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寫實主義 단편소설과 描寫的 逼眞性 -背景 描寫의 機能을 중심으로-

        곽상순 한국어문교육연구회 2005 어문연구(語文硏究) Vol.33 No.2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the text elements that form the verisimilitude based on pretence theory in the 1920-30's Korean realism short-story. And then, the thesis considers the general meanings of the novels throughout the Descriptive verisimilitude. On the premise that reality of the fictional world are effects evoked by the constituents of the fictional world, the thesis looks into the reality effect in relation to pretence theory. Specifically, the reality effect is achieved by organization of text elements, which lead readers in the pretence toward the fictional world effectively and then sustain reader's pretence toward the fictional world. The truth effect, on the other hand, is accomplished by the constitution of text elements, which evoked the reader's mental effects by the fictional world.In the novels, the formal focuses on reducing unfamiliarity of readers who live in the real world by creating the fictional world based on the real world. In other words, the fictional world in novels is achieved in coherence to the real world, so this makes it easy for readers to assimilate with the fictional world. And The Description makes a novel real. The fictional world formed by the reality effect shows specific names, times, and people in a description, so readers can assimilate the fictional world with the real world easily. For this reason, the fictional world is not limited to itself but it evokes reality conversely. Hence, the fictional world organized by the reality effect in his novels communicate with reality directly. 寫實主義는 虛構 世界가 우리가 흔히 實際 世界라고 생각하는 日常의 現實과 깊은 관련을 맺고 있다는, 즉 우리가 속한 세계에 대한 이야기라는 讀者의 確信을 전제로 하는 文學 樣式이다. 그런데 虛構的 事實은 이처럼 허구 세계와 현실 세계 사이의 差異와 境界를 一時的으로나마 허물고 두 세계를 동일한 층위에 놓도록 하는 役割을 한다. 본고가 虛構的 事實이라는 개념 하에 살펴본 것은 바로 이러한 측면에서의 描寫의 기능인데, 묘사는 場所, 時間, 人物 등을 하나의 虛構的 事實로 제시하여 독자의 假裝하기를 지속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背景 描寫의 경우 讀者들은 별다른 설명 없이도 어떠한 場所들을 연결지을 수 있으며 심지어 그러한 장소의 사회적 意味마저 획득할 수 있다. 요컨대 背景 描寫는 暗示的이고 脈絡的으로 작용함으로써 實物感으로서의 逼眞性을 획득하는 경향이 있다.

      • KCI등재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죽음 -「유년의 뜰」, 「중국인 거리」, 「저녁의 게임」을 대상으로-

        곽상순 한국여성문학학회 2013 여성문학연구 Vol.29 No.-

        This thesis’ purpose is to analyse the meaning of death in Oh Jung-hee’s fictions, especially on the diversity in the meaning of death revealed in A childhood’ garden, The Chinese Street, and A Night game. Oh Jung-hee is, without doubt, one of the most important writers and her idiosyncratic blend of life and death is always sparkling with insight. So the theme of death is very valuable for studying and exploring her world of novels. In A childhood’ garden, death means a way for bringing one’s life alive. Life come alive in the possibility of it’s own end. In The Chinese Street, death is not only the termination of life, but also the entrance of new stage that is filled with the fantasy that a man is watching me. I always come alive in spite of death so long as a man remember me. In The Night game, death is treated as a sign for a desire of the character. In conclusion, the theme of death is important keyword to understand her novel’s essence. Oh Jung-hee has been insisted on this problem since her debut. In my opinion, this problem and theme make her novel be read more deeply and widely. 이 논문은 오정희의 「유년의 뜰」과 「중국인 거리」, 그리고 「저녁의 게임」을 대상으로 그녀의 소설에서 ‘죽음’이 형상화되고 의미화되는 방식을 살펴보았다. 죽음에 대한 유의미한 인식을 보여주고 있다고 생각되는 이 작품들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여성인물의 세계인식, 특히 죽음에 대한 인식을 중점적으로 고찰하면서, 여전히 모호하고 불투명하게 남아 있는 텍스트의 다양한 의미들을 검토했다. 이러한 해석 작업은 오정희의 소설에 나타난 죽음의 의미를 유형화하고 아울러 유년과 여성의 성장, 그리고 죄의식 등이 갖는 의미들을 탐구하는데 유용한 토대가 될 것이다. 「유년의 뜰」에는 우리를 매혹시키는 ‘유년’이라는 상실한 대상 자체에 이미 어떤 상실이 내포되어 있다는 인식이 담겨 있다. 「유년의 뜰」의 논리에 따르면 삶의 유기적 충만함은 죽음이라는 장막이 드리워짐으로써만 가능하다. 「유년의 뜰」에서 노랑눈이가 상실하게 되는 것은 결핍되지 않은 원형적 직접성이라는 대상 그 자체이기보다는 상실 그 자체를 전제함으로써 가능하게 된 유기적,직접적 소유의 체험인 것이다. 반면 「중국인 거리」에서 초조로 상징되는 나의 육체적 성숙은 죽음을 향한 실질적 첫 걸음인 동시에 섹슈얼리티라는 환상의 완성을 향한 첫 걸음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어머니의 삶을 향한 첫 걸음인 동시에 부네의 삶을 향한 첫 걸음인 것이다. 다시 말해서 그것은 죽음을 향한 첫걸음이자 죽음 뒤의 삶을 향한 첫걸음으로 해석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저녁의 게임」에서 어머니의 죽음을 둘러싸고 벌어지는 “더러운 게임”은 가족 구성원들에게 하나의 증상으로 작용한다. 여기에서 죄의식은 종속에 대한 진정한 자각을, 근원적인 죄의식으로부터 끌어내는 외설적인 과잉의 쾌락에 대한 자각을 방어하는 역할을 한다. 그녀는 현실적인 결핍과 죄의식을 통해 아버지를 배반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그러한 행위 자체가 아버지에대한 또 다른 복종의 양식으로 기능하게 된다. 이 소설에서 공범끼리의 적의와 친밀감의 토대가 되는 죄의식은 언제든 준비되어 있는 배반감의 토대가 되는 죄의식을 통해 역설적으로 더욱 견고해지게 된다는 것이다.

      • KCI등재

        계몽소설의 식민성 연구- 이광수의 「무정」을 중심으로

        곽상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06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32 No.-

        This thesis intended to illuminate the coloniality of enlightment novel from a standpoint of the effect of colonial narrative structure. The modernized process in Korea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is engaged with the colonized process. So when we wish to understand the peculiarity of our modern literature, the experience of coloniality which is internalized to the authorial subject has the special meaning. This thesis starts from that recognition about this problem. At this view point, this thesis analyzed Lee kwang soo's 'Moojeong', which has been evaluated as the canon of enlightment novel. The paradox to be fully accepted in this novel is that when a certain historical moment is perceived as the moment of loss of some quality, upon closer inspection it becomes clear that the loss quality emerged only at this very moment of its alleged loss. This coincidence of emergence and loss, of course, designate the fundamental paradox of Lee kwang soo's enlightment project a which emerges as being-lost. Narrativization occludes this paradox by describing the process in which the object is first given and then lost. Consequently, what changes in this novel or this view point, is the entire constellation of emergence and loss. In other words, a true modern historical break does not simply designate the regressive loss of something, but the shift in the very grid which enables us to measure losses and gains. So we can say that, as we confirmed at previous discussions, the enlightment novel projects internalize the logic of colonial modernization discourse by the paradox of narrative view point.

      • KCI등재

        탈주체적 등장인물 연구

        곽상순 한국근대문학회 2007 한국근대문학연구 Vol.8 No.1

        In this study, we deploy Freudian and Lacanian psychoanalytic theoretical paradigms to discuss the anti-human and de-subjected character who is not 'one of us'. Something happens when the de-subjected man endeavors to behave as part of our community. In fictional relations, something similar happens when a reader finds the living dead or the corpse that would not die. The reader who finds it may be surprised, since it has been supposed to be a living man who lives in a real place before the revealed point. In other words, the automatic reaction of every reader is a shock because he/she finds him/herself literally "between two death". A real place to be a place between two death and a living man who has been supposed as such to be a living dead or a corpse who do not know his death give a reader the effect which is called "the uncanny". In short, as the case of 'one of us' we said before, we have the wrong object (a living dead or a corpse that would not die) in the right place (perfectly real place where we live in). In this viewpoint, we suggest that Choi in-ho and Kim young-ha may be the most famous korean novelists who have controlled this uncanny effect very well by using these anti-human and de-subjected characters. Especially Choi in-ho has described the living man who is finally determined as a corpse, while Kim young-ha has dealt with a man who is characterized by drive which intend to continue its path to and from the goal. For instance, Choi's character in 'a room for others' is the dead man who do not know he was dead, and Kim's character in 'a ship loaded with treasures' functions as a programmed automaton who persists in his demand and pursues his goal with no trace of compromise or hesitation. The horror of this figure consists precisely in these facts. 우리는 종종 허구적 공간 내에서 비-인간적이고 탈주체화된 공포스러운 인물들과 마주친다. 이러한 인물들은 인성의 깊이를 결여한, 그러나 그럴듯한 심리적 설득력을 지닌 반사실적 인물들이다. 마치 살아 있기를 멈춘 사람이 우리 주위를 돌며 실제로 살아 있을 때보다 더욱 충만하게 존재하는 것처럼, 사실적이지 않은 인물이 오히려 인간적 세부에 충실한 인물들보다 더욱 그럴듯한 사실적 핍진성을 전달하는 것이다. 본고에서 특히 주목한 것은 ‘두 죽음 사이의 공간’의 효율적 사용이 탈주체적 인물 형상과 관련한 반사실적 효과 유발의 중요한 기제로 작용한다는 것인데, 최인호와 김영하는 사실적인 공간 내에 환상적이고 두려운 공포를 일으키는 사건과 사물을 적절히 배치함으로써 이러한 효과를 적절히 창출한다는 공통점을 갖는다. 예컨대 흡혈귀에서 낯선 여인의 편지를 수신하는 소설가의 이름은 실제 그 작품의 작가인 ‘김영하’이며, 그의 이력, 즉 나는 나를 파괴할 권리가 있다나 도드리 등의 작품을 남겼다는 세부사항도 일치한다. 이러한 설정은 물론 대단히 현대적이고 사실적인 서사 공간 속에 낡고 버려진 믿음을 배치하여 반사실적 효과를 배가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나온 것이다. 마찬가지로 최인호의 타인의 방 역시 대단히 익숙하고 현대적인 공간 속에서 사실적인 일상을 세밀하게 다루다가 환상적인 장면으로 전환함으로써 이러한 효과를 증폭시킨다. 요컨대 최인호는 ‘죽지 않으려는 시체’의 움직임을 통해 우리가 살아 있다고 생각한 인물들이 사실은 이미 죽어 있는 시체였다는 사실을 드러냄으로써 탈주체적 인물 형상과 관련한 반사실적 효과를 창출하는 반면, 김영하는 ‘영원히 죽지 않을 듯한’, 어떠한 외부적 조건의 변화에도 굴하지 않고 끝까지 자신의 요구를 관철하고자 하는, 생성과 부패의 자연적 순환을 벗어나서 존재하는 ‘충동’의 인격적 구현물을 통해 역시 동일한 효과를 창출한다.

      • 김영하 중·단편 소설 연구 - 나르시시즘적 욕망과 여성의 기능 -

        곽상순 시학과언어학회 2009 시학과 언어학 Vol.0 No.16

        This paper aims to look into aspects of the theme as woman and narcissism in Kim young-ha's short-stories. He is a novelist who has especially concentrated on the theme as sex, narcissism, death etc. His stories dealing with these contents have exposed a relationship between men and women. According to 'I have a right to destroy myself', 'A christmas carol', 'A contemplation on a mirror', woman has two aspects. First of all, the heroine each stories actually doesn't know anything and seems to be object who is dealt with only sexual partner. But finally it is exposed that she has already known everything about him, his guilt, his dirty desire, his duality, etc. But she can't stop loving there partners who give her only pain. So the key to this situation would thus seem to reside in his knowledge about the fact that she has already known everything. The moment he knew this, a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woman changed. She know well that the situation is catastrophic, but she doesn't believe it and will go on acting as though it were not serious. This knowledge makes him guilty.

      • 근대 형성기 소설에 나타난 여행의 의미 - 「무정」, 「배따라기」, 「만세전」을 대상으로 -

        곽상순 시학과언어학회 2010 시학과 언어학 Vol.0 No.19

        This thesis intended to illuminate a mean of travel motif in korean modern novels from a standpoint of the relationship with a wife's death. The modern novels in Korea from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especially which can be spoken as canon, are engaged with a wife's death. So when we wish to understand the peculiarity of travel in modern literature, the aspect which is internalized to the authorial subject has the special meaning. This thesis starts from that recognition about this problem. At this view point, this thesis analyzed Lee kwang soo's 'Moojeong', Kim Dong-in's 'Baetaragi', Yeom Sang-seop's 'Mansejeon', which have been evaluated as the canons of korean early modern novels. In 'Moojeong', the meaning of a travel motif is searching for knowledge or adventure. It is an act which works off it's frustration by enlightment. In 'Baetaragi', the meaning of a travel motif is wandering or roaming. To use Lacanian terminology, the brothers in this story have undergone a "subjective destitution". They have no name, no signifier to represent them, which is why they retain thire consistency only through identification with their symptom. The only thing that allows to preserve some consistency is precisely thrir personal nut, identification with their symptom, a song-baetaragi. It makes their travel wandering. And in 'Manseojeon', the meaning of a travel motif is hovering and observing. Lee In-hwa, a hero of this story, leaves for Korea, after receiving a telegram telling him of his wife's critical condition. On his way to Korea, he hovers cities, observes people in Korea and Japan, and thinks of his subjective condition which relates with nation and class. He is in the middle class, so he has despised people in work class despite they are japanese. But seeing and suffering a condition of Korean people, he knows that he is also Korean as uncivilized people. It makes for him to have a historical view.

      • KCI등재

        김영하 소설에 나타난 ‘사랑’의 의미 -「거울에 대한 명상」, 「사진관 살인 사건」, 「너의 의미」를 대상으로-

        곽상순 대중서사학회 2008 대중서사연구 Vol.- No.20

        본고는 ‘나르시시즘, 섹스, 죽음’ 등의 주제들이 김영하의 소설 속에서 어떠한 양상과 논리를 통해 구체화되는지 살펴보았다. 즉, 그의 ‘사랑 3부작’이라 이름 붙일 수 있는 세 편의 작품, 「거울에 대한 명상」, 「사진관 살인 사건」, 「너의 의미」 등을 중심으로 김영하 소설의 저류를 관통하는 심층적 의미 구조의 일단을 드러내고자 했다. 그 결과 사랑이라는 문제에 연루되어 있는 김영하 소설 속의 인물들은 크게 두 가지 태도를 보여준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하나는 자신을 대상 소문자 a를 함유한 주체로 간주하는 것이다. 김영하 소설의 나르시시즘적 특질은 대체로 이처럼 ‘내 안에 있는 나 이상의 것’으로서의 대상 소문자 a를 적극적으로 추구하거나 절대적으로 확신하는 인물들을 통해 구현된다. 반면 「너의 의미」의 조윤숙으로 대표되는 인물들은 그것을 전혀 객관적으로는 납득할 수도 인정할 수도 없는 대상에게서 발견한다. 게다가 그러한 상대방은 자신을 사랑하지도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들은 상대방에 대한 사랑을 멈출 수 없다. 따라서 이러한 인물들은 공통적으로 동일한 고통, 즉 ‘왜 하필 그 사람인지 설명할 수 없는 데에서 오는 고통’을 겪고 있다고 말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김영하에게 사랑은 스스로를 기만하지 않고서는 유지가 불가능한 일종의 교착상태의 구조에 불과하다. 김영하적 논리에 따르면 가장 순수한 사랑조차도 이처럼 근본적인 궁지를 피해갈 수는 없는 것이다.

      • KCI등재

        김승옥 소설에 나타난 윤리적 타락의 문제 - 「환상수첩」과 「서울의 달빛 0장」을 대상으로

        곽상순 한국 리터러시 학회 2021 리터러시 연구 Vol.12 No.2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iscover a consistent perspective and theme consciousness penetrating the world of Kim Seung-ok’s novels by reviewing the 「Fantasy Notebook」 and 「Seoul’s Moonlight Chapter 0」, located at the beginning and end of Kim Seung-ok’s author career. In particular, this paper paid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e 「Fantasy Notebook」 and 「Seoul Moonlight Chapter 0」 dealt with the subject of ethical corruption in common. In 「Fantasy Notebook」 and 「Seoul’s Moonlight Chapter 0」, we can observe the common plight of people facing the problem of ethical corruption, and observe that such corruption also has a deep connection to the problem of love in common. Based on these facts, this paper attempted to examine how the same subject has been consistent or changed over time. Young-bin and Su-young in the 「Fantasy Notebook」 want to be complete by establishing their own world. For them, self is trained through the struggle against death. Love is a depravity that completely loses themselves as an absolute standard of life for two people who want to overcome or complete death by becoming truly strong human beings. Likewise, for Sun-ae and Yun-su, love is a depravity that makes them lose themselves absolutely, but for them, love is a depravity that makes them more complete by losing themselves. By completely losing love, Sun-ae and Yoon-soo lose the opportunity to become more complete through their own loss. For ‘I’ and his wife in 「Seoul’s Moonlight Chapter 0」, on the contrary, corruption is true love. ‘I’m sending my ethically depraved wife away through divorce, but I'm not fully prepared to part with her. ‘I’, who still loves her, still wants to keep her by her side by degenerating into a corrupt world. If my beloved wife is forced to lie in an ethically corrupt world with ethically corrupted beings, for me, being ethically corrupt is the only way for her. Corruption is love even for her wife, so she embraces men who have been eroded by catastrophic present with a kind of compassion. In order to sympathize with men who are corrupted by the grief of death, and to share the fear and sorrow of death together, the wife is sexually corrupted with them. Both 「Fantasy Notebook」 and 「Seoul’s Moonlight Chapter 0」 are common in that they have absolute ethics and absolute corruption. According to the logic of Youngbin and Suyeong in the 「Fantasy Notebook」 and ‘I’ in 「Seoul’s Moonlight Chapter 0」, the ethics of one’s world is absolute ethics, and the ethics of the living world is relative. However, the true will and courage affirmed in the 「Fantasy Notebook」 and 「Seoul’s Moonlight Chapter 0」 can be found in the actions of the characters who acknowledge the subject’s insurmountable limit and actively accept it as their own. According to Sun-ae, Yun-su, and the wife of ‘I’, the act of actively acknowledging passive limits is the only way the subject can think and act ethically. They are the characters who show Kim Seung-ok’s absolute self-ethics, transcending the ethics of his own world and the ethics of the living world. 본고는 김승옥의 작가 이력의 처음과 끝에 위치한 「환상수첩」과 「서울의 달빛0장」을 함께 검토함으로써 김승옥의 소설 세계를 관통하는 일관된 관점이나 주제의식을 발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특히 본고에서는 「환상수첩」과 「서울의 달빛0장」이 공통적으로 윤리적 타락이라는 주제를 다루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했다.「환상수첩」에서도 「서울의 달빛 0장」에서도 우리는 윤리적 타락이라는 문제에 직면한인물들의 공통된 곤경을 관찰할 수 있으며,그러한 타락이 역시 공통적으로 사랑이라는 문제와 깊은 연관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관찰할 수 있다.이러한 사실을 바탕으로 본고에서는 동일한 주제가 시간이 흐르면서 어떤 방식으로 일관성을 유지하거나혹은 변주되어왔는지 검토하고자 했다. 「환상수첩」의 영빈과 수영은 자기 세계를 확립함으로써 완전해지고자 한다.그들에게 자기는 죽음과의 투쟁을 통해 단련되는 것이다.진정으로 강인한 인간이 되어죽음을 극복하거나 혹은 완성하고자 하는 두 사람에게 사랑은 삶의 절대적 기준으로서의 자기를 전적으로 상실하게 만드는 타락이다.마찬가지로 선애와 윤수에게도 사랑은 자기를 절대적으로 상실하게 만드는 타락이지만,그러나 이들에게 사랑은 자기를 상실함으로써 그것을 더욱 완전하게 만드는 타락이다.선애와 윤수는 사랑을 완전히 상실함으로써 자기의 상실을 통해 더욱 완전해질 수 있는 기회를 상실한다. 「서울의 달빛 0장」의 ‘나’와 아내에게는 반대로 타락이야말로 진정한 사랑이다. ‘나’는 윤리적으로 타락한 아내를 이혼을 통해 떠나보내지만,그러나 아내와 완전히이별할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여전히 아내를 사랑하는 ‘나’는 아내의 타락한 세계 속으로 타락함으로써 여전히 그녀를 자신의 곁에 두고자 한다.사랑하는 아내가 윤리적으로 타락한 존재들과 함께 윤리적으로 타락한 세계 속에 놓여 있을 수밖에 없는 것이라면 ‘나’에게는 윤리적으로 타락하는 것만이 아내를 위하는 유일한 길이 되는 것이다.아내에게도 타락은 사랑이어서 그녀는 파국적인 현재로 인해 미래를 잠식당한 남성들을 일종의 연민의 감정으로 보듬어 안는다.죽음이 주는 슬픔으로 인해 타락한남성들을 동정하며,함께 죽음의 두려움과 슬픔을 나누기 위해 아내는 그들과 함께성적으로 타락하는 것이다. 「환상수첩」과 「서울의 달빛 0장」은 모두 절대적 윤리와 절대적 타락을 설정해두고있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환상수첩」의 영빈과 수영,그리고 「서울의 달빛 0장」의‘나’의 논리에 따르면 자기 세계의 윤리는 절대적 윤리이며 생활 세계의 윤리는 상대적 윤리이다.그들에게 상대적 윤리는 언제든 위반 가능한 사소한 것이며,절대적 윤리에 충실하기 위해서라면 상대적 윤리를 위반하는 것은 오히려 반드시 필요한 과정이기도 하다.그러나 「환상수첩」과 「서울의 달빛 0장」에서 긍정하는 진정한 의지와용기는 주체의 넘을 수 없는 한계를 인정하고 그것을 자신의 것으로 적극적으로 받아들이는 인물들의 행위 속에서 발견된다.선애와 윤수,그리고 ‘나’의 아내에 따르면 수동적인 한계를 능동적으로 인정하는 행위야말로 주체가 윤리적으로 사유하고 행동할수 있는 유일한 방식이다.그들이야말로 자기 세계의 윤리와 생활 세계의 윤리를 뛰어넘는,김승옥...

      • KCI등재

        김승옥 단편소설의 여성인물 연구 -「야행」과 「서울의 달빛 0장」을 대상으로

        곽상순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10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49 No.-

        The works of Kim Seung-ok have been determined by the term of "1960's style". He wrote his most works at 1960s, so it is reasonable that he has been called "1960's writer". And his works also have been represented by the imagination of desublimated women. Some of his works, especially Ya-haeng(야행) and Seoul-eu-dalbit 0jang (서울의 달빛 0장) reveal the break in woman between the symbolic domain and the "absolute particularity" of the fantasy space which individuals organize their enjoyment. This paper aims to grasp the succession of this imagination in Kim Seung-ok's works. And this paper draws some conclusions from his works, concerning the break sustaining his "1960's style". Kim Seung-ok proposes a new way of conceptualizing the inherent paradox that pertain to the very notion of Women.

      • 무대매체 및 영상매체의 도입과 한국 근대소설 형성의 상관성 연구

        곽상순 시학과언어학회 2011 시학과 언어학 Vol.0 No.2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aspects of the relation of Korean modern novels to the advent of new media including play and film, and to dispute on them in respect of aesthetics and narrative sense. Advent of play and film are process to open a new field of narrative sense in both production and reception. This is based on the differences of mechanism on language and image. Film was perceived at the beginning as the moving image, a dead image which miraculously comes alive. Therein lies its spectral quality. The moving image is a dead, immobile object which magically comes alive. Film is a moving image, the continuum of dead image which give the impression of life by running at the proper speed. The dead image is a freeze frame. And when we sit in the cinema, tied to chairs, immersed in the spectacles run by a machine. However, a more appropriate allegory is that of the viewer himself beneath the illusion that we just look at the perceived objects from a safe distance, freely sliding along them. There is the reality of the innumerable ties that blind us to what we perceive. While just looking, we are always hunting among objects, endeavoring to recognize some pattern. These make the aesthetics and themes of modern novels abundant. Right here, the readers of novel and film possess the ground of a new narrative se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