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영아반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실태와 교육 요구도

        국소영(so young Kook),정보미(bo mi 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operation status and educational needs of infant class teachers for the operation of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preparing effective measures for the operation of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for infant classes and the direction of teacher education. Methods Data were collected using Google Forms and written questionnaires from 230 infant class teachers in Seoul, Gyeonggi, and Daejeon. Although 230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 total of 222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luding 8 of the written questionnaires that were insincerely answered. For data analysis, t-test and one-way-ANOVA were conducted to find out the difference between the new,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variables using the SPSS 28.0 program. Results The operation status of the 4th standard childcare curriculum was implemented by 95% of the respondents. The difficulty in practicing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was due to the high ratio of teachers to children, and the ambiguous support and concept of teachers.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education was recognized as necessary, and online education was preferred. For offline education, they wanted to invite ex-perts, and for online education, recorded lectures were the most preferred. As for educational content, there was a specific and practical play teaching method that supports play and learning, and a demand for support was for play media and play material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meaningful to derive teacher education, support, and im-provements for the infant class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and it is expected that the infant-centered and play-oriented childcare curriculum can be established. 목적 본 연구는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운영에 대한 영아반 교사의 운영실태, 교육 요구도를 파악하였다. 이를 통해 영아반의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에 대한 효과적인 방안 및 교사교육의 방향을 마련하는데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방법 서울, 경기, 대전 지역 중심으로 재직 중인 영아반 교사 230명 대상으로 구글 폼과 서면 질문지를 활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230부가 회수되었으나 서면 질문지 중 불성실한 응답 8부를 제외하고, 총 222부를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28.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신뢰도, 빈도와 백분율, 변인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test, One-way-ANOVA를 실시하였다. 결과 제4차 어린이집 표준보육과정의 운영실태는 응답자 95%가 실행하고 있었고, 놀이중심 보육과정을 실천하기 위한 어려움은 높은 교사 대 아동 비율, 교사의 개입과 지원 개념이 모호함으로 나타났다. 놀이중심 보육과정에 대한 교육은 필요하다고 인식하였으며, 비대면 교육을 선호하였다. 대면 교육 시 전문가를 초청하는 원내 자체연수를 희망하였고, 비대면 교육 시에는 녹화된 강의를 가장 선호하였다. 교육내용으로는 놀이와 배움을 지원하는 구체적이고 실제적인 놀이교수법, 운영을 위한 지원은 놀이매체 및 지원자료에 대한 요구가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영아반 놀이중심 보육과정 운영을 위한 교사교육과 지원방안 및 개선점을 도출하고, 영아중심, 놀이중심 보육과정이 안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외국인 유학생의 보육실습 경험 분석: 어려움과 가치를 중심으로

        강정원,국소영,박명금 한국보육지원학회 2023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9 No.3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xperience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with a specific focus on identifying the difficulties they encountered and the values they derived from their practicum experiences. The aim was to gain insights that can contribute to improving practicum support for these students. Methods: A total of 6 foreign students were selected as participants for this study using snowball sampling. The data collection period spanned from May 2021 to March 2023, during which semi-structured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qualitatively analyzed. Results: Foreign students faced challenges in securing practicum placements prior to the start of their program. Communication difficulties necessitated the use of interpreters to interact with children. Additionally, documenting information in a language other than their mother tongue posed a challenge. Consequently, there was a need for tailored training support to address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childcare practicum. Despite these challenges, the students reported rewarding and valuable experiences during their practicum. These experiences included discovering the teaching identity in Korea, learning about desirable practices in the field, recognizing and addressing personal shortcomings, and developing a sense of vocation for the advancement of infant education in their home countries. Conclusion/Implications: If we actively listen to and provide appropriate support for the specific needs of foreign students in their childcare practicum, they have the potential to become excellent childcare teachers who can foster a harmonious and inclusive environment within our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영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들의 가족친화제도 이용현황: 육아휴직제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 아동관련 수당 지원제도를 중심으로

        김낙흥,국소영,김다영,오은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24 유아교육학논집 Vol.28 No.1

        This study aimed to understand the use status of the family-friendly system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This study surveyed a total of 1, 045 fathers in eight regions across the country who were raising young children(born in 2017-2023). Data were analyz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 analysis using SPSS 28.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ponse rate to the use status in the case of the ‘parental leave system’ and the ‘reducing system of working hours during parenting period’ of the family-friendly system was less than half, while the utilization rate of support system for child-related allowance was higher than 60%. Second, realistic paid leave support, extension of shortening working hours, and increasing child-related allowances were proposed as improvements to the family-friendly system for fathers’ work-family balance support. These findings can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ing the family-friendly system. Furtherm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creating a social environment that supports a balanced work-family life of fathers raising young children.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고 있는 아버지들의 가족친화제도 이용현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2017년∼2023년생)를 양육하는 전국 8개 권역의 총 1,045명 아버지를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8.0 PROGRAM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가족친화제도 중 ‘육아휴직제도’와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제도’의 경우 이용현황에 대한 응답률이 절반에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 ‘아동관련 수당 지원제도’의 경우는 60% 이상으로 이용률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아버지들의 일 ․ 가정 양립지원 가족친화제도의 개선점으로는 현실적인 유급휴직 지원, 근로 단축 시간 연장, 아동관련 수당 지원금액 인상 등을 제안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족친화제도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연구는 영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아버지들의 일과 가정의 균형 잡힌 삶을 지원하는사회 환경조성에 일조할 것으로 기대한다.

      • KCI등재

        은유 분석을 통한 유아기 자녀와 함께하는 놀이에 대한 아버지의 인식

        김용익(yong ik Kim),국소영(so young K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8

        목적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가 자녀와 함께하는 놀이를 할 때 어떠한 경험을 하고, 어떻게 놀이를 인식하는지 은유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서 자녀와 함께하는 놀이에 대한 아버지의 생각을 이해하고, 추후 유아기 자녀를 둔 아버지를 위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시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방법 K도 소재 유치원 세 곳을 선정하여 질문지를 배포 및 수거하였고, 추가적으로 구글폼을 활용하여 임의 표집을 진행하였다. 총 267부가 회수되었으나 의미 분석이 어려운 56부는 제외하고 211부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26.0을 사용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결과 유아기 자녀와 함께하는 놀이에 대한 아버지의 은유 표현은 총 160개였다. 은유 표현을 분석한 결과 아버지가 놀이를 바라보는 관점의 차이로 ‘자녀와 놀이할 때 드는 생각’ 그리고 ‘자녀의 놀이’ 두 가지로 구분되었다. ‘자녀와 놀이할 때 드는 생각’은 ‘감성으로써의 놀이, 관계로써의 놀이, 성장으로써의 놀이, 긍정과 부정이 혼합된 놀이, 교육으로써의 놀이 그리고 삶의 본질로써의 놀이’ 6개의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자녀의 놀이’는 ‘성장으로써의 놀이, 삶의 본질로써의 놀이 그리고 감성으로써의 놀이’ 3개의 주제로 범주화되었다. 결론 아버지들은 유아기 자녀와 함께하는 놀이에 대하여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으며, 놀이를 수동적인 입장이 아니라 능동적이고 적극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일부 아버지들은 놀이를 부정적이거나 양가적으로 인식하기도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장 많이 확인된 은유 표현은 ‘추억’이었다. 아버지들은 놀이를 매개로 자신의 아버지, 본인 그리고 자녀를 연결하면서, 자녀 역시 미래의 어느 순간에 자신과 함께했던 놀이를 긍정적으로 추억할 것이라고 인식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analyze the experiences of fathers with young children when they play with their children and how they perceive play through metaphor analysis. Through this, it is to understand the thoughts of fathers when playing with their children and to use them as basic data for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for fathers with young children in the future. Methods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from three kindergartens in K province, and random sampling was conducted using Google Form. A total of 26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but 211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except for 56 questionnaires that were difficult to analyze. Data analysis SPSS 26 was used for descriptive statistics-frequency analysis. Results There were a total of 160 types of metaphors for fathers about play with their early childhood children. it was divided into two categories: ‘thoughts of playing with young children’ and ‘children's play’ due to different father's perceptions on play. ‘Thoughts of playing with young children’ are categorized into six themes: play as emotion, play as relationship, play as growth, play mixed with affirmation and negativity, play as education, and play as the essence of life. ‘Children's play’ is categorized into three themes: play as growth, play as the essence of life, and play as emotion. Conclusions Fathers generally perceived the play with their young children positively, and recognized the play actively, not passively, while some fathers perceived the play negatively or ambivalently. The most frequently identified metaphorical expression in this study was ‘memories’. Fathers connected their fathers, themselves, and children through play, and their children will also positively remember the play they had with them at some point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