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몽골 대학들의 한국어 교육

        권성훈(Kwon Seong Hun) 동악어문학회 2009 동악어문학 Vol.53 No.-

        본고에서는 몽골 대학들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과 문제점에 대해 다루었다. 몽골에서는 1991년 10월에 최초로 몽골 국립대학교에 한국어과가 개설되어 본격적으로 한국어 교육을 시작했다. 뒤를 이어 외국어대학교(1992)와 국립 울란바타르대학교(1994), 사립 울란바타르대학교(1995), 국립 사범대학교(2000) 등에 한국어과가 개설되었다. 그 수는 꾸준히 늘어 2009년 현재 몽골의 25개 대학에서 한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그 중에서 정식으로 학과(한국어과 또는 한국학과)가 개설된 대학은 19곳에 이른다. 몽골 대학들의 한국어 교과과정을 보면, 대체적으로 1,2학년에는 회화, 문법, 어휘 과목이, 3,4학년에는 한-몽, 몽-한 번역 및 한국학의 주요 과목이 배정되어 있다. 2000년 이후 몽골 대학에서의 한국어 교육에 나타난 가장 큰 변화 중 하나는 몽골인 교수들의 약진이다. 1990년대 초에는 주로 한국인 유학생들과 KOICA 단원들이 한국어 교육을 담당했다. 몽골인 교수의 숫자는 손에 꼽을 정도였다. 그러나 현재 몽골 대학에서 가르치는 한국어 교수의 숫자는 몽골인이 63명, 한국인이 45명으로 몽골인의 수가 훨씬 더 많다. 한국어 교재 개발 및 출판에 있어서도 몽골인 교수들의 약진이 두드러진다. 2000년 이전에는 한국인 교수들이 교재 개발을 주도했다면, 현재는 몽골인 교수들이 주도하고 있다. 또 다른 변화는 몽골 대학들이 한국어과에서 한국학과로의 전환을 모색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학생들에게 한국의 언어 뿐 아니라, 정치, 경제, 문화, 역사, 과학ㆍ기술 등 다양한 전공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실제로 한국어를 전공한 학생들은 대학원을 진학할 때 한국어문학이나 한국어 교육을 주로 선택하는 경향이 있는데, 한국학 전공자는 전공 선택의 폭이 다양하다. 이런 이유에서 몽골국립대학교와 인문대학교의 한국어과가 각각 1994년과 2003년에 한국학과로 개명했으며, 사립 울란바타르대학교는 2003년에 한국어과와는 별도로 한국학과를 설치해 운영하고 있다. 몽골 대학들의 한국어 교육의 문제점은 각 대학 한국어과들 간의 교육수준 편차의 심화, 경험 있는 한국인 교수의 부족, 교과과정의 비현실성, 제한적인 한국어 교수방법의 적용, 교재개발에 있어서 전문가들 간의 협력부족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의 문제점들을 개선하고, 한국과 몽골 양국 정부와 기업인들이 노력하여 한국어의 사회적 수요를 지속적으로 창출해 나간다면 한국어는 몽골에서 각광받는 제2 외국어가 될 것이다. This article reviews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n universities. In October 1991, the first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in Mongolia was established at the National University of Mongolia. This was followed by the establishment of Departments of Korean Language at the University of Foreign Languages(1992), Ulaanbaatar College (1995), and the Mongolian University of Education(2000). The curriculum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n universities emphasizes conversation, grammar, and vocabulary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 and Korean-Mongolian translation, Mongolian-Korean translation, and Korean Studies in the third and fourth grade. Since 2000, one major change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the rapid progress of Mongolian professors. In the early 1990s,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Mongolian universities was dominated by Korean students and members of the Korean International Cooperation Agency(KOICA). However, the number of Mongolian professors currently teaching Korean has exceeded the number of Korean professors in Mongolian universities(63 Mongolian, 45 Korean). In the development of Korean language teaching materials, Mongolian professors have also shown rapid progress. Another remarkable change in Mongolian universities has been the conversion of Departments of Korean Language to Departments of Korean Studies, in order to provide an expanded variety of classes for students learning Korean. Problem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clude: the large gap between the levels of language education among Mongolian universities, the lack of experienced Korean teachers, the fact that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does not accurately reflect the student’s actual level, the limited teaching methods in Mongolia, and the lack of cooperation in the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If we can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governments and businessmen of Korea and Mongolia can make an effort to address the needs of the Korean language, Korean may be spotlighted as a secondary foreign language in Mongolia.

      • KCI등재

        창의적 발상법을 활용한 자아 치유적 글쓰기 방법 연구 -신달자 글쓰기를 중심으로-

        권성훈 ( Kwon Seong-hun ) 한국문학이론과 비평학회 2015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66 No.-

        이글은 대학 글쓰기 과목을 수강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한, 자아 치유적 글쓰기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창의적 발상법을 활용한 교수 방법을 제안하는데 목적이 있다. 자아 치유적 글쓰기는 자기 성찰적 글쓰기를 보다 심화시키려는 시도이며 자아존재를 탐색하고, 이해하고, 극복해가는 과정을 거치는 심리적ㆍ치유적 글쓰기이다. 오늘날 대학생들이 겪는 사회의 다양한 갈등과 충돌, 불만과 불화, 소외와 부적응 등 외상성 스트레스 증후군을 극복하고, 이 시대에 부합하기 위해서 내면 면역을 향상시킬 필요성이 있다. 이에 자아 치유적 글쓰기는 존재에 대한 언어적 성찰을 통해 인지적 관점에서 인간의 경험을 조직하고 형상화함으로써 자아를 재탐색하고 생성된 의미를 사고 안에 저장하여 부정적 정신 작용을 긍정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연구방법으로 창의적 발상법인 자유연상법, 마인드 맵, 스캠퍼 등 세 가지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때 카타르시스, 자아성찰, 통찰과 통합 등 심리적 기제가 발휘된다는 것을, 신달자 산문과 운문 창작과정을 중심으로 연구 하였다. 이를테면 자유연상법은 억압되어 있는 이미지를 단어로 전환하여 자유롭게 쓰게 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수기 형식의 서사로 구성하면서 카타르시스를, 마인드맵은 자유연상법을 활용하여 수기형식으로 쓴 글을 마인드맵을 적용하여 산문형식으로 새롭게 구성하면서 자아성찰을, 스캠퍼는 마인드맵을 활용하여 자화상 시로 재구성하면서 분열된 자아와 분리된 세계 간의 통찰과 통합 과정으로 보았다. 자아를 들여다보는 글쓰기는 인간 내면을 비추는 거울로 작용하며 자아 내면에 투영된 자아성찰의 도구가 된다. 또한 거울 밖의 실상과 거울 속의 허상은 서로 다른 방향을 취하고 있는 바, 상징적으로 거울은 내면과 외면의 이중성 혹은 양면성 이미지를 재생하고 흡수하며 반영하는 동시에 왜곡하기도 한다. 이렇게 학생들이 아이디어 산출법을 활용하여 신달자와 같이 산문과 시를 창작하면서 트라우마 체험과 언어를 재조직화하는 과정에서 심리적으로 카타르시스, 자아성찰, 통찰과 통합으로 나아갈 수 있다. 본고는 학생들이 아이디어 산출법과 창작을 병행하면서 자신이 경험한 상처에 몰입하여 시를 쓰면서, 억압된 감정을 유사한 증상의 언어를 통해 외부에 표출함으로써 정신의 안정을 찾을 수 있다는 방법을, 신달자의 글쓰기를 토대로 기술하였다. 이것은 언어적 성찰 속에서 정서적 변화를 모색하게 하여 자아성찰과 현실 극복 등 정서장애를 극복하도록 기능하는 것이다. 이렇게 ‘자아 치유적 글쓰기’는 대학생 자신이 지닌 문제와 자기의 정체성 등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을 체득하고 욕망을 동기화하여 세계와의 갈등과 억압된 정서를 환기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한다. For students to attend a university writing course, this paper is to recognize the need for self-reflection writing utilizing the treatment of time, there is a purpose to propose making teaching plan and teaching methods. Self-curative writing an attempt trying to deepen the self-reflection writing, is psychologyㆍtherapeutic writing that go through the process of searching, understanding, and overcoming for the presence of ego. Various conflicts and collision, dissatisfaction and discord, and Alienation and maladjustment of society that college students of today's experience overcoming the traumatic stress syndrom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o adapt it to fit in this era, it is immune to the consciousness of the inner surface. By organizing the human experience in terms of recognition through linguistic reflection of the present, the figuration, by re-searching the ego, therapeutic writing this ego was generated by applying the meaning of it it will adjust positively the psychoactive negative and stored at accident sense. When analyzed by jeonggyeonghwa the “self-portrait” by applying psychological tools such as classified in three studies that demonstrate how the healing properties as allied therapy, to reconciliation, to mourn. Allied Therapy in Han haun and No chonmyon, to reconcile in Kim jiha and So jonju, to grieve in Yoon Dong-joo and Oh Seyeong was examined by their own text image specimens. Self-portrait poem, in that you have a closer look at the figure which acts as a mirror to reflect the inner surface of the human, is projec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self, to think about yourself, the mirror becomes a tool of self-reflection unawares. In addition, the virtual image in the mirror and the real image of the mirror other, has taken a different direction, and therefore refers to a duality or double, can be absorbed at the same time to play the image, mirror and at the same time to reflect symbolically biological distort. It is possible to read students through a "self-portrait" when, to experience similar therapy, to settle in the creative process of writing, re-organization, and the like to grieve. Look at the change of emotion "homogenization", "catharsis", and "integrated and insight" in the linguistic reflection of these, Han haun and No chonmyon overcoming the reality in a poetic allied therapy, Han haun and No chonmyon the ego reflection in reconciling, Yoon Dong-joo and Oh Seyeong explore the presence is remarkable in grieving. It's that serve to overcome the emotional disturbance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reation through the creative process as the "integration and insight," "homogenization" and "catharsis" that have "self-portrait" cigar By use your poem devoted to wound students have experienced, it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language of symptoms similar feelings that have been suppressed, to pursue the mental stability. The "self-curative writing utilizing the treatment of poem" is "When you synchronize the desire to evoke the feelings of the inner surface of the conflict and the problem of the world is wearing a recognition objective such as the identity of the self and the problem with the me".

      • KCI등재

        초등학교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2011과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사회과의 내용 비교 분석

        권성훈(Kwon, Seong Hun),방기혁(Bang, Gi Hyeo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1

        목적 본 연구는 2011과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사회과에 나타난 세계시민교육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11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과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사회과를 대상으로 옥스팜에서 제시한 세계시민교육의 핵심 요소를 분석 준거로 활용하였다. 결과 2011과 2015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의 성격에서는 민주 사회 구성원에게 요구되는 지식, 기능, 가치 및 태도 등이 포괄적으로 제시되었고, 세계시민이라는 직접적인 용어가 제시되지 않았다. 사회과 목표에는 환경 확대법과 나선형으로 계열성 있게 세계시민교육 내용이 심화·확대되어 제시되고 있었다. 세계시민교육 내용이 포함된 성취 기준 수는 지식과 이해 영역이 상대적으로 많았고, 핵심 요소별로는 지식과 이해 영역에서 비교적 균등하게 나타났으나, 기술적 능력 영역에서는 포함되지 않은 요소들이 상대적으로 많았다. 또한 가치 및 태도 영역에서는 ‘사회정의와 평등에 대한 헌신’과 ‘사람이 변화를 끌어낼 수 있다는 신념’ 등의 핵심 요소가 포함되지 않았다. 결론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개발할 때 사회과의 성격과 목표는 세계시민과 세계시민의 자질을 명확하게 드러내고, 내용 및 성취 기준에서 세계시민교육을 위한 지식과 이해 영역, 기술적 능력 영역, 가치 및 태도 영역을 균형이 있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교육과정 운영을 위해서는 특수교육 대상 학생에 대한 인식 변화를 위하여 노력해야 하고, 특수교사는 물론 통합학급 교사, 부모에게도 세계 시민성 고취를 위한 연수의 기회를 제공하여 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in the social studies of 2011 and 2015 basic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Methods To this end, the core elem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proposed by Oxfam were used as criteria for analysis in the social studies of the “2011 Basic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and “2015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Results In the nature of 2011 and 2015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the knowledge, skill, values and attitudes required of members of a democratic society were comprehensively presented, and a direct term of global citizenship was not presented. As for the social studies objectives, the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were presented in an intensified and expanded manner in a spiral manner with the environmental expansion method. In terms of the number of achievement standards including the contents of global citizenship educatio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domain were relatively large, and the core elements were relatively equal in knowledge and understanding domain, but there were relatively many elements that were not included in the technical competence domain. Also, in the values and attitudes, elements domain such as ‘dedication to social justice and equality’ and ‘belief that people can lead to change’ were not included. Conclusions When developing the basic curriculum for special education, the nature and goals of social studies clearly should reveal the qualities of global citizens and global citizens, and balance the areas of knowledge and understanding, technical competence, and values and attitudes. In addition, efforts should be made to change the perception of students subject to special education, and it is necessary to strengthen competency by providing training opportunities to raise global citizenship to special teachers, teachers in integrated classes, and parents as wel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제주방언 속의 몽골어 차용어

        권성훈(Kwon, Seong Hun) 동악어문학회 2017 동악어문학 Vol.70 No.-

        본고에서는 현대 제주방언의 자료들에 남아있는 몽골어 차용어를 전반적으로 다루었다. 제주방언 속의 몽골어 차용어들은 대부분 말의 털빛, 마구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 어휘를 중세 한국어 자료와 제주방언에서 발견되는 어휘, 제주방언에서만 발견되는 어휘로 나누어 살폈다. 이를 통해 거리, 다간, 도곰 등 중세 한국어 자료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몽골어 단어들이 제주방언에서 지금도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간전이, 연사라말 등 일부 몽골어 기원의 단어는 중세 한국어 자료에 나타나는 형태와 제주방언에서 실현되는 형태가 서로다름을 확인했다. 이는 제주방언이 몽골어와 직접 접촉을 가진 결과로 생긴 것으로 보인다. 제주방언 속의 몽골어 차용어들은 13~14세기 고려와 몽골이 광범위하게 접촉하던 시기의 몽골어의 단면적 특징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몽골어 음운사에서 큰 의의를 지닌다. 13~14세기는 몽골어의 시대구분에서 중세시기에 해당하는데 몽골어는 이 시기에 많은 변화를 겪었다. 그 중에 하나가 모음동화 현상이다. 제주방언 속에 남아 있는 몽골어 차용어는 몽골어의 모음들이 변화의 과정에 있었음을 뚜렷하게 보여주고 있다. In this article, the Mongolian loan words remaining in the modern Jeju dialect have been discussed. Most of the Mongolian loan words in the dialect of Jeju were associated with horse hair color and harness. These word were divided into vocabularies found in Middle Korean materials, vocabularies found only in Jeju dialect. Through this, it was confirmed that Mongolian words not found in Middle Korean materials such as 거리, 다간, 도곰, 참 are still used in Jeju dialect. It seems that Jeju dialect was obtained as a result of direct contact with Mongolian language. The Mongolian loan words in the dialect of Jeju have great significance in the history of Mongolian phonology in that they show the cross-sectional characteristics of Mongolian in the period of extensive contact between Koryo and Mongolia in the 13th and 14th centuries. The 13th and 14th centuries corresponded to the Middle Ages in the Mongolian period during which Mongolian underwent many changes. One of them is the vowel-assimilation phenomenon. The Mongolian loan words that remain in the dialect of Jeju clearly show that the vowels in Mongolian were in the process of change.

      • KCI등재

        정지용 시편의 회화성 연구

        권성훈(Kwon Seong-hun) 한국비평문학회 2023 批評文學 Vol.- No.90

        이 연구는 정지용의 모더니즘 시편이 근본적으로 회화성에 기초한 감각적 지각 작용으로 보고 회화적인 양상을 살폈다. 그동안 정지용 시편의 회화적 탐구는 언어를 중심으로 한 이미지즘을 분석한 것으로 당대 모더니즘의 성격을 고찰한 것이다. 본래 회화성은 회화적 기법에 기초한 감각 작용에 의한 것이기 때문에 단순한 지각작용이 아니라는 점에서 상이 한 결과를 유출할 수 있다. 요컨대 시적 이미지는 상상력을 통해 발휘되는 지각 작용이며 회화는 묘사를 통해 형상화되는 감각 작용이라는 점이다. 이에 본 연구는 선행 연구자들의 회화적 연구가 이미지즘과 회화성을 혼용하거나 혼돈하는 데서 오는 문제점을 지적할 수 있다. 본고에서 살필 정지용 시의 회화는 미학적 측면에서 시적 이미지는 구별된다는 것을 밝힐 필요성이 대두된다. 여기에 정지용 시편에서 회화성을 구성하는 것이 추상과 구상 그리고 형상으로서의 이미지를 통한 재현 예술을 의미한다. 특히 정지용 작품에서 보이는 모호성과 상징성은 추상성을 형성하고 있는데, 이 추상성은 일제강점기라는 암흑기의 불안과 공포를 표상하는 상징적 회화로서 추상충동을 야기되고 있다. 이른바 현실에서 비실제적인 불안과 공포는 문학적 상상력의 근원으로 작용하면서 외계 현상과 감정이입으로 생긴 미학적 의욕으로서 추상 충동이 작동되었을 것으로 유추된다. 실제 정지용 시편의 감각적 특질은 현실과 비현실 사이 추상성을 가미한 비재현 회화성으로 발휘되고 있다. 이는 우울과 불안 그리고 자의식에 대한 정체성의 불완전에서 오는 심상이 이미지즘과 결합되어 나타난 현상으로 파악할 수 있다. 거기에 모더니즘의 영향권에서 이미지즘에 관심을 보인 정지용은 일본 동지대학에서 영미문학을 전공한 것도 같은 맥락으로 해석된다. 이로써 정지용 시편의 회화적 감각을 탐구하기 위해 재현 미학적 측면에서 구상과 추상 그리고 형상이 가진 회화성을 선행적으로 살폈다. 또한 연구방법과 같이 첫째 구상과 형상에서는 존재의 열림으로, 둘째 형상과 구상에서는 존재의 펼침으로, 셋째 추상과 구상의 반추상에서는 반추상적 초월성으로, 마지막으로 구상과 추상의 반구상에서는 반구상적 근원성으로 정지용 시편을 분석했다. This study explored the pictorial aspect of Jeong Jiyong‘s modernist psalms, which was basically reported as a pictoriality-based sensory perception. The pictorial character research that has appeared in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exams so far analyzes the imagism of sensory objects through language, and considers the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modernism. The original pictoriality can give different results to depiction as a pictorial technique rather than a sensory action centered on sight. Previous researchers pictorial studies can point out problems caused by a mixture or confusion of imagism and pictoriality that a poetic image is a sensory act exerted by the imagination, and a picture is shaped through depiction. This paper inevitably raises the need to clarify that Jeong Jiyongs poem paintings are aesthetically distinguished from poetic imagery and depiction. Here, constructing pictoriality in Jeong Jiyongs poems means representational art through abstraction, concept, and image as form. In particular, the ambiguity and symbolism seen in Jeong Jiyongs works form an abstraction, and this abstraction evokes an abstract impulse as a symbolic painting that expresses the anxiety and fear of the dark period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In the so-called reality, it is speculated that while unrealistic anxiety and fear acted as the source of literary imagination, abstract impulses acted as aesthetic motivations caused by alien phenomena and empathy. The sensory characteristics of the actual Jeong Jiyong’s psalms are expressed in a non-reproducible pictoriality that adds an abstraction between reality and unreality. This can be grasped as a phenomenon in which depression, anxiety, and an image that comes from the imperfection of identity with respect to self-consciousness are combined with imagism. In addition, Jeong Jiyong, who showed interest in imagism in the sphere of influence of modernism, majored in English-American literature at the Japanese Contemporary History University, which is interpreted in the same context. Through this, in order to explore the pictoriality of Jeong Jiyong’s psalms, we first examined the pictoriality of concept, abstraction, and shape in terms of reproduction aesthetics. In addition, as in the research method, we explored first, the opening of existence in concept and shape, second, the spread of existence in form and concept, third, anti-abstraction transcendence in the abstraction and anti-abstraction of concept, and finally anti-concept originality in the concept and anti-concept of abstraction.

      • KCI등재

        연성강성 효과를 고려한 회전하는 다중 블레이드 시스템의 굽힘진동 해석

        임하성(Lim, Ha-Seong),권성훈(Kwon, Sung-Hun),유홍희(Yoo, Hong-Hee) 한국소음진동공학회 2006 한국소음진동공학회 논문집 Vol.16 No.9

        A modeling method for the vibration analysis of rotating multi-blade systems considering the coupling stiffness effect is presented in this paper. Blades are assumed as cantilever beams and the coupling stiffness effect originates from disc or shroud between blades. As the angular speed, hub radius ratio, and the coupling stiffness vary, the natural frequencies of the system vary. Numerical results show that the coupling stiffness is very important to estimate the natural frequencies. Along with the natural frequencies, associated mode shapes, critical angular speed, and critical hub radius ratio are obtained through the analysis.

      • KCI등재

        범주 불균형 금융 문제의 해결을 위한 부스팅 학습

        김명종(Myoung-Jong Kim),권성훈(Seong-Hun Kwon),김윤후(Yun-Hu Kim) 한국자료분석학회 2023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25 No.5

        범주 불균형 문제는 분류 및 예측 모형의 성과 개선을 위하여 필수적으로 해결해야 할 문제이다. 본 연구는 금융 분야에서 나타나는 범주 불균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AUC 성과 지표에 대한 직접적인 최적화를 도입한 AUCBoost 기법을 제안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이터의 불균형 정도에 따른 알고리즘의 효과를 비교하고자 기업 부도, 카드 사기, 카드 연체를 대상으로 AUCBoost의 성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성과 검증을 위하여 로지스틱 통계 모형과 AdaBoost, GBM, XGBoost 부스팅 알고리즘을 벤치마킹 모형으로 채택하였으며 10-fold 교차 타당성 검증을 3회 반복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수 범주에 초점을 맞추는 벤치마킹 모형과 비교하여 AUCBoost는 다수 범주와 소수 범주를 동시에 고려하는 균형 학습으로 범주 불균형 문제에 대하여 AUC 측면에서 유의한 성과 개선 효과를 보여주었다. 둘째, 범주 불균형 데이터에 대한 반복측정 분산분석 결과 AUCBoost는 벤치마킹 모형과 비교하여 AUC 측면에서 유의한 성과 차이를 보여주었다. 셋째, 데이터 샘플링을 적용한 범주 균형 데이터에서도 벤치마킹 모형과 비교하여 AUCBoost는 AUC 측면에서 유의한 성과 개선 효과를 보여주었다. The class imbalance problem is essential to be solved in order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classification and prediction models. This study proposes an AUCBooost technique that introduces a direct performance optimization techniqu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boosting algorithms applied to class imbalance problems in the financial sector. In this study, the performance of AUCBoost is verified on class imbalance problems such as corporate bankruptcy, card insolvency, and card frau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performance, logistic, AdaBoost, GBM, and XGBoost are adopted as benchmark models. The results of repeated 10-fold cross-validation are as follows. First, unlike conventional algorithms only focusing on majority class in class imbalance problems, AUCBoost shows a balanced learning behavior that simultaneously considers the specificity of multiple class and the sensitivity of minority class. Second, compared to the benchmarking model, RMA shows that AUCBoost shows significantly improved performance in terms of AUC. Third, in class balanced data generated from data sampling, AUCBooost also shows the significantly improved performance compared to benchmarking model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