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초등학교 교사의 인식 및 운영 현황 분석

        구경호,남수미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20 교육연구 Vol.79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for teachers of elementary schools in Gyeongnam Province to identify the current status and application of competency-based curriculum. For the research issues, this study conducts a survey research from 1,025 teachers working at elementary schools in Gyeongnam province and 922 of them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research problem were as the follows: First, The re-organization of curriculum for student-oriented classes is becoming common. Second, For the Core competency and achievement standards, all teachers recognized that there was sufficient correlation. Third, As for the importance related to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s, the curriculum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was found to be important. Fourth, As for the execution related to the reconstruction of curriculums, the implementation of the curriculum re-organization centered on achievement criteria was found to be the highest. Fifth, the results of the comparison between materiality and execution indicated that there was a difference in performance and materiality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본 연구는 경남지역 초등학교 교사들의 역량기반 교육과정 관련 운영 현황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들의 역량기반 교육과정에 대한 핵심역량, 교과역량 및 성취기준 관련 인식, 중요도, 실행도, 교육과정-수업-평가, 과정중심평가 현황이 어떠한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경상남도 초등학교에 재직중인 교사 1025명이며,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불성실 응답자를 제외한 922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핵심역량, 교과역량 및 성취기준 관련인식 결과를 통해 경남지역 초등 교사들은 학교유형에 관계없이 모두 높은 인식 수준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중요도 영역을 살펴보면성취기준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이 역량기반 중심 교육과정 및 교과서 중심 교육과정 보다 중요도에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과정 재구성 관련 실행도 영역을살펴보면 성취기준 중심의 교육과정 재구성 실행이 역량기반 중심 교육과정 및 교과서 중심 교육과정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요도와 실행도 문항들 간의차이 비교 결과를 살펴보면 실행도와 중요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자아분화의 관계

        구경호,유순화 한국상담학회 2012 상담학연구 Vol.13 No.6

        Parentification means a role reversal wherein a child becomes responsilble for a parent's emotional and behavioral need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self-differentiation of adolescents. For this study, 450 second grade high school students in Pusan were selected. And 427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analysis, while 9 questionnaires went uncompleted. T-test and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were used for compiling statistics of collected data.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rentification and self-differentiation of adolescents. Specifically, unfairness(a subscale of parentification)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family regression and emotional alienation of self- differentiation. Finally,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chool counseling services must implement a program for parentification in adolescents. 청소년은 성숙한 개인으로의 성장을 위해 원가족으로부터의 자아분화를 이루어야 한다. 하지만, 부모화 경험과 같이 가족에 대한 보호와 돌봄의 짐을 장기간 계속유지하게 되는 경우 원가족에 융합되고 주위 사람들의 반응에 민감하고 불안한 상태에 놓이게 되어 자아분화를 이루지 못하게 된다. 부모화 경험이 개인의 책임감 발달에 긍정적인 면도 있다는 최근 연구 결과가 제시되고 있지만, 부모화 경험은 일반적으로 개인 내적인 낮은 자아분화의 주요한 원인이 되리라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부모화 경험과 자아분화 변인 군 간의 관계를 통해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를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부산광역시에 소재한 일반계 남․여 고등학교, 전문계 남․녀 고등학교에 재학하고 있는 고등학생 4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중 427부를 연구분석에 사용하였다. 정준상관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한 결과 부모화 경험과 자아분화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청소년의 자아분화에 부모화 경험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결과를 확인하고 이에 따른 차별적 상담접근의 필요성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후보

        CIPP 모형에 기반한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의 평가척도 개발

        구경호,남수미 한국청소년활동학회 2019 한국청소년활동연구 Vol.5 No.2

        본 연구는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을 평가하기 위한 평가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CIPP 평가 모형을 통해 평가척도(평가영역, 평가항목 및 평가문항)를 개발하고 확인적 요인분석을 적용한 타당도 검증을 실시함으로써 개발된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 평가척도의 타당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에 근거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CIPP 평가모형에 의한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 평가척도를 개발한다. 둘째,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 평가문항을 타당화하고 최종평가척도를 확정한다. 이상의 연구절차에 따라 얻어진 연구결과를 연구내용별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검사를 위해 사용된 8개 평가영역,22개 평가항목 및 49개의 평가문항이 사용되어졌다. 예비검사 분석 후 5개 평가영역, 16개 평가항목 및 48개의 평가문항으로 수정되었다. 이 준거는 지역별 본 검사도구로 사용되었으며, 지역별 본검사 결과 평가척도는 5개 평가영역, 16개 평가항목 및 47개의 평가문항으로 수정되었다. 둘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수정된 평가척도는 5개 평가영역, 16개 평가항목 및 45개의 평가문항으로 수정되었다. 문항은 상황평가 9문항, 투입평가 18문항, 과정평가 8문항, 산출평가 10문항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최종 확정된 평가척도에 대한 구인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확인적 요인분석의 적합도 지수는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자유학기 활동 프로그램 평가에 대한 평가척도를 개발하고, 이를 통해 자유학기 운영의 개선을 모색 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 KCI등재

        종단자료를 활용한 초등학생의 핵심역량 성장궤적 및 경상남도교육청의 혁신교육 정책 효과성 분석

        구경호 교육종합연구원 2024 교육종합연구 Vol.22 No.1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growth of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Gyeongnam and verify the effectiveness of Gyeongnam Innovation Education Policies that affect them by using short-term three-year longitudinal data from the Gyeongnam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is the growth Track of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econd, does the Gyeongnam Innovation Education Policy (class innovation and school democracy) affect the growth of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 the study, panel data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o responded to the first to third surveys of the Gyeongnam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were used. Data from 3,413 students who responded to all three-year surveys were used. The conclusion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average value of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 increase, decrease, or decrease after increase pattern was found. Second, as a result of the potential growth model for core competencies, the linear change model was found to be more suitable than the non-change model. In addition, as a result of putting demographic and sociological variables such as gender, region, and school division into the linear change model, it was found that it had an effect on the initial value and rate of change of core competencies. Third, it was found that both class innovation and school democracy variables invested to analyze the effectiveness of innovative education policies affect the core competenci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addition, the innovative education policy set up for research analysis was not a one-way structure that affects core competencies, but a mutually compatible structure.

      • KCI등재

        중학교 자유학기제에 대한 교사의 실행도 종단연구

        구경호,김석우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7 교육과정평가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중학교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 운영 을 직간접적으로 3회 이상 담당하여 실시한 중학교 교사들을 대상으로 3년 동안 종단자료를 수집 하고 잠재성장모형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교사들의 자유학기제 실행도 변화궤적에 영향을 주는 교사관련 변인으로 자유학기제 운영경험, 보직여부, 교직경력, 자유학기제 관련 인식차이, 그리고 연수유무 등을 설정하고 이 변인들이 자유학기제 실행도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 교사들은 2014부터 2016년까지 설문에 참여한 104명 이었으며, 매년 이들의 자 유학기제 실행도를 조사하여 시작값(intercept)과 변화값(slope)을 구하였다. 그리고 예측변인에 따 라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 기울기에 차이가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로 첫째, 무조건 모형을 통해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 변화를 분석하였으며,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는 매년 계속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둘째, 조건모형을 통해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과 변화 값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교사의 자유학기제 필요에 대한 인식과 연수유무 및 자유 학기제 운영 경험은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에 영향을 미쳤으나 변화값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그 외 교사의 보직여부 및 교직경력은 자유학기제 실행도의 시작값와 변화값 모두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즉 교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자유학기제의 필요성 에 대한 인식과 이를 증진 시킬 수 있는 연수경험, 운영 경험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 사의 자유학기제 실행도에 미치는 교사관련 변인을 종단적으로 연구하여 성공적인 자유학기제 실 행을 위한 자료를 제시하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eacher’s levels of use for ‘free semester’ based on latent growth model.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04 middle school teachers in Busan and Changwon who were admitted in 2014 and took 3 consecutive years. This study analyzed how the average of middle school teachers’ levels of use for ‘free semester’ changes as the number of completed years increases based on the estimates of intercept and slope. More precisely, it was analyzed if intercept and slope of average levels of use for ‘free semester’ were different between perception for ‘free semester’, training frequency, experience of operation for ‘free semester’, educational career and higher job pos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intercept was different between perception for ‘free semester’, training frequency, and experience of operation for ‘free semester’, but teacher’s educational career and higher job position did not show any difference. These results will contribute to raising the improvement on the teacher’s levels of use for ‘free semester’.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자아분화의 매개효과와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구경호,김석우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6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family strength on subjective well-being perceived by elementary students with medicating effects of self-differentiation and moderating effect of gender difference. It further purposed to provide counselors or teachers with useful education and counselling program to help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5 students(male 195, female 250) who were in the fifth and sixth year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family strength, self-differenti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scal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a research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a alternative structural model. The research model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amily strength have a direct influence on subjective well-being. Second, the family strength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differenti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mpirically support the research model that contends the notion that family strength affects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self-differentiation. These results show the need to revise the current model and to develop a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one that takes into account various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subjective well-being.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자아분화에 매개되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세 변인간의 구조관계를 알아보고 이를 통해 학령기 아동의 성공적 적응을 돕기 위한 교육 및 상담프로그램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를 ‘가족건강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자아분화에 매개되어 주관적 안녕감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설정하였다. 연구방법으로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초등학교 5, 6학년 484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자아분화 및 주관적 안녕감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445부(남학생 195명, 여학생 250명)를 구조방정식 모형 접근법에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이 완전매개모형인 대안모형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가족건강성은 주관적 안녕감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매개변인인 자아분화를 통해 주관적 안녕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분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성별의 조절효과는 가족건강성과 주관적 안녕감 변인 사이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가족건강성과 자아분화 및 주관적 안녕감의 구조관계와 남녀 간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 차이를 살펴보고 이의 결과를 통하여, 초등학생의 주관적 안녕감 증진을 위한 이론적 근거와 실천적 방안을 제공하였다는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청소년이 지각한 학습동기와 학업탄력성의 관계에 있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구경호,유순화 한국청소년학회 2014 청소년학연구 Vol.21 No.8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ffects of academic self-efficacy between the relationship of academic motivation and academic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85 students(male 281, female 404) who were in the first, second and third year high school students in Busan.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academic motivation, academic self-esteem and academic resilience scal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a research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a alternative structural model. The research model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academic motivation have a direct influence on academic resilience. Second, the academic self-esteem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motivation and academic resilience.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mpirically support the academic resilience model that contends the notion that academic motivation perceived by high school students affects academic resilience through academic self-esteem. These results show the need to revise the current model and to develop a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one that takes into account various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academic resilienc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본 연구는 청소년들이 지각한 학습동기가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의해 매개되어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세 변인간의 구조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에 소재하는 고등학교 1, 2, 3학년 752명을 대상으로 학습동기, 학업적 자기효능감 및 학업탄력성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685부(남학생 281명, 여학생 404명)를 구조방정식 모형 접근법에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부분매개모형인 연구모형이 완전매개모형인 대안모형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학습동기는 학업탄력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업탄력성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학습동기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매개되어 학업탄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학업탄력성의 관련 요인인 변인들 간의 관계를 규명하여 학업탄력성 증진 프로그램을 증진시키는데 필요한 이론적 근거와 실질적인 구성안을 제공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KCI등재

        가족건강성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 심리적독립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구경호,김석우 한국상담학회 2014 상담학연구 Vol.15 No.5

        본 연구는 가족건강성이 진로결정수준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심리적독립에 의해 매개되어 영향을 미치는 세 변인간의 구조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부산광역시와 경상남도에 소재하는 대학생 519명을 대상으로 가족건강성, 심리적독립 및 진로결정수준 척도로 구성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그 중 464부(남학생 182명, 여학생 282명)를 구조방정식 모형 접근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모형인 부분매개모형이 비교모형인 완전매개모형 보다 더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모형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가족건강성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심리적독립은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가족건강성이 진로결정수준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서 심리적독립에 의해 매개되어 영향을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가족건강성이 대학생의 진로결정수준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심리적독립에 의해 매개되어 진로결정수준에 간접적으로도 영향을 줄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대학생의 진로결정과 관련된 상담시 인지적인 측면만이 아니라 가족관계적 측면과 심리적독립과 관련된 정서적 측면 등을 고려해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independ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career decision level. Total number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was 519 but data was analyzed 464(male 182, female 282) who were university students in Busan and Gyeongsangnam-do. The instrument used in this study were family strength, career decision level, psychological independence scale. Results fro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indicated that a research model produced a better fit to the data than a alternative structural model. The research model shows the following results: First, family strength have a direc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Second, psychological independence have a direct influence on career decision level. Third, psychological independence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family strength and career decision level. In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empirically support the psychological independence model that contends the notion that family strength perceived by university students affects career decision level through psychological independence. These results show the need to revise the current model and to develop a more detailed and comprehensive one that takes into account various variables that influence the career decision level.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