「세무사법」 제6조제1항 등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 사례연구-

        권태웅,송정은 법제처 2020 법제 Vol.688 No.-

        이 글은 헌법불합치결정의 유형과 성질 및 효력을 살펴보고, 최근의 「세무사법」 제6조 등의 개선입법과정을 중심으로 심판대상조항의 선정 및 명확성 문제 등 논란의 원인을 분석한 후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입법방식과 개선점을 제언하고 있다. 헌법재판소의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세무사법」 제6조 등의 개정과정에서 입법재량의 범위, 입법시한이 경과할 때까지 개선입법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세무대리 등록제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대한 논란이 발생하였고, 향후 헌법불합치결정에 따른 개선입법 시 유의할 점 등의 도출을 위해 「세무사법」에 대한 헌재결정을 중심으로 관련 쟁점을 검토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세무사법」에 대한 헌재결정의 핵심은 세무사 자격 보유 변호사에게 세무사로서의 업무를 일체 수행할 수 없도록 한 것은 과잉금지원칙 위반으로서 직업선택의 자유를 침해한 것이라는 점이며, 이에 따르면 원칙적으로 세무사 자격 보유 변호사에 대해 모든 세무대리업무가 허용되어야 하나, 전문성과 능력의 정도를 판단하여 업무영역의 일부를 제한할 수는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개선입법 시 심판대상조항 자체를 개정대상으로 삼는 것이 원칙이지만, 「세무사법」의 사례처럼 표면적으로 개정할 사항이 없거나 입법자가 위헌상태를 실질적으로 해소할 수 있다면 심판대상조항과 체계적으로 긴밀히 연결된 관련 조항의 개정도 개선입법의 범주에 포함시킬 수 있다고 본다. 개선입법시한이 경과한 후라면 입법 공백을 메우기 위한 개선입법의 소급적용을 검토하면서, 종전 등록자의 지위를 제도적으로 인정해주는 방안을 함께 강구하면 될 것이다. 다만, 헌법재판소의 결정취지가 “세무사 자격을 갖춘 변호사의 등록절차를 마련하지 않은 입법부작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반적인 세무대리 등록 근거규정인 「세무사법」 제6조제1항 자체를 심판대상조항으로 삼은 결과 등록을 전제로 하는 제도들의 유효성 여부, 등록제도 자체 폐지 여부 등의 논란을 야기하였는바, 부진정 입법부작위에 관한 헌법불합치결정을 하는 경우 심판대상조항을 의미적으로 한정하여 표시하는 등 헌재결정문의 명확성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 KCI등재

        A Network Packet Analysis Method to Discover Malicious Activities

        권태웅,명준우,이준,김규일,송중석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2022 Journal of Information Science Theory and Practice Vol.10 No.-

        With the development of networks and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network devices, the number of cyber attacks targeting themis also increasing. Since these cyber-attacks aim to steal important information and destroy systems, it is necessary to minimizesocial and economic damage through early detection and rapid response. Many studies using machine learning (ML) and artificialintelligence (AI) have been conducted, among which payload learning is one of the most intuitive and effective methods to detectmalicious behavior. In this study, we propose a preprocessing method to maximize the performance of the model when learningthe payload in term units. The proposed method constructs a high-quality learning data set by eliminating unnecessary noise(stopwords) and preserving important features in consideration of the machine language and natural language characteristics ofthe packet payload. Our method consists of three steps: Preserving significant special characters, Generating a stopword list, andClass label refinement. By processing packets of various and complex structures based on these three processes, it is possible tomake high-quality training data that can be helpful to build high-performance ML/AI models for security monitoring. We prove theeffectiveness of the proposed method by comparing the performance of the AI model to which the proposed method is appliedand not. Forthermore, by evaluating the performance of the AI model applied proposed method in the real-world Security OperatingCenter (SOC) environment with live network traffic, we demonstrate the applicability of the our method to the real environment.

      • KCI등재

        위임입법의 한계와 법령정비기준

        권태웅,서보국 한국법제연구원 2020 법제연구 Vol.- No.59

        This article examines the limitation of delegated legislation under the provisions of Article75 and Article 95 of the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intended to consider roomfor legislation innovation. It is practically impossible to formulate all policies solely by theLegislature and the same can be said of legislation as policy means. Article 75 and Article95 of the Constitution work as a legal basis and limitation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whichis introduced as a legal form therein. In particular, principle of non-blanket-delegationcalling for “delegat[ion] with the scope specifically defined”(Article 75) may be regardedas a command of an instruction to the Legislature(the National Assembly) making Actscontaining a basis of delegation to administrative legislation. The Executive branch which has a responsibility to enforce Acts enacted by theLegislature should establish rules and regulations even if a provision thereof is unclear orambiguous. And then a clear and specific legal basis should be made in an Act throughlegislation innovation. In addition, two step test in accordance with the Chevron deference(1st step: De novoreview, 2nd step: reasonableness review) hold by the U.S. Supreme Court can be referredto as main standard of judicial review in order to check legality and justification ofadministrative legislation. Particularly, the 2nd step review of the Chevron test will beuseful to make delegated regulation if a provision of an Act is unclear or ambiguous; orgeneral empowerment clause is prescribed. According to Supreme Court of Korea and Constitutional Court of Korea, the concretenessand clarity of a certain provision shall be determined organically and systematically bycomprehensive view on the whole provisions of related laws, not by the provision only. Thatis, it is sufficient for anyone can predict contents of a subordinate provision roughly in viewof ground provision(s) of delegation in a parent law. Delegationto the Presidential Decree, the Ordinance of the Prime Minister, the Ordinance of theExecutive Ministry is a principle of the Constitution. Furthermore, Delegation to theadministrative rules is also allowed. Provisions without legality or justification, e. g. a provision changing substantive contentsof parent law without legal basis therein, a provision deviating from delegation range, aprovision contradictory to the purpose of parent law, and a provision in conflict withcontents of parent law, should be improved. A parent law may be revised in order to setup a basis of delegation to a subordinate statute if it is necessary to maintain the policysystem of the subordinate statute. 의회에서 모든 정책결정을 하기는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그 정책이 법령으로 표현되는입법행위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헌법은 제75조와 제95조에서 행정입법을 법형식의 하나로서 소개하고 있는데, 이들 규정은 행정입법의 근거이자 한계로 작용한다. 특히, 제75조의“구체적으로 범위를 정하여 위임”하라는 포괄위임입법금지원칙은 위임근거법률을 제정하는입법자(국회)에 대한 명령으로 볼 수 있다. 대법원과 헌법재판소는 법률의 위임근거조항과 다른 규정들을 유기적․체계적으로 검토하여 위임의 구체성․명확성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는 입장으로 누구든지 법률을 통하여 위임입법으로 정할 사항의 대강을 예측할 수 있으면 족하다고 본다. 한편, 미연방대법원에서 확립한 Chevron원칙에 따른 2단계 심사(1단계 De novo review, 2단계 reasonablenessreview) 방식은 행정입법의 적법성 및 정당성에 대한 사법적 확인을 위한 주요 기준이 될수 있다고 보는바, 위임근거법률의 규정이 명확하지 않거나 일반조항으로 규정된 경우에는위임입법 마련 시 Chevron 2단계의 합리성 심사를 참고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법률만의 해석으로 집행이 원활히 되지 않는 상황이라면 행정부에 대한 입법적 위임이 다소 모호한경우라 하더라도 행정입법을 통하여 제도를 합리적으로 보충할 수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하고,그렇게 보충된 행정입법은 존중되어야 할 것으로 본다. 행정부 입장에서는 의회제정법률을 집행할 의무가 있으므로 법률에서 다소 모호한 위임근거조항을 두었더라도 일단 그 상태에서 이미 만들어진 법률을 전제로 위임명령을 마련해야 한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법률로 충분히 표현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 행정입법을 통해채움으로써 정책의 완결성을 추구하다 보면 다소 무리하게 보이는 하위법령이 입법되기도한다. 법률의 적극적 해석을 통해서도 하위법령의 정합성을 확보하기 어렵다면 법령정비를통해 바로잡아야 할 것이다. 모법의 근거가 없이 모법에 규정된 실체적 사항을 변동시키는 규정, 위임범위를 벗어난규정, 모법의 취지에 맞지 않거나 상위법령의 내용과 충돌하는 규정은 정비대상이 된다. 하위법령의 제도가 필수적인 것으로 인정되면 모법에 하위법령에 대한 위임근거를 “구체적으로 범위를 정하여” 규정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법률의 위임규정과 하위법령의 수임규정의문구를 통한 형식적 연결성은 물론 권리․의무의 변동과 관련되는 사항에 대해서는 내용적 측면에서도 법률과의 연결성이 확보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 관여의 근거와 한계

        권태웅 한국법제연구원 2019 법제연구 Vol.- No.57

        The present paper investigates the bills to enhance parliamentary control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proposed in the 20th Assembly and seeks appropriate measures to set up a cooperative system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Executive in the field of legislation. Direct parliamentary control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is derived from the obligation of the Executive to send administrative legislation to the National Assembly introduced in 1997, which has been changed into parliamentary examination of the Presidential Decrees and the Ordinances of the Prime Minister and the Ordinances of the Ministries in 2000. Consideration on whether the National Assembly may actively demand for revision, modification, or change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has to be based on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such as the separation of powers, and the identity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Although administrative legislation is secondary source of laws based on parliamentary legislation and its limitation is variable depending on the scope of delegation thereof, it retains inherent identity. The Executive has the right to enact supplementary norms for parliamentary legislation in its delegated scope or as a way of enforcing it. The legislative branch, the executive branch, and the judicial branch shall not permitted to take direct charge of the affairs which belong to the others respectively beyond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checks and balances. The right to demand for revision, modification, or change of administrative legislation may encroach on the right of the Executive since it is the same as the National Assembly makes administrative regulations directly. For example, contents of a Presidential Decree will be changed according to the result of parliamentary examination. In addition, it may encroach the authority of judicial review by establishing a new type of control which is not provided for under the Constitution. It also causes problems of evading a legislative procedure including presidential veto.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irm cooperative relationship for legislative efficiency and legality between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Executive away from surveillance and strict control in order to realize the principles of democracy and rule of law.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의 직접적 관여는 1997년에 도입된 행정입법의 국회송부제도에서시작되어 2000년 행정입법 검토제도를 거쳐 지금까지 유지되고 있다. 그 동안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의 실질적 통제력을 확보하기 위한 국회법 개정안들이 다수 제안된 바 있다. 2015년에는 법률의 취지나 내용에 합치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행정입법에 대한 국회 상임위원회의 수정․변경요청권과 중앙행정기관장의 처리 및 결과보고의무를 규정한 국회법 개정안에 대하여 정부의 행정입법권과 법원의 사법심사권을 침해하여 위헌 소지가 있다는 등의 이유로 대통령의 재의요구가 있었다. 20대 국회에서도 국회(상임위원회)의 행정입법 수정․변경요구 내지 시정요구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국회법 개정안들이 다수 계류되어 있다. 국회가 행정입법에 대하여 적극적으로 수정ㆍ변경 요구를 할 수 있는지에 관한 검토는 권력분립 등 헌법원칙과 더불어 행정입법의 독자성에서 출발해야 한다. 행정입법은 의회입법을 전제로 한 제2차적 법원이고 그 범위 또한 법률의 위임 내용 등에 따라 가변적이기는 하지만, 집행권에 속하는 것으로서 독자성을 갖는다. 위임명령의 경우 위임된 영역에서, 집행명령의 경우 집행의 일환으로 정부의 규범 보충권한이 발생한다. 규범적 근거의 시원성과 규범정립작용의 독자성은 구분되어야 할 것인바, 권력분립의 관점에서 볼 때 입법ㆍ집행ㆍ사법의 각 영역을 담당하는 국가기관이 서로 다른 기관의 소관사항에 대하여 견제와 균형을 넘어서서 직접 담당하는 것은 위헌의 소지가 있다. 국회의 행정입법 수정ㆍ변경 요구권은 국회의 검토 내용에 따라 행정입법의 내용이 바뀌게 되므로 행정입법권을 국회가 직접 행사하는 것과 마찬가지여서 정부의 권한을 침해할 소지가 있다. 또한, 헌법이 예정하지 않은 국회의 통제권한을 신설함으로써 사법부의 행정입법 심사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으며, 위임규정의 해석을 통하여 대통령령 등을 변경하게 되므로 법률의 입법절차를 회피하고 대통령의 재의요구권을 침해하는 문제가 생긴다. 종래의 통제적 관점에서 벗어나 법률과 행정입법이라는 양대 수단을 가지고 민주주의원리 및 법치주의원리를 구현하기 위한 국회와 정부 간 협력적 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