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인천광역시 원도심 공원녹지 기본계획 현황 및 이용 평가

        이석현,김하늘,곽동화,Lee, Seok-Hyun,Kim, Haneul,Kwack, Dongwha 인천대학교 도시과학연구원 2018 도시과학 Vol.7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and evaluate the proper planning for 2030 Incheon Urban Parks & Green Space Master Plan. Some of the plans are aimed at multiple small districts within the city's old town, as local governments are planned to be sub-subsidized by Incheon Metropolitan City. However, these plans have become simple plans for each district and therefore find it difficult to collect from the perspective of the using system of the residents who are directly used. First, the construction of the urban park and green space network requires the construction of a service using system that can be felt by the users. Second, the basic idea of each district planned as the detailed strategy of the master plan should be planned through consultation with nearby the district. Third, specific targets and directions for the urban park and green space plan through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 are needed.

      • KCI등재

        공동주택단지 보행자전용도로의 기능 확장과 개선방안 사례연구

        김진희 ( Kim¸ Jinhee ),곽동화 ( Kwack¸ Dongwh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1960년대 산업화 이후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양적위주의 공동주택 공급이 이루어졌다. 도시 공간과 배타적으로 존재하는 공동주택 단지는 외부와의 단절을 초래하였으며 이로 인해 공동주택 단지 외부공간을 구성하는 보행공간의 역할과 중요성은 간과되어졌다. 보행자전용도로는 통과나 이동을 위한 선적인 공간이기도 하지만 지역사회를 구성해 가는 최소단위로써 거주자들의 생활 기능 및 이웃과의 교류가 발생하는 면적인 공간으로 전환될 수 있는 공간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주거단지의 보행자전용도로 기능 확장을 검토하고 주거단지의 재생을 위한 보행자전용도로의 역할과 유효성을 제안하는 것에 있다. (연구방법) 연구대상은 주거단지 사이에 위치하며 인접 도시계획시설들과 적극적인 연계를 가진 보행자전용도로를 선정하였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인천광역시 남동구의 소래 휴먼시아 1,3단지 사이에 위치한 보행자전용도로로 폭은 약 9m, 길이는 약 334m이다. 연구의 진행은 첫째, 선행연구 및 문헌자료를 통해 보행공간에서 발생하는 활동과 보행환경의 질적 구성요소에 대해 고찰한다. 둘째, 이론적 고찰에 근거하여 분석의 틀을 작성하고 현장관찰을 통해 이용행태 관찰 및 보행환경 조사를 진행한다. 셋째, 분석 결과를 종합하여 보행자전용도로에 대한 개선안을 도출하고 방향을 제안한다. 넷째, 전문가 평가를 통해 개선방안에 대한 유효성을 검토한다. (결과) 보행자 활동분석과 보행환경의 질적 평가 결과, 현재의 보행자전용도로는 대부분 걷기와 같은 필수적활동의 행태를 보였고 이용가능성, 안심안전성, 쾌적성을 제외한 나머지 보행공간의 기능들은 낮은 척도를 보였다. 이와 같이 보행자전용도로가 개선해야할 점을 도출하였고, 공간계획의 방향에 맞게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유휴공간을 활용한 휴식 및 교류 공간 조성, 기존주호를 활용한 상업시설 및 문화교육시설 조성, 커뮤니티 시설의 연도형 배치를 통한 공공활동 및 문화프로그램 공간으로 조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일정 규모 이상의 공동주택 단지에 일반적으로 건설되어지는 보행자전용도로를 커뮤니티가 공유하는 공유재의 기능으로 확장하여 지역사회와 교류할 수 있는 공간으로 기능을 극대화 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개선방향은 이웃과의 우호적인 관계형성 및 지역사회의 새로운 공동체를 형성하며 단절과 소외 등의 사회적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으며 다른 보행자전용도로의 개선안으로써 참고가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After industrialization in Korea in the 1960s, urbanization progressed and quantity-oriented apartments were supplied. Apartments, existing exclusively in an urban space, caused a disconnect from the outside world. Consequently, the role and importance of pedestrian spaces that constitute the exterior space of apartment housing were overlooked. The pedestrian-only roads are not only an axis space for passage or movement, but are also a space that can be converted into an area where residents' living functions and interaction with neighbors occur as the smallest unit constituting a local community. This study examines the functional expansion of pedestrian-only roads in residential complexes, proposing the role and effectiveness of pedestrian-only roads for the regeneration of residential complexes. (Method) The study subject selected was pedestrian-only roads between residential complexes, that actively linked to neighboring urban infrastructures. The spatial scope of the study are the pedestrian-only roads between Sorae Humansia Complex 1 and 3 in Namdong-gu, Incheon, with a width of about 9m and a length of about 334m. First, the qualitative components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activities that occur in the pedestrian space are considered through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data. Second, the framework of the analysis is prepare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 additionally, behavior observation and pedestrian environment survey are conducted through field observation. Third, an improvement plan for pedestrian-only roads is derived and the direction is proposed by combining the analysis results. Fourth, the effectiveness of the improvement plan is examined through expert evaluation. (Results) Because of the analysis of pedestrian behavior and the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pedestrian environment, most of the current pedestrian-only roads showed behaviors of essential activities, such as walking, and other functions of the pedestrian space―except usability, safety, and comfort ―were low. Thus, the improvement of pedestrian-only roads was derived, and the improvement plan was proposed following the direction of the spatial plan. Rest and community spaces were created using unused spaces; commercial and cultural education facilities were created using existing housing; and public activities and cultural program s were created through the corridor-type arrangement of community facilities. (Conclusions) In this study, the pedestrian-only road―generally constructed in apartment complexes of a certain size or larger in Korea, was expanded to function as public property shared by the community and to maximize its function as a space to interact with the local community. This improvement direction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form new communities with neighbors and solve social problems, such as disconnection and alienation. Further, it can be a reference for the improvement plans of other pedestrian-only roads.

      • KCI등재

        사회적 교류의 장으로서 학교와 노인복지관의 복합화 공간계획

        이도현 ( Lee Dohyun ),곽동화 ( Kwack Dongwha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0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5 No.7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의 인구는 급격히 고령화되고 있으며 원도심을 중심으로 공공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하는 경향을 보인다. 반면 국민의 삶의 질은 향상하여 정부에서 추진 중인 생활SOC의 확충이 필요하다. 이에‘생활SOC와 연계한 학교복합시설’이 정책 시행 중에 있으며 학교의 경우 지역과 연계하는 경험 중심의 교육이 중요해졌고 기존의 공간은 변화의 필요성이 높아졌다. 또한 2000년대 초반부터 추진된 학교복합화사업은 사업성에만 기인하여 지역의 실질적 수요를 고려하지 않고 대부분 동일한 프로그램이 적용된 경향을 보인다. 이에 노인복지관과 초등학교의 복합화 설계 제안을 통해 새로운 공간 계획에 관한 가능성을 보여주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으로 문헌연구 및 사례분석을 하였다. 인구의 급격한 고령화 경향에 따른 문제점을 분석하였고 현 상황을 먼저 겪은 일본의 사례분석을 통해 공간계획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분석된 일본사례들의 시사점과 현재 일본이 추진하는 공공시설 집약화 사업을 분석하여 종합하였다. 이를 통해 도출된 계획의 방향성을 설계안에 적용하였다. (결과) 이에 따라 1)안전성, 2)교류공간, 3)접근성, 4)지역환경이 도출되었다. 또한 현재 추진 중인 사업 분석을 통해 ᄀ)외부공간의 적극적 확보와 활용, ᄂ)출입 및 동선의 분리에 관하여 분석하여 적용하였다. 대상지로는 ‘접근성’을 고려하여 근린주구단위 범위 내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빈교실 비율, 시설의 노후도 및 인근 고령인구 분포밀도를 비교하였으며‘인천인수초등학교’를 선정하였다. 첫 번째 디자인개념은‘함께 또는 따로’로, 연령별 인구 분포를 통해 접근성을 분석하여 출입을 분리하였다. 또한 기존의 정형화된 학교 공간에서 탈피하여 저층 매스들의 분산 배치를 통해 다양한 외부 공간에서 학생들의 다양한 야외 집단활동이 존중될 수 있도록 하였다. 그리고 온실의 공간을 통해 각 시설을 분리하여 안전성을 확보하고 동시에 온실의 프로그램이 노인과 학생 간의 교류공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두 번째 디자인개념은‘모임 그리고 흩어짐’으로, 확장된 인공대지의 지하공간은 각 이용자 집단의 교류공간으로서 모이는 공간이며 지상공간은 각 이용자마다의 일정에 따라 흩어져 수업 및 교육의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공간으로 구성하였다. (결론) 본 연구는 초등학교와 노인복지관의 복합화 공간계획을 실제 대상지에 적용하였으며 다가오는 인구절벽 시대에 대응하기 위해 노인의 사회적 고립을 예방하고 아이들의 다양성을 존중할 수 있는 새로운 공간을 제안하였다. 제안된 계획안은 관련 집단의 이해관계를 원활히 하고 각 지역마다 공간수요가 다른 이유로 일률적용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하지만 제안된 공간의 계획 방향성 및 그에 대응하는 공간 요소들은 추후 사회적 교류의 장으로서의 학교복합시설에 적용되기에 충분한 가능성이 있다는 의의와 가치가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 Korea’s population is rapidly aging, and there is a lack of facilities, especially in old downtown areas. On the other hand, the quality of life quality has improved and needs of living SOC has increased. In case of schools, experience-oriented education linked to the region has become important, and there is an increased need to change typical spaces. The school complex project was conducted only due to its business feasibility, and similar programs have been applied without considering the regionality. This study aims to demonstrate the possibility of new space planning for a complexation of a welfare center for the aged and an elementary school. (Method) A literature review and case analysis was conducted. Problems caused by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example of Japan were analyzed to derive the direction of the design. The findings were summed and analyzed,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cases analyzed in prior research and current projects for the complexation of public facilities promoted in Japan. The direction of the planning deriv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was applied to the design. (Results) 1) Safety, 2) Exchange Space, 3) Accessibility, and 4) Local Environment were derived accordingly. In addition, a) active retaining and using of outer space, b) separation of moving flow and entrance were applied through the analysis of projects currently underway. The site is Incheon Insu Elementary School, selected by comparing the ratio of empty classrooms, the aging of facilities, and the distribution density of the elderly population around the site,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s within the neighborhood district unit in consideration of “accessibility.” The first design concept was “Together or Separately,” and access was separated by analyzing each user’s accessibility. In addition, by breaking away from the existing formalized school space and positioning low-rise mass distributed, various outdoor group activities could be respected. The space of the greenhouse could promote social exchanges between the elderly and students while separating the facilities. The second design concept was “gathering and dispersing,” where an underground space is assigned to each user group as a gathering and exchanging space, and on the ground level, each user can carry out their schedules. (Conclusion) This study applied the public facility complex of elementary schools and senior welfare centers to actual sites and proposed a new space to prevent social isolation among the elderly and respect the diversity of children to cope with the upcoming era of a demographic cliff. The proposed plan may be difficult to uniformly implement because it facilitates the interests of the relevant groups and space needs vary as per the region. However, the design direction and corresponding space elements are meaningful and valuable to be applied to school complexes as places for social interaction in the future.

      • KCI등재

        공공주택 공유공간의 계획 경향에 관한 연구 -대한민국 공공주택 설계 공모대전을 중심으로-

        김진희 ( Kim Jinhee ),곽동화 ( Kwack Dongwha ),나현규 ( Na Hyeongyu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산업화 과정 속에서 주택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고밀도 주거형식인 아파트를 공급해왔다. 단위주호의 면적은 최대화로 개발되며 공유공간은 최소화로 개발된 아파트들은 공동체 결여를 초래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최근 공공주택 계획에서는 커뮤니티 회복을 위한 변화들이 시도되고 있으며 공유공간을 구심점으로 활용하려는 계획안들이 제시되고 있다. 또한 포스트 코로나로 인한 사람들의 일상이 변화하면서 공유공간에 대한 새로운 계획안도 제시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최근 공공주택 계획안에서 나타나는 공유공간의 계획특성과 경향을 파악하여 공유공간의 발전방향을 제안함에 있다. (연구방법) 연구 분석의 대상은 2019, 2020년도 공공주택 설계공모대전의 수상작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공공주택 공유공간의 이론적 고찰을 행한다. 이를 토대로 각 공공주택 유형별 사례분석을 통해 공유공간을 구성하는 요소를 도출하였다. 도출된 요소들의 물리적 공간계획 특성과 프로그램의 관계를 분석하여 공공주택 공유공간의 경향을 알아보았다. (결과) 공유공간 구성요소들은 공공임대주택의 유형에 따라 다른 물리적 공간 특성을 가짐을 파악할 수 있었고 종합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간영역의 길은 주변 도시조직의 맥락을 고려한 단지 내 관통형의 길로 계획되어 지역주민이 함께 이용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둘째, 마당은 단지 내부형과 개방형이 일반적으로 동시에 계획되는 경향이 보이며, 거주민들의 공간과 지역주민이 이용 가능한 공간을 구분한다. 셋째, 커뮤니티 시설이 마당의 2면에 면한 경우, 단지 내부형 마당과 개방형 마당에 면한 것에 따라 닫힌 공간과 열린 공간을 형성한다. 넷째, 중간영역을 지역주민과 교류하는 경우 중간영역과 프로그램의 연속된 흐름을 갖도록 계획하여 지역주민과 거주민의 접촉을 증가시킨다. 또한 코로나에 대응하여 중간영역인 관통형의 길과 단지 내부형 마당을 배분하도록 계획하여 공유공간 안에서 선택적 또는 필수적 만남을 유도하는 새로운 경향을 보인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 최근 공공주택 계획안에서는 거주민들만의 독립된 공유공간과, 거주민의 영역과 구분되어 지역주민과 공유하며 상호작용하는 지역 공유형 공유공간의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코로나 19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 대응된 공유공간의 계획 경향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향후 공공주택의 공유공간 계획 시, 발전방향을 제시하여 거주민들의 커뮤니티 활성화와 지역공동체를 강화하는데 기반이 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In the process of industrialization, Korea has been supplying high-density residential apartments to solve the problem of housing shortages. The apartments that were developed by maximizing the area of unit housing and minimized sharing space resulted in a lack of community. To solve these problems, changes to community recovery have been attempted in recent Public Housing proposals and plans to use sharing space as a central point have been proposed. In addition, new plans for sharing space are also being proposed as people's daily lives change due to the COVID-19 pandemic.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opose the direction of developing sharing space by identifying the planning characteristics and trends of sharing space in the recent Public Housing plan. (Method) The subjects of the research analysis were the winners of the 2019 and 2020 Public Housing Design Competition. As a research method, theoretical considerations of such sharing space is conducted. Based on this, the components of the sharing space were derived through case analysis by Public Housing type.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spatial planning characteristics of derived elements and programs was analyzed to identify the tendency of Public Housing sharing space. (Results) The components of sharing space can grasp the different physical space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type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the results of the comprehensiv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the path of the intermediate territoriality is designed as a through-type path in the complex considering the context of the surrounding urban organization, and local residents tend to use it together. Second, in general, the yard tends to be designed for both internal type and open type, distinguishing the space of residents from the space available to local residents. Third, when community facilities face two sides of the yard, the yard forms closed spaces and open spaces depending on whether they face an inner yard or an open yard. Fourth, when intermediate territoriality interacts with local residents, a continuous flow of intermediate territoriality and programs can help increase contact between local residents and residents. In addition, a new trend of sharing space for COVID-19 Prevention induces selective or essential encounters in sharing space through the distributed placement of through-type paths and internal yards. (Conclusions)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recent Public Housing plan showed a tendency to plan an independent sharing space for residents and sharing space for the local residents in addition to the trend of sharing spaces to prevent COVID-19. Therefore, this study will serve as the basis for revitalizing the residents' community and strengthening the local community by presenting the direction of development when planning the sharing space of Public Housing in the future.

      • KCI등재SCOPUS
      • KCI등재

        주민센터를 활용한 대피소의 공간구성에 관한 연구

        정주영(Jung Jooyoung),염태준(Yeom Taejun),곽동화(Kwack Dongwha),박미진(Park Mijin) 한국방재학회 2018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8 No.3

        재난의 발생 빈도 및 규모가 나날이 예상하기 어려워지며, 도시의 과밀화가 심화됨에 따라 재난재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효율적인 대피소 확보에 대한 필요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사회적 상황에서, 행정안전부에 의해 대피소로서 지정되어 있는 주민센터를 중심으로 보다 효율적인 대피소의 시설 및 공간 구성 개선을 위해, 일본의 대피소 사례와 비교 분석 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주민센터를 비롯한 주민 커뮤니티 시설이 대피소로서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As it has become steadily more difficult to predict the frequency and size of disasters and the overcrowding of cities has intensified, the need for effective shelters to cope with disasters is continuously increasing. To improve the facilities and spatial organization of shelters more efficiently in this social situation, the facilities of community service centers designated as shelters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of Korea were compared and analyzed with the cases of Japan’s shelter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proposed methods to efficiently utilize resident community facilities including community service centers as shelt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