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이야기치료의 애도 상담에 대한 사례 연구: 회원재구성대화를 중심으로

        고미영 ( Ko Me Young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9 교육문화연구 Vol.25 No.3

        이야기치료의 애도 상담은 고인에 대한 상실이 아니라 고인과의 연결을 통해 그와의 경험을 이야기함으로써 애도당사자에게 대안적인 이야기를 발전시키도록 진행된다. 회원재구성 대화를 사용하여 고인과의 연결을 통해 이전에 생각해보지 못했던 대안적 지식과 정체성에 관한 새로운 이야기를 발전시키는 데에 주안점을 둔다. 이 논문은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여 가족에 대한 애도를 주제로 세 사례의 상담을 한 후 이야기의 진행 내용과 과정을 구조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는 애도에 대한 지배적인 이야기가 먼저 나타난 후에 회원재구성 대화를 통해 이야기의 전환점이 마련되고 이후에 대안적인 이야기로 발전되어 가는 것을 보여주었다. 이야기 전환점은 고인과 연결이 된 후에 이야기 주인공이 과거 경험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하게 되면서부터 마련되었다. 이후에 이야기 주인공의 이야기는 새로운 정체성을 포함한 대안적 이야기를 발전시키는 것으로 이어졌다. 사례들을 통해 이야기치료의 회원재구성 대화는 한국적 상황속에서도 애도 상담으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 있음을 보여 주었다. The Objectives: This article examined the narrative structure of grief counseling cases using re-membering conversation in narrative therapy to see if the conversation is helpful in the Korean context of grief counseling. Methods: Case study is used to apply re-membering conversation to grief counseling. Also, related documents are reviewed to introduce and discuss the philosophical background of narrative therapy for grief counseling. Results: Grief Counseling in narrative therapy pursues retelling of memories shared with a deceased person, in which the mourner can renew the relationship with him/her. Re-membering conversation is used for the development of alternative story in grief counseling in narrative therapy. This conversation helps mourners to see themselves through the lost one's eyes so that they can leave the dominant story of death and lost and develop an alternative knowledge of themselves. Conclusions: Re-membering conversation was helpful in three cases, in the development of an alternative story.

      • KCI등재

        학대받은 아동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고미영(Ko Me 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1

        본 연구는 학대받은 아동들의 경험을 연구한 현상학적 연구로 아동들의 생활세계의 체험을 아동의 입장에서 이해하고자 한 것이다. 아동학대는 저항할 수 없는 힘의 구조에서 받는 억압과 자유로운 발달환경의 박탈이다. 학대란 가장 친밀한 관계에서 경험한 매우 왜곡되고 부정적인 상호작용으로 아동에게 혼란스럽고 무질서한 내면세계를 만들어 놓았다. 학대받은 아동들은 그러나 탈출구가 없는 억압속에서도 그들 나름대로 생존을 위한 최선의 전략을 구사하며 가족 지향적인 삶을 원하고 있다. 현상학적 반성을 통해 학대아동의 경험에 대한 8가지 본질적인 주제를 찾았고 이 주제들을 바탕으로 학대경험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 주제들은 학대받은 아동을 위한 상담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nature of the experience of the physically abused children. This is a phenomenological study utilizing van Manen's method to present the children's inner world.<br/> The participants for this study were 10 children, in the age of 8 to 12, who were physically abused by their parents.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semi-structured interviews by the workers who regurally contacted children at the service agencies. Data were analyzed by using 'line by line' reflection by two graduate level students and by the researcher. Eight essential themes were drawn and used for the phenomenological understanding which reveals the meanings given by the children experiencing abuse. There were some suggestions for the abuse counsellors based on these findings.

      • KCI등재

        사회복지 실천과 지식 : 우리 시대의 대안

        고미영(Me Young, Ko) 한국사회복지실천연구학회 2020 미래사회복지연구 Vol.11 No.1

        본 논문에서는 사회복지 실천의 본질을 사회복지 지식체계와의 관계 속에서 논하면서 우리 시대의 지식에 대한 대안적 사고를 탐색하였다. 먼저 사회복지 실천과 지식체계의 관계가 시대에 따라 변화해 온 것을 살펴보고, 이 둘이 상호 영향을 주었음을 지적하였다. 특히 사회적 차원에서 지식에 대한 담론이 어떻게 사회복지 실천의 내용과 범위를 규정하거나 제한해 왔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어서 사회복지 지식에 대한 인식론적 논쟁을 통해 지식을 결과물로 다루는 인식론과 과정으로서의 지식을 다루는 인식론을 탐구하였다. 이에 실천 과정을 지식으로 구성하는 실천지를 사회복지 실천과 잘 어울리는 대안으로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우리 시대의 실천을 위한 지식으로 포스트모던의 구성주의가 지닌 한계를 넘어서는 비판적 실재론을 소개하였다. 비판적 실재론은 문제가 발생하는 사회·구조적인 기제를 탐구하도록 하고 창의적인 해결책을 구상하도록 하여 사회복지사들이 실천 과정에서의 방향과 행위에 대한 대안적 지식을 구성하도록 해준다. 사회복지사는 현실적 문제에 부딪히면서 사람들과 사회의 변화를 촉구하기 위해서 일상적 실천 행위의 실제적인 검증과 동시에 창의적 실천을 구성해야 한다. 따라서 담화적이고 직관적인 지식을 실천을 위한 지식의 대안으로 제시하면서, 반영성을 지식 구성과 실천에서 활용하도록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e article is to discuss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knowledge and practice and to explore alternative thoughts about social work knowledge. Firs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work knowledge and practice is reviewed following the historical change. Then the mutual influence between two subjects was emphasized as the perspectives of the time and discourse about knowledge defined the nature and the range of social work practice. Different epistemological positions called for different attitudes toward knowledge and its application. Social work knowledge has been heavily influenced by the epistemological position which views knowledge as a product. The other ways of knowing have been ignored and not recommended in social work academia. In this paper, knowledge as a process is proposed as an alternative epistemology for social work. Aristotle’s Phronesis is recommended for the proper knowledge for social work practice. This paper suggests critical realism as an alternative theory that overcomes the weakness found in constructivism in solving problems such as poverty, discrimination and oppression, and abuse found in the real world. Critical realism guides social workers to find the causal mechanism of the problem in a social structure. Critical realism strongly suggests social workers to practice reflexively and to find a creative solution. Also, discursive and intuitive knowledge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knowledge for social work in our times.

      • 사회복지 지식의 정치성과 예술성

        고미영(Ko Me-young)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3 비판사회정책 Vol.- No.15

        사회복지 지식은 비교적 역사가 짧지만 전문직에 미친 영향은 적지 않다. 전문직의 위상과 가치를 높이기 위해 일찍이 과학적 지식을 수용하면서 타학문과 마찬가지로 많은 부분이 경험론적 합리주의 방법론에 의존해 왔다. 사회복지계 내에서는 이러한 지식이 사회복지의 설천과 전문성에 얼마나 타당한지에 대한 논의가 끊임없이 제기되어 왔는데도 여전히 학문적 전통은 이를 고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고는 사회복지 지식의 정치성을 논하면서 과학적 지식을 해체하고 보다 실천 현장에 맞는 대안적 지식을 모색해보고자 했다. 과학적 지식은 그 지식의 합법성을 이유로 이를 따르는 일부 소수 지식인 사회에 특권을 부여하였고 실천 현장은 합법적 지식에서 소외되는 결과를 낳았다. 이제 사회복지 실천에 보다 적합하고 의미 있는 지식의 지평으로 사회복지 실천의 예술성을 탐구하고 이를 유용한 지식으로 수용할 것을 제안하였다. Social work is a profession, which is affected by its knowledge system. Social work depends to a large extent on societal sanction, so there were needs within academics of social work to develop scientific knowledge for the approval of the society. Now, it is questionable whether this scientific knowledge agrees with the purpose and the value system of the profession as well as field practice. This article argues whose knowledge is legitimate and what type of knowledge is privileged. The scientific knowledge dominates the history of social work as the only legitimate knowledge, while it excludes the other type of knowledge produced by practitioners. The idea of the science as the only source for knowledge is deconstructed. It also explores the artistic aspects of social work practice as the alternative source for social work knowledge.

      •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임파워먼트 접근에 대한 구성주의적 이해와 적용

        고미영(Me-Young Ko) 비판과 대안을 위한 사회복지학회 2007 비판사회정책 Vol.- No.23

        임파워먼트 접근은 최근 사회복지 실천에서 많은 관심을 끌고 있다. 임파워먼트는 실천 지향이나 가치, 모델과 같은 거시적 의미로부터 과정, 개입, 기술과 같은 미시적 실천 방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의미와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임파워먼트 실천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다양한 관점에서 제기되고 있다. 이 논문은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어떻게 임파워먼트를 이해하고 또한 실천에 적용할 것인가를 주제로 연구한 것이다. 이 글은 구성주의적 관점을 실천하고자 하는 사회복지사들에게 임파워먼트를 실현시키는 가장 중요한 열쇠로 언어 사용에 대해 주목하도록 하였다. 구성주의적 이론에 근거하여 언어가 세계를 묘사하는 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세계를 직접 창조하는 수행적 힘을 지니고 있음을 밝히고, 이를 임파워먼트 실현에 적용하도록 하였다. 결론적으로 사회복지사와 내담자는 대화로 새로운 현실을 창조할 수 있으며, 이 때 사회복지사는 임파워먼트를 새로 구성한 현실에 포함시키는 언어와 가정을 사용하도록 권유하였다. Empowerment is a term widely used in recent social work literature. It covers a spectrum of meanings which are from macro perspective such as a practice orientation, value and model to a micro process such as skills solving clients’ problems. Enhancing client’s empowerment is a trend and the requirement of our times as well as it fits well with the value of the social work practice. However, there are few suggestions how social workers specifically enhance empowerment of their clients. This article emphasizes the social workers’ use of language for empowerment of client from the constructivist perspective. The constructivist posits language does not provide only a mirrored representation of experience but creates the world by shaping one’s thoughts, perceptions and interpretations of that experience. Social workers should pay close attention to their use of language in co-constructing the more empowered world with clients. They should be aware of reflexivity in the use of language to facilitate clients’achievement of greater empowerment.

      • KCI등재
      • KCI등재

        아동학대 재발방지를 위한 이야기 치료 기반의 가족치료 접근

        윤혜미 ( Hye Mee Yoon ),장화정 ( Wha Jeong Jang ),고미영 ( Me Young Ko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3 한국가족복지학 Vol.41 No.-

        아동학대 재발 방지를 위해서는 대상자별 개별 서비스뿐 아니라 학대가 발생한 가족이 스스로를 이해하고 학대로 진행되는 순환적 환류 고리를 차단할 사고의 전환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증가하는 아동학대 재발예방의 한 방법으로 학대피해아동과 학대행위자 및 비가해부모 등 가족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접근방법을 개발, 시행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아동학대 재발가족의 특성과 우리나라 현장의 서비스 현황 분석결과, 가족단위 서비스의 부족과 문제중심 접근에 따른 해당가족의 서비스 기피현상 등이 지적되어 학대가정이 갖는 거부감과 낙인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대안적 접근으로 이야기치료에 착안하였다. 구체적으로는 8회기의 가족치료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이를 12개 아동보호전문기관의 60개 아동학대가정 구성원과 시행한 후 부모와 피해아동에 대한 양적 조사와 상담일지 내용을 분석하였다. 이야기치료의 철학에 근거한 이 프로그램을 경험한 내담자들이 자신의 학대이야기를 해체하여 대안적 이야기를 구성하고 이를 가족과 주변사람들과 나누면서 치유하고 인정받는 것으로 나타나 학대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또 하나의 가족치료 접근으로서의 효과가 인정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to evaluate a family therapy approach based on narrative therapy to prevent recurring child abuse. The narrative family therapy program promotes participation of every member of the family into the treatment process. The program was designed to carry out narrative family therapy on 60 families of 12 local child protection service agencies for child abuse recurrence. Eight sessions included three couple sessions, one family sessions and four group sessions aimed to bring insights upon the abusive situation and strengthen the family functions. The program was evaluated by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methods. Parenting behavior, parents` self-efficacy, communication skills, and anger management proved to be positively improved. The qualitative results show that the narrative family therapy was effective in removing the stigma of the abusive parents and also in opening them up to tell their life story. The parents found the solution by themselves in the process of deconstructing the story of abuse and finding the alternative story. The results of the Focus Group Interview with participating therapists indicated that the narrative family therapy showed differentiation of client toward therapy sessions which lead to higher efficacy and higher satisfaction level.

      • KCI등재

        정신건강센터에서 제공하는 청소년 분노 조절 소집단에 관한 연구

        고미영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1999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8 No.-

        Nine sessions of biweekly anger control group has been delivered in the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 during summer. Four aggressive and disruptive adolescents completed the group. The intervention was based on the stress inoculation of the cognitive-behavioral model which addresses the cognitive preparation, skill acquisition and skill application. The stud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anger control group. Three dependent variables were the scores of Child Behavior Checklist by Achenbach, self-rating scale, and behavior observation rating. This intervention study suggests a promising treatment effect on the lowering the incident of angry outburst in the adolescents who participated in the group.

      • KCI등재

        구성주의와 정신보건 사회사업 실천의 접목에 관한 연구

        고미영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학회 2000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10 No.-

        정신보건 분야에서의 구성주의적 사회복지 실천은 아직 생소한 주제로 간주된다. 그것은 전통적으로 정신보건 분야가 다른 분야에 비해 의학과 심리학의 영향을 많이 받은 까닭으로 보인다. 이 논문은 전통적인 사회복지 이론에 대한 구성주의의 입장을 밝히고 정신보건 실천 분야와 관련된 구성주의적 실천의 원칙과 함의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본고는 모든 이론은 가치와 이념의 영향을 받고있으며 이는 사회적으로 구성된 것임을 밝히고 이러한 과정을 실천에 반영하는 자아성찰적인 실천을 한 대안으로 제안하였다. 특히 내담자와 실천가의 협동작업으로 현실에 대한 인식과 정의의 폭을 넓히고 새로운 의미와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이야기의 생성을 변화의 내용과 방향으로 제시하였다. 21세기를 맞이하여 전 학문 분야에서 일고 있는 포스트모더니즘의 확산과 영향력은 막을 수 없는 거대한 흐름을 이루어 인문 사회과학에도 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사회사업 실천에서도 이러한 사회적, 학문적 영향에 힘입어 조심스럽게 구성주의적 패러다임의 논쟁이 시작되고 있으나 아직 정신보건과 관련된 사회사업 실천에서는 그러한 논의가 매우 미미하다. 그것은 정신보건 분야가 사회사업 실천에서 가장 의학적이며 심리학적인 전통에 입각한 실천을 해왔고 그 학문들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다는 점과 정신보건 분야의 뿌리가 과학적이며 객관적이라고 인정받는 경험론적 패러다임에서 출발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미 포스트모더니즘과 구성주의적 논쟁은 모든 경험론적 패러다임에 기초한 학문 분야에 강한 도전을 주었고 실용성과 유용성을 문제 삼아 비판의 수위를 높여가고 있는 이때에 정신보건 사회사업도 그 예외가 될 수 없다는 것은 명확하다. 구성주의의 도전은 이전의 전통과 이론들을 모두 말살하고자 하는 것이 아니라 이전에 아무도 제기하지 않았던 인식과 지식에 대한 의미를 고찰해봄으로써 실천에 주는 함의를 새로운 각도에서 도출하는 것이다. 이것은 외부로부터 주어진 객관적 지식에 대한 맹목적인 수용에 대하여 회의를 가져보고 앎이란 무엇이며 그것을 실천한다는 것의 한계는 무엇인지를 고민하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 특히 한국 정신보건 사회사업은 무분별한 서구 이론의 수용으로 한국적 상황에 적절한 실천 방법이 아직 없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우리가 간과해버리기 쉽고 비판 없이 받아들인 많은 실천 개념과 방법들에 대한 반성을 요구하는 시점에서 구성주의적 논의는 적절하다고 보여진다. 또한 구성주의적 시각이 제시하는 실천적 함의가 어떻게 정신보건 사회산업과 연관되어 적절하며 대안적인 실천 방법을 제시하는 지 알아보는데 본 논문의 의의가 있을 것이다. 본고에서는 정신보건 사회사업 실천에 관하여 구성주의가 어떤 점을 시사하며 현재 사용되는 이론에 대하여 어떤 입장을 가지고 있는 지를 먼저 살펴보고자 한다. 이와 더불어 새로운 시대와 내담자들의 욕구에 부응하는 실천의 가치와 방향을 구성주의적 실천 원리에 입각하여 모색해 보고자 한다. This article examines the ideological nature of theory and the ways ideology becomes infused into social work theory and practice. Social work has been a value-laden practice through out its history. However, the narrowness of our conceptual frameworks does not allow the recognition of the value and ideology behind the so-called scientifically based theory and knowledge. The constructivist approach in mental health suggests to move away from the narrow application of the diagnostic labeling and the upholding of normality. Instead, the reflecting practice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o get involved in the client's experience and to create a meaningful narrative that provides a broader choice for the client's life.

      • 구성주의적 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이해와 질문

        고미영 서울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교수논총 = (A)collection of treatises Vol.14 No.-

        전통적인 사회복지실천에서는 사회복지사들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서 내담자가 처해있는 상황에 대한 확실한 이해를 하고자한다. 특별히 질문은 정보를 찾아내고 올바른 현실 이해를 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구성주의적인 실천 관점에서 질문은 단순한 이해를 넘어서서 개입의 한 실제적인 도구로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이 관점에서는 현실적인 정보를 얻는 수단으로서의 질문에 의문을 제기하고 있다. 그것은 질문이 현실을 파악하는 기존의 틀을 벗어나, 현실을 구성하는데 촉진제 역할을 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이 논문에서는 Tomm이 제안한 4가지 영역의 질문을 소개하면서, 전통적인 질문과 구성주의적 관점에서 만들어진 질문의 차이점을 보여주고 있다. 특히 구성주의적 질문은 내담자가 그 대화의 주역이 되도록 만들면서, 내담자의 사고영역을 확장시키고 새로운 현실적 대안을 내담자 스스로 찾아낼 수 있도록 돕는데 매우 유용한 방식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