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전병무(Jeon, Byung mo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2 인천학연구 Vol.16 No.-
이 논문은 1930년대 인천부민의 경성지방법원 인천지청폐지반대 및 복설운동을, 폐지배경, 폐지반대 및 복설운동의 전개과정, 주도세력 등을 찰하여, 이 운동이 갖는 역사적 의미와 성격을 분석한 것이다.1931년 겨울 조선총독부의 행정정리 방침에 따라 인천지청이 폐지될 이라는 소문이 돌기 시작하였다. 만약 인천지청이 폐지되면 인천부민은 물론 인천지청의 관할 하에 있던 김포, 강화, 부천군민도 재판행정 관련된 모든 업무를 서울에서 처리해야하기 때문에 시간과 재정상 큰 손실을 감수해야 했다. 이에 인천부민 등은 거세게 반발하며, 인천지청의 폐지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인천부윤을 필두로 인천부회, 인천상공회의소, 인천부세진흥회 등 인천지역의 공직자와 유지들이 앞장섰다. 특히 이운동을 주도한 단체는 인천의 일본인과 조선인 유지들이 조직한 인천부세진흥회였다. 이 단체의 구성원은 자신들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인천상공회의소와 인천부회에 참여하여 지역유지의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이들은 조선총독부와 정면충돌을 피하기 위하여 이른바 ‘합리적 운동방법’인 관계당국에 대한 진정과 로비를 주요 운동수단으로 선택하였다. 이러한 폐지반대운동에도 불구하고 1932년 2월 15일 인천지청은 공식적으로 폐지되었다. 이후 인천 지역민은 인천지청의 복설을 줄기차게 주장하였고, 이 과정에서 조선총독부와 인천유지 간에 복설의 조건으로 인천지청의 신청사를 건립할 것을 합의하였다. 신청사 건립비용은 대략 4만원이 예상되었다. 이에 인천유지들은 인천지청부활협의회를 개최하여 인천, 부천, 강화, 김포 등 1부 3군에 기부금액을 할당하고 기부금모집위원을 선발하여 각지에 파견하였다. 신청사 건립기부금 모집은 지역 간의 이해관계로 인하여 성과를 내지 못했다. 예컨대 김포군의 경우 거리로 볼 때 경성지방법원이 더 근접했기 때문에 굳이 인천지청의 부활을 달가워하지 않아, 기부에 반대하는 자가 많았다. 결국 김포군의 경우 기부금 할당액 5천원을 채우지 못했다. 이처럼 신청사 건립은 지역 간의 갈등을 거치면서 추진되었고, 마침내 1935년 5월경에 완공되었다. 이런 와중에 인천지청은 1934년 9월 복설되었다. 인천 지역민이 전개한 이 운동은 결과적으로 인천지청을 부활시킴으로써 성공한 ‘민원운동’으로 볼 수 있다. 다만 운동주체의 제한성과 지역 간의 소통재라는 한계를 지니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historical meaning and characteristics of the movements against the abolition and for the restorative establishment o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of the Gyeongseong District Court by Incheon citizen in the 1930s by examining the background of the abolition and the development and leading groups of the movements. In the winter of 1931, the rumor began to spread that the Incheon Regional Office would be abolished according to the administrative adjustment policy of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I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was abolished, not only Incheon citizens but also all the residents in Gimpo, Ganghwa, and Bucheon Counties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had to go to Seoul for administrative services related to court trials, suffering a great loss of time and money. Therefore, opposing the policy resolutely, Incheon citizens and others waged a movement against the abolition o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Under the leadership of the Mayor of Incheon, public officials and interested organizations such as Incheon City Congress,??Incheo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and Incheon Taxation Promotion Association took the lead of the movement. In particular, the Incheon Taxation Promotion Association, which was organized by Japanese and Korean influential persons in Incheon, was deeply involved in the campaign. The members of this organization had formed a network of local influential persons by participating in the Incheo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and the Incheon City Congress representing their interests. In order to avoid head?on collision with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they chose so?called ‘rational methods of movement,’ namely, petition and lobby to relevant authorities. Despite the movement against abolition, however, the Incheon Regional Office was officially closed on February 15, 1932. From that time on, Incheon residents persistently demanded the restorative establishment o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and in the course an agreement was reached between the Government?General of Korea and the leaders of Incheon to construct a new building for the Incheon Regional Office as a condition for restorative establishment. The estimated cost of new office building construction was 40,000 won. Thus, the leaders of Incheon held the meeting of the Commission on the Restoration o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allocated amounts to be raised to a city and three counties (Incheon City, and Bucheon, Ganghwa and Gimpo Counties), appointed fundraisers, and sent them to each area. The fundraising for new office building construction was not successful due to conflict of interests among the areas. For example, Kimpo County, which was closest to the Gyeongseong District Court, was not so active for the restoration o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and many of its residents opposed fundraising. After all, Kimpo County failed to raise 5,000 won allocated to the area. The construction of the new office building was promoted through these con-flicts among the involved??areas, and was finally completed in May 1935. In the middle of the construction, the Incheon Regional Office was reestablished in September 1934. These movements waged by Incheon residents are considered successful ‘civil petitions’ that brought about the restoration of the Incheon Regional Office. On the other hand, they showed limitations such as the leaders’ limitedness and lack of communication among involved areas.
박은경(Park Eun Ky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3 인천학연구 Vol.19 No.-
仁州李氏는 고려 귀족사회의 최고의 門閥이자 대표적인 왕실 외척으로서 권력의 최정상에 있었다. 때문에 그동안 인주이씨에 대해서는 주로 중앙의 권력으로서만 파악하여 왔다. 하지만 인주이씨는 중앙의 귀족일 뿐만 아니라 인천지역사회와도 긴밀한 관련을 맺고 있는 세력이었던 만큼 이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고려시대의 귀족의 대부분은 신라말 새로운 사회세력으로 대두한 豪族에서 기원하는 세력으로서, 이들은 자신의 族的, 경제적, 사회적 기반을 지방사회에 두고 있었다. 고려초 고려정부는 사심관제도를 통하여 호족들이 자신의 출신근거지에 대해 지니고 있던 영향력에 바탕을 둔 간접통치의 방식을 취하였다. 그리고 사심관제도는 호족들이 중앙으로 진출하여 중앙귀족이 된 이후에도 이어지며 고려후기까지 지속되었다. 이는 지역사회에 기반을 둔 고려시대 귀족의 특성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고려시대의 대표적인 귀족인 인주이씨 역시 신라말 인천을 기반으로 성장한 호족출신으로서 중앙으로 진출한 이후에도 자신의 세력기반인 인천지역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관련은 사심관으로서의 역할로 이어졌다. 태조대 사심관이 성립되며 인천지역사회의 중심세력이었던 사심관 인주이씨의 위치는 이후 성종, 현종대를 거치면서도 계속 이어졌다. 현종대에 자리잡게 된 고려시대 군현제의 특징은 주속현체제로서 지방관이 파견된 主縣보다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屬縣이 훨씬 많은 특이한 모습을 띠고 있다. 이는 고려의 군현제가 사심관과 향리 등 지방사회에 기반을 둔 세력에 의한 지방사회의 자율적인 운영에 바탕을 두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이로 인해 현종대 樹州의 속현이었던 인천지역은 수주의 행정적인 관할하에 있기는 하였으나 실제적인 그 내부의 운영에 있어서는 사심관 인주이씨가 향리와 함께 핵심적인 위치를 담당하였다. 숙종대에 들어서 인천지역은 지방관이 파견되며 고려정부에 의한 직접 지배로의 변화가 나타난다. 하지만 이당시 인천지역이 主縣인 慶源郡으로의 승격한 것은 행정적인 요인에 의한 것이 아니라 숙종의 어머니인 인예태후 이씨의 내향이기 때문이었으니, 왕실외척이었던 인주이씨의 위상에서 비롯된 것이었다. 이후 고려말까지 계속되는 인천지역의 승격 역시 인주이씨와의 관련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숙종대 이후 고려말에 이르기까지 사심관 인주이씨의 인천지역의 중심세력으로서의 위상은 계속 이어졌을 것으로 보인다. 사심관 인주이씨는 인천지역사회에서 ‘宗主人民’ ‘甄別流品’ ‘均平賦役’ ‘表正風俗’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첫 번째 역할인 ‘宗主人民’은 인주이씨의 인천지역 중심으로서의 위치를 보여주며, 두 번째의 역할인 ‘甄別流品’, 즉 流品을 심사하는 것은 인주이씨가 인천지역사회에 대해서 담당했던 사회신분적 역할을 보여준다. 그리고 세 번째의 역할인 ‘均平賦役’, 즉 부역을 균평히 한 것은 인주이씨가 인천지역사회에 대해 담당했던 경제적 역할을 보여주며, 네 번째의 역할인 ‘表正風俗’, 즉 풍속을 바로잡는 것은 인주이씨가 인천지역사회에 대해 담당했던 향촌사회질서 유지의 역할을 보여준다. 사심관 인주이씨는 인천지역사회의 최고의 망족으로서 인천지역사회와 긴밀한 유대감을 지니며 존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위치를 바탕으로 하여 인천지역사회에서 사회·신분적 역할, 경제적 역할, 향촌사회질서 유지의 역할 등 인천지역사회 운영 전반에 걸친 역할을 담당하였으니 인주이씨는 인천지역사회와 실제적인 관련을 맺고 있는 세력이었던 것이다. Inju Lee was the highest Munbeol(門閥) in aristocratic society of Goryo. As representative maternal relatives of royal family in aristocratic society of Goryo, Inju Lee was at the summit of power. Thus far, Inju Lee was grasped only as central power. However, it is required to note that Inju Lee was not only central aristocracy but power closely related to community in Incheon. As the power originating from Hojok(豪族) which emerged as new social power at the end of Shilla, most aristocracy in the age of Koryo had their relative, economic and social base in the local community. As Sasimgwan(事審官) was the highest Mangjok(望族) in the area of ancestral home, Goryo Government indirectly ruled local area through Sasimgwan(事審官). As the representative aristocracy in the age of Goryo, Inju Lee was also Hojok(豪族) which grew on the basis of Incheon at the end of Shilla. As such, it was closely related to Incheon, its power base even after it advanced to the center. Then, such relation was connected to the role of Sasimgwan(事審官). Sasimgwan Inju Lee played??the role of ‘Jongjuinmin(宗主人民)’ ‘Gyeonbyeolyupum(甄別流品)’ ‘Gyunpyeongbuyeok(均平賦役)’ ‘Pyojeong pungsok(表正風俗)’ in the community in Incheon. The 1st role, ‘Jongjuinmin(宗主人民)’ means ‘To become the chief of local people’, showing the position of Inju Lee in Incheon. The 2nd role, ‘Gyeonbyeolyupum(甄別流品)’, namely, examining Yupum(流品) shows social role played by Inju Lee in the community in Incheon. The 3rd role, ‘Gyunpyeongbuyeok(均平賦役)’, namely, the fair execution of Buyeok(賦役) shows the economic role played by Inju Lee in the community in Incheon. The 4th role, ‘Pyojeongpungsok(表正風俗)’, namely, the correction of Pungsok shows the role of Inju Lee to keep the social order of country village in Incheon. That is to say, Inju Lee played role in all operation of community in Incheon, being actually related to community in Incheon.
김영수(Kim, Young-so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1 No.-
본고는 1910년대 인천에 존재하는 의료기관의 활동과 그 현황을 알아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인천에는 크게 거류 민 경영의 인천병원, 인천경찰서의 지휘, 감독하의 조선인을 위한 의료기관인 보건조합 시료부, 영국성공회의 선 교병원인 성누가병원이라는 의료기관이 존재하였다. 인천병원은 거류민의 경영에 의해 운영되었지만, 병원의 시 설과 사업규모에서 거류민이 부담하기에는 역부족이었기 때문에 부제가 실시되면서 인천부에 편입되었다. 보건조 합 시료부는 인천거주 조선인의 의료위생사업을 담당하기 위한 기관으로, 보건조합 사업의 일부로 담당하여 조선 인 빈민환자에게 무료진료를 행하였다. 그리고 성누가병원 역시 인천지역의 조선인 의료의 많은 부분을 담당한 기 관이었다. 1910년대 인천의 지역의료에서 이 세 의료기관은 상당히 중심적인 역할을 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부제가 실시되면서 인천부는 인천병원에 이어 보건조합을 인천부에 편입시키는 방안을 논의하였고, 그 결 과 보건조합은 인천부에 편입되었다. 보건조합 시료부 역시 인천부에 편입된 후, 부경영의 인천병원의 시료부의??형태로 설치되기에 이른다. 그리고 선교병원으로서 인천의 지역의료를 담당하던 성누가병원은 재정부족문제와 보 건조합 시료부의 설치 등 내외부적인 요인으로 인해 병원운영에 어려움을 겪게 되면서, 그 영향력이 점차 약화되 어 갔다. 경영문제로 인한 성누가병원의 기능 약화와 부제의 실시에 따른 인천부의 기존 의료기관의 흡수 및 재편과정은 결 과적으로 인천의 지역의료 담당기관이 부가 경영하는 하나의 공적 의료기관으로 통합되는 결과를 낳았다. In this paper, the aim is to look into the role and transition of the major medical institutions of Incheon-bu in??the 1910s. There were three major medical institutions: the Incheon Hospital run by the Japanese settlement??cooperation, the Health Union Dispensary under the supervision of Incheon police station, and St. Luke??Hospital run by the English Church Mission. Incheon Hospital was the biggest hospital in Incheon; therefore, it was difficult for the Japanese residents to??run it and pay their own expenses and levies. After the administrative district (Buje) was reorganized, it was??incorporated into the Incheon-bu. The Health Union Dispensary was opened as a part of Health Union, which??took charge of health and sanitation of Korean residents in Incheon and provided free medical treatment for??poor Korean residents. There was also St. Luke hospital, which was in charge of medical care in Incheon,??especially for the low-wage workers. Incheon-bu incorporated the Health Union with its sound finance following the incorporation of the Incheon??Hospital. As a result, Incheon-bu managed both the hospital and the dispensary, and it entrusted the??dispensary to the hospital. St. Luke Hospital experienced a financial crisis and other issues related to??managing the hospital; therefore, its influence was faded in Incheon. The financial crisis experienced by St. Luke Hospital and the reorganization of the other two medical??institutions by Incheon-bu allowed local health care to be integrated into one public medical institution run by??Incheon-bu.
장윤이(Jang, Yun-i)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1 인천학연구 Vol.15 No.-
1904년, 열강의 극단적 경쟁지 인천에서 발발한 러일전쟁은 실질적으로 대한제국의 지배권을 둘러싼 제국주의 전쟁이었다. 전쟁을 원치 않았던 대한제국은 중립국 선언을 했지만 인천에서 1904년 2월 8~9일에 발발한 인천해전을 시작으로 전쟁의 소용돌이에서 빠져 나올 수 없었다. 결국 대한제국은 러일전쟁 시기 내내 중요한 격전장이 되어 막대한 인적?물적 피해를 입고, 전쟁의 결과 일본의 식민지가 되어 최대의 희생양이 되었다. 이러한 역사적 의미가 있는 러일전쟁의 서막인 인천해전을 러?일 양국은 각자의 방식으로 기록하고 과거부터 현재까지 기억해오고 있다. 러·일 양국은 공통적으로 인천해전을 기억함에 있어 자신들의 전쟁을 합리화시키기 위해 기록을 선택하여 은폐하고 강조하고 있다. 이러한 선택적 기록을 바탕으로 일본은 자신들의 승리를 잊지 않기 위해 일제시기 내내 다양한 방식으로 기억?기념해왔다. 한편, 패배한 러시아 병사들은 고국으로 돌아가 용기와 희생을 상징하는 영웅이 되어 100년이 넘는 기간 동안 러시아 국민에게 애국심의 아이콘이 되었다. 그리고 이들의 기억은 최근까지 인천지역사회 내에서 사회적 문제로 등장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양국의 기억과 기념에는 대한제국과 한국인에 대한 기억은 부재되어 있다. 하지만 필자가 생각하는 더 큰 문제는 한국인 스스로도 인천해전이라는 역사적 사실에 대하여 인식조차 하고 있지 못하다는 점이다. 본고에서는 인천해전에 관한 러?일 양국의 전개과정의 선택적 기록과 전쟁에 관한 목적적 기억 방식에 대하여 논하고, 현재 한국인에게 망각되어있는 인천해전이라는 역사적 사건을 인식시키고자 한다. In 1904, Russo-Japanese war was an imperialism war which broke out in Incheon, an extreme competitive area between the powers. Even though Korea Empire did not want the war and claimed neutral declaration, it could not come out of a maelstrom of was started from Incheon naval battle which broke out on 8th to 9th of February, 1904 in Incheon. Finally, Korea Empire got damaged to huge human resource and physical resources and became a worst victim as there sult of becoming a colony of Japan. Incheon naval battle which was the beginning stage of Russo-Japanese war has been viewed in a different way from Russia and from Japan and recorded in their way. The both countries of Russia and Japan have differently selected and hidden the record in order to make it useful to each of them. Japan has commemorated its victory in various ways in the Japan Empire era. On the other hand, Russian soldiers who were lost and came back to their country became heroes symbolizing of courage and sacrifice and the icon of patriotism over 100 years. In addition, their memory has appeared as a social issue in the Incheon community until the latest. There was no memory about Korea Empire and Korean in memories and commemoration of those two countries. However, I think it is the worse problem that Korean themselves do not even recognize about historical facts of Incheon naval battle. In this paper, I would like to mention about selective recording and purposive memory of the war in the different view from Russia and from Japan. Furthermore, I would like to make recognition of historical value in Incheon naval battle which has been forgotten to Korea.
1923년 하와이한인학생방문단의 인천 방문 주요 내용과 의의
최희영(Choi Heeyou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22 인천학연구 Vol.36 No.-
본 연구는 1923년 하와이학생방문단의 약 2달간의 고국 방문 중 인천방문을 고찰하였다. 하와이학생방문단은 이승만의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기 위해 이승만이 세운 교육기관, 한인기독학원 건축비 기금모금을 목적으로 결성되었다. 하와이학생방문단 일정 중 인천 방문에 관한 기록은 미주 한인 이민사 시작의 거점지로서 인천이 지니는 위상과 중요성을 고려할 때에 주목할 만하다. 비록 1박이라는 짧은 기간이지만 지방 순회 중 인천에서의 일정은 다른 도시에 비교할 때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1923년 하와이학생방문단의 인천 방문 내용을 신문기사를 중심으로 분석하여 인천 주민의 하와이 거주 동포를 향한 인식과 그 의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그 결과 하와이학생방문단 환영일정이 한인 미주이민 시작점에 거점 도시라고 할 수 있는 인천 주민으로서의 자긍심을 드러내고 있었음을 확인하였다. 환영위원회의 회의 결과로 이루어진 하와이학생방문단 인천 내 일정은 같은 핏줄을 지닌 동포로서의 동질감뿐만 아니라 첫 이민단을 보냈던 지역주민으로서의 큰 의미를 부여하고 있었다. 이는 이민 역사와 밀접한 관련이 있는 내리교회 관련 단체와 인물을 중심으로 한 환영일정에 반영되어 있다. 내리교회 교육사업의 결과물인 영화학교 학생들의 환영식, 내리교회 방문, 내리교회 목사의 환영 연설, 내리 교회 청년회를 중심으로 새롭게 조직한 상우 야구단, 내리교회 교인이 중심이 된 아마추어 전통문화 단체인 이우구락부의 연주 등이 그 예이다. 20세기 초 미주 한인들의 인천 방문을 언급한 기존 연구는 있었으나 하와이학생방문단의 구체적 일정과 그 의의를 밝힌 연구는 미흡했다. 미주이민사 시발점으로서의 자부심을 드러내고 있는 인천인들의 1923년 하와이학생방문단 환영 내용을 밝힌 본 연구는 인천과 하와이 지역을 교차하며 한인 이민 문화사 이해에 지평을 넓혀 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Korean Hawaiian students’ visit to Incheon in 1923. The Korean Hawaiian students visited in Korea for about two months to raise money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Korean Christian School. Newspaper articles describe the students’ visit in Incheon, among many areas, in more detail; also their activities in Incheon were slightly different from those in other areas. This article grasps the reason by analyzing key activities of the students in Incheon on July 13 and 14, 1923. On analysis of the newspaper articles, this study argues that Incheon people showed their pride as the locals that had marked an important first step in the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The students’ schedule in Incheon, resulting from the Welcoming Committees decision, not only reflects Incheon peoples sense of kinship with the young compatriots but also deeper meanings to the event as the locals sending the first groups of Korean immigrants to Hawai‘i. The participation of organizations and people affiliated with the Naeri Church─a key site for the first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in the welcoming events demonstrates this. Examples include the speech of the church pastor at the welcoming party; the Sang-u Baseball Players; and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performance by Iugurakbu. A few previous studies have addressed Korean Americans visit to Incheon; however, no studies have discussed specific activities of the 1923 Korean Hawaiian student visitors and their significance. The findings of Incheon residents’ pride as those who live in the starting point of the Korean immigration to the United States expand our understanding of the history of Korean diasporic culture intersecting Hawaii and Incheon.
상공인명록을 통해 본 1930년대 초 인천지역 기업 활동
최재성(Choe, Jae-seong)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9 인천학연구 Vol.30 No.-
이 글에서는 1931년 인천상공회의소에서 발행한 〈인천상공인명록〉을 대상으로 하여 업종별 외형적 파악과 기업 활동의 내면적 분석을 시도했다. 먼저 외형적 파악의 첫 단계로 인명록 정보 가운데 납부 영업세액을 살펴보았다. 고액 납세업종에 속하는 것은 금융업, 양조업, 정미업, 운수업, 무역업, 거래원업 등이었고, 50원 미만 납세 기업이 압도적 다수인데, 그만큼 규모면에서 소규모 기업이 많았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다음으로 기업 소재지별로 보면, ‘리’ 단위 지역에서는 조선인 업체수가 일본인 업체수에 비해 5배 정도로 월등히 많다. 특히 외리와 내리가 조선인 기업의 밀집지역임을 확인할 수 있다. ‘정’지역에는 ‘리’보다 업체수가 월등히 많고, 또 일본인 업체가 조선인 업체에 비해 압도적으로 많다. 세 번째로 겸업자를 민족별, 영업 종목수별로 나눠보면, 모두 일본인이 조선인 보다 많다. 그만큼 일본인이 조선인보다 기업 활동에 적극적이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다음은 인천의 대표적 기업인 무역업·정미업·양조업·성냥제조업을 대상으로 심층 분석하였다. 무역업 가운데는 미곡과 면제품을 중심으로 고찰하였다. 먼저 수이출 부문을 보면, 인천에서 이출된 조선 쌀은 일본 각지로 이송되었다. 다음으로 일본으로부터 이입 중요품 가운데 ‘수입품의 백미’인 면직물을 보면, ‘면사포·마직물류 무역’에서 독보적인 위치를 차지하는 이는 이 무역을 통해 858원의 영업세를 납부했다. 이제 제조업을 보자. 먼저 정미업을 보면, 1930년대 초 인천의 공업별 생산액 중 정미와 현미 등 정미공업의 생산액은 다른 공업에 비해 압도적 위치에 있다. 영업세액 1천원 이상을 납부한 정미 기업 3곳의 영업세액 3천 9백 원이다. 두 번째는 양조업이다. 청주·소주·약주·탁주 등 술 종류 4개의 생산액은 190여만 원이다. 여기에 장유와 미소의 백여만 원을 더하면 양조업 생산액은 약 3백만 원이다. 조일양조주식회사와 野田장유주식회사 인천공장의 영업세액은 각각 1427.95원과 398.5원이다. 세번째는 성냥 제조업인데, 그 생산액은 약 33만원이다. 성냥은 조선인촌주식회사에서 독점 생산한 것으로 이 회사의 1931년 영업세액은 537.14원이다. 이들 제조업(정미업·성냥제조업)의 기업 활동 이면에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희생이 있었고, 희생을 강요당한 노동자들은 저항하면서 일부는 뜻(요구조건 관철)을 이루고, 또 일부는 해고되기도 했다. 이를 통해 일제식민지기 인천지역 기업 활동의 이면에는 조선인 노동자들의 희생과 저항이 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This article was written for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appearance of each information and analysing corporates’ activities in relation to the list of names published in 1931 by the Incheon Chamber of Commerce and Industry. First of all, I looked at the amount of operating tax paid out of the personal information as a first step in identifying the appearance. It was the financial industry, the brewing industry, the rice industry, the transportation industry, the trade industry, the trading business, etc. Next, in terms of location, the number of Korean companies is five times higher than that of Japanese companies in the area of "Ri(리, 里)". In particular, it can be confirmed that “Oe-Ri(외리)” and “Nae-Ri(내리)” are concentrated areas of Korean companies. There are far more Japanese companies outnumber Korean companies in the "Jeong(정, 町)" area than "Ri". Third, there are all more Japanese than Koreans in double job. It is understandable that the Japanese were more active in corporate activities than Koreans. The following was an in-depth analysis of the trade business, rice-cleaning business, the brewery business, and match manufacturing business, which are major companies in Incheon. Among the trade, rice and cotton goods were considered. First of all, the rice from the colonial Joseon, which was removed from Incheon, was transferred to various parts of Japan. Cotton fabric is the "the best of imports" that comes from Japan. Now let"s look at the manufacturing industry. First of all, the output of rice-cleaning business of the manufacturing industry is overwhelmingly higher than that of other industries in Incheon in the early 1930s. The second is brewing. It is produced by four types of alcohol, namely Cheongju, Soju, Yakju, and Takju, and Soy Sauce and Soybean paste. The third is the manufacturing of matches, which were produced exclusively by the Chosen Match Corporation. The increase in profits of these manufacturing industries was made at the expense of Korean workers, and the workers forced to sacrifice tried to defend their rights and interests.
조준호(Cho, Jun Ho)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4 인천학연구 Vol.21 No.-
본 연구의 목적은 선인체육관에 관한 연구를 통해 그 실태를 파악하고 인천체육사에 어떠한 의미가 있는지를 살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선인학원의 탄생, 그리고 선인체육관의 건립과 활 용, 해체까지의 역사적 변천과정을 살펴 기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제3공화국은 체육중심정책을 펼치며 체육을 통한 ‘건민체육’과 ‘국위선양’에 집중하였다. 이러한 시대적 배경 은 체육중시사조와 새로운 실내체육관 건립을 시대에 요청하게 된다. 이때 제3공화국과 긴밀한 인천 선인학원이??등장한다. 선인학원은 초, 중, 고, 대학교의 계통적 학교체육을 크게 활성화시킨다. 뿐만 아니라 선인학원은 “군인 정신으로 무기를 마련하는 심정”으로 동양최대의 체육관인 선인체육관을 건립한다. 선인체육관의 위치는 인천시??남구 도화동 235번지에 건립되었다. 선인체육관의 건립일은 1973년 10월 완공, 1975년 6월 준공된다. 선인체육관 의 면적은 14,532,32㎡였으며 2개의 강의동에는 한쪽은 1973년부터 인천체전이 자리했고, 다른 한쪽은 1976년부터??인천체고가 자리하였다. 선인체육관에서는 당대 최고의 스포츠인 프로복싱경기가 펼쳐졌다. 선인체육관에서 활약한 대표적 선수로는 홍수 환, 장정구, 박종팔, 유명우 등이다. 하지만 1990년대 이후 선인체육관은 건물 노후화와 함께 가수들의 공연장, 씨 름과 체조 등의 비인기 종목의 경기장으로 활용되며 쇠락의 길로 접어든다. 결국 대한민국 경제의 놀라운 성장은??학교 체육시설도 변화, 발전시켰다. 이제 선인체육관 보다 더 우수한 실내체육관들이 인천시 곳곳에 등장한다. 뿐 만 아니라 선인체육관의 한쪽 강의동을 차지한 인천전문대학이 인천대학교와 통합되었다. 또 다른 한쪽 강의동을??차지하고 있던 인천체육고등학교도 청라신도시로 교사를 이전했다. 결국 인천시는 선인체육관을 체육회관으로 리 모델링하고자 했으나 그 비용이 신축비용보다 더 비싸다는 판단으로 발파, 해체를 강행하였다. 선인체육관은 인천 체육 발전의 근간이었다. 시대를 초월하며 거대한 모습으로 등장한 선인체육관, 그곳은 인천체육의 자랑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atus of Sunin Gymnasium and its meaning in the sports history of??Incheon through researches on i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t was tried to review the backgrounds of the??contemporary times, birth of Sunin school foundation, and the history of Sunin Gymnasium including??establishment, utilization and dissolution. The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third republic concentrated on ‘Physical Education for Healthy People’ and ‘Enhancement of National??Prestige’ through sports centered policy. Because of these requests of the times, sports Gymnasium became??more important and many new indoor Gymnasiums were built. At this time, Incheon Sunin Foundation emerged??which had close relationship with the third republic. Sunin Foundation activated systemic school sports from??elementary school to university through middle and high school. Additionally, it established Sunin Gymnasium??which was the largest in the oriental world with “the mind to prepare weapons with the spirit of soldier.” It was??located in 235, Dohwa-dong, Nam-gu in Incheon. It was completed in October in 1973 and permitted to be??operated in June in 1975. The area of the Gymnasium was 14,532,32㎡. It had two school buildings. Incheon City??College has been located at one building since 1973 and Incheon Sports High School has been located in the??other building since 1976. In Sunin Gymnasium, professional boxing games were held which was the most popular sports at that time.??Famous boxers who played in Sunin Gymnasium include Hong Su-hwan, Chang Chung-gu, Park Cheong-pal??and You Myoung-woo. However, in 1990s, Sunin Gymnasium was used as a playground for unpopular sports??such as Korean wrestling and gymnastics as well as a performance venue of singers. Remarkable growth in??economy in Korea eventually developed sports facilities including school sports facilities. At this time, better??indoor Gymnasiums than Sunin Gymnasium appeared. Additionally, Incheon City College located in one of??buildings of Sunin Gymnasium was merged into Incheon University. Moreover, Incheon sports high school??located in the other building moved to New City of Cheong-na. Finally, it was blew up with dynamite and??dismantled, as remodeling cost was estimated higher than building cost, although the municipality of Incheon??tried to remodel Sunin Gymnasium as a sports center. Sunin Gymnasium was basis of the development of??school sports in Incheon. Sunin Gymnasium which appeared as a huge building transcending beyond the??times! It has been a pride of sports in Incheon.
조봉래(Cho Bong-lae) 인천대학교 인천학연구원 2019 인천학연구 Vol.30 No.-
인천 차이나타운은 인천의 대표적인 관광자원이다. 그러나 이 장소가 가진 동아시아 근대의 역사성은 무시된 채 국적성을 상품으로 팔기 위한, 외양만 이국적으로 조성된 공간으로 자리잡아 가고 있다. 이 공간은 중국이 근대화를 이루기 위해 추진했던 양무운동의 산물이다. 중국은 근대화에 필요한 민간자본의 확대를 위해 화상을 한반도에 정주시켜 무역과 상업에 종사시킨 것이 인천 차이나타운이 만들어지게 된 주요한 계기였다. 또한 양무운동을 통해 북양함대의 건설 등으로 인해 군사적인 자신감을 회복한 청이 북양함대의 주 활동 반경에 있는 한반도에 대한 지배권을 강화하고자 하여 수도 한성과 가장 가까운 항구인 인천을 그 전진 기지로 삼고자한 결과였다. 그러나 한반도의 지배권을 놓고 일본과 치열하게 경쟁하던 중국은 청일전쟁에서 패함으로써 종주권을 상실하였고 양무운동도 실패로 끝나게 된다. 이는 화교사회에도 심대한 영향을 끼쳐서 그들이 주로 종사하던 무역에 있어서도 일본에 주도권을 넘겨주게 된다. 그렇지만 이후에도 인천항을 통한 수입업은 거의 화상에 의해 이루어졌다. 청일전쟁 이후에도 재한 화교의 전체 수가 꾸준히 증가했던 것과 달리 인천 화교의 수는 부분적으로 줄어들거나 일정 수준을 유지했지만 그 구성이 주로 무역업에 종사하거나 인천항에서 하역을 하는 노동자들로 이루어져서 그 정주성이 유난히 높았다. 이처럼 인천 차이나타운은 중국의 근대화 과정이나 동아시아 질서의 개편이 그대로 반영된, 역사성이 매우 높은 장소이다. 따라서 이곳은 동아시아의 근대사를 또 다른 시점으로 바라볼 수 있는 역사의 공간으로 자리매김 해야 한다. 인천 차이나타운은 단순한 관광자원이 아니라 역사자원으로도 보존할 가치가 있는 것이다. Incheon Chinatown is a major tourism resource in Incheon. However, the history of modernity in East Asia has been neglected, and it has become an externally created space to sell nationality as a commodity. This space is the product of the Yang-wu movement that China pursued to achieve modernization. In order to expand the private capital needed for modernization, China settled Chinese merchants on the Korean peninsula and engaged in trade and commerce, it is an important opportunity for Incheon Chinatown. And China built the North Sea Fleet through the Yang-wu Movement. They have recovered their military confidence and intend to strengthen their control over the Korean peninsula and to make Incheon, the closest port to Hansung, the base for its advance. However, China, which had been fiercely competing with Japan for control of the Korean Peninsula, lost its suzerain rights by defeating the Sino-Japanese War, and the Yang-wu Movement also ended in failure. This has also had a profound effect on the Chinese society in Korea, so that they will hand over the initiative to Japan, even in the trades they mainly engage in.However, after that, import business through Incheon Port was almost done by Chinese merchants. Even after the Sino-Japanese War, the total number of Chinese in Korea has steadil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number of overseas Chinese in Incheon decreased or remained at a certain level. Their composition was mainly composed of workers engaged in trade business or unloading at Incheon Port, and the settlement was exceptionally high. As such, Incheon Chinatown is a very historical place with the modernization process of China and the restructuring of East Asian order reflected. Therefore, it should become a space of history that can see modern history of East Asia can be seen as another point of view. Incheon Chinatown is not only a tourism resource but also a historic resour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