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테헤란로 오피스빌딩 입면유형에 따른 전기에너지사용량 특성

        권주현(Kwon, JooHyeon),노원채(Roh, WonChae),김지영(Kim, JiYoung),오준걸(Oh, JoonGul) 인천연구원 2021 도시연구 Vol.- No.20

        본 연구의 목적은 테헤란로 내 오피스빌딩의 전기에너지사용량을 연면적, 방위에 따라 분석하여 입면유형에 따른 전기에너지사용량 특성을 밝히고, 연관 관계를 추론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다음과 같다. ①테헤란로에 위치한 오피스빌딩의 입면유형을 분류한다. ②전기에너지사용량 분석에 적합하지 않은 건물을 제외, 총 63개의 오피스빌딩의 분석한다. ③입면유형에 따른 연간 평균 전기에너지사용량을 비교한다. ④오피스빌딩의 연면적과 방위에 따른 전기에너지사용량을 비교, 입면유형과 전기에너지사용량의 연관관계를 도출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입면유형에 따른 전기에너지사용량은 하이브리드 입면이 가장 큰 감소폭을 가진다. 둘째, 연면적에 따른 전기에너지사용량은 중>소>대규모 순이며, 소, 대규모에서 부분커튼월, 중규모에서는 하이브리드 유형이 가장 효율적이다. 셋째, 방위별 전기에너지사용량은 남향의 오피스빌딩이 북향에 비해 적으며, 커튼월은 북향과 남향의 전기에너지 사용량이 약 32%의 차이를 보인다. 본 연구의 한계는 연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창면적비를 제외하고 입면유형에 초점을 맞춰 연구를 진행하여, 창면적비에 대한 전기에너지사용량을 주제로 하는 후속연구 또한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lectric energy consumption (EEC) of office buildings in Teheranro according to the gross floor area and orientation to EEC characteristics as per the elevation type. The research method is as follows: 1) Classifying the types of elevation of office buildings located in Teheran-ro 2) Analyzing a total of 63 office buildings, excluding ones that are not suitable for analysis 3) Comparison of the annual average EEC according to elevation type 4) The EEC was compared according to the gross floor area and orientation of the office building, deriv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 elevation type and EE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ybrid elevation exhibits the largest decrease. Second, the EEC according to the gross floor area is small in the order of medium, small, and large scale. Third, regarding the elevation type by orientation, the south-facing office buildings have less EEC than the north-facing buildings, and among the elevation types, the north-facing EEC and the south-facing EEC of the curtain wall are approximately 32% different. The limitation of this study is that it focuses on the elevation type, including the window to wall ratio, which can affect EEC in the future.

      • KCI등재

        마음챙김과 음악치료의 통합적 적용을 위한 비판적 해석 종합

        권주현(Ju-Hyun Kwon),이상은(Sang-Eun Lee) 한국예술심리치료학회 2023 예술심리치료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국내외 음악치료 분야에서 마음챙김을 주제로 발표한 문헌들을 분석하여, 마음챙김과 음악치료의 통합적 적용을 위해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2년부터 2021년까지의 국내외 음악치료 분야에서 이루어진 선행연구 10편의 마음챙김의 정의와 이론적 근거, 사용된 음악 중재 그리고 마음챙김과 음악치료의 공통요소에 대해 비판적으로 해석하여 자료를 종합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첫째, 마음챙김을 적용한 음악치료에서 마음챙김의 정의는 2편을 제외하고 모두 상이하였으며, 이론적 근거 역시 다양하였다. 둘째, 마음챙김을 적용한 음악치료의 중재 방식은 삶의 질 향상이라는 목적을 가지며, 다양한 방법으로 적용되었다. 셋째, 마음챙김과 음악치료는 부정적 정서 낮추기, 삶의 질 높이기, 지속적인 반복과 연습을 통한 변화 유도하기라는 세 가지 공통요소가 있다는 것이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마음챙김과 음악치료의 통합적 적용을 위해 비판적으로 검토함으로써 마음챙김을 적용한 음악치료 연구의 기초를 제시하였으며, 임상 적용에 기여할 수 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literature published on mindfulness in domestic and foreign music therapy fields and critically review for the integrated application of mindfulness and music therapy. In 10 previous studies on music therapy conducted in Korea and overseas from 2012 to 2021, the definition and theoretical basis of mindfulness, musical intervention, and common elements of mindfulness and music therapy were critically interpreted and synthesized. As results, first, the definitions of mindfulness used in the studies of music therapy based on mindfulness was different except for two studies, and the theoretical basis was also diverse. Second, the purpose of musical intervention was ultimately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and has been applied in various ways. Third, there were three common elements: reducing negative emotion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and inducing the change through continuous repetition and practice. Therefore, this study provided the basis for studying music therapy based on mindfulness as critically examining the integrated application of mindfulness and music therapy, and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contribute to clinical application.

      • KCI등재
      • KCI등재

        통일신라시대의 食文化 연구

        권주현(Kwon Joo Hyeon) 한국고대사학회 2012 韓國古代史硏究 Vol.0 No.68

        신라 통일은 식문화에도 많은 변화를 가져왔으니, 고구려고지 일부와 백제고지 즉 서해안과 북부지역에서 나는 각종 토산물이 신라의 중심인 경주로 유입되면서 각종 요리에 사용될 수 있는 식재료의 가짓수와 양이 증가했으며 백제?고구려 유민에 의한 식문화 유입이 있었기 때문이다. 『三國史記』 직관지에 나오는 식문화 관련 직관을 찾아서 정리해 보면, 24개 직책에 관리 총인원은 104명이 되는데 이들은 왕과 왕족들의 식사를 비롯하여 각종 의례와 연회 등의 식사와 의식을 담당했다. 이를 위해서 수취체제를 정립하고 지역별 특산물을 파악하여 각종 식재들을 공급받았다. 각 지방도로와 경주에서 뻗어나간 주요 간선도로는 식재가 이송되어 들어오는 통로이기도 했다. 통일신라인들이 섭취한 식재는 고고발굴자료를 통해서도 알 수 있는데 제사의례의 희생으로 바쳐진 동물의 유체와 함께 역시 의례행위로 넣어진 나뭇가지들은 당시의 식생과 함께 식재의 종류를 그대로 보여준다. 문헌기록에서도 갖가지 식재를 볼 수 있거니와, 신라의 잣, 개암, 복숭아씨, 해조류 등은 중국에까지 알려진 식재였다는 것을 보여준다. 훈채류는 역시 육류의 상식(常食)과 함께 상당히 보편적으로 재배되고 있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한편, 신문왕대 기록에 나오는 米?酒?油?蜜?醬???脯?? 등의 식품은 목간에서 볼 수 있는 助史, 水助史, 汁, 기타 양념류 등과 함께 왕궁의 식생활에서 기본적으로 구비하고 있는 품목들이었다. 안압지에서 출토된 대형 병류와 장군형토기, 단지류 등의 용기는 액체의 저장과 활용이 많았다는 것을 보여주는데, 그 중 소형의 병이나 호 등은 액체 소스나 양념류를 담아 조리에 사용했다고 추정된다. 한편 안압지에서 출토된 식기류 중 다수를 차지하는 沈種의 그릇들은 濕食을 주로 하는 식생활에서 유용해 보이는 그릇들이다. 그 외의 크고 작은 접시류는 다양한 요리와 찬을 식사 때마다 구비했으며 소량 다종으로 만들어서 담았다는 사실을 말한다. 취사기 등 조리용 도구는 전체 유물에 비해 극소량에 지나지 않으며 철제솥이나 철제초두가 보이지 않는다. 이는 신라멸망과 함께 대량 반출되었을 가능성과 조리취사장소가 현재 발굴되어 있는 건물지 바깥에 있었을 가능성을 생각해 볼 수 있다. The Unification of Silla effected many change on the Dietary-culture. Various indigenous products from theWest Coast area (previous Baekje territory) and the Northern area (previous Goguryeo territory) flew into the Gyeongju, the Center of Silla, and consequently the number and quantities of ingredients which could be used for a variety of cuisine increased. This was due to the inflow of Dietary-culture by the migrants from Baekje and Goguryeo. When checking Dietary-culture Officials on the Career Official Records(職官志) of Samguksagi, there were twenty-five(24) positions and one hundred and four(104) servants who took charge of Meals, Ceremonies and Parties for the King and Royal families. For these, they set up product collecting systems, identified the kinds of indigenous products by regions and got a supply of those ingredients. The Main Roads from the Gyeongju and various Local Roads had a role of path for ingredient transportations. Ingredients of Unified Sillalians can be seen from Archaeological dig Materials. Animal bodies sacrificed for Ceremonial rituals and Branches of trees inserted as Ceremonial activities showed the Dietary life of Sillalians and kinds of ingredients at that time. Literature Sources also present various ingredients and reveal that Pine nut, Hazelnut, Peach pit and Seaweeds etc. of Unified Silla were the ingredients which known to the China. It also can be seen that Smelling vegetables(훈채류) were quite widely planted together with daily food of meat. On the other hand, the ingredients as Rice, Liquor, Oil, Honey, Jaang(醬), Si(?), Po(脯) and Hae(?), those described in the records at the age of Shinmun-King, were fundamental items for the food life of the royal palace together with Chosa(助史), Sujosa(水助史), Zup(汁), and other spicery ofMokgan(목간). Big bottles, Earthwares Shapped Janggun(장군) and Jars excavated from the Anabji(안압지) reveals that there were a lot of usages and storages of liquids, and above all small Bottles and Danji(壺) are estimated to be used in the cookery by putting liquid sources or spicery on them. Soaking bowels which occupy majority of the dinnerware excavated from the Anabji seem to be useful for the life having mixed food. Other big and small dishware from Anabji explains that various cuisine and side dishes were prepared at every mealtime and a variety of foods were put on the dishes in small quantities. However, tools like cooking utensil were found just a few compare to whole relics, and even Iron caldron and Iron Chodu(?斗) were not found at all. This infers that there were possibilities of mass outflow of such relics with collapse of Silla, or possibilities if the cooking places locate outside of presently excavated building area.

      • KCI등재

        『三國遺事』 處容郞望海寺條를 통해서 본 新羅下代의 樂

        權珠賢(Kwon Joo Hyeon) 한국상고사학회 2007 한국상고사학보 Vol.57 No.-

        한국고대의 악에 관해서 기록하고 있는 『三國史記』 樂志에는 「伎樂」이라는 용어가 따로 나오지 않고 있다. 일본의 경우 고대부터 연행되었던 기악에 관한 기록과 유물이 많이 남아 있으며, 현대에 와서도 다양하게 연행되고 있는데, 이 일본의 古代伎樂은 韓半島에서 전래되었다고 전한다. 하지만 한국고대 기악이 어떤 모습으로 연행되었는지, 어떠한 필요에 의해 행해졌으며 그 사회적 기능은 어떠했는지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본 연구는 ‘한일 고대 악문화에 대한 비교연구’의 첫 단계로서 『三國遺事』 처용량 망해사조에 나타난 신라의 공식적인 제사의례에서 행해진 기악에 관해서 살펴본 것이다. 『三國遺事』의 서술내용이 그렇듯이, 「처용랑망해사」조도 ‘사실’과 ‘설화’가 뒤섞여 있다. 즉, 4개의 설화가 삽화로 들어가 있으며, 각각의 삽화는 춤과 노래 또는 연극적 요소로 구성된 기악이었으며, 그 무대는 신라의 제사의례가 행해진 곳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기악을 주관한 사람은 급간의 직위를 가진 음성서의 최고 직책인 ‘卿’이 맡았고, 이들은 제사의례 때 음악을 담당하는 사람이었다. 등장인물 중 하나인 처용은 화랑이었으며, 노래와 춤으로 재액을 물리치는 능력을 가진 무당과 같은 존재였으며, 헌강왕에 의해 국가공식악의 주관자로 등용된 것이었다. 신라의 기악을 병을 치료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 이해되었으며, 왕의 권위를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도 이용되었다. 기악은 고대사회의 안정과 통치를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하였으며, 정악(正樂)과 마찬가지로 정치 이데올로기적인 것이었다. 기악이 많이 행해졌던 헌강왕대는 ‘태평성대’였다는 것을 여러차례 강조하고 있다. 그런데, 이 시기는 왕권이 약해지고 政治·社會的으로 모순이 노출되는 ‘신라하대’시기였다. 따라서, ‘태평성대’라는 말의 강조는 역설적인 것이며, 국내외의 불안을 기악을 자주 행함으로써 해소하려고 했던 것이었다. 『三國遺事』 악지에 이러한 기악에 관해 정식으로 기록하지 않은 것은, 찬자인 김부식이 기악을 정악과는 구분해서 속된 악으로 보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와 같이 신라하대에 성행했던 기악은 춤, 노래, 연극이 어우러진 종합적 형태의 악이었다. 이점은 신라중대에 많이 성행했던 정악과는 일정한 차이를 보이는 점이기도 하다. In the book "Samkuksagi(三國史記)“ there are information about the music of Silla(新羅) dynasty, but none about the Giak(伎樂). However, in Japan there are documents and materials of the Giak, and it is performed occasionally. This Giak in Japan is from Korean peninsula. Little is known about the way, the reason and the social functions of the Silla Giak. This research is the first step of "Comparative Study of Korea vs. Japan Ancient Music Culture" focusing on the Giak in worship ceremonies of Silla dynasty revealed in the "Cheoyongrang Manghaesa(處容郞 望海寺)" Clause of "Samkukyusa(三國遺事)", As is "Samkukyusa", the narratives of "Cheoyongrang Manghaesa" also were composed of fiction and nonfiction. To be specific, it had four fictions as inserted stories and each inserted story was Giak consisting of dances, songs, and plays. The place of the performance was the place of Silla's worship ceremonies. The program directors were Gyong(卿), the chiefs of Music Department(Eomsungseo, 音聲暑). They belonged to the class of geobkan(級干), and played the musical role in worship ceremonies. One of the characters, Cheoyong(處容), was a Hwarang(花郞), and considered to be an exorcist to beat off the misfortunes by singing and dancing. He was appointed to the chief of the Music Department by the King Hungang(憲康王). The Silla Giak was considered to cure the diseases and used to reinforce the authority of the Kings. As Giak played an important role to stabilize and control the ancient society, it was political ideology as was Jeongak(正樂). The era of King Hungang, when Giak was performed numerously, "a reign of peace" was stressed many times. However this was the later period of Unified Silla when the power of King was reduced and the political and social conflicts were exposed. Therefore the emphasis of "a reign of peace" was paradoxical, and the habitual performance of Giak was to appease the uneasiness of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There are no official record of Giak in the "Akji of Samkuksage(三國史記 樂志)”, which tells the writer Busik Kim(金富軾) considered Giak as the antithesis of Jeongak and was vulgar. In sum, the Giak flourished in the later period of Unified Silla was total form of music consisting of dances, songs, and plays. This is the very difference of the Jeongak performed in the middle period of Unified Silla.

      • KCI등재

        신라의 발효식품에 대하여

        권주현(Kwon Joo Hyeon) 한국목간학회 2014 목간과 문자 Vol.12 No.-

        본 논문은 통일신라의 발효식품을 목간을 통해 새롭게 판독하여 살펴본 것이다. 먼저, 신문왕대 기사에 나오는 신라의 醬과 ?를『제민요술』에 나오는 제조법을 참고하여 살펴보았다. 장을 만드는 메주는 덩어리로 만드는 것이 아니라 소금과 누룩을 넣어 항아리 안에서 발효시킨 알갱이 상태였다. 장과 관련된 자료로 목간 197호는 기존에는 ?의 의미인 ?으로 읽혀졌으나 酉가 아랫부분에 자리잡고 있어 □(醬)자일 가능성이 높아 장을 발효할 때 사용되었던 목간이라고 추정했다. 이 목간은 다른 발효식품 목간과는 달리 주술적인 목적으로 꽂아 사용했으며, 장이 잘 만들어지기를 바라는 문구가 쓰여졌을 것으로 추정된다. 장을 만들 때 간장을 우려내는 작업은 정창원 문서에서 확인할 수 있으며 196호와 209호에 각각 上汁이 있고 二汁이 있는데, 상즙은 두장에서 가장 먼저 뽑아낸 간장이며, 二汁은 두 번째 뽑아낸 것이다. 이 염즙의 주재료인 소금과 관련하여 목간 185호를 주목해보았는데, 여기에 나오는 발효식품관련 글자는 ?가 아닌 소금을 가리키는 鹽의 古字인□과 가장 가깝다. 따라서 이 목간은 젓갈용이 아니라 소금을 담은 缶에 달았던 부찰이었던 것이다. 한편, ?는 초가집과 문을 막은 발의 짚 속에 있는 균을 이용하여 발효시키고 곡물의 겨를 사용해 다시 숙성시킨 것이다. 발효와 숙성과정에 소금이 들어가지 않는데, 이 점은 장의 제조법과 다른 점이기도 하며 자연균을 이용한다는 점에서는 오늘날의 청국장과 흡사하다. 신라에서의 ?제조법도 볏짚의 납두균 등 자연상태의 균을 이용하여 발효숙성시킨 것을 의미한다고 본다. 한편 젓갈류는 助史와 ?혹은 ?으로 읽히는 것이 있는데, 195호와 216호목간의 글자는 ?의 古字인 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다만 193호는 역시 ?과 비슷해서, 글자형태와 관련해서는 젓갈을 의미하는 또 다른 글자 醯의 속글자가 아닌가도 생각이 된다. 194호목간의 ‘冶’라는 글자는 우리말의 ‘담그다’는 뜻의 한자어이며, 195호와 216호목간의 글자는 ?의 古字인 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193호는 역시 ?과 비슷해서, 이 글자형태와 관련해서는 젓갈을 의미하는 또 다른 글자 醯의 속글자가 아닌가도 생각이 된다. 국립경주박물관부지에서 출토된 소매실은 발효식품의 산미를 가하는데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비로사 진공대사비에 나오는 ‘絶醬’은 肉醬종류로 보았다. ‘안압지’ 남쪽에 위치하고 있는, T-3구와 U-3구 건물과 주변 건물들은 원할한 배수를 필요로 하는 작업이 이루어진 곳으로 동물성 혹은 생선류의 발효저장식품이 만들어졌을 가능성이 있는 건물이다. 안압지 출토 목간에 젓갈류가 한자어와 순 우리말이 함께 쓰인 것은 시기 차이 때문인지 아니면 식품의 종류가 달라서 그런 것인지는 알 수 없다.『 제민요술』에는 ?혹은 醯의 제조법은 나오지 않고 魚?가 나오는데, 생선과 밥을 넣어 발효시킨 것이 오늘날의 식해류와 유사하다. 魚?를 만들 때는 귤껍질이나 산수유열매 등을 사용하여 향이나 맛을 가미하기도 하였다. This study is to search Fermented foods in the Unified Silla era by re-deciphering the Mokkan(木簡) excavated from the Anapji. Firstly, Silla’s Jang(醬) and Si (?) those shown in Samkuksagi(三國史記) at the age of King Shinmoon are examined with reference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n the ‘Jeminyosul(齊民要術)’. Soybean lump to make sauces was not made in blocks but made in granular state that fermented in jar after putting salt and leaven. The No.197 Mokkan(木簡) which related to sauces was previously deciphered as ‘?’ which meaning salted meat (?). However, it is inferred that the No.197 Mokkan was used when fermenting sauces, since the letter ‘酉’ is located at the bottom and thereby it has great likelihood to be Jang(醬). Unlike other fermented food’s Mokkan, it is assumed that the No.197 Mokkan is used by sticking it to the jar for the purpose of shamanistic aspects and there must be written with the sentence wishing the Jang to be well made. The brewing process for making soy sauce can be identified in the document of Shosoin(正倉院). Both the No.196 and the No.209 have a primary juice and a secondary juice. The primary juice is Ganjang(간장) sauce that firstly brewed and the secondary juice is the sauce that secondly brewed. In relation to the salt which consists salty juice, the No.185 Mokkan was closely examined. The letter related to fermented food on this Mokkan is not ? but □which is the archaic form of 鹽indicating salt. Therefore this Mokkan is not a stick for salted meat but a tag attached to the bucket containing salt. Meanwhile, ‘?’ is the seasoning which fermented using bacteria in the straws of blocking blinds or thatched houses and subsequently ripened using bran of grain. During the process of fermenting and ripening processes, salt was not utilized. This is dissimilar to the manufacturing method of sauce but is similar to that of current Rich Soybean (Chenggukjang) from the view point of using natural bacteria. It is judged that the manufacturing method of ‘?’ of Silla is meant to ferment and ripen by using natural state of bacteria such as bacillus natto in the rice straw. With regard to salted meat, there are characters read as ‘?’ or ‘?’. Those characters on the No.195 and No.216 Mokkans are seen to be ‘□’ which is the archaic form of ‘?’. However, for character style, the character on the No.193 Mokkan resembles ‘?’ and thereby is regarded to be a simplified character of ‘醯’ that means salted meat. The Little-plum excavated in the site of the National Kyeongju Museum is might be used to increase acidic taste of fermented food. ‘絶醬’ shown in Birosa Jingongdeasabi(毘盧寺眞空大師碑) is seen to be a sort of meat sauce. The area of the T-3 and U-3 buildings and surrounding buildings, which locates in the southern area of the Anapji, are the place that achieved an activities for smooth drainage. Those buildings are seemed to be produced fermented meats or fishes for storage. The reason why Chinese character and pure Korean words for salted meat were written together in the Mokkans excavated from the Anapji is not clear whether it is due to difference of time or difference of kinds of foods.『 齊民要術』does not show manufacturing methods for ‘?’ or ‘醯’, but describes about salted fish, 魚?, which was fermented with fish and rice together and thereby is similar to current Shikkae(食?). When making 魚?, tangerine peels or cornus fruit used to be added to increase smell of taste of i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