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후 일본의 정치학 정체성론 연구 -과학성, 자율성, 주체성을 둘러싼 논의를 중심으로-

        고희탁 ( Hee Tak Koh ) 현대일본학회 2010 日本硏究論叢 Vol.31 No.-

        1980년대 후반 일본에서는 ‘전후 정치학의 총결산’과 더불어 ‘뉴 폴리틱스’의 제시를 지향하는 이른바 ‘과학적’ 정치학 그룹의 대두를 계기로, 과연 정치학은 자기 존재이유를 어디서 발견해야 하는가 라는 문제가 정치학자들 사이에서 논쟁이 되어왔다. 그런데 이 그룹에 의해 ‘총결산’의 대상으로 몰린 ‘전후 정치학’ 또한 실은 그 이전의 정치학적 전통에 대한 ‘단절’과 ‘현실과학’의 선언으로부터 출범한 성격을 갖는 것이었다. 본고에서는 패전 직후와 1980년대 후반이라는 두 번의 시기에 전개된 전후 일본의 정치학 정체성을 둘러싼 논의를 주요 분석 대상으로 삼아, 정치현실에 대한 적실성을 지니는 과학성, 분과학문으로서의 인접학문에 대한 자율성, 권력 및 외국학문에 대한 주체성이라는 세 가지 지표에 의거하여 분석하여, 각 시기의 정치학 정체성 모색의 특징과 성격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그리고 일본 정치학의 제도적 측면에 대한 현황을 살펴보고 이 두 번의 논의와의 상관성 문제를 검토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한국의 정치학 정체성 모색을 둘러싼 학문적 논의에 참고할 수 있는 시사점을 얻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on the debate of the identity crisis of the Japanese political science in post-war Japan and get the critical meaning for the research of the identity of the Korean political science. For this, first, this paper explains to characteristic of the argument that was caused for the research of the identity of the Japanese political science at two times in post-war era. by this, we find out the real aspects of the argument with crossing and conflict of scientific objectivity. Second, the analysis is used such the following indicators as: the autonomy against the adjoining academic discipline, the scientific objectivity of the accurate account toward real politics, the independence against the political power and hegemonic foreign academic discipline.

      • KCI등재

        근현대 일본에서의 서구문명 수용의 이중주와 그 유산

        고희탁(Koh, Hee-Tak) 고려대학교 아세아문제연구소 2016 亞細亞硏究 Vol.59 No.1

        이 글에서는 일본 근현대의 서구문명에 대한 순응적 동화와 그에 대한 저항이라는 구도에 주목하여, 양 측면의 존재와 긴장관계를 내포한 서구문명 수용의 이중주라는 시각에서 일본의 근현대를 사상사적으로 조망한다. 메이지유신 이후의 ‘탈아입구’노선과 아시아주의,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마르크스주의 확산과 ‘근대초극론’, 패전 이후의 ‘근대주의’와 ‘일본문화론’의 대두 등을 대표적 사례로 삼아, 그 구도 자체에 내포된 서구중심주의적 논리와 그에 대한 저항심리가 맞물리거나 뒤엉키면서 결국 일본중심주의적 무드를 배양해왔다는 복합적 측면에 초점을 맞추었다. 이를 통해 그 복합적 양상이 특히 냉전체제의 붕괴 이후 ‘포스트’ 언설들의 두드러진 유행과 그와 더불어 강력해진 이른바 ‘우경화’노선의 돌출현상의 대조적 구도에도 일정하게 그림자를 드리우고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In the case of modern Japan adopting Western civilization, it would seem to list toward a complete and wholehearted Westernization. But we should not forget the continuous existence of the people and discourses against Westernization and the strained relationship between those for and against Westernization. Based on that perspective, this paper focuses on how the two streams, such as the exit from Asia to Europe and its counterpart Pan-Asianism, the spread of Marxism and the rise of discourses for overcoming European modernity, the emphasis on modernism in the post-war period and the appearance of discourses on Japanese culture coinciding with the development of Japanese economy, have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the path of history in modern Japan.

      • KCI등재

        마루야마 마사오의 일본근세정치사상사연구와 서구중심주의의 굴레

        고희탁 ( Hee Tak Koh ) 현대일본학회 2015 日本硏究論叢 Vol.41 No.-

        본 연구에서는 마루야마 마사오가 중시한 사유양식론과 그것의 일본적 특수화에 따르는 함정, 유교관의 혼란 등에 대해 본격적으로 분석한다. 마루야마의 자기비판을 비롯하여 많은 선행연구가 있었지만 이 문제군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본격적 연구가 없었기 때문이다. 또한 그 문제의 연장선상에서 특정 사상가가 과대평가되거나 혹은 과소평가 당해왔다는 점에 대해서는 오늘날의 연구자들 사이에서도 여전히 문제의식이 약하다. 더욱이 이와 같은 그의 일본근세정치사상사연구가 남긴 뒤틀림의 후유증이 아직 완전히 시정되지 않은 채로 동아시아문명이나 유교 이해를 둘러싼 양극단의 편견 즉 오리엔탈리즘과 옥시덴탈리즘의 생명연장 및 병존을 오늘날까지도 허여하고 있다는 의구심 또한 없지 않다. 이런 문제의식 위에서 마루야마의 일본근세정치사상사연구에 대한 근본적 재검토를 시도하는 것이다. This paper is to reconsider Masao Maruyama`s studies on the history of Tokugawa political thoughts. Especially, I make an object of criticism in earnest about the problem of his perspective`s swaying on Confucianism and the trap by the specifying the viewpoint of ``Mode of Thought`` in the context of Japanese history. That is why although the problem of the gap between his theory and the historical facts was criticized by Maruyama`s self-criticism and many other scholar`s critical studies, the two problems mentioned above were not analyzed properly yet. Moreover, in an extension of the problem, the critical mind on the other problem of distorting the historical facts on political thinkers was very weak since then. And consequently the problem is not corrected completely yet, thus I think the aftermath of the kink left by Maruyama`s studies on the history of Tokugawa political thoughts have given the opportunity of life prolongation to the prejudice of the two extremes, so-called Orientalism and Occidentalism surrounding the understanding on the civilization of East Asia and Confucianism even today.

      • KCI등재후보

        유학적 구도의 재편과 공공론적 탐구

        고희탁(Koh Hee Tak) 한국동양정치사상사학회 2009 한국동양정치사상사연구 Vol.8 No.2

        본고는 ‘고학(古學)’의 주창자로 유명한 이토 진사이(1627-1705. 이하 진사이)의 ‘천하공공(天下公共)의 도(道)’라는 명제에 착목하여, 그의 주자학 비판과 유학적 구도 재편에 내포된 동시대적 의의를 검토한 것이다. 그의 ‘천하공공의 도’라는 명제에는 유학적 윤리를 의미하는 ‘도’는 ‘천하공공’의 것으로 특정한 사람들만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에 의해 ‘공공되는’ 사실이자 ‘공공되어야만 하는’ 규범이라는 의미가 강하게 내포되어 있다. ‘공적인 것’을 의미하는 ‘공(公)’에 ‘모두 함께’라는 의미의 부사구 ‘공(共)’을 결합시킴으로써 ‘천하공공’이라는 명제를 통해 자신의 사상적 영위를 동시대적인 공공론적 탐구로서 명확히 위치지우고자 하는 의도가 엿보인다. 진사이의 ‘천하공공(天下公共)의 도(道)’는 생활세계의 현장성이라는 바탕에서('自然’), 고전과 ‘천지’의 ‘생생(生生)’을 그 이념으로 한 개별적인 성실과 타자에 대한 관용의 실천을 통해 자기형성을 꾀하는(‘人爲’) 과정을 중시한 주체형성론과, 생활세계의 공동성에 기반하면서도 그것을 초월하여 보다 넓은 타자에 열린 보편성을 추구하는 대화적ㆍ협동(協?)적 공공 탐구의 동시대적 제안이었다. 그것은 주자학에 배태된 엘리트주의나 그리고리즘을 낳는 ‘리(理)’의 고착화를 뛰어넘어, 『맹자』의 이상주의를 일반인에게 개방하여 생(生)의 육성이라는 모멘트를 갖는 ‘사랑(愛)’을 그 정의론의 토대로 삼음으로써, 그 양면의 모멘트가 상호적ㆍ상보적으로 작용하는 것을 처음으로 이론화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작업의 과정에서 한편으로는 정치도 민생론에 규정받는 인위적 활동으로 재정위되고 또한 다른 한편으로는 생활세계로부터 정치에 관여하는 길을 여는 것이기도 하였다. 그렇다고 해서 그것이 한편에서는 관민대립론적 차원에서의 정치적 변혁론으로 귀결되는 것은 아닐 뿐더러, 또한 단지 생활세계 그 자체에 회수되거나 그 자체를 대상화하는 것도 아니었다. 생활세계에 뿌리를 두면서 거기로부터 더 넓은 공공적 ‘생(生)’이 가능한 사회를 구축하고자 하는 것이었다. 그러한 의미에서 ‘낮은 데서 높은 데로’의 탐구적 과정은 현장적인 것과 보편적인 것을 잇는 공공론적 탐구의 전형을 보여주는 것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ay attention to the Ito Jinsai's proposition "the way of public in the world" and consider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included in his orthodox Neo-Confucianism criticism and reorganization of Confucianism composition by "the study of classics". For this, first, this paper explains the meaning of "the way of public in the world", especially focusing the intention to try to combine 'publicity' which means 'something public' with the adverb phrase of the meaning of 'with everyone'. Second, this paper explains why his orthodox Neo-Confucianism criticism is concentrated on the problem of its adherence of "reason" which brings a rigorism and the rediscovery of the idealism of "Meng-zi" for justice theory beyond the elitism. Third, this paper analyzes the meaning of his reorganization of Confucianism composition by "the study of classics" which try to re-fix that politics is prescribed as a artificial activity for public welfare by the emphasis of "the way of the king" and even so why his idea is not anything to result in political reformation theory. In conclusion, this paper insists his idea indicated an epitome of the search for public theory which is connected something local with something universal putting a root in the living world in Tokugawa Japan.

      • KCI등재

        도쿄(東京)대학 교양학부의 교육기획과 그 성과 : 그 제도 및 내용의 개괄을 중심으로

        고희탁(Hee-Tak KOH) 한국교양교육학회 2008 교양교육연구 Vol.2 No.1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meaningful suggestion and desirable direction for improving liberal education in Korea by examining the College of Arts and Science of Tokyo University s case, especially its educational system and program. For this, first, this paper explains to the triple structure of the system in educating firstand second-year undergraduate students in the Junior Division, the College incorporated its own Senior Division for third- and fourth-year students and, later, the Graduate School. One important development in recent years has thus been a change in the College s pedagogical emphasis from undergraduate to graduate education. Second, we find out the real aspect of the cultural basic education based on the idea of Liberal Arts by its educational programs. They make a more point of the process of the so-called know-how than the know-what . The aim is to introduce new interdisciplinary approaches to the academic convention of compartmentalized specialties, a challenge which has been met by the practice of the Department in its education and research. Third, historically they have made the system and organization better for the level-up of the liberal education, in spite of the disorganization of the department of liberal education in the other university since 1991, according to the deregulation policy by Japanese government. Tadao Yanaihara, the first Dean of the College, and his colleagues, who believed in an integrated approach to learning and in fostering the spirit of a life-long quest for truth whereby unbiased individuals with all-round knowledge would be trained.

      • KCI등재
      • KCI등재

        근대 한국의 사회진화론 도입,변용에 보이는 정치적 인식구조: 국가적 독립과 문명개화의 사이에서

        천자현 ( Ja Hyun Chun ),고희탁 ( Hee Tak Koh ) 대한정치학회 2011 大韓政治學會報 Vol.18 No.3

        본 논문에서는 19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에 걸쳐 국내외의 정치적 환경의 변화와 연동되면서 나타난 사회진화론의 도입과 변용이 조선·구한말의 사회에 어떠한 가능성과 문제를 내포한 것이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그 도입과 변용에 내포된 동시대 정치적 인식의 구조적 특징을 포착하고자 하였다. 역사의 진보와 그 전제조건으로서의 경쟁을 원리화한 사회진화론의 수용은 동아시아 전통적인 인식론의 구조를 전복하는 것이었을 뿐만 아니라, 국가적 생존 및 발전이라는 과제가 문명개화의 문제와 함께 던져진 이중적 과제상황 속에서 복잡한 양상을 띠지 않을 수 없었다. 특히 그 과제의 해결을 위한 주체 형성의 방안으로 ``위로부터``의 방향에 중심을 두었는지 혹은 ``아래로부터``의 방향에 중심을 두었는지를 구분함으로써 사회진화론의 도입기에서 변용기로의 이행의 역사적 특성을 부각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그 도입기에 선구적 역할을 한 유길준과 윤치호의 사회진화론 수용시각이 어떠한 특징을 띠는 것이었으며, 그것이 20세기 초부터 본격화한 실력양성 및 애국계몽 등의 자강운동에 어떠한 정치사상적 각인을 남기게 되었는지에 대해 박은식 및 신채호 등의 언설을 중심으로 추적하였으며, 특히 그 과정에서 국가적 생존 및 발전이라는 과제가 문명개화의 문제와 함께 던져진 딜레마적 혹은 이중적 과제상황을 돌파해나갈 주체의 형성론을 둘러싼 차이라는 시각에서 자강운동기의 다양한 노선분화의 문제를 분석, 고찰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problems and possibilities that arose from the introduction and change of Social Darwinism which began to appear as an interlock to the change of domestic and foreign political environment from the late 19th century to early 20th century, in late Chosun dynasty. Through the analysis, we aimed to captur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political perception that is implied in the introduction and change of Social Darwinism. Accepting Social Darwinism in which competition is the key principle for the advancement of history was not only denying the structure of classical Eastern traditional perception, but also led the society into complicated situation in which two conflicting tasks had to be fulfilled: the task of national survival and development, and the task of civilization and enlightenment. The study sought to emphasize transitional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Social Darwinism from the period of introduction to the period of change by differentiating whether the main subject in resolving the two tasks was formed from the "upstream" or from the "down stream". For the purpose, we tried to pursuit the perceptive view on Social Darwinism of Yoo Kil-joon and Yoon Chi-ho who played a crucial role in accepting the theory in its introductional period, and the consequence that it carved upon the strenuous efforts in early 20th century including skill cultivation and enlightenment, as an politico-social imprint, by looking over the remarks of Park Eun-sik and Shin Chae-ho.

      • KCI등재

        1990년대 이후 일본의 대(對)중국 외교정책 변화 연구

        신현석(Shin, Hyeon-suk),고희탁(Koh, Hee-tak) 호남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11 人文社會科學硏究 Vol.30 No.-

        본 연구는 1990년 이후 일본 정부의 중국에 대한 외교정책 변화과정을 중국의 급속한 경제적 성장과 일본의 우경화를 독립 변수로 설정하여 분석한 것이다. 1970년대 초 동아시아에서의 소련의 군사적 전개에 대항하기 위해 미.중.일 간의 전략적 제휴의 산물로서 ‘72년 체제’가 형성되었다. 이후 중일 관계는 경제적 상호의존을 심화시켜갔다. 그러나 소련의 붕괴 이후 1990년대에 이르면 일본의 대중국 정책은 요동치게 된다. 특히 고이즈미 정권기에 일본의 우경화 경향과 더불어 역사문제, 영토분쟁 등의 다양한 외교적 마찰이 표변화한 것은 그 전형적 사례였다. 그에 따라 ‘72년 체제’ 또한 구조적 전환기를 맞이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동아시아 지역적인 차원에서의 중국의 급속한 경제적 부상과 일본 국내적인 차원에서의 우경화를 독립변수로 삼아 종속변수로서의 1990년대 이후의 일본의 대중국 외교정책의 변화과정을 각 정권별 외교적 이슈를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그 과정에서 특히 중일관계를 둘러싼 원심력과 구심력의 교차적 양상을 1990년대부터 현상화하기 시작한 ‘72년 체제’의 구조적 변동과 연관 지어 주목하였다. This paper examines how the Japanese government's diplomatic policies on China changed by government after the 1990s. We also attempt to demonstrate the links between theoretical knowledge and the reality of the situation in East Asia. The independent variables in this paper are China's rapid economic growth and Japan conservatism (especially the Koizurni.Fukuda cabinet in Japan). The significant features of the political order are that the political and economic relations between China and Japan have deepened and diplomatic affiliations among Japan, China and the US have been conducted against the Soviet Union. Sino-Japanese relations are entering a transition stage, shifting from the older special political order that started during the Cold War. Japan is strengthening the US-Japan alliance and is trying to normalize the relationship between China and Japan. Japan’s policy towards China has shifted from an oriented strategy like the ODA program and the Japanese government seeks to prevent China from territorial ambitions. Also, China raises pressure on. Japan in sea disputes like the East China Sea. Through this paper, we emphasize that the Japanese government needs to maintain reciprocal relations with China to improve its international standing and is seeking to better ties with China in Northeast As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