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EMG 텍스타일 전극으로서의 적절한 압착방식 및 소재 성능 평가

        구본학,이상호,차경훈,김상운,김주용,Koo, Bon-Hak,Lee, Sang-ho,Cha, Kyung-hoon,Kim, Sang-Un,Kim, Joo-yong 한국섬유공학회 2022 한국섬유공학회지 Vol.59 No.5

        After COVID-19, there is a growing demand for bio-signal wearable devices in everyday life owing to an increasing interest in health and fitness. Studies on wearable surface electromyography (sEMG) electrodes are being conducted because sEMG can measure muscle activity signals without incurring pain and bleeding. EMG electrodes are made of gel (i.e., Ag/AgCl); however, they are not suitable for long-term use in everyday life owing to their strong adhesive force and adverse impact on the skin. Accordingly, dry textile electrodes are required, along with electrode materials and compression methods suitable for obtaining EMG signals. Therefore, this study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the EMG electrode compression method and appropriate textile electrode materials. Conductive textile electrodes were made of silver fabric, silver coating fabric, carbon fabric, and CNT-Dipping neoprene, and an EMG sensor was positioned at the biceps according to the SENIAM to obtain signals and raw data for each material and compression method. Silver fabric exhibited a significant muscle active/release signal data difference and low dispersion and demonstrated a high signal-to-noise ratio (SNR), which confirms that it is the most appropriate electrode material for conducting measurements. Therefore, while comparing the SNR of the silver fabric electrode and general wet electrodes in the band type, it exhibited similar performance and indicated that the wet electrode can be replaced with a textile dry electrode (band silver fabric electrode: 16.14±1.50; wet electrode: 17.77±1.00).

      • KCI등재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 의미와 한국의 안보

        구본학(KOO Bon Hak)(具本學)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2

        The US-North Korea summit on June 12 in Singapore enhanced expectations of a resolution of the North Korea nuclear issue. The summit produced an agreement that was full of such ambiguous phrases as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instead of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here is no evidence to support President Trump’s claim that he has achieved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UN Security Council-led sanctions, however, will be jeopardized. The US and North Korea agreed at the summit on “new US-North Korea relations,” “establishment of a peace regime in the Korean peninsula,” and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As a result, the US and North Korea are set to talk to improve diplomatic relations, to declare an end to the Korean War, or to adopt a peace agreement. There continues to be a dispute over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due to different interpretations of that phrase. According to North Korea,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means suspension of US-South Korea joint military exercises, prohibition of US strategic asset deployment in and around the peninsula, the non-use of US nuclear weapons against North Korea, the non-use of nuclear weapons by USFK, etc. Immediately after the summit, President Trump decided to suspend Ulchi Freedom Guardian, a US-ROK joint military exercise. It is not clear, however, if Trump’s real intention is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or elimination of North Korea’s nuclear-armed ICBMs that threaten the US mainland. Suspension of the US-ROK joint military exercise significantly weakens deterrence capability against North Korea, nullifies the US-ROK CFC, and may stimulate reduction or withdrawal of the USFK. South Korea must make strenuous efforts to ensure it has an independent deterrence capability against North Korea. Economic compensation or military pressure cannot guarante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unless Kim Jong Un is sincere about denuclearization of his country. Inducing North Korea toward reform and opening might be the best solution for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지난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개최된 미·북 정상회담에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김정은은 (1) 새로운 미·북 관계의 수립, (2) 항구적이고 공고한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 (3)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 (4) 미군 전쟁포로 및 행방불명자들의 유해발굴 및 송환에 합의했다. 한반도에서 총구를 맞댔던 미국과 북한의 정상이 70년만에 처음으로 만났다는 역사적 의미에도 불구하고, 당초의 기대와는 달리 정상회담은 추상적이고 불명확한 개념으로 포장된 짧은 공동합의문으로 끝을 맺었다. 정상회담 개최 하루 전까지 북한의 완전하고 검증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CVID), 한국전 종전선언, 북한에 대한 안전보장 등이 회자되고 있었던 것에 비하면 너무나 초라하고 내실없는 성과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 KCI등재

        북핵 위협과 한반도 군비통제의 과제

        구본학(KOO Bonhak)(具本學)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7 신아세아 Vol.24 No.1

        북한의 5차 핵실험과 장거리미사일 시험발사, 그리고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 시험발사 등으로 김정은체제 출범 이후 남북간 군사긴장은 지속적으로 고조되어 왔다. 미국 조야에서는 대북 선제타격론과 대화론이 동시에 대두되고 있으며, 국내에서는 핵무장론과 전술핵 재배치론이 논의된 바 있다. 제1차 남북정상회담 이후 상호 비방 중지, 휴전선 일대 선전물 철거, 남북 철도 및 도로 연결사업, 서해상 우발적 충돌 방지 등 군비통제를 위한 첫단계라고 할 수 있는 신뢰구축 조치들이 실시되었다. 그러나 북한의 서해 해상분계선(NLL: Northern Limit Line)에서의 도발로 인한 3차례의 교전과 핵실험 및 미사일 시험발사 등으로 실질적 군비통제는 추진되지 못했다. 북한은 정전협정 체결 직후부터 외국군대의 철수와 10만명 이하로 병력감축을 주장하는 등 남북 군비통제에 적극적인 입장을 취했다. 주한미군 철수와 한미동맹 약화, 그리고 한국의 군사력 현대화를 저지시키려는 의도 하에 추진된 것이다. 반면, 한국은 1980년대 초까지도 군비통제에 소극적이거나 부정적인 태도를 취했다. 주한미군은 북한의 도발을 억제하는 데 있어서 핵심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으며, 북한에 비해 열세에 있는 군사력의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군사력 증강이 불가피하기 때문이었다. 1992년 체결된 남북기본합의서는 상호 무력불사용, 불가침 및 신뢰구축 등 군비통제에 관한 많은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북한 핵문제 등장으로 합의는 이행되지 못했다. 김대중 정부 들어서 남북 정상회담이 성사되면서 상호 비방 중지 등 신뢰구축 조치들이 시행되었지만 북한의 핵개발과 NLL도발로 인해 본격적인 군비통제 조치는 추진되지 못했다. 남북한의 지정학적 위치로 인한 강대국간의 갈등 구조, 전쟁의 경험으로 인한 뿌리 깊은 불신, 남북한의 이념적 갈등과 대립, 군비통제에 대한 상이한 인식 등은 남북 군비통제에 근본적인 한계로 작용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북한 핵문제의 해결을 전제로 상호 신뢰를 구축한 후, 위험감소 조치와 군비축소 조치를 점진적이며 단계적으로 추진하면서 북한을 개혁과 개방으로 변화시켜 나갈 경우, 현 정전체제를 평화체제로 전환할 수 있을 것이며 궁극적인 한반도 평화통일도 가능하게 될 것이다 Military tension on the Korean peninsula has been aggravated as a result of the North’s nuclear explosions and test-firing of missiles, including submarine-launched ballistic missiles in 2016. Politicians and experts in Washington D.C. have simultaneously discussed a US-North Korea peace treaty and a preemptive strike against the North. Politicians, journalists, and academicians in Seoul had called on South Korea to develop its own nuclear weapons or for the US to redeploy tactical nuclear weapons to the USFK. At the first North-South Summit in June 2000, the two Koreas agreed on suspension of mutual vilification, removal of propaganda materials near the DMZ, the linkage of disconnected railroad and roads, and prevention of accidental armed conflict as a first step toward North-South confidence building. Arms control on the peninsula failed to move forward due to North Korea’s naval provocations near the NLL (Northern Limit Line), nuclear tests, and tests of long-range missiles. North Korea maintained an active stance toward arms control on the peninsula immediately after the armistice agreement by calling for withdrawal of foreign troops from the peninsula and the reduction of military personnel to under 100,000. The North aimed to weaken the ROK-US alliance, to withdraw USFK, and to prevent modernization of the South Korean armed forces. South Korea maintained a negative stance toward arms control on the peninsula because the USFK was a cornerstone of deterrence of the North and the South needed to build up its forces, which were inferior to the North Korean People s Army, as quickly as possible. The North-South Basic Agreement of 1992 contains arms control measures such as non-use of armed forces against each other, non-aggression toward each other, and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However, the Basic Agreement failed to be implemented due to the North s nuclear program and armed provocations. There are fundamental obstacles to arms control on the Korean peninsula: great power rivalry and competition; deep-rooted mistrust and ideological confrontation between the two Koreas; and differing perceptions of arms control. As a precondition to arms control on the peninsula, North Korea must abandon its nuclear weapons and missile program. Then, the North and the South must make every effort toward arms control by implementing confidence building measures, threat reduction measures and arms reduction measures in a step-by-step manner for peace and unification of the peninsula.

      • KCI등재

        미국과 중국의 패권경쟁과 북한의 전략

        구본학(KOO Bon-Hak, 具本學)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3 신아세아 Vol.20 No.4

        지난 6월 오바마-시진핑 정상회담에서 중국은 신형대국관계론을 언급하면서 미국과 대등한 관계에서 국제 평화와 안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할 것이라 했다. 오바마 대통령은 “미중관계는 21세기 가장 중요한 양자관계”라고 말한 바 있지만 양국은 협력과 경쟁이 혼재히는 이중구조 하에 있으며, 경쟁관계는 더욱 심화되고 있다. 미국은 중국의 도전에 직면하여 아시아 회귀 또는 재균형정책을 추진하고 있다. 본고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심화되고 있는 미중경쟁 관계 속에서 북한문제가 어떻게 전개되어 왔는지, 그리고 북한은 어떻게 미중경쟁 관계를 활용했는지를 살펴보고 우리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한다. 중국은 대미관계에서 북한의 전략적 가치를 적절히 활용해 왔다. 천암함 폭침에 대해서도 북한의 입장을 간접적으로 옹호했고, 한미 연합훈련이 군사긴장을 고조시킨다고 하면서 강력히 비난한 바 있다. 과거 혈맹관계 개념은 약화됐지만 중국이 북한을 버리는 일은 없음을 시사한다. 여전히 북한은 중국의 전략적 자산, 적어도 중국이 미국을 따라잡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한반도 안정 유지’에 결정적 요인인 것이다. 미국의 대북정책은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중국의 적극적인 역할만 기대하고 있다. 미국은 여전히 북한 핵문제 해결을 위한 CVID를 주장하고 있지만 북한이 호응하지 않는 상횡에서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해서는 구체적 대책이 없는 상황이다. 북한이 3차 핵실험까지 감행했고 농축우리늄 계획도 진행하고 있으며, 수소폭탄 완성설까지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전략적 인내는 별 효용이 없다. 북한은 능수능란하게 미중관계의 전략적 경쟁관계를 활용하여 미국과 한국을 기만해 왔다. 그 동안 북한에 대한 잘못된 인식, 북한의 전략에 대한 이해 부족, 그리고 정책의 일관성 부족 등이 북핵 억제 실패의 요인이 되었다. 이제는 굳건한 한미동맹과 강력한 독자적 억지력 구축, 그리고 북한의 개혁과 개방을 위한 노력 지속하는 것이 최상의 대안이다. At the Sino-U.S. summit in June, President Xi Jinping promised that China will contribute to maintain international peace and stability in cooperation with the U.S., while mentioning the new mode of great power relationship. Though President Obama already had mentioned that the U.S.-China relations as the most important bilateral relations in the 21st century, the relationship contains both cooperation and competition. The U.S. has declared 'pivot to Asia' or "rebalancing" to hedge potential Chinese challenge to the U.S. supremacy in Asia-Pacific, and China has continuously increased its military capabilities.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growing competition between the U.S. and China. It explains the U.S. and China's policies toward the Asia-Pacific region and the Korean peninsula. It also analyzes their conflicting attitudes toward the Korean peninsula. Then, it suggests South Korea's policies toward North Korea. China utilized North Korea's strategic value when it deals with the U.S. China indirectly supported North Korean positions on the Cheonan Incident and the shelling of Yonpyoung Island. Though the blood-bonded alliance relationship has weakened between China and North Korea, China will not abandon North Korea. North Korea is still a strategic asset of China. The U.S. expects Chinese positive role to re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The U.S. officially maintains the CVID principle to resolve the nuclear issue, but it does not have alternative in a situation that North Korea is not cooperative. The Obama administration's policy of 'strategic patience' has not been effective to deter North Korea's nuclear development program. North Korea adroitly deceived the U.S. and South Korea by effectively using strategic relationship between the U.S. and China. Misperception on North Korea, misunderstanding on North Korea's verbal promises, and lack of policy consistency caused failure to deter North Korean nuclear development. In these circumstance, South Korea must maintain the robust ROK-U.S. alliance, construct independent deterrence capability against North Korea, and make strenuous effort to reform and open North Korea.

      • KCI등재

        한미동맹의 미래 비전과 목표

        구본학(KOO Bon Hak)(具本學)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4

        지난 65년간 한미동맹은 북한의 남침을 성공적으로 억제해 왔을 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민주화와 경제발전을 견인하는 역할을 수행했지만, 탈냉전기에 들어오면서부터 다양한 도전에 직면해 왔다. 최근에는 한국의 진보정권 등장과 남북관계의 변화와 더불어 미국 우선주의를 추구하고 있는 트럼프 정부의 등장으로 한미동맹의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욱 증대되었다. 특히, 지난 4월 판문점에서의 남북정상회담과 6월 싱가포르 미북정상회담 이후 한미동맹에 대한 도전을 더욱 심각해졌다. 문재인 정부는 조속한 전작권 전환을 추진하고 있으며, 트럼프대통령은 한미연합군사훈련의 중단 또는 연기를 언급하고 있다. 북한 비핵화와 대북제재 해제, 한미연합훈련의 중단 및 축소, 미래연합군사령부 및 전작권 전환, 방위비분담금 등의 이슈를 둘러싸고 한미간 갈등이 고조되고 있다. 일부에서는 동맹의 이완 또는 결별 가능성까지 제기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미간 굳건한 동맹관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양국이 지키고자 하는 자유민주주의와 시장경제체제의 가치를 공유하고, 긴밀한 정책공조를 통해 상호 신뢰의 수준을 제고해야 하며, 일국이 일방적으로 수혜받는 관계가 아닌 상호호혜적인 동맹관계를 발전시켜야 한다. 또한, 새로운 국제질서에 적응하고 진화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제한적인 군사적 동맹에서 포괄적인 전략동맹으로 전환해야 하며, 한반도뿐만 아니라 아태지역 및 글로벌 차원의 동맹으로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한반도 통일과정과 통일 이후에도 한반도 및 지역 차원에서 평화와 안전을 도모하는 안정자의 역할을 수행하는 동맹으로 발전해야 한다. For the past 65 years, the ROK-US alliance has successfully deterred the outbreak of all-out war on the Korean Peninsula and played an important role in both the political and economic development of South Korea. The alliance, nevertheless, has faced various challenges since the beginning of the post-Cold War era. Moreover, the inauguration of President Moon in South Korea and President Trump in the US have increased uncertainty over the future of the alliance. After the Panmunjom South-North Summit in April and the Singapore US-North Korea Summit in June, the ROK-US alliance faced more serious challenges. President Moon has pursued transfer of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PCON) of the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 currently possessed by a four-star general of the US Army, to an ROK four-star general (chairman of the Joint Chiefs of Staff). The two governments maintain different ideas and approaches on such issues as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suspension and reduction of ROK-US joint military exercises, transfer of OPCON, defense burden-sharing, and so on. Scholars and specialists worry about relaxation or possible decoupling of the alliance. In these circumstances, the two governments must make strenuous efforts to maintain and develop the blood-bonded alliance. The alliance must share the values of democracy and a market economy, increase mutual confidence through close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and develop a mutually reciprocal relationship. In addition, the two governments must exert all possible efforts to accommodate a changing international order. The ROK-US alliance, therefore, must transform itself from a Korean Peninsula military alliance to a regional comprehensive alliance. The alliance must be maintained even after unification of the peninsula as a regional stabilizer to promote peace and security in the Korean Peninsula as well as in the Asia-Pacific.

      • KCI등재

        한국 국내정치가 한·미/한·중관계에 미치는 영향 : 20대 대선과 한국의 안보여론

        구본학(Bonhak Koo)(具本學)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21 신아세아 Vol.28 No.4

        The majority of South Koreans hold conservative positions on foreign policy and security issues. Public opinion on security issues, however, does not have significant impact on foreign policy making. Instead, the perceptions of the president and his inner circle have a decisive impact. With just a couple of months until the 20th presidential election scheduled for March 2022, the two presidential candidates have quite different perceptions of foreign and security policy issues. Mr. Lee Jae-myung, candidate of the ruling Democratic Party (DP), has a friendly view of North Korea, but has negative perceptions of the US and the ROK-US alliance. Mr. Yoon Suk-yeol, candidate of the main opposition People Power Party (PPP), has a negative perception of North Korea, and friendly views of the US and the ROK-US alliance. Given the continued competition and rivalry between the US and China since the beginning of the 21st century, the two countries have pressured neighboring countries to take their side. South Korea has been sandwiched between the US and China. Mr. Lee, if he wins, will tilt toward China and the South Korea-US relationship will become estranged. Mr. Yoon, if he wins the election, will further strengthen the ROK-US alliance. Unless the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threat disappear, South Korea, for its survival, must strengthen the ROK-US alliance, and find an effective way to reduce its economic dependence on China.

      • KCI등재

        북한의 딜레마와 한반도 통일 2030

        구본학(具本學)(KOO Bonhak)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9 신아세아 Vol.26 No.3

        본 논문의 목적은 현재 북한의 대내외 환경에 대한 평가를 바탕으로 김정은 체제가 직면해 있는 문제점들을 분석하고, 핵 포기와 핵 보유를 둘러싼 김정은의 딜레마를 비교평가하며, 2030년경 한반도 통일환경 전망을 통해 우리의 대북정책을 제시하는데 있다. 2030년 경 김정은 체제의 대내외 여건과 한반도를 둘러싼 안보환경을 고려할 때 김정은 체제는 더욱 공고화될 것이며, 북한은 핵을 보유한 채 미국과의 관계정상화를 위해 대화를 추구하지만, 미국은 핵을 포기하지 않는 북한에 대해 경제제재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로 인해, 경제발전을 약속한 김정은의 “새로운 전략적 노선”은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미국의 해외개입 의지가 갈수록 약화되는 상황에서 전작권 전환과 방위비분담금 압박으로 인해 한미동맹은 약화 추세에 있다. 북한의 핵과 미사일 및 새로운 재래식 전략무기 개발로 인해 증가되는 안보위협에도 불구하고 신세대 장병들을 비롯한 우리 국민들의 안보의식은 현재보다 더욱 약화될 것이다. 따라서, 2030년 경 한반도 통일환경은 현재보다 더욱 불리하게 전개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한반도 안보환경을 고려할 때, 우리의 안보 및 대북정책은 첫째, 북한 비핵화에 정책의 최우선순위를 두고 원칙적․포괄적 합의를 추진해야 한다. 둘째, 원칙적․포괄적 합의를 바탕으로 점진적․단계적 비핵화를 이행해 나가야 한다. 셋째,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를 연계한 로드맵을 구축해야 한다. 넷째, 북한의 도발에 대비하여 한미동맹을 강화해야 한다. 다섯째, 북한의 전략무기를 무력화할 수 있는 킬체인, 한국형미사일방어체계 및 대량응징보복전략을 조기에 완성해야 한다. 여섯째, 북한이 핵을 스스로 포기하도록 북한 민주화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지원해야 한다. This paper discusses three important issues for the Korean Peninsula and evaluates the unification environment of the peninsula in 2030. First, it assesses the political and economic problems of the Kim Jong-un regime. Second, it analyzes Kim Jong-un’s dilemma as he decides whether to give up his nuclear weapons program. Third, it offers a South Korea policy toward North Korea based on the unification environment on the Korean Peninsula by 2030. North Korea continues to pursue dialogue with the US for diplomatic normalization. The US, however, will maintain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refuse to recognize North Korea unless it abandons nuclear and long-range missile programs. Therefore, “the new strategic guideline” proposed by Kim Jong-un is doomed to fail. The US is losing its desire for overseas engagement, especially in the Asia- Pacific region. OPCON transfer to the South Korean military will be completed in two or three years. The US continues to pressure South Korea to increase defense burden sharing. In these circumstances, the ROK-US alliance will slowly and steadily deteriorate. Security concerns of next-generation soldiers and the South Korean public will decrease gradually. Therefore, the unification environment by 2030 will be much more unfavorable to South Korea than it is now. To achieve the peaceful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the paper suggests: first, South Korea and the US put their first policy priority on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second, they have to implement denuclearization measures with step-by-step efforts; third, they must prepare a roadmap for a peace system on the peninsula related to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fourth, they should strengthen the alliance system; fifth, South Korea must increase military preparedness against North Korea by completing as early as possible such military programs as the Kill-chain, KAMD, and KMPR; finally, South Korea must support democratization of North Korea to get it to abandon its nuclear program by itself.

      • KCI등재

        한미동맹과 북대서양조약기구의 연합지휘체계 비교

        구본학(KOO Bon Hak)(具本學)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8 신아세아 Vol.25 No.1

        2007년 2월 한미 양국의 국방장관은 2012년 4월 17일 한미연합군사령관이 행사하고 있는 한국군에 대한 전시작전통제권을 한국군에 전환하기로 합의했다. 그러나,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개발과 천안함 폭침 등으로 인해 전작권 전환은 연기되었고, 2014년 10월 한미 연례안보협의회의에서 시기가 아닌 조건에 따른 전작권 전환이 합의됐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는 ‘조속한 전작권 전환’을 국정과제로 설정하고 임기내 달성을 목표로 추진하고 있다. 미군 장성이 한국군에대한 전작권을 행사하는 것은 주권 침해이며, 한국은 국군에 대한 통수권을 다른 나라에 맡긴 지구상에서 유일한 국가라는 것이 그 이유다. 본 논문은 한미동맹과 북대서양조약기구의 지휘구조를 살펴봄으로써 전작권 전환을 추진하고 있는 논리적 근거가 타당한지를 검증하고자 한다. 한미동맹과 북대서양조약기구는 양자동맹과 다자동맹이라는 차원에서 초래되는 형식적 의사결정기구의 차이점 이외에 군사력 사용에 있어서 각국 최고통수권자의 동의 또는 승인, 연합군사령부를 운용하는 통합형 지휘구조, 연합군의 작전 수행을 위해서는 양국 또는 회원국의 대표로 구성된 군사위원회의 합의, 미군 4성 장군의 연합군최고사령관 보임, 평시 한국과 각 회원국은 자국 군대에 대한 지휘권을 가지는 반면, 전시에는 연합군최고사령관이 연합군에 대한 작전통제권 행사 등에 있어서 매우 유사하다. 다만, 한미동맹은 전시 한미연합군사령부에 배속될 부대를 사전에 결정해 두고 있으나, 북대서양조약기구는 전시 동맹최고사령부에 배속될 부대를 회원국이 자율적으로 결정하도록 하고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이렇게 볼 때, NATO 회원국들도 전시에는 NATO에 배속된 자국 군대를 NATO 최고사령관인 미군 4성 장군이 지휘통제 하도록 허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전시에는 전쟁에 승리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자주독립국가로서 전작권을 우리 군이 가지는 것을 반대할 이유는 없다. 그러나, 이로 인해 안보가 위기에 처하는 것을 용납해서는 안된다. 전작권 전환 자체가 목적이 될 수는 없다. 북한의 핵과 탄도미사일 위협, 서해 NLL 및 휴전선 인근에서의 위협과 무력적화통일 기도를 억제할 수 있는 가장 효율적인 방안이 무엇인가에 중점을 두어야 한다. In February 2007, the ROK Minister of Defense and the US Secretary of Defense agreed to transfer wartime operational control (OPCON) of the ROK-US Combined Forces Command (CFC), which was exercised by the Commander of the CFC, to an ROK general. The agreement was postponed by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provocations and the Cheonan incident, however. In October 2014, the ROK and US defense ministers agreed that OPCON transfer should proceed, but it should occur not at a particular time but when certain conditions are met. President Moon Jae-in aims to finish OPCON transfer by the end of his presidency. He believes that the current command structure undermines South Korea’s sovereignty and South Korea is the only country that gives OPCON to other country. This paper explores the logical validity of arguments supporting OPCON transfer by comparing command structures of the ROK-US CFC and the Allied Command Operation (ACO) in NATO. The ROK-US alliance and NATO differ in decision-making system due to a difference in the number of participants. The CFC and the ACO both require agreement or approval by the supreme commander of member countries if the commander of CFC or the Supreme Allied Command Europe (SACEUR) uses allied powers in a military operation. The CFC and the ACO both maintain an integrated command structure. The ROK-US alliance and the NATO both operate Military Committees to give recommendations, guidance, or directives to supreme commanders or military commanders of respective countries. Four-star US generals command the ROK-US and the ACO (or SHAPE). South Korea as a sovereign nation must maintain OPCON. It should not allow OPCON transfer to cause a national security crisis, however. The ROK must find the most effective method to deter North Korean nuclear and missile threats, and North Korean provocations near the Northern Limit Line and the DMZ.

      • KCI등재

        Global Korea와 동아시아 다자안보협력체제

        구본학(具本學, KOO Bon-Hak)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09 신아세아 Vol.16 No.4

        탈냉전 시대 안보문제의 특징은 강대국간의 대규모 전쟁 위험은 사라졌지만 인종 및 민족분규, 테러리즘, 환경문제, 인권문제, 자원문제, 해적 및 마약문제 등 다양한 종류의 갈등이 분쟁으로 확대될 가능성이 상존하는 반면, 강대국 또는 어느 일국의 노력만으로는 해결되기 어려운 특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공동안보 또는 협력안보의 관점에서 문제를 접근할 필요가 있다. 탈냉전 이후 동아시아에서도 다자안보협력에 관해 많은 논의가 있었으나, 역내 국가들간의 상호신뢰 부족 또는 공동의 이해관계 부족으로 인해 아직 초보적 단계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북한 핵문제 역시 동아시아 다자안보협력을 어렵게 만드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현재 역내에서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을 비롯하여 국방장관회의인 아시아안보회의(일명 샹그릴라대화) 등 다양한 다자안보대화 채널이 가동 중이다. 또한, 한중일 및 미중일 등 3자 중심의 소다자주의도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한국의 입장에서 볼 때, 동아시아 다자안보협력체제는 북한의 핵문제를 해결하는 동시에,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 그리고 통일을 촉진할 수 있는 역할을 수행해야 하며, 나아가 역내 국가들간의 군사적 투명성과 신뢰를 구축할 수 있는 매커니즘의 역할을 수행해야 한다. 또한, 테러리즘과 마약문제 및 환경오염 등 다양한 초국가적 문제들을 해결하는데 기여해야 한다. 동아시아 국가들의 역사적 경험은 다자안보협력에 대해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으나, 보다 많은 접촉과 대화를 통해 상호 이해를 제고하고 공동체 인식을 확대해 나갈 경우 구체화될 수 있을 것이다. In the post-Cold War era, the possibility of armed conflict between the two super-powers has been significantly reduced, but there exist new sources of conflict such as racial and religious disputes, pollution, human rights, terrorism, energy issues, etc. These issues can not be resolved easily by a super-power or one country, but must be resolved in terms of common security or cooperative security. 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discussions on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in the post-Cold War East Asia, multilateralism in the region Asia is still in an initial stage due largely to the lack of mutual confidence and common interests among regional countries. North Korean nuclear issue also makes multilateralism difficult to be materialized. Currently, various multilateral security dialogues exist in East Asia including the ARF, the Shangri-la dialogue, etc. and several mini-multilateral dialogues. From a South Korean point of view, any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system in the region should contribute to resolve North Korean nuclear issue, promote peace and security of the Korean peninsula, and reunify the peninsula. At the same time, it must be a mechanism not only to build mutual confidence and military transparency in the region, but also to resolve such transnational issues as terrorism, drug trafficking, piracy, pollution, and so on. Though East Asian countries do not have positive perception on multilateralism due to historical experiences, more contacts and more dialogues, however, will increase mutu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and a sense of East Asian community. That will bring multilateral security cooperation make possible in the region.

      • KCI등재

        판문점선언 1년: 평가와 전망

        구본학(具本學))(Bon Hak Koo) 신아시아연구소(구 신아세아질서연구회) 2019 신아세아 Vol.26 No.2

        본고는 2018년 4.27 판문점선언 이후 1년간 북한 비핵화를 둘러싼 남북 및 미북협상을 분석하고 평가하는데 목적이 있다. 김정은의 2018년 신년사와 북한 대표단의 평창겨울올림픽 참가는 2017년 말 고조되었던 한반도 위기를 일거에 평화 분위기로 전환시켰다. 2018년 4월 27일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의 판문점 공동선언, 6월 12일 역사적인 싱가포르 미북 정상회담, 9월 19일 문재인-김정은의 평양공동선언 및 군사분야합의서 채택은 남북 군사긴장 완화에서 더 나아가 북한 비핵화와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가져오는 듯 했다. 그러나 2019년 2월 28일 하노이에서 2차 미북 정상회담이 개최되었으나 아무런 성과 없이 끝났다. 판문점 선언 이후 정부는 남북관계가 개선되고 한반도 평화가 도래한 것처럼 외쳤으나, 한반도 불안정과 군사적 위협의 핵심 요인인 북한 핵과 장거리미사일 문제는 해결의 실마리를 찾지 못한 채 협상은 교착상태에 빠져있다. 미북협상이 완전한 파국상태라고 할 수는 없지만 조만간 재개될 수 있을지는 알 수 없다. 판문점선언 이후 1년간을 돌이켜볼 때, 문재인 정부는 “조선반도 비핵화”를 “한반도 비핵화”로 받아들이고 이를 “북한 비핵화”로 왜곡 선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북한의 핵과 장거리미사일 도발을 일시적으로 저지함으로써 국내정치적 지지를 확보하려 한 것으로 보인다. 그 과정에서 남북간에 채택된 9.19 군사분야합의는 우리 군의 대북 대비태세를 무력화시키는 요인들을 포함하고 있으며, 트럼프 대통령이 일방적으로 선언한 한미 연합군사훈련 중단은 한미 연합대비태세를 약화시키게 될 것이다. 대화를 통한 북한의 비핵화는 불가능하다는 점은 과거 25년의 대북협상이 단적으로 증명한다. 국제사회의 강력한 대북제재에 동참하고 강력한 한미공조를 유지하는 것이 북한의 비핵화를 유도하는 최상의 방안이다. This paper analyzes and evaluates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after the April 27, 2018 Panmunjom Declaration signed by Moon Jae-in and Kim Jong-un. Kim Jong-un’s New Year Message in 2018 dramatically transformed the Korean Peninsula from an atmosphere of crisis into one of peace. The Panmunjom and Pyongyang Declarations between Moon and Kim, and the Singapore Summit between Trump and Kim expected to bring peace to the Korean peninsula. The second US-North Korea summit, in Hanoi in February 2019, however, failed to produce significant results for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he Moon government continues to push for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fter the Panmunjom Declaration, while nuclear and missile talks between the US and North Korea are at a standstill. The Moon government misinterpreted “Choson peninsula denuclearization” - meaning the withdrawal of the US nuclear umbrella provided for South Korea and suspension of deployment of US strategic weapons such as B-1, B-2 and aircraft carriers near the Korean peninsula – as “Korean peninsula denuclearization,” which entails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The North-South military agreement that was signed in September 2018 may weaken South Korea’s military preparedness. Suspension of joint military exercises between US and South Korean forces further weakens the capabilities of ROK-US combined military forces. Previous nuclear talks failed to denuclearize North Korea. Effectiv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requires South Korea’s active participation in international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and maintaining strong policy consult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U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